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말하기 시험의 구인과 과업에 관한 연구 - 교실 평가를 중심으로

        지현숙 ( Jee¸ Hyunsuk ),이혜란 ( Lee¸ Hyera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1 외국어교육연구 Vol.35 No.3

        교실 말하기 평가는, 특정한 기간 동안 말하기 능력을 숙달하기 위하여 어떻게 교수-학습했는가와 어떠한 말하기 능력을 성취하기 위해 노력했는가가 구체적으로 담기기 때문에 중요하며, 이후의 한국어 교수-학습에 강한 영향력을 끼치기 때문에 논의할 가치가 크다. 이 논문은 그간 외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진 말하기 평가 연구와 대규모 말하기 시험 체계를 검토한 후 한국어 말하기 시험의 ‘구인 및 과업’을 중심으로 논쟁점을 추출하고 기술하였다. 또한, 팬데믹 시기 동안 한국어 교실의 말하기 평가는 어떻게 수행되고 있는지와 한국어 교수자들은 말하기 교수-학습과 평가에 있어서 어떠한 문제 상황에 처해있는지도 조사하여 해결책을 제안하였다. 구인과 과업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수행되어온 한국어 말하기 평가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시험 개발자들은 말하기 시험의 과업 난이도를 다소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둘째, 학문 목적 학습자 대상의 시험 과업은 난이도도 조절되어야 하지만 ‘실제성’의 부면에서도 비판의 여지가 있다. 셋째, 말하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구인 간의 위계화가 성글고 연관성이 부족하다. 이 연구의 일차적인 의의는 지금까지 다소 미진한 한국어 교실 평가 연구에 일조한 것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한국어 교수자가 겪고 있는 팬데믹 시대의 교육 환경적 어려움과 말하기 평가 수행의 난점들을 기술하고 해결 방향을 제안함으로써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질적 향상에 기여한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extracted and described controversial points focusing on the 'constructions and tasks' of the Korean speaking test after reviewing the speaking assessment research and large-scale speaking test system that have been performed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during the pandemic, we investigated how the speaking assessment of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is being performed and what kind of problems Korean teachers face in speaking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and suggested solutions. The results of reviewing the Korean speaking assessment performed so far focusing on constructs and task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ask difficulty of the speaking test is confusing by the test developer. Second, the difficulty of the test task for academic learners should be adjusted, there is also room for criticism in terms of ‘authenticity’. Third, the hierarchy among constructs for assessing speaking ability is sparse and there is a lack of correlation. The primary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its contribution to the assessment of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which has so far been rather inexperienced.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it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quality of Korean speaking assessment by describ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al difficulties experienced by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pandemic era and difficulties in performing speaking assessment and suggesting solutions.

      • KCI등재

        미래지향적 한국어 말하기·듣기 교육의 담론 -문사철, 첨단기술, 스토리텔링의 복합을 도모하며-

        지현숙 ( Hyunsuk Jee ) 한국화법학회 2015 화법연구 Vol.0 No.30

        This study discusses a new direction for teaching speaking and listening skills in Korean. Korean and other foreign language education needs to be expanded and integrated in the areas of MunSaChul (literature, history, philosophy), technology and storytelling. The direction of teaching Korean has to change in order to reflect the needs of a globalized society and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This study provides a critical review of Korean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research embedded in Korean language programs, textbooks, teaching methods and testing. Korean speaking and listening domains should undergo changes to provide a customized curriculum for the Korean learner with authentic educational content, digitalized textbooks, valid task-based testing and so on.

      • KCI등재

        다중언어주의 기반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담론

        지현숙 ( Jee Hyunsuk ) 국어교육학회 2019 國語敎育學硏究 Vol.54 No.2

        본고는 다중언어시대의 이데올로기, 변화된 의사소통 방식, 언어 경관 등을 반영하여 한국어 말하기 시험이 어떻게 변화해야 할 것인가를 모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다중언어주의의 개념을 고찰하고 언어 평가와의 관련성을 논의하였으며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연구사 검토와 현황을 조사하여 비판적 관점으로 기술하였다. 본고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평가는 다중적 문해력, 상호작용 전략, 레퍼토리의 크기, 창발성이 구인으로 재고되어야 한다. 둘째, 시험 과업은 복수의 말하기 수행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맥락과 가치가 내재되어야 하고 스토리텔링이 적극 도입되어야 하며 대화 참여자의 수행 변인이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다중언어시대의 언어 경관을 반영하여 광고물, 기호, 표지판, SNS 콘텐츠 등이 시험입력물로 널리 사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다중언어시대의 사회적 단면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기반으로 타당한 한국어 말하기 평가를 설계하고 실행하기 위한 방향을 시론적으로 개진한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explores how to change the Korean speaking test to reflect the plurilingualism, the changed communication style, and the language landscape. To this end, the concept of plurilingualism and the relevance of language assessment were discussed. In addition, the state of Korean Speaking Assessment was investigated and described.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followings are established: First, the Korean learners’ speaking test should be reconsidered as multiple literacy, interaction strategy, size of repertoire, and emergence. Second, the task of speaking test should include various contexts and values to be able to carry out multiple spoken words. Storytelling task should be actively introduced and the performance variables of dialogue participants should be considered. Third, advertisements, symbols, signs, SNS contents should be used as test prompt reflecting the language landscape of the pluri-lingual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