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싱가폴과 런던의 도로혼잡 해결과 도시철도 혼잡 해결 비교연구

        주종훈(Jong-hoon, Joo),주재영(Jae-young, Joo),김기병(Kie-Byeong Kim),심재석(Jae-suk Shim),김정훈(Jung-hun Kim),권순성(Soon-sung Kwon),정구인(Ku-in Jung),김영수(Young-soo Kim) 한국철도학회 2014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10

        도시 교통 혼잡은 세계 대도시의 고민거리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설개량, 법제도 신설 및 개정 등 막대한 시간과 비용을 들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개선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도로뿐만아니라 도시철도의 혼잡해결 역시 국가 및 시의 정책결정자 우선 과제로 선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세계 주요 도시 중 런던과 싱가폴은 도로 혼잡을 해결하기 위해 대규모의 혼잡통행료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도시들이다. 도로혼잡의 해결을 위해 싱가폴과 런던은 혼잡통행료 제도를 시행하여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고, 도시철도 혼잡을 위해서는 서로 다른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상이한 결과를 거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런던과 싱가폴의 도로혼잡 해결 접근방법과 도시철도 혼잡 해결 접근 방법을 비교 연구하여 어떠한 방법이 도시교통의 혼잡 해결에 효과적인지를 도출하고자 한다. In all of the world cities , congestion of road and urban railway is a big problem. Among world cities Singapore and London use congestion charge system to solve congestion problem in the road. Congestion charge of two cities are very effective foe solving problem in the road but they use different method to solve the problem of urban railway’s congestion. And their result is different too. So by studying their different method, we try to find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solve the problem of congestion in urban railway.

