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화의 분배 방법이 과제의 난이도에 따라 지적장애 아동의 수행 및 선호도에 미치는 효과 비교

        진동주(Chin, Dongjoo),정경미(Chung, Kyong-mee) 한국행동분석학회 2021 행동분석․지원연구 Vol.8 No.1

        지적장애를 대상으로 강화의 분배 방법에 따른 훈련의 효과를 조사한 선행연구는 과제의 난이도와 참가자 특성을 통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제한된다. 본 연구는 만 7세 이상 13세 미만의 지적장애를 가진 아동을 대상으로 분산과 누적 강화의 효과가 과제의 난이도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선정 기준을 충족한 77명의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네 개 조건(쉬운 과제에서의 분산 강화와 누적 강화, 어려운 과제에서의 분산 강화와 누적 강화)에서의 시각 작업기억 과제의 수행(정답률, 분당 응답수, 분당 정답수)과 선호도(3점 척도 자기 보고, 강화 조건 선택 비율)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쉬운 과제에서는 강화 조건에 따른 수행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어려운 과제에서는 누적 강화 조건에서의 분당 응답수 및 분당 정답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도의 경우 네 개 조건에서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누적 강화 조건에서 지적장애 아동이 과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며, 이러한 차이는 과제의 난이도가 높을 때에만 유의함을 시사한다. The effectiveness of accumulated reinforcement on participa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s been emphasized over distributed reinforcement, but the generalized effect of accumulated reinforcement is hampered in part by lack of controlling task or participant characteristics. The present study evaluated if the performance of, and preference for distributed and accumulated reinforcement were different between two task difficulties of a visuospatial working memory task. Participants wer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were between 7 and 13 years old. 77 participants conducted four sets of visuospatial working memory task(distributed and accumulated reinforcement in an easy task, distributed and accumulated reinforcement in a difficult task). The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accuracy rate, response rate per minute, and correct response rate per minute. Preference was evaluated by three-point likert scale and selection ratio between distributed and accumulated reinforcement. The increase of response rate per minute and correct response rate per minute in the accumulated reinforcement was greater than the distributed reinforcement for the difficult task,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eference. Findings in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erformed more efficiently at accumulated reinforcement condition, which is only applicable to difficult task.

      • KCI등재

        행동원인규명척도(FAPB)를 활용한 문제행동 유형 및 관찰자 유형 변인에 따른 문제행동 기능 규명

        정경미(Chung, Kyong-mee),진동주(Chin, Dongjoo) 한국행동분석학회 2021 행동분석․지원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관찰자 유형과 문제행동 유형에 따른 문제행동 기능파악을 위해 실시되었으며, 이를 위해, 부모, 교사, 그리고 치료사 및 기관종사자의 세 집단을 대상으로 선정 기준을 충족한 총 473명의 참가자를 모집하여 행동원인규명척도와 인구통계학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독립변인은 관찰자 유형과 문제행동 유형, 종속변인은 문제행동의 기능으로 설정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두 변인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관찰자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관찰자 변인 사이의 평균을 비교하기 위한 사후분석 결과, 부모 집단에서 요구 기능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문제행동 유형은 유의한 효과가 관찰되었는데, 떼쓰기, 공격, 자해 행동의 경우 요구와 회피 기능이, 상동행동의 경우 자기자극 기능이 유의미하게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어 선행연구와 비교적 일관된 결과를 보였다. 관찰자 변인과 문제행동 유형 변인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추후 임상 현장에서의 본 연구 결과 활용 방법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Although identification of the function of problem behavior can be influenced by observers or types of problem behaviors, there is lack of studies analyzing these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is focused on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to identify the functions of problem behaviors reported by three different groups of caregivers(teachers, staff/therapists, and parents), and types of problem behaviors(self-injurious, attack, destroy, stereotype, tantrum, others). Total of 473 participants answered basic information record and Functional Assessment for the Challenging/Problem Behaviors (FAPB). Results show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unction of problem behavior across observers, but the main effect of the problem behavior type was observed. As a result of post-analysis of observer variables, demand was reported the least in the parent group. Attack and self-injurious behavior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demand and avoidance, which wa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interaction between two independent variables was not significant. Utilization of the result in the clinical field and further research wa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