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성향점수분석 방법을 활용한 Head Start 프로그램의 장기적 소득증대 효과 분석

        주은수 ( Eun Su Ju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5 사회복지정책 Vol.4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Head Start의 장기적 소득증대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저소득 가정 아동에 대한 조기개입의 중요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미국의 Head Start는 빈곤과의 전쟁 시기에 빈곤의 대물림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된 프로그램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한 연구들은 대부분 인지발달과 학업 성취에 대한 중단기 효과를 검토하는데 집중되어 왔다. 이렇듯, Head Start 연구에서 장기적인 소득 증대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못했던 것은 방법론적인 한계에 기인한 측면이 많았는데, 본 연구는 성향점수분석(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을 활용하여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오랫동안 연구의 사각지대로 남아 있던 Head Start의 장기효과, 특히 성인기의 교육 및 소득증대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로는 미국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PSID)의 1970년 부터 2005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최종분석에는 19세~35세인 성인 남녀 1,765명이 포함되었으며, Head Start 참여 여부에 따라 4개의 집단으로 나눈 뒤, 성향점수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각 집단의 교육 및 경제적 성취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년 이상 Head Start에 참여한 아동의 경우, 아무런 프로그램에도 참여하지 않은 아동에 비해 높은 교육 성취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증대 효과와 관련해서는 Head Start 참여가 성인기 소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하지만, 높은 교육 성취를 통한 간접적인 소득 증대 효과는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자는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빈곤 감소를 위한 아동 정책의 중요성 및 미국의 Head Start가 우리나라의 빈곤정책 및 아동복지정책에 시사하는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Head Start program was introduced in 1965 to break down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poverty by a comprehensive preschool program for low income children and their families. Since then, a number of studies have examined the impact of the program, but its long-term effects has seldom been explore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ong-term effects of the program on adulthood educational attainment and economic status. For the analysis,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 (PSID) from 1970 to 2005. With the data of 1,765 young adults(aged 19 to 35 in 2005), this study employed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analysis to minimize differences between Head Start children and ot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Head Start provided sizeable gains to its participants when it comes to educational attainment if they attended the program at least one year. Although no direct effects were found on economic status(personal earnings and family income to poverty ratio), indirect effects were confirmed through educational attainment. Although some studies have questioned the long-term effects of Head Start participa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Head Start had provided long lasting effects to its participants on their adulthood educational attainment and economic statu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implications to Korean welfare polic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친환경무상급식 추진과정에 대한 연구 : 울산광역시 북구 사례를 중심으로

        주은수(Eun Su Ju)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3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3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울산 북구청의 친환경무상급식 추진사례를 통해, 제도의 도입 및 전개 과정에 영향을 미친 핵심 요인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것이 사회복지학계와 실천현장에 어떠한 함의를 제공하는지 논의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제도의 도입과정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한 단체에서 발간한 자료와 신문/방송의 보도자료 등 문헌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부족한 정보는 주 요 행위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보완하였다. 분석틀로는 Stone(1989)의 레짐정치이론과 Kingdon(2003)의 정책흐름모형에 착안하여, 무상급식추진과정에 영향을 미친 주요 행위자들의 관계를 문제와 정치, 대안의 세 흐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울산 북구의 친환경무상급식은 친환경급식에 관한 조례제정, 직영급식으로의 전환, 친환경무상급식 도입, 급식지원센터 설립을 통한 민관협력 공급체계 확립 등 몇 가지 의제들이 연속적으로 제기되고 달성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구체화되었다. 내용적으로는 제도 도입 의지가 높은 구청장이 제도 도입에 우호적인 정치·사회적 환경 속에서 전문성을 갖춘 시민사회 활동가와의 공식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제도 도입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분석내용을 토대로 울산 북구의 사례가 사회복지실천 현장과 학계에 제기하는 정책적·실천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Recently, social welfare, which used to be treated as a minor issue, becomes a major player in social and political playground in Korea. One of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that bring this change is the debate over the execution of Free School Lunch Program(FSLP) for all children regardless of their family income. After the debate, a number of city began to adopt the program, and Buk-gu, Ulsan becomes the first city that has a government operating school lunch support center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ignificant factors which brought about FSLP in Buk-gu from the analysis of the policy process and to discuss the implication of the case study to social welfare research and practice. By employing Stone’s regime theory and Kingdon’s policy stream framework,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of key actors in problem, policy, and politics streams.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brought about the FSLP in Buk-gu, Ulsan, was the fact that the head of Buk-gu formed a regime successfully with a community activist who has a specialty in FSLP.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성인돌봄의 지역간 편차 분석 :