      • 예배를 위한 모임의 중요성에 대한 요한 칼빈의 가르침과 실천

        주종훈(Jong Hun Joo) 신학지남사 2021 신학지남 Vol.88 No.4

        공동예배를 위한 신학적 실천적 접근은 주로 예배의 구성요소와 그 실천 방식에 대한 내용에 집중한다. 하지만 오늘날 공동예배를 위해서 가장 선명하게 부각된 주제는 모임 자체와 관련한다. 곧 공동예배를 위한 가장 중요한 출발점으로서 모임 자체에 대한 의미와 중요성을 다시 고찰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 글은 공동예배를 위한 모임의 중요성과 의미에 대한 칼빈의 가르침과 실천을 살펴본다. 칼빈은 제네바 목회와 예배 사역의 과정에서 공동체의 모임을 예배 실천을 위한 구체적인 구성요소와 진행 방식과 아울러 별도로 강조했다. 칼빈에 따르면, 공동체의 모임은 신앙적 유익을 제공하고, 성경의 가르침에 따른 중요한 순종이고, 안식의 방식으로 구체화된 적용이고, 시간의 구분에 따른 관계 형성의 방식이며, 목회적 지도와 책임을 반영하는 실천이다. 칼빈은 공동예배에 대한 자신의 신학적 확신을 제네바 목회에서 직접 실천했다. 무엇보다도 공동예배의 모임을 위해서 장소에 제한을 두지 않고 다양한 시간과 일정한 리듬에 따른 규칙성을 추구했다. 아울러, 가톨릭과 같이 모임 자체를 주술적 신비적 의례 방식으로 수용하거나 유대교와 같이 율법적으로 수용하는 것을 경계했다. 그리고 목회적 돌봄을 통해서 여러 도전들과 제한들이 모임을 약화시키지 않도록 했으며, 모임 자체가 하나님의 임재를 보증하지 않지만, 하나님의 임재가 공동체의 모임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중요성을 동시에 강조했다. 이러한 공동예배를 위한 모임의 중요성과 의미에 대한 칼빈의 가르침과 실천은 오늘날 모임의 위기 또는 제한을 경험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요한 교훈을 제공해준다. 뉴노멀이라 불리는 우리 시대는 공동체의 모임에 대한 새로운 도전과 제한을 받는 환경에 직면해 있다. 디지털 기술에 의해 가상공간을 통해서 공동체가 연결되는 방식을 예배에 수용하면서 직접적인 모임의 의미와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 우리 시대에 중요한 과제는 예배를 위한 공동체의 모임을 포기하거나 간과하지 않고 지속하는 것이다. 공동예배의 모임을 통한 신앙형성 방식을 대신할 수 있는 것은 없다. 칼빈의 가르침과 실천에 따라 공동체의 모임이 지닌 유익과 중요성을 고려할 때 우리가 현재 경험하는 디지털 기술 사용을 통한 가상공간의 예배 모임은 단지 제한된 상황에서 모임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목회적 배려와 돌봄의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현실적 대안의 수용 과정에서 가상공간의 예배 모임을 전통적 모임의 대안으로 간주하기보다는 공동체의 직접적인 모임을 통한 신앙형성의 유익과 필요성을 기억하는 것이 요구된다. 새로운 방식의 모임이 새로운 경험이 될 수 있고 제한된 상황에서 실천 가능한 목회적 대안일 수 있지만 전통적 모임의 필요성과 유익을 대신하는 대안으로 보편화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좀 더 심도 있는 고찰과 논의를 거쳐야 한다. Major issues of theological and practical approaches to public worship have been of the components and implements of the service of worship. However, gathering or meeting itself has been a prominent issue for today by requiring us to consider the significance of meeting together as a starting point of public worship.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ore Calvin’s teaching and practices of the meanings and significance of gathering for public worship. Calvin emphasizes gathering as a distinctive part of public worship by setting it aside along with the components of worship. According to Calvin, gathering for public worship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worshipers as (1) providing means of spiritual benefits, (2) obedient way appropriate to the biblical teaching, (3) embodied application of the sabbath, (4) patterned way of forming human relationship with God by following the rhythm of time, and (5) practices revealing pastoral care and duty on leading the worshipers to God. Keeping this theological and pastoral conviction in his mind, Calvin intentionally implemented the gathering of public worship in Geneva. Calvin’s practices of gathering for public worship reveals some phenomenal characteristics: (1) seeking regularity of meeting together by emphasizing weekly rhythm of gathering and scattering; (2) warning the dangers of superstitious and ceremonial practices of Roman Catholic and legalistic observance of Jewish tradition; (3) emphasizing pastoral care and duty on motivating and securing the gathering for public worship by dealing with practical challenges and limits in terms of meeting together. In this regard, Calvin’s teaching and practices of public gathering for worship has clear and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our new-normal context of worship as a challenge and restriction. While tending to ignore the significance of physical gathering for worship, contemporary Reformed tradition following Calvin is asked to sustain meeting together for public worship. Likewise, considering the benefits and significances of gathering for public worship, digital worship at the virtual space could be regarded as pastoral accommodation to the limited situation that makes people meet together at the physical space. Thus, instead of taking the service of digital worship as an absolute alternative to the physical gathering of worship, it would be much more necessary for contemporary Reformed tradition to seek the recovery of benefits of spiritual formation through meeting together with keeping the value of gathering for worship.

