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비자의 勢와 術의 교육적 해석

        지정민 한국교육사학회 2003 한국교육사학 Vol.25 No.2

        The present study is an attempt to interpret Han Fei's legalist thought as an answer to the question: How should the teacher bring up students to be moral beings through acts. Han Fei has been widely regarded to propose explicit behavioral rule (法). But to make people follow the explicit behavioral rule has a serious problem that it fails in developing true morality and becomes just conditioning. From the standpoint of this study, Han Fei can find the way to actualize the aim of the explicit behavioral rule to make people to be moral beings, putting together various legalist traditions in ancient China. It is of paramount importance that there are two other elements of fa-chih in addition to explicit behavioral rule, i. e. absolute authority (勢) and tacit art (術).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ruler instigates the belief that the righteousness of the behavioral rule is beyond doubt, so that the people follow it for the very reason that it is good. The tacit art refers to a special kind of technique which the ruler uses in the state of 'non-activity' (無爲), so that the ruler can look through the people's mind and know all about the people as they truly are. Han Fei's educational theory shows an act-centered education. The three elements of fa-chih are a set of well designed steps leading to Tao. His thought can and ought to be understood as an educational theory showing the distinctive legalist perspectives and methods of act-centered education.

      • KCI등재

        예기에 나타난 전통 교육의 종교성과 聖顯 : 月令篇을 중심으로

        지정민 한국도덕교육학회 2006 道德敎育硏究 Vol.17 No.2

        The Religious Aspect of Traditional Education and Hierophany : An Interpretation of Yuehling in Liki Liki,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exts in the Eastern traditional education, highlights that people in the ancient era had been taught under a great religious atmosphere.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pter of Yuehling in Liki to reveal what people had experienced particularly through their religious education. Using Elide's terminology, the concept of hierophany characterizes the ancient idea of sacred time in Yuehling. The purpose of the ancient education lies in leading people to divine states by following the rules of Yuehling, which constitute li in general. Therefore, li, so far as it is accepted as hierophany, has people experience the paradox between the sacred and the profane, and finally reach divine states. In addition, this study contrasts Eliade's 'archetype of world' with Otto's 'archetype of mind'. This distinction can help u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different modes of Liki-education : one is based on knowledge and the other ritual. Eliade's archetype of world emphasizes Liki-education based on ritual, while Otto's archetype of mind emphasizes Liki-education based on knowledge. Even though those two ideas differ in many significant points, they collaborate each other under the system of the traditional religious education. In this sense, the religious aspect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makes it possible to solve one of the major problems in the field of philosophy of religion. The modern education also appears to potentially have the religious aspect. To explain the religious aspect in the modern education is an urgent task in our era. 전통사회의 교육은 현대 교육과는 달리 종교성을 그 중요한 특징으로 삼고 있다. 예기의 월령편은 시간에 대한 고대인들의 종교적 태도를 잘 드러내는 동시에 예를 중심으로 한 동양의 전통 교육의 종교적 측면을 훌륭하게 예시해 준다. 이 점은 특히 엘리아데의 성현의 개념에 비추어 설명될 수 있다. 엘리아데에 의하면 ‘거룩한 시간’에 대한 관념은 신에 의한 세계 창조를 재연하고자 하는 인류 공통의 종교적 경험을 이룬다. 오늘날의 교육은 이미 과거와 같은 의미의 종교성을 상실한 것이 사실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여전히 잠재적 형태의 종교성을 보존하고 있다. 교육과 종교의 관련을 밝히는 일은 현대 교육을 이해하는 데에 필수불가결한 이론적 과제의 하나이다.

      • KCI등재후보

        교육학적 관점에서 본 한비자의 法, 勢, 術

        지정민 한국법철학회 2004 법철학연구 Vol.7 No.1

        Chinese legalists (法家, fa chia) have been generally regarded as nothing more than propagators of anti-humanistic political ideology and Han Fei was not an exceptional case in this respect. However, it is argued in this study that we can find a very strong and serious concern about good life, good society and morality in Han Fei's writing. His thought can and ought to be understood as an educational theory showing the distinctive legalist perspectives. There are three elements of Han Fei’s legalist thought, i. e. the explicit behavioral rule (法, fa), absolute authority (勢, shih) and tacit art (術, shu). The explicit behavioral rule is the embodiment of Tao (道), so that the people can become virtuous by acting in accordance with it.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ruler instigates the belief that the righteousness of the behavioral rule is beyond doubt, so that the people follow it for the very reason that it is good. The tacit art refers to a special kind of technique which the ruler uses in the state of ‘non-activity’ (無爲, wu wei), so that the ruler can look through the people’s mind and know all about the people as they truly are. The explicit behavioral rule is the primal rule; the other two elements are subsidiary in that they serve to actualize the aim of the explicit behavioral rule. It should be stressed accordingly that the other two elements can have meaning only in connection with the primal one, and each of the three elements is meant to solve the problem which the other element raises in successive order. However, all of them have one and the same aim; indeed they are a set of well designed steps leading to Tao. Han Fei’s legalist thought is a faithful application of Taoist philosophy to concrete educational settings.

