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경숙 글쓰기에 나타난 ‘순전한 이기심’의 양상

        조회경(Cho, Hoei Kyung) 우리문학회 2015 우리文學硏究 Vol.0 No.48

        이 글에서는 『풍금이 있던 자리』 의 ‘그 여자’가 1990년대 신경숙 소설 세계를 견인하는 예술성을 표상한다는 전제 하에, 『외딴 방』,『멀리,끝없는 길 위에』 에 나타나는 ‘그 여자’의 변형 양상을 검토하여, 1990년대 신경숙 소설의 기원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신경숙의 유년, 십대, 30대에 걸쳐 형성된 작가의식의 핵심에는 강한 ‘자아보존본능’이 자리함을 확인하였다. 신경숙의 내성적 주인공들이 지니는 ‘다른 삶을 사는, 특별한 존재가 되고 싶다’는 간절한 욕망은 주목할 만하다. 아버지의 ‘그 여자’는 ‘나’의 ‘남다르고 싶다는 꿈’을 최초로 알아봐 준 ‘새어머니’이다. ‘나’는 목숨을 걸고, 사라진 ‘그 여자’의 영토인 외딴방 으로 나온다. ‘그 여자’는 신경숙 소설의 기원이라 할 수 있다. 외딴 방 의 ‘희재언니’는 ‘그 여자’의 이면이다. ‘희재언니’는 ‘나’에게 ‘구더기가 들끓는 뭉개진 얼굴’을 보여주고, ‘나’를 생의 낭떠러지로 밀어낸 ‘악마’이다. 신경숙은 ‘희재언니’의 주검을 통과하고서야, 돌이킬 수 없는 운명의 길, ‘글쓰기 귀신’의 길로 들어선다. 『멀리, 끝없는 길 위에』 에서 작가는 자신의 분신이라 할 ‘이숙’의 나르시시즘에 내재하는 지배욕망을 조명한다. ‘그 여자’ 에게서 촉발된 신경숙의 글쓰기는 ‘이숙’에 이르러 그 이면에 자리한 불길함을 응시한다. 죽은 자의 무덤을 만드는, 살아남은 자들의 형상은 처참하다. 이는 신경숙의 소설세계를 떠받치는 또 하나의 견고한 세계가 ‘영원히 나를 버리지 않을 내 피붙이들의 숨소리’에 뿌리내리고 있음과 연관된다. 신경숙 문학의 애도와 위로는 살아남은 자를 향한 것이다. In the 1990s, Shin Kyung-sook won wide recognition for three works in particular: A Lone Room, Away, on the Endless Road, and The Place Where the Harmonium Was. Reading these stories in accordance with the age of the speaker, I found a self-preservation instinct is apparent at the heart of Shin’s experiences, which takes root in her childhood and lasts throughout her teen years and beyond. In the stories, the introverted protagonists all yearn to become a better me and escape from reality. In The Place Where the Harmonium Was, it is “that woman”, with whom her father falls in love, who first gives her recognition. With “that woman” so deeply imprinted upon her, the speaker moves out to A Lone Room to find “that woman” in her. Reading the stories, I could see Shin began writing purely for her selfishness, to satisfy a longing for a world that she did not know. In Shin’s works, “that woman” is everywhere; Heejae, from A Lone Room, is another version of “that woman”, where Shin, the speaker of personal experiences, faces Heejae’s dead body with maggots. After finally facing the death, Shin finally found her way as a true novelist, as she realized her dream of becoming like “that woman” through her writing. In Away, on the Endless Road, Shin depicts a ruling desire in Lee Sook’s self-preservation instinct. In describing a regressive character like Lee Sook, who is obsessed with making personal connections with others, Shin expresses a complicated sense of sympathy and betrayal. While lamenting the death of Heejae and Lee Sook, Shin persistently asks them why they made such a decision. In doing so, Shin alludes to her focus on an ominous sense for Lee Sook’s self-preservation instinct. Those who are left behind and must let go of the deceased feel devastated. This mirrors Shin’s world, which is deeply rooted in her living family who will never abandon her. The consolation present in Shin’s works exists to assist those who must move on.