      • KCI등재후보

        1542년 칼빈의 ‘제네바 세례 예식서’에 나타난 신앙과 삶의 형성

        주종훈(Joo, Jong Hun) 개혁신학회 2021 개혁논총 Vol.55 No.-

        개혁주의 전통에서 세례는 성찬과 함께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하는 성례로 간주되고, 신앙과 삶의 형성에서 결정적이고 중요한 위치를 지닌 의례로 이해된다. 이글은 1542년 ‘제네바 세례예식서’에 담긴 칼빈의 세례 이해와 실천을 해석하고 오늘날 개혁주의 교회들을 위한 교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서 세례 연구의 성경적교리적 접근과 그 기여를 인정하면서 목회와 예배의 관점에서 칼빈의 세례 실천에담긴 교훈을 이끌어내는데 주력한다. 칼빈이 제네바를 중심으로 실천한 세례예식은 단지 성례의 하나로 성찬 참여를 위한 준비 과정 또는 사회적 지위를 얻기 위한의식을 넘어선 신학적 목회적 의도를 담은 예전 의례이다. 칼빈은 중세 가톨릭의의례 행위들로 인해 축소된 세례를 초대교회의 실천에 따른 공동체로의 입문 과정으로 재구성하기 위해 노력했다. 또한 재세례파에 의한 유아세례의 도전에 대해서언약 신학에 기초해서 세례가 하나님의 적극적인 일하심에 의한 은혜의 참여 과정이라는 것을 구체적으로 강화시켰다. 제네바 세례예식서에 담긴 칼빈의 세례 실천은 세례의 의미를 상세히 설명하고, 그것의 효력을 위해 하나님께 기도할 뿐 아니라, 삶의 전 과정에서 신앙고백과 성경의 가르침에 따른 실천을 지속해야 할 과제를 명확히 제시한다. 칼빈의 이러한 세례예식의 실천은 신앙과 삶의 형성을 위한목회적 구현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1) 초대교회의 신앙입문교육 과정을개혁주의적으로 전환 수용했고, (2) 세례 의례가 축소된 의식을 넘어서서 삶 전체와 연결된 경건의 원리를 제공하며, (3) 교회와 가정 사이의 유기적 관계를 통한 신앙 형성의 과제를 강조한다. 이와 같이, 칼빈의 ‘제네바 세례예식서’는 오늘날 개혁주의 전통에 선 교회들로 하여금 세례가 신앙과 삶의 형성을 위한 중요한 위치에있다는 것을 재확신시켜 주고, 그것을 공동체와 가정의 지속적인 책임과 과제로 수용해서 노력을 지속해야 할 방향을 제시해준다. This article attempts to figure out practical and pastoral lessons of baptism for contemporary Reformed churches by exploring the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Calvin’s ‘Form for Administering Baptism(1542)’. While acknowledging the contributions of biblical and systematic research on baptism, this article seeks to explore the pastoral and liturgical meanings of Calvin’s baptismal ministry in Geneva. Calvin’s baptismal rite has plentiful meanings for contemporary Reformed churches beyond simple stage of preparing for the Lord’s Table and legal registration of name for social status. Calvin sought to renew the baptismal rite as pivotal process of Christian initiation according to the teaching and practices of the early churches. Likewise, Calvin also emphasized God’s grace in baptism based on the covenantal theology as a way of arguing against the attack of the Anabaptists. The Genevan baptismal rite is composed of three main parts: explaining the meanings of baptism, baptismal prayer, and assigning the baptized and parents the life and faith formation appropriate to the teaching of baptism. By this baptismal ministry, Calvin intended to distill pastoral intention of baptism for faith and life formation: (1) Reformed modification of baptismal pedagogy based on the practices of early churches, (2) emphasis of godliness as an integration between baptismal rite and life, and (3)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family in relation to forming the faith and life of the baptized. In this regard, Calvin’s Genevan baptismal rite reaffirms the significance of faith and life formation of baptism for contemporary Reformed churches as strong foundation, principle, and direction of ongoing pastoral ministry.