      • KCI등재

        한비자의 정치이론과 교육이론

        지정민 한국도덕교육학회 2010 道德敎育硏究 Vol.22 No.1

        This study attempts to interprets Hanfei's legalist philosophy as educational theory by focusing on its proposition about Tao. In Hanfei's educational theory, Tao is the ultimate goal, regulating people's behavior, and eventually their mind. Tao is expressed in law(法), and the law involves political activities along with Shi(勢) and Shul(術). In the other hand, legalist's political epistemology is construed mainly by the concept of Hyungmung(形名). According to the theory of Hyungmung, the consistency of actual life is the final criteria of knowledge and truth. Hanfe's political epistemology is based on subtle balance between Tao and the consistency of actual life. In contrast with Confucian education, Hanfei's education is the process of following and practising laws, which enables to develop the people's mind and their morality. The so called 'gentlemen of 法勢術‘ should be understood in modern context as the model which everyone who lives everyday life could pursue. In conclusion, to interpret Hanfei's legalist philosophy as educational theory reveals the logical connection between the meaning of politics and the meaning of education. 한비자의 정치이론은 유가와 대안적인 교육이론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비자의 정치이론은 정치행위에는 필연적으로 인식의 변화가 수반될 수밖에 없으며, 그 변화는 곧 교육의 과정임을 보여준다. 한비자의 정치이론을 구성하는 두 가지 축인 정치행위론과 정치인식론 사이의 긴장관계는 그의 정치이론을 교육이론으로 해석하고자 할 때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한편으로 정치인식론은 정치행위론에 시사된 교육적 함의를 보다 직접적으로 드러내어 설명해 주지만, 다른 한편으로 정치행위론은 정치인식론에 결여된 도(道)의 지위와 성격을 보다 분명하게 규정해 준다. 한비자는, 유가의 지식교육과는 다른 관점에서, 일상생활의 행위규칙과 규범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를 ‘법세술지사(法勢術之士)’의 행위와 인식을 통하여 드러내었다. 한비자의 사상에서 법세술지사는 특별한 집단에 국한되지만, 오늘날 그것은 일상적 삶을 영위하는 모든 인간이 따라야 할 하나의 교육적 모범으로 이해될 수 있다.

      • KCI등재

        「논어」의 윤리학: 도덕성의 본질과 획득

        지정민 한국도덕교육학회 2014 道德敎育硏究 Vol.26 No.2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ethics of the Analects by investigating the tension between Confucius and Ja-ro(子路). This tension can be interpreted as a conflict between two important issues on the morality: the essence of morality vs. the acquisition of morality. Two analogies might be useful to show the essence of morality in the Analects. First, ‘inner but outer’ means that the intentions or thoughts of agents are critical elements rather than act itself. Second, ‘upper but lower’ means that the morality presupposes transcendental ideal. All the unpredictable acts of Confucius reflect this very essence of morality. On the other hand, Ja-ro, like any other common persons, is always in the way to acquire morality, learning knowledge and following customs(學). There exists inevitable gap between the essence of morality and the acquisition of morality. However, in ethics of the Analects 學 has the pivotal position, which requires the concept of benevolence(仁) for its justification. 學 presupposes 仁, thus two of them cannot be separated. It suggests that the acquisition of morality itself implies the essence of morality in a paradoxical way. 본 논문은 「논어」 양화편을 단서로 공자와 자로의 대비를 통해서 「논어」의 윤리학의 핵심 문제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논어」의 윤리학은 도덕성의 본질과 획득의 문제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공자의 행동은 도덕성의 본질의 관점에서, 그 제자들의 행동은 도덕성의 획득의 관점에서 각각 이해될 수 있으며, 양자 사이에는 갈등과 통일이 공존한다. 먼저, 도덕성의 본질은 「논어」에서 안과 밖의 비유 및 위와 아래의 비유로 설명될 수 있다. 즉, 도덕은 밖으로 드러나는 행동이 아니라 행위자의 내면에 의하여 판정되며, 이것은 보고 듣고 경험할 수 있는 아래쪽이 아니라 초월적 기준이라는 위쪽을 지향한다. 결국 공자의 도덕성은 어떠한 지침이나 규범에도 지배받지 않는 자유자재의 창조적, 자발적 표현인 ‘오묘한 조화’로 이루어진다. 반면에, 도덕성의 획득은 우리에게 사회, 역사적으로 주어진 지식과 규범을 끊임없이 배워가는 과정, 즉 學에 의해서 가능하다. 자로로 대표되는 범인의 도덕성은 이 학을 떠나서는 성립될 수 없으며, 성인의 행동을 그대로 모방한다고 해서 가능한 것이 아니다. 이와 관련하여, 학에 대하여 공자가 ‘仁은 그 안에 있다’라고 말한 것은 학과 인 사이에 일치와 불일치를 동시에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성인이 하게 되는 행동과 범인이 해야 하는 행동 사이에는 항상 괴리가 있을 수밖에 없지만, 동시에 성인과 범인은 서로 다른 길이 아니라 하나의 동일한 도정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바꿔 말하여 도덕성의 획득 과정은 그 자체가 도덕성의 본질을 확립해주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자 사이에는 인간으로서는 결코 극복할 수 없는 거리가 있다.