      • KCI등재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 다시 읽기

        조회경(Cho, Hoei-Kyung) 우리문학회 2016 우리文學硏究 Vol.0 No.52

        이 글은 『엄마를 부탁해』의 ‘엄마’가 보여주는 ‘전근대적 인간상’의 면모를 ‘통과의례’의 틀에서 읽음으로써, 신경숙 소설이 추구해온 ‘육친적 친밀성’의 심층적 의미를 천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반 게넵이 제시한 ‘통과의례도식’과 엘리아데의 ‘성(聖)과 속(俗)’ 개념 등 종교학의 도움을 받았다. 먼저, ‘엄마’의 ‘종교성’이 발현되는 양상을 검토하였다. 이 글에서는 ‘엄마’의 결혼에 내재하는 ‘신성한 원형’에 주목하였다. 그 결과 ‘엄마’의 결혼생활은 ‘거룩한 세계’에 대한 ‘갈망’을 실현하는 과정임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종교적 인간’인 ‘엄마’의 통과의례 과정이 자각적임을 중시하였다. 엄마는 ‘인생의 위기’를 자각하고, ‘분리 의례’를 준비하는데, 이는 엄마에게 죽음은 끝이아니고, 재생을 위해 넘어야 할 문지방(리멘)이기 때문이다. ‘전이 의례’를 치르는 엄마가 신은 ‘파란 슬리퍼’는 매우 중요한 신화적 상징물로서, ‘엄마됨’의 신표이다. 그것은 자식들의 죄책감을 불러일으키는 데서 나아가, 자식들이 몸담은 일상적이고 현실적인 俗의 세계에서 ‘구분된 세계, 비일상적 세계, 聖의 세계’로 귀환하도록 매개하는 역할을 맡는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비종교적 세계에 속한 자식들은 ‘엄마의 실종’을 생의 기습으로 받아들이지만, ‘종교적 엄마’를 회상하는 ‘전이 의례’를 통해 ‘俗의 시간’에서 벗어나, 인생의 새로운 단계에서 ‘거룩한 비밀’을 배우는 입사식을 치른다. 이 과정에서 그들은 자신의 존재에 대한 ‘종교적인 물음’에 도달한다. 동시에 자식들은 누구나 ‘엄마를 부탁할 수밖에 없다’는 인간의 한계를 정직하게 받아들인다. ‘엄마의 실종 상태’로 끝나는 서사는 미완의 통합을 의미한다. 작가는 이 구멍을 ‘스며듦’의 미학으로 채운다. 에필로그의 ‘피에타像’은 ‘스며듦’의 ‘성현’(hierophany)이다. 이 작품에서 반복 변주되는 ‘피에타상’의 구도는 아름다우나 참혹하다. 『엄마를 부탁해』의 대중적 성공은 ‘죽어서야’ 가까스로 이룰 수 있는 육친적 친밀성의 실체인 ‘스며듦’을 형상화하면서, ‘엄마’는 사라지지 않고 자식들의 삶으로 스며든다는 위로의 메시지를 담았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myth of motherhood’ from a new perspective, taking note of ‘rites of passage’ found in Shin Kyung-sook’s novel ‘Please Look After Mom.’ In doing so, we refer to Arnold van Gennep’s concept of the rite of passage along with teachings of the science of religion, such as M. Eliade’s notion of ‘the sacred and the profane.’ In Shin’s novel, ‘mom’ represents premodern men. According to the categorization by Eliade, ‘mom’ is a ‘religious figure.’ One of the grounds for this argument is ‘the sacred prototype’ innate in mom’s marriage. ‘Mom’ longs for contact with a sacred world within her marriage. In addition, she has a strong desire to meet her newly invented self. During her regeneration, ‘rites of passage’ are critical. ‘Mom’ realizes that she faces ‘a life’s crisis’ and voluntarily prepares for ‘a rite of separation’. To her, death is not an end but a threshold (or limen). Mom is wearing ‘blue slippers’ as she goes through her ‘rite of transition’ and the slippers are a mythical symbol of paramount importance. They are a form of identification of mom, who accepts her weary life with joy. Meanwhile, her family living in the non-religious world sees mom’s ‘separation’ as an ambush. However, even they go through a ‘rite of transition’ as they recollect on ‘religious mom’ and by doing so, break away from ‘the time of the profane.’ Mom’s funeral ritual is akin to an initiation rite through which ‘holy secrets’ can be learned prior to entering a new stage of life. The funeral attendees arrive at a ‘religious question’ about their own existence. At the same time, they modestly accept the limits of human existence which makes it inevitable that they must ‘ask to look after mom.’ The statue of The Pieta that appears in the epilogue is a manifestation of ‘permeation’ that entails a ‘substance of affinity felt by the ties of parent and child.’ As the narrative unfolds in the novel, the composition of The Pieta statue is repeated in various ways, and is depicted as beautiful but cruel. The novel became hugely popular as it portrays the substance of ‘affinity among blood relatives’ that can be only attained in death, and also delivers a message of consolation that despite such truth, ‘mom’ does not disappear but lives on through her children’s lives.