      • KCI등재후보

        위-디오니시우스(Pseudo-Dionysius)와 비교해 본칼빈의 신비주의 사상

        주종훈 ( Jong Hun Joo ) 개혁신학회 2013 개혁논총 Vol.25 No.-

        개혁주의 신학에서 신비주의 내지는 신비주의 신학은 중요한 주제로 연구되지 않았다. 이런 배경속에서, 개혁주의 신학의 토대를 구축한 칼빈을 신비주의적 관점이나 신비주의 신학의 방법론을 통해서 해석하려는 노력도 그리 많지 않았다. 칼빈을 신비주의자로 간주하거나 그런 주장을 지지할 수는 없지만, 그의 사상에 나타난 신비주의적 측면을 부인할수는 없다. 이성이 주도하는 근대 신학의 관점에서 신비주의는 부정적인 측면에서 간관되어 왔으나, 신비주의의 핵심을 하나님의 임재 경험으로 간주할 때, 신비주의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가치있다. 동시에, 칼빈의 저술에 담긴 신비주의적 측면을 새롭게 드러내고, 재조명하는 것은 현대 개혁주의 교회가 교회의 제도뿐 아니라 일상에서 지속적으로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도록 이끌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고 가치있는 연구이다. 이 글은 칼빈을 신비주의자로 주장하기 위한 시도를 하지 않는다. 오히려, 신비주의 신학적 방법론을 활용해서, 칼빈의 사상에 나타난 신비주의적 요소와 특징을 정확히 규명한다. 동시에, 칼빈의 신비주의적 사상이 지금까지 알려진 사색적이고 사변적 전통적인 신비주의와 분명히 다르다는 것을 입증한다. 특별히 신비주의의 체계를 구축한 디오니시우스의 신비주의 사상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칼빈에게 나타난 신비주의적 사상의 특징이 어떤 점에서 개혁주 의적 독특성을 지니는지를 밝힌다. 칼빈은 이전의 신비주의전통을 따라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연합을 중심 주제로 받아들인다. 그는 때로 비평적이고 부정적으로 전통적인 신비주의 사상의 사변적이고, 우주적인 신인 연합방식에 대해서 공격하지만, 동방교회와 서방교회의 신비주의 체계와 전통을 완전히 파괴하지 않았다. 오히려, 하나님과 인간의 연합을 신학의 중심 주제로 이어 발전시켰으며, 사변적인 연합이 아닌, 성령을 통한 삼위 하나님의 주권적 일하심에 참여하는 신인연합을 주장함으로써, 개혁주의적 신비주의 사상을 구축시켰다. 이로써, 칼빈의 사상을 계승하는 개혁주의는 하나님과 인간의 거룩한 만남과 연합이라는 신비주의 사상의 핵심 주제를 예배와 일상에서 가장 중요한 원리로 실천해나간다. In Reformed academic circle, mysticism or mystical theology has not been a major research area. So, there are not many who attempted to interpret Calvin, a forerunner of Reformed theology, in light of mystical theology. However, although we could not regard Calvin as mystic, it is certain that there are mystical aspects in Calvin`s thought. So, it is necessary and even significant to probe the mystical thought in Calvin`s writings in order for Reformed tradition to keep practicing the divine presence in the liturgy as well as daily life. This article does not attempt to argue that Calvin was a mystic. Rather, with help of the methodology of mystical theology, it strives to prove that Calvin`s thought could be interpreted as a strand of mystical tradition. At the same time, this article tries to prove that Calvin`s mystical thoughts are distinctive by arguing that his mystical thought is not like the traditional speculative emysticism such as Pseudo-Dionysius. Calvin has the same goal and structure of mystical experience as previous mystical tradition: union with God and a hierarchical structure between human and God. Although he had critical and even negative perspectives on traditional mystical thoughts, Calvin did not deconstruct the previous Eastern and medieval Western paradigm of mystical tradition. Rather, being influenced by mystical tradition, Calvin responds to the mystical theology or mysticism by developing his own mystical theology rooted in the experience of the Triune God. For Calvin, the Holy Spirit is crucial in bonding humans and God as a Reformed distinctive aspect of mystical experience.