        주은수(Eun su Ju),김진욱(Jim Wook Ki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5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4 No.-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기초자치단체의 성인 돌봄(노인 및 장애인) 현황을 보여줄 수 있는 기본적인 지표를 구축・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각 지역의 욕구와 그에 대한 대응 수준을 종합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지수를 개발하는 것이다. 나아가, 개발된 지수를 활용하여 돌봄서비스의 지역간 편차가 얼마나 심각한지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성인돌봄서비스는 그 대상과 내용이 매우 방대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성인 돌봄 서비스 중 규모가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는 노인장기요양서비스와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로 연구의 범위를 제한하였다. 지수(성인돌봄상대현황지수)는 1인당 지출액과 100명당 서비스 제공인력의 수를 고려하여 표준화된 값으로 개발하였고, 지역간 욕구 수준의 편차를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을 포함하여 영향 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자료는 통계청과 건강보험관리공단, 보건복지정보개발원이 확보하고 있는 자료 중 본 연구와 관련 있는 자료를 선택적으로 활용하였으며, 모든 자료는 보건복지부를 통해 제공받았다. 분석 결과, 성인돌봄서비스의 제공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수준의 지역간 편차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욕구수준이 높을수록 돌봄지수가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장기요양서비스와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서비스 배분과 관련한 형평성에 문제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문제를 완화할 수 있는 성인돌봄서비스체계의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gional disparity on adult care services in Korean. As the autonomy of local government augments, the diversity of social service has expanded, and it results in increased regional disparities on care services. However, few studies explore the differences, for it is not easy to measure the condition of adult ca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Relative Adult Care Index(RACI) and to analyze the regional disparities on adult care with the index. Since the area of social service is extensive, this study limits the subject to two major adult care services in Korea: Long-term Care for the Aged and Personal Assistance Service for the Disabled(PAS). To make a standardized adult care index, both per capita expenditure and the supply of caring specialist are considered.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also included in the analysis to adjust the demand-side differences by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rom the analysis using the proposed index, this study confirms the existence of regional disparity. The regions with higher needs tend to spend less money on care services and to have less specialists. However,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to the RACI scores are not identical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e authors suggest policies to minimize regional disparities on adult care.

      • KCI등재

        취약계층의 경제적 자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엄태영(Um, Tae Young),주은수(Ju, Eun Su)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목적은 취약계층의 경제적 자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취약계층 자립지원 사업이라고 할 수 있는 희망리본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경제적 자활 실태 및 영향 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중앙자활센터에 구축된 전산자료 중 2014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전국의 희망리본사업 참여자 13,436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경제적 자활여부는 희망리본사업 참여 이후의 취업·창업 경험을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하였으며,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취업지원서비스 이용경험을 투입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참여자의 성별과 나이, 수급형태와 질병, 학력, 자격증, 희망리본사업 참여 이전의 근로경험 등이 취업·창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취업지원서비스 이용경험이 많을수록 취업·창업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하지만, 교육훈련 서비스 이용은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희망리본사업이 참여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관련된 자활저해 요인을 완화하는데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정책 운영 시 고려할 사항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eterminants of economic self-sufficiency among vulnerable workers, specifically the participants of Hope Re-born project. We uses the data collected and compiled by the Central Self-Sufficiency Foundation, because the data include informations of the project related activities of all the project participants. Their background information is also available in the data. Among the several years of data, 2014 data in which 13,436 participants are included is used for the analysis. Economic self-sufficiency of the participants is measured by whether they had at least one experience of employment or opening a small business since they had enrolled in the project. Using this dichotomous 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s executed with the variables of socio-economic status and service usage. According to the results, socio-economic status matters as found in the previous research: gender, age, types of welfare recipiency, existence of chronic disease, license, and previous work experience are siginificantly associated to the outcome. Also, participants who received more services are more likely to succeed in the labor market. However, education and training are linked to the negative effect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빈곤청소년의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진로장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엄태영 ( Um Tae-young ),박은하 ( Park Eun-ha ),주은수 ( Ju Eunsu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保健社會硏究 Vol.31 No.3

        입시 위주의 교육 시스템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은 높은 학업 성취 수준에도 불구하고 낮은 진로결정 수준을 보이고 있다. 높은 진로결정 수준은 안정적인 노동시장 진입과 높은 직업 만족도로 이어져 미래의 복지 수준에 대한 중요한 결정요인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고 단편적인 것이 현실이다. 특히 교육 영역에서 다 양한 소외를 당하고 있는 빈곤계층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 진로결정 관련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아 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빈곤청소년의 진로결정 수준 에 미치는 영향을 진로장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에는 전국의 청소년자활지원관 28개소에서 청소년 827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가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진로장벽 정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장벽 정도가 낮을수록 진로결정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로 장벽 요인은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수준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같은 결과에 비추어 보았을 때, 빈곤청소년의 진로결정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진로 장벽 요인을 완화할 수 있는 실천적 ·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Due to the exam-driven education system in Korea, adolescents show lower level of career decision making while their educational achievement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ir counterparts in other countries. Higher career decision level is a key determinant of future well-being because it is associated with well-paying jobs and higher job-satisfaction. However, research in this area is quite limited and fragmented.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s of career-barriers which link the influence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to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making among adolescents in low-income families. Data was gathered from 827 teenagers enrolled in programs in 28 self-sufficiency promotion agencies in Korea. Results show that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a level of career barrier, and a level of career barrier is inversely correlated with a career decision level. Also, career-barrier is found to be a perfect mediator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making. To enhance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making of low income adolescents, authors suggest solu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which can minimize career barri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