      • KCI등재

        논문 : 박완서의 『한 말씀만 하소서』에 나타난 "신의 흔적"

        조회경 ( Hoei Kyung Cho )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1 문학과종교 Vol.16 No.3

        In this paper, the idea of the ``trace of God`` is discussed through the mediums of death and suffering in Please Say the One Word, by novelist Park Wan-seo. In this collection of diary entries, the author refers to the phenomenology of religion and philosophy. Park shares a commonality with philosopher Emmanuel Levinas in that both struggled through extreme existential agony, while never resorting to theodicy. Park`s work can largely be divided into pre and post-1988, the turning point being the loss of her son. Faced with the unimaginable suffering of losing her only son that year, Park yearned to encounter God face-to-face. She retreated to a solitary room in a convent where she fought with countless difficult questions. It was a heartbreaking time of struggle and self-denial which she faithfully recorded in Please Say the One Word. Throughout this process, God stayed silent. And yet, "I" gradually approached the realm of fundamentality through three unexpected encounters at the convent. One day, "I" came across a nun who carries the bedpan of the patients, with a smile on her face, and "I" am confronted with a basic question of ``why I am here``. "I" transcend ``the limited thinking of a finite being`` and feel the power of God`s calling. However, "I" quickly relapse into the world of doubt and misery. Then "I" meet a young nun and learn how to accept the pain from her. Still, the extreme, unsalvageable suffering persists, and "I" violently resent God. Next, "I" meet a woman who comes to visit her daughter, the nun. And "I" feel terrible humiliation and despair that my suffering provided consolation to the woman. The unbearable suffering forces me to vomit all the food, and as the body regains its peaceful state, a realization comes that my sin was ``through indifference to others``. Then God reveals his presence in my prayers. Park`s journal suggests we can have a relationship with God only through imploring, yearning and praying. According to Levinas, this is the most fundamental form of relationship between a human and God. As a finite being, Park`s suffering and yearning does not vanish. Nevertheless, the fact that we yearn for God imbues the ``trace of God`` with meaning. In the text, the divine epiphany is shown in two expressions: Eat to live, and become what you eat. In the agony of the loss of a son, Park rediscovers what it means to be human as an entity that eats to sustain life. Eating and living are the very mediums that guide us to understand, forgive and accept others. As Park struggles with God in the human world, she finally comes to fully recognize others. Through encounters with others, she reaches divine epiphany gradually and naturally. As if putting together puzzle pieces in a given dimension of time, she vicariously experiences God`s touch and voice. The value of Please Say the One Word can be found in its depiction of epiphany, or trace of God, that creates emotional ripples in its readers` minds.