      • KCI등재후보

        John Calvin on the Word in Worship

        Joo, Jong-Hun(주종훈) 개혁신학회 2009 개혁논총 Vol.12 No.-

        이 논문의 목적은 칼빈의 말씀 사역을 예배의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말씀 중심의 사역은 칼빈의 종교 개혁 활동 가운데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성경과 관련한 칼빈의 종교 개혁은 대략 두 가지 방향에 집중해왔다. 하나는 성경 해석과 전달과 관련한 것으로, 이 입장은 칼빈을 종교개혁이후 성경 해석의 토대를 구축한 신학자로 평가하고, 그의 설교사역에 연구를 집중한다. 다른 한 가지는 중세의 성찬 중심의 의식에 빠져있는 말씀의 의미와 역할을 다시 재 발견하는 입장이다. 이 입장은 그리스도의 임재와 관련한 성찬에서 말씀이 없으면 그 자체로 단순한 신비의 의식일 뿐이라고 비판하면서, 말씀을 통한 그리스도의 임재를 다시 강조한다. 이 두 가지 입장의 기여는 하나님 말씀으로서의 성경의 권위를 다시금 강조하고, 그것이 기독교 신앙형성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와 역할을 한다는 것을 부각시킨 것이다. 그런데, 하나님의 말씀은 기독교 공동체의 모임 즉 예배의 형식을 갖춘 의식 안에서 그 의미와 역할을 드러낸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설교와 성찬은 모두 예배의 의식 안에 담긴 요소들이다. 따라서 칼빈의 성경 중심의 개혁 활동은 그의 예배 사역안에서 고찰할 때 더욱 분명한 의미를 발견하게 된다. 이 논문은 칼빈이 예배 안에서 말씀 사역을 어떻게 이해하고 실천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개혁주의 전통의 중요한 말씀 사역의 특징과 원리를 발견한다. 칼빈은 예배 안에서 매일 연속적 성경 읽기와 연구를 통해 개혁주의 영성의 토대를 구축했다. 특별히 칼빈에게 있어서 예배는 기독교 영성의 토대와 기본 방식인데, 그 안에서 성경을 읽고, 성경을 노래하고, 그리고 성경을 설교하는 기본 방식을 통해, 개혁주의 영성을 촉진시켰다. 이 논문은 칼빈의 말씀 사역을 예배의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개혁주의 영성에서 예배와 말씀 사이의 상호 관계를 더욱 깊이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Worship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unctions of church existence. Liturgy has a key function in Calvin's Reformation of the Church. This paper will examine Calvin's ministry of the Word in worship.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various readings and uses of the Word in worship. First, I will explore Calvin's piety in relation to the intention, principle, and theological conviction which permeate his Word ministry. And then, with the help of a conception of Calvin's Christian piety, I will organize his Word ministry by integrating it into its original worship settings.

      • KCI등재후보

        셜리 거스리의 개혁주의 성례신학에 대한 비평적 이해

        주종훈 ( Joo Jong Hun ) 개혁신학회 2018 개혁논총 Vol.47 No.-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는 방식과 성례는 예전신학에서 핵심주제들이다. 개혁주의 신학 역시 정확한 예배학의 용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는 방식, 의미, 그리고 그것이 지닌 함의들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연구해왔다. 이 글은 셜리 거스리가 현대의 개혁주의자로서 어떻게 하나님의 임재 방식과 성례에 대해서 칼빈의 사상을 이어 발전시켰는지 구체적으로 해석, 평가한다. 거스리는 특별히 오늘날 다원주의 사회에서 참된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고 추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개혁주의적 입장을 구체화하고 발전시켰다. 특히 그는 세상과 일상에서의 하나님의 임재와 일하심을 강조한다. 동시에, 교회 공동체 안에서의 성례 참여라는 기본적인 개혁주의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하나님의 임재 경험에서 삼위 하나님의 이해와 참여를 구체화하고 성령의 역사를 강조한다. 이 글은 좀더 나아가 하나님의 임재 방식과 성례에 대한 거스리의 입장을 좀더 개혁주의적 입장에서 분석하고 평가한다. 그의 입장은 개혁주의자들에게 현대의 세속주의와 다원주의 사회 속에서 성령의 사역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해준다. 하지만, 하나님의 임재 방식에 대한 그의 개혁주의적 입장은 종교 다원주의의 위험에 빠져들수도 있고, 성례를 통한 교회 공동체 중심의 하나님의 임재 방식에 대한 의미를 약화시킬 위험도 있다. 아울러, 거스리는 하나님의 임재가 교회 공동체뿐만 아니라, 세상에서도 선명하게 확증할 수 있다는 논지를 제시한 후에 어떤 방식에 의해 구체적으로 경험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자세히 발전시키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거스리는 예배와 삶에서 하나님과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방식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지만, 복잡해보이는 세속주의와 다원주의의 현실에서도 하나님의 임재가 분명하고, 교회 성례와 함께 일상에서도 하나님의 임재와 일하심을 추구하는 것이 칼빈의 사상을 이어가는 개혁주의 입장임을 따른다. Sacramentality and the sacraments are key issues of liturgical theology. Reformed theology has been attempting to develop modes,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human encountering God although sacramentality as a liturgical taxonomy is not preferred to use. This work attempts to explore Shirley Guthrie’s Reformed view of sacramentality and the sacraments as a contemporary voice following John Calvin. Guthrie articulates and develops a Reformed understanding of sacramentality by emphasizing human encountering God in the pluralistic society. He argues his sacramental position by extending the presence of God in the world. At the same time, he points out the trinitarian structure of encountering God by articulating the specific role of the Spirit along with holding Reformed position of the sacraments (the baptism and the Lord’ Supper) in ecclesiastical gatherings. This work also critically analyzes and evaluates Guthrie’s Reformed view of sacramentality and the sacraments. His view is helpful for Reformed Christians to be faced with contemporary secular and pluralistic society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ministry of the Spirit. However, his Reformed view of sacramentality may be assimilated to religious pluralism and lose the central function of the tradition and authentic forms of the sacraments. In addition to this, Guthrie does not articulate concrete ways of encountering God in detail after affirming the presence and acts of God in the world as well as in the ecclesiastical gathering. In sum, even though he does not articulate specific ways of encountering God in human life and worship service, Guthrie successfully follows Calvin in sacramentality and the sacraments by clearly affirming the presence and acts of God both in the service of worship and in the world.