      • KCI등재

        도덕적 갈등과 통합에 관한 성리학적 해석: 「논어」의 효제와 자애를 중심으로

        지정민 한국도덕교육학회 2022 道德敎育硏究 Vol.34 No.4

        Confucianism is often thought as a narrow family-centered ideology, but 孝弟 and 慈愛 in Analects leads us to true meaning of moral conflict and moral unification, revealing such a conventional view to be an inappropriate prejudice. 孝弟 and 慈愛 are based upon their ultimate principle, the benevolence(仁). Once 仁 is cultivated through deeds of 孝弟 and 慈愛, it can be widely employed in various social contexts. The ideal unification of all moral virtues can be achieved only in metaphysical sense; in reality, each virtue always conflicts one another. Such moral conflicts appear not only among virtues, but also within a single virtue. For instance, 孝弟 has love(愛) and respect(敬) as its different aspects, while 慈愛 has love(愛) and teaching(敎) in it. In order to reach to 仁, doing our filial duties or bringing up our children we must strive to make balance between those two aspects. The moral reflection in its proper sense involves this effort to make balance between different aspects of a virtue, and eventually it realizes the unified harmony of all virtues. Today the old Confucian virtues like filial piety are often identified with fixed behavioral rules, but their essence lies in one’s introspection for moral unification deep inside own mind. 흔히 유학은 편협한 가족중심주의로 비판되지만, 「논어」에 나타난 효제와 자애의 의미를 살펴볼 때 그러한 통념은 재검토되어야 한다. 효제와 자애는 인을 매개로 하여 공경이나 충성 등의 사회적 덕목과 연결된다. 즉, 효제와 자애는 인을 궁극적 원리로 삼으며, 효제와 자애를 통하여 함양된 인은 여타의 사회적 사태에서 광범위하게 발휘되는 것이다. 다만, 인에 의한 모든 덕목의 완전한 통합은 형이상학적 차원에서 실현가능하다. 현실 속에서 덕목들은 끊임없이 갈등하고 충돌한다. 이 갈등은 예컨대 효와 사회정의 사이의 갈등처럼 상이한 덕목 사이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덕목의 상이한 측면 사이에서도 나타난다. 즉 인을 원리로 삼을 때, 효제는 그 안에 애와 경, 자애는 그 안에 애와 교라는 상이한 측면들을 가지며, 각 측면의 조화를 모색하는 내적 성찰의 과정이 곧 진정한 효제와 진정한 자애의 의미를 보여준다. 나아가, 하나의 덕 안에서의 이러한 내적 성찰의 과정으로 인하여 여러 덕목 사이의 갈등은, 어느 한 편을 선택함으로써가 아니라, 관련된 모든 덕목들을 하나의 체계 내에서 조화롭게 통합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오늘날 효제와 자애를 비롯한 유학의 덕목들은 지나치게 평면적인 행위 규범으로 이해되지만, 「논어」와 성리학자들의 논의에 비추어 볼 때, 자신의 마음의 ‘은밀한 곳’에서 이루어지는 이 통합의 노력은 곧 유학적 가족윤리, 나아가 모든 도덕적 성찰의 핵심적 의미에 해당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