      • KCI등재

        오정희의 『새』에 나타난 폭력의 양상과 구원의 징후

        조회경(Cho Hoei-kyung) 우리문학회 2009 우리文學硏究 Vol.0 No.27

        This study examined the tragic reality in life and a problem about its recovery shown in Oh Jeong-hee' s literature targeting Oh Jeong-hee' s first feature-length novel 『Bird』. In 『Bird』is revealed the exhausting life in young brother and sister who were abandoned by parents. Oh Jeong-hee shows serious self-reflection on powerful force of helping a human being's spiritual maturity, as well as exploring the origin of violence, which is prevalent in this world through 'juvenile's sight.' As the juvenile character in 『Bird』is a meaning available for concentratedly reproducing devastation in the world, it stands for a human being's elemental situation that can solve a worry about existence oneself even in any situation. In a sense that a father's impulsive violence, which was mirrored in T eyes as a young girl, accidentally occurs, it is essentially same as property in birth, old age, illness, and death. This piece of work is shown that the origin of violence relies on a human being's 'foolishness,' thereby being emphasized that it is not a problem that will be solved by social condition. It belongs to the more elemental anguish. At the same time, 'I,' who am young, stare at the inside of 'fake mothers' who give a help. As a result, even 'fake mothers' are suffering uneasiness unavailable for knowing the origin, thereby realizing that they cannot be expected perfect love. Nevertheless, the importance of 『Bird』 depends on 'voice that is heard to the inside of 'me.' 'I' cure tired soul while remembering 'voice' that is heard faintly with dividing a wasted curtain in the world. A writer suggests that 'invisible powerful force' exists that functions in 'an abyss of life.' The folklore, which is transmitted by grandmothers, is substance of 'invisible powerful force' as well. Oh Jeong-hee aims to seek for a clue that will cure and rescue the impoverished reality through this tradition, That is seen to be related to group unconsciousness. However, Oh Jeong-hee doesn't present easy solution anymore. Aphorism is just transmitted with saying that even one small piece in truth cannot be obtained unless presenting self as an offering of sacrifice, while persistently exploring a dark abyss of life. 오정희는 소설을 통해 부단한 자기성찰과 사색의 서계를 구축해가는 작가이다. 본고에서는 오정희의 첫 장편 소설 『새』에 드러난 세계의 비극적 실상 중 하나인 폭력의 양상과 인간 회복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텍스트로 삼은 『새』에는 ‘보이지 않는 아버지들’과 ‘가짜 어머니들’에 둘러싸인 어린 남매의 고단한 삶이 펼쳐져있다. 오정희는 ‘아이들의 낯선 눈’을 통해 이 세계에 만연된 폭력의 근원을 탐색하는 동시에 그 해결책으로 인간의 의식세계 바깥에서 생겨나 인간의 영적 성숙을 돕는 강력한 힘의 존재를 희미하게나마 보여주고자 한다. 『새』의 유년 인물은 세계의 황폐함을 응축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의미체로서, 어떤 상황에서도 존재의 불안을 스스로 해소할 수 없는 인간의 근원적 상황에 대한 제유이다. 유년 주체의 눈에 비친 아버지의 충동적인 폭력성은 생노병사에 내재한 우발성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작품에서는 폭력의 근원이 인간의 ‘어리석음’이라는 치유할 수 없는 영역에 잠복해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그것이 인간 실존의 본원적 고통에 맞닿아 있음을 선명하게 드러낸다. 동시에 버려진 ‘나’와 동생에게 도움을 베푸는 가짜 엄마들의 내면에 대한 응시는 이들이 모두 근원을 알 수 없는 불안에 내몰리고 있어 또 다른 폭력의 양상을 띠고 있음을 세밀하고 생생하게 묘파해낸다. 그러나 『새』의 바탕에는 세미하지만 견고하게 자리 잡으 ‘목소리’가 존재한다. 그것은 아주 오래전부터 불모에 가까운 세계의 황폐함을 치유해왔다. 그 목소리의 주인은 오정희 소설이 보여주는 구원의 단초가 되는 ‘생성적 타자’들이라 할 수 있다. 작가는 ‘삶의 심연’에 작용하는 ‘눈에 보이지 않는 강력한 힘’이 존재함을 암시하며, 이를 통해 구원의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그러나 오정희는 더 이상 섣부른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는다. 삶의 어두운 심연을 집요하게 탐색하며 ‘자신을 희생 제물로 내어주지 않으면 진실의 작은 조각 하나도 얻을 수 없다’는 경구를 전해줄 뿐이다.