      • KCI등재후보

        Calvin on the Sacramental Union with God

        주종훈(Joo Jong Hun) 한국개혁신학회 2015 개혁논총 Vol.36 No.-

        이 글은 칼빈의 성례 신학(sacramental theology)을 개혁주의 신학의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밝힌다. 성례 신학은 성례성(sacramentality)과 성례들(sacraments)의 구체적인 의미와 그것이 함축하는 것들을 다룬다. 개혁주의 신학은 하나님의 임재를 의식에서뿐만 아니라 일상의 삶에서 경험하는 신앙의 과제로 제시한다. 이러한 성례신학의 폭넓은 관점을 지닌 개혁주의 신학은 예배학의 핵심 주제인 성례신학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특별히 하나님의 임재 경험과 그 방식과 관련해서 개혁주의 신학은 네 가지 특징을 지닌다. 그것은 곧 하나님의 자기화해(accommodation), 언약 사상에 근거한 연합, 성령의 위치와 역할에 대한 강조, 그리고 교회의 표지에 대한 사도적 연결성이다. 하나님의 임재 경험과 관련한 이 네 가지 개혁주의신학의 특징은 칼빈의 성례신학을 이해하는 해석의 틀을 제공한다. 칼빈은 자신의 문헌과 실천을 통해서 하나님의 임재 경험과 그 방식에 대한 이러한 네 가지 개혁주의 신학의 측면을 발전시켰다. 특별히 칼빈은 하나님의 임재를 의식으로서의 예배에서뿐만 아니라 삶의 자리에서도 경험하는 확대된 이해를 구체화시켰다. 곧, 칼빈은 하나님의 주도권, 언약, 성령, 그리고 교회의 사도적 연속성에 근거한 자신의 신학적 확신을 따라 성례성과 성례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켰다. 오늘날 칼빈과 개혁주의 전통을 따르는 한국의 개혁주의 기독교가 지닌 성례신학의 과제는 성례 의식뿐만 아니라 일상의 삶에서도 지속적으로 하나님의 임재를 이해하고 실천하는 방식을 지속하는 것이다. Sacramental theology deals with the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sacramentality and sacraments. Liturgical theologians in each denomination have been arguing the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sacramentality and sacraments. Human encountering the presence of God as the core theme of sacramental theology has been also a key theological discipline in the Reformed theology. The Reformed theology emphasizes human encountering the divine presence mainly through the Word; but it has not much explored the meanings and specific ways of experiencing God from holistic perspective. This paper attempts to figure out the Reformed thought of encountering God’s presence by exploring Calvin’s understanding on the sacramental union with God. First, this paper articulates hermeneutical frames of the Reformed understanding on the presence of God: God’s accommodation, Union with God based on the covenant, significant place and role of the Holy Spirit, and Apostolic connection (sacraments as the signs of the church). Second, with an interpretative frame of the sacramentality in the Reformed tradition, this paper explores Calvin’s understanding of the presence and the acts of God in both ordinary life and liturgical activities. This section argues that Calvin developed the Reformed thought of sacramentality and sacraments based on his theological conviction of God’s sovereignty, covenantal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beings, active working of the Holy Spirit, and apostolic signs of the Church. Lastly, this paper briefly suggests how the Korean Reformed Christianity could develop and articulate the contemporary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in the sacramental rites and ordinary life.

      • 4세기 예루살렘교회 예배와 뉴노멀 시대의 예배 갱신

        주종훈(Jong Hun Joo) 신학지남사 2021 신학지남 Vol.88 No.2

        기독교 예배 갱신은 교회의 지속적인 개혁 원리에 따라 오늘날 뉴노멀의 상황에서도 여전히 요구되는 과제이다. 예배 갱신과 관련한 개혁주의 교회들의 과제는 “뉴노멀 시대의 변화된 상황에서 성경에 기반을 둔 그리스도 중심의 예배를 어떻게 지속할 것인가?”에 대한 답변을 제시하는 것과 관련한다. 이 글의 목적은 뉴노멀의 상황에서 성경적 가르침에 충실한 예배를 지속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목회적 과제와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4세기 후반 예루살렘교회의 예배 실천을 오늘날 뉴노멀 시대와 연결하고 적절한 실천 과제를 제시하는데 집중한다. 4세기 후반 예루살렘교회의 예배는 핍박 이후 다양한 예배자들로 인한 새로운 긴장과 갈등을 직면하고, 새로운 공간 경험을 수용하고, 예배 구조와 구성요소들의 고정된 발전을 요구하는 상황에 있었다. 이것은 오늘날 뉴노멀의 예배 환경에서 주어지는 새로운 연결성에 의한 긴장과 대립, 공간 경험의 변화, 그리고 예배구성요소들의 성경적 실천을 요구하는 상황과 연결된다. 우선, 4세기 후반 예루살렘교회의 예배는 다양한 순례객들을 위한 예배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예배 참여의 취약 계층인 어린이와 노인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으로서 환대를 제시하는데 주력했다. 그리고 예배 실천의 적실성을 예배자들이 아니라 그리스도를 기준으로 삼아 구현하려 했다. 이와 함께 성경적 예배의 구성을 강화하면서 그리스도 중심의 구원 사역을 성경 읽기와 기도를 통해서 제시하고 예배자들의 전인적이고 적극적인 참여와 반응을 강화시켰다. 뉴노멀의 시대는 예배의 구조와 실천 방식에 대한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예배 공동체의 전체 모임을 어렵게 하는 제한이 주어지고 디지털 방식에 의한 실천이 새로운 도전과 환경으로 주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서로 다른 세대와 문화에 속한 예배자들을 수용하고 연합할 수 있는 목회적 돌봄으로서 환대를 제시하고, 그리스도 중심의 시간을 따라 고정된 리듬으로 예배실천을 지속하며, 성경 읽기와 기도를 통해 그리스도의 구원을 전인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방식은 뉴노멀 시대에 여전히 가능하고 실제적인 예배 갱신과 실천의 방향이 될 수 있다. Christian worship renewal is an essential ministry of the Church even in the New Normal. A liturgical task of the Reformed churches in relation to worship renewal is tied to the question as to how the church should sustain the Christ-centered worship according to the Bible in the challenging times of new normal. This short article attempts to propose the task and direction of worship appropriate to the biblical teachings and Reformed confessions of faith in the new context of ministry by delving into the practices of worship in the fourth-century Jerusalem. This article assumes that there are deep connections between worship in the fourth-century Jerusalem and worship in the contemporary new normal in that both embrace conflict and tension due to many different worshipers around the world, new experiences of worship space, and necessity of developing stable structure and components of worship. First and foremost, in the fourth-century Jerusalem worshipers endeavored to include diversity of worshipers around the world and tried to provide them with hospitality through multilingual worship and special care for the weak. Second, in the new challenging situation, worship in the fourth-century Jerusalem attempted to develop worship relevant not to people but to time. Third, they articulated the ways of using the Bible in worship by distinctively practicing the reading the Scriptures and prayers, which led the worshipers to full and active participation with enthusiasm. Contemporary Reformed worshipers facing the new normal are also embracing the disruption of worship by loosing the structure and direction of liturgy. In particular, the whole worshiping community of each local and parish church could not gather together and should accept the challenges of using the medial technology in the pratices of worship. In this liturgical context of new normal Reformed worship could maintain the Reformed identity by (1) accepting different generations, people, and cultures into the community of worship as a way of hospitality, (2) formulating the rhythm of time based on the life and ministry of Christ for worship, and (3) practicing the Biblical worship by composing the reading the Scriptures as distinct part of worship and allowing the worshipers to respond to the redemptive ministry of God through Christ with enthusiasm.