      • KCI등재

        박완서의 자전적 소설에 나타난 ‘존재론적 모험’의 양상

        조회경(Cho Hoei-Kyung) 우리문학회 2010 우리文學硏究 Vol.0 No.31

        인간은 ‘타인을 위한 존재’라는 메시지를 반복하는 에마뉘엘 레비나스Emmanuel Levinas의 철학사상은 박완서의 작가의식과 통하는 바가 많다. 본고에서는 레비나스의 철학적 사유에 기대어 박완서의 자전적 소설에 나타난 ‘엄마’를 중심으로 ‘존재론적 모험’의 양상을 검토하였다. ‘존재론적 모험’이란 레비나스 철학의 핵심으로서 자기중심적인 ‘자기성’에서 ‘진정한 주체성’으로 나아가는 초월의 과정을 뜻한다. 〈엄마의 말뚝1〉의 엄마는 근대교육과 ‘문안’을 향한 열망을 자식 교육을 통해 성취하기 위해 억척스럽게 노력한다. 그러나 이때 맹목적 모성은 ‘자기중심주의’에서 나온 ‘자기애의 또 다른 얼굴’로서, 단지 나의 세계를 주장하는 것에 불과하다. 〈엄마의 말뚝2〉에서 딸인 ‘나’의 삶도 ‘자기성’에 안주하는 까닭에 엄마가 고통에 사로잡혀 광기를 부리는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다. 뜻하지 않게 박완서는 참척의 고통을 겪으면서 자신이 이제껏 ‘타인에게 철저하게 무관심했다’는 ‘죄’를 발견한다. 이는 레비나스의 ‘죄’의 개념과 동일하며 이를 계기로 타자에게 나아가는 존재론적 전환이 일어난다. 〈엄마의 말뚝3〉에서 ‘나’는 비로소 타자였던 엄마를 재발견하고 엄마와 진정으로 화해하고 소통한다. 박완서는 존재론적 전환 이후에 타인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고, 고통까지도 나누리라고 고백하는데, 이것이 ‘존재론적 모험’이며 ‘초월’이다. 초월은 주어진 삶의 자리에 안주하지 않고 끊임없이 넘어가는 운동이다. 그러므로 참척의 고통을 겪은 이후의 자전적 글쓰기는 이전과는 다른 집필 동기를 갖는다고 본다. 1992년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에서 ‘엄마’의 이야기를 반복하는 까닭은 ‘벌레의 삶’의 기원을 추적하기 위한 ‘증언의 책무’ 때문이다. 여기에는 ‘공동체’에 대한 책임의식이라는 윤리의식이 개입한다. 이를 위해 ‘나’는 ‘엄마'의 이야기를 ‘역사적 기억의 형식’으로 구성하고, 엄마의 ‘억척모성’, ‘문밖의식’의 실체를 철저하게 해부한다. 레비나스의 관점에서 보면 엄마의 근대기획은 자기 혈육의 입신출세에만 한정되는 ‘자기애’일 뿐이다. 전쟁이 빚어낸 모든 비극의 원점에는 ‘타자를 철저하게 배척하고 지배하고자 하는 욕망에 의해 형성되는 강철의 쇠울타리’인 가족이데올로기가 작동하고 있고 더 깊이 들어가면 ‘자신이 옳다는 고정관념을 버리지 않은 채, 이웃을 경멸하되 지나치게 예절바르게 처신하는 엄마’가 있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에서 작가는 자기애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타자에게 넘어가는 초월의 운동과 담을 쌓고 살아가는 오늘의 무수한 ‘엄마’와 ‘나’의 ‘죄’를 문제 삼는다. 작가는 이를 통해 전쟁이 이방에서 온 낯선 손님이 아니라, 우리 삶의 내부에서 싹트고 자라난 죄의 열매라는 성찰의 경지로 이끈다. Writings of Park, Wan-seo are ultimately a search for ‘being a true entity’. Here added are the issues in being in a genuine relation with ‘others’. Emmanuel Lavinas’s recurring message that human begins exist for the others is the guiding light through Park’s works. This paper explores the aspects of ‘ontological adventure’ reflected in Park’s autobiographical novel, ‘Mother’, against Levinas’s philosophy. ‘Ontological adventure’ is the essence of Levinas’s philosophy that refers to the process of transforming from or overcoming individualistic ‘self’ to become a ‘true entity’. Park, Wan-seo is a writer who has always countered the attitude of ‘emphasizing individuality and denying and even obliterating others.’ The literary theme which she has always pondered upon is the renewal to ‘a true entity that accepts others’. 'Mother' in ‘Mother’s Stake 1’s ruthlessly does everything she can for her child’s education to cherish her passion for modern education and ‘letters’. However, such obsessive maternal love is only an ‘aspect of self-love’ that belongs to egocentrism, only an expression of her own desires. ‘I’. the daughter in ‘Mother’s Stake 2’ is also locked in the ‘self’ state and can’t escape from selfishness and fear for death. Because true communication with others is block in this state, ‘I’ do not understand why mother is wallowing in maddening agony. Park discovers her own ‘sin’ in death of her own child. Later in ‘Mother’s Stake 3’, the true meaning the name ‘mother’ is finally heartfelt and her mother who formerly was an ‘other’ is rediscovered. Now, her pain can be shared heart-to-heart. Park confesses that if by discovering one’s own sins one can feel responsible for others and pain is worth sharing, than she would share them with others. This is Lavinas’s ‘ontological adventure’ and ‘overcoming’. ‘Overcoming’ is the act of passing over something constantly never being content with what is given. In ‘Who Ate All Those Singa?’ written in 1992, the writer revisits her mother’s story repeatedly, but this was to persistently trace the origin of the ‘life of inspect’. The ethical concept, the duty toward ‘Myself’ and ‘the community’, is incorporated in the phrase, ‘the duty to testify’. For this, ‘I’ constructs ‘mother’s story as a historical memory and thoroughly dissects mother’s ‘ruthless maternal-love’ and ‘outsider consciousness’. From Levinas’s perspective, the mother’s modernizing plan is only ‘egocentric’ love limited to her children’s success; the real face of the modern woman influenced by brutal absolutism is exposed in the 6th grade home-room teacher’s method of punishment. At the core of the tragedies caused by the war is 'family-ideology' that serves as an iron wall around the desire to deny, reject, and reign over others’. When we go deeper, there we discover ‘mother’ who thinks she is always right, despites neighbors, but acts polite toward them. Park, Wan-seo confesses ‘mother’s’ and ‘my’ sin of not finding a path towards others in the series of autobiographical novels. She concludes that war is not a foreign, unexpected guest but the fruit of our inner sin nurtured in our everyday lives.