      • 공예배 시작의 개혁주의적 의례 구성과 실천

        주종훈(Jong Hun Joo) 신학지남사 2023 신학지남 Vol.90 No.3

        기독교 공예배 실천의 목회적 과제 가운데 하나는 처음 시작 부분에 대한 의례 구성과 관련한다. 공예배 시작 부분의 의례 구성을 위한 목회적 과제는 하나님의 초청과 예배자들의 반응을 위한 언어와 행위를 의례적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 글은 하나님과 예배자들 사이의 관계 방식을 구체화하는 공예배의 시작 곧 첫 부분의 의례에 대한 개혁주의적 이해와 실천을 제시한다. 개혁주의 전통은 공예배의 시작 의례에 주어진 다양한 실천을 수용하면서도 동시에 성경의 가르침에 따른 원리를 받아들여 구체적으로 회중들을 하나님의 초청과 환대에 반응하는 목회적 책임과 역할을 강조한다. 개혁주의 전통에 따르면, 공예배 시작 부분의 의례는 ‘예배로의 초청’, ‘죄의 고백과 용서의 간구’, ‘조명 기도’라는 핵심 구성 요소를 강조한다. 공예배의 시작 부분에 해당하는 의례 구성요소의 개혁주의적 실천 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배 초청의 주체이신 하나님을 명확히 제시하고, 예배의 시작을 공적으로 선언하며, 기원한다. 둘째, 예배자로서 하나님 앞에 선 인간의 연약함과 죄를 공동체 안에서 공동체와 함께 고백하고 하나님의 용서를 구하는 기도를 포함한다. 셋째, 진리의 말씀을 오직 성령의 도우심을 통해서 깨닫고 더욱 알아갈 수 있도록 구하는 조명 기도를 포함한다. 이러한 개혁주의 예배 시작 의례의 구성 요소들에 대한 직접적인 실천은 성경의 규정 원리에 따라 성경의 언어를 직접 사용하거나, 성경의 가르침에 부합한 언어를 목회적 자율성에 따라 구체화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현재 공예배의 시작 의례에 포함하고 있는 다른 요소들 곧 묵도, 성시 교독, 시편 낭독, 찬송 등은 하나님의 초청에 반응하는 예배자들의 참여를 위해서 목회적 판단에 의해 지혜롭게 구성해서 실천할 수 있다. One of the pastoral tasks for leading Christian public worship practice involves the composition of the ritual for the beginning known as ‘the service of gathering’. The pastoral task for the ritual construction of the beginning of the service is to ritualize the language and actions implying for God’s invitation and the response of the worshipers. This short article attempts to present a Reformed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the service of gathering; how to begin with public worship as an embodiment of the way God relates to worshipers. The Reformed tradition embraces the various practices given in the beginning rite of public worship by emphasizing the pastoral responsibility and role of specifically leading the congregation to God’s invitation and hospitality. According to the Reformed tradition, the ritual at the beginning of the service emphasizes the key components of “call to worship,” “confession of sins and supplication for forgiveness,” and “illumination prayer.” The principles of the Reformed practice of the ritual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beginning of the service are as follows: First, it clearly presents God as the subject of the invitation to worship, publicly declares call to worship, and includes ‘invocation.’ Second, it includes confession of sins before God as worshipers in community and praying for God’s forgiveness. Third, it includes the prayer of illumination that seeks to understand the Word of God (reading and preaching the Word) only with the help of the Holy Spirit. When it comes to languages in the service of gathering, pastors can articulate and cultivate them either by using the language from the Bible or by mod ifying it based on the Bible. In addition, the other elements relating to the beginning of the worship, such as the prelude, the reading of the Psalms, and the singing of hymns, can be wisely organized and practiced by pastoral discernment for active participation of worshipers in response to God’s invi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