      • KCI등재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증언의 소명과 구원’에 관한 연구

        조회경(Cho, Hoei-kyung) 우리문학회 2013 우리文學硏究 Vol.0 No.38

        본고에서는 박완서의 장편 소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1992)와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1995)를 대상으로 재서사화에 담긴 박완서의 작가의식을 검토하였다. 두 편의 소설에 엿보이는 미미한 변화는 1988년 참척의 고통 이후, 자기중심주의와 결별하게 된 작가 정신의 윤리적 전환에 기인한다. 비슷한 시기에 쓴 몇 편의 작품에서도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작가의 내면의식을 확인할 수 있다. 두 편의 소설에서 작가는 오빠의 고유한 품성을 가감 없이 정직하게 복원함으로써, 자기보존욕망에서 벗어나 오빠(타인)를 자기 안에 받아를이는 윤리적 관계를 맺는다. 주체(‘나’)가 타인의 타자성을 통제할 수 없다는 자각은, 머뭇거리며 전복시키는 서술자를 통해 실천된다. 비통한 가족사를 재서사화한 근본적 동기는 1990년대 현실을 향해, 우리가 자기중심적 주체에 갇혀 있는 한 전쟁의 폭력성은 언제고 반복될 수 있음을 경고하기 위해서였다. 작가는 ‘오빠의 삶과 죽음’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전쟁의 본질인 ‘전체성’의 폭력성을 증언한다. 전시의 주권자는 전체성의 틀에 개인을 집어넣기 위해 편 가르기를 한다. 오빠는 어느 편에도 속하고자 하지 않았다. 그것이 오빠의 고유한 인간적 품격이었다. 그러나 전시의 주권자들은 그를 우유부단한 존재로 매도하여, 공동체 밖으로 추방한다. 한국 전쟁이 발발하고 휴전이 성립되기까지 서울에서는 많은 사람이 자기의 생명을 보존하기 위해 이웃을 고발하고 죽이는 ‘주권자가 되거나, 반대로 처형당하는 ‘호모 사케르가 된다. 전쟁의 폭력성은 따뜻한 공동체와 개인의 고유한 인간성을 말살시켰다. 문제는 전쟁의 상흔이 여전히 1990년대 한국인의 삶을 은밀하게 지배하고 있다는 것이다. 박완서는 이 두 편의 소설을 통해 증오와 복수, 편 가르기의 고리를 끊고 사람다운 삶을 회복하자는 메시지를 전한다. 이를 위해 ‘전체성’에서 벗어난 ‘사심 없는 절대적 관계’를 제안한다. 전쟁 중에도 그런 이웃은 존재하였다. 그들은 ‘나’를 지배하려고 하지 않았으며, ‘나’에게 자기와 같아지기를 요구하지도 않았다. 그들은 ‘나’의 고유성을 인정하였다. 박완서는 폭력의 종식을 위한해법을 거대 담론에서 구하지 않았다. 오히려 사소한듯 보이는 구체적인 현실 주변의 윤리적 관계에 해법이 있다고 믿었다. 두 편의 소설에서 박완서는 인간성 회복을 위한 ‘밥이 되는 문학’을 실천한 것이다. This thesis discussed the issues of violence, salvation, and death of the brother in Park Wan-seo’s novels Who Ate Up All the Shinga?: An Autobiographical Novel(l992) and To Dream of a Mountajn(l995). In these two novels, Park has ethical relations that she is free from the instinct of self-preservation, and accepts the older brother(the other) within herself by restoring the process of his death honestly. The awareness that the subject(‘I’) cannot control the alterity of the older brother is practiced by the narrator who overthrows in hesitation. A fundamental motive that she reconstructs narrative with her dolorous family history is to sound a warning to the reality in 1990’s, that the violence of war can be repeated any time if we are constantly locked in the self-centered subject. The author testifies the violence of ‘totality’ that egocentrism bears through the life and death of the older brother. A sovereign ruler during wartime separates individuals into groups in order to throw them into the framework of totality. The brother intended not to belong to either side, as this was a part of his character. However, sovereigns during the wartime denounced that he was irresolute. The brother was stigmatized as a nacktes leben, a naked life, according to Giorgio Agamben’s expression, and expelled from the community. The sovereign of Seoul were changed several times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during the time period from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to when an armistice was established. During this period, many people became “sovereigns” to accuse their neighbors and preserve their own lives as skilled Homo sacre. Through this process, a warm community and an individual’s unique personality collapsed, exemplifying our nature to drive limitless competition during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The reason why Park wrote these two novels was not for revenge, but to overcome violence through the spirituality of reconciliation. She brought out faces of good neighbors from the memories of the war. The good neighbors did not attempt to rule or demand that she become the same as them. In particular, her “sister-in-law” was a reliable and sober comrade who helped her overcome hardship through solidarity. An absolute relationship is established without any evil intentions amid recognition of otherness and hospitality. It is a holy relationship that continuously gives. Only in such relationships can the vicious circles of revenge and hatred be disconnected, and allow us to become like grains of rice to animate and support each other’s lives. It is the writer’s previous statement that such relationships may provide the strength to overcome the separation that comes with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