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마우스 광센서와 OpenVR을 이용한 가상현실 운동화와 발판 HW&SW 솔루션

        조준영(Jo Jun Yeong),강신규(Kang Shin kyu),박성재(Park Seong Jae),박주형(Park Joo Hyung),김태형(Kim Tae Hyeong),김형석(Kim Hyung Seok)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본 과제의 개발 목적은 가상현실 플랫폼 서비스에서 운영기업과 소비자의 만족을 극대화 하기 위함이다. 소비자는 실내에서 가상현실 헤드셋을 착용한 뒤, 조종기의 버튼을 이용해 실제로 몸을 움직이지 않고 가상현실에서 이동한다. 이러한 사용방식으로 인해 소비자의 시각정보와 달팽이관의 균형정보가 일치하지 않게 되어 멀미를 일으키게 되고, 멀미는 소비자의 플랫폼 이용시간을 감소하게하며, 이용시간 감소로 가상현실 플랫폼 소비가 줄어들게되고, 운영회사가 플랫폼을 개발하고 출시하더라도 수익이 나오지 않아 추가개발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4]에 근거해 가상현실 운동화와 발판이 나온다면 멀미해소를 통해서 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소비자의 멀미해소를 통해 수요가 증가되며 운영회사의 수익과 소비자의 만족이 큰 폭으로 증대될 것으로 보인다. 더 나아가서 사용자가 가상현실에서 재난/안전훈련을 하거나 건축모델링을 걸어다니며 확인하는 등 플랫폼의 필요에 따라 확장가능성이 무궁하다. 본 과제는 마우스 광센서를 이용한 가상현실 운동화와 발판이라는 점에서 운동화나 발판에 기계적인 롤러나 압력센서, 자이로스코프센서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상현실 전방향 트레드밀과 차별점을 갖고, 기구부 설계부터 임베디드 시스템 구성 및 프로그램 코딩까지 하나의 완성된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기존 제품의 설계를 참고하여 하네스 착용방식의 발판과 기존신발에 덧대어 신는 신발을 설계하였다. 가상현실 걸음인식에 필요한 무선 마우스 광센서와 RF2.4Ghz 수신기, Bluetooth 통신모듈, 메인보드 등을 내장한 임베디드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OS Multi-threading 알고리즘, 응용된 Peterson"s 알고리즘 등으로 구성한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 가상현실에서의 시각에 따른 보행방향의 차이와 멀미의 상관관계 분석

        조준영(Jo Jun Yeong),강신규(Kang Shin kyu),박성재(Park Seong Jae),박주형(Park Joo Hyung),김태형(Kim Tae Hyeong),김형석(Kim Hyung Seok)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가상현실 멀미는 시각과 전정기관의 정보 불일치에 의해 발생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체제작한 가상현실용 신발과 전방향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가상현실용 트레드밀이 가상현실 멀미감소에 도움이 됨을 밝혀내고, 나아가 가상현실 멀미의 발생 요소가 시각기관과 전정기관의 정보 불일치 뿐만 아니라, 몸의 근육 움직임에 의해 기대되지 않은 시각변화에 따른 것임을 밝혀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가상현실의 캐릭터가 앞으로 걸어갈 때, 사용자가 머리를 정면으로부터 좌우 90° 회전을 하는 경우 멀미의 증가 또는 감소 정도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하여 실험하였고, 현실의 고개 방향 및 신체 움직임과 가상현실의 고개 방향과 신체 움직임이 일치하지 않을 때 멀미 정도와(실험 1) 현실의 방향 및 신체 움직임과 가상현실의 고개 방향과 신체 움직임이 일치할 때(실험 2) 멀미 정도의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했으며, 더 나아가 현실의 방향 및 신체 움직임과 가상현실의 고개 방향과 신체 움직임이 일치할 때 멀미가 감소했음을 알아냈다.

      • 가상현실 스마트 슈즈와 발판

        조준영(Jo Jun Yeong),정철호(Jeong Chul Ho),장현석(Jang Hyun Suk),김희원(Kim Hee won),김형석(Kim Hyung Seok)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가상현실 신발은 가상현실에서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해주는 도구로서 20 세기 후반부터 언급되기 시작했다. 본 연구에서는 볼 캐스터를 사용하였다. 볼 캐스터는 굴러가는 방향이 정해져 있지 않아, 다방향성 제자리걸음 신발을 제작하기에 용이하다. 볼 캐스터의 단점인 소음을 줄이기 위해 실리콘 윤활제를 사용하여 그에 따른 소음감소효과를 연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쓰인 하드웨어적 알고리즘은, 광 포토 센서의 위치변화값을 이용하여 컴퓨터에 라즈베리 파이 등을 통하여 발의 움직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 KCI등재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환경음 기반 상황 인식

        지승은,조준영,이충근,오시원,김우일,Ji, Seung-Eun,Jo, Jun-Yeong,Lee, Chung-Keun,Oh, Siwon,Kim, Wooil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9 No.2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반의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적용을 위한 환경음 기반의 상황 인식 기술을 소개한다. 상황 인식 실험을 위해 총 7가지의 음향 환경으로 나누어 환경음을 취득한다. 환경음 인식 성능 비교를 위해 MFCC와 LPCC 특징 추출 기법을 이용한다. 통계적 기반의 패턴인식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GMM 및 HMM 음향 모델을 기반으로 인식기를 설계한다. 인식 실험 결과에서는 LPCC 특징 추출 기법이 MFCC 기법 보다 우수하고, 음향 모델은 HMM이 GMM에 비해 높은 인식 성능을 나타낸다. LPCC 특징을 사용하고 HMM 모델을 채용함으로써 최고 96.03%의 인식률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음성에 비하여 다양한 주파수 성분이 존재하는 환경음을 표현하는데 MFCC 보다는 LPCC가 효과적임을 나타내며, 시간에 따라 변하는 특성을 갖는 환경음은 GMM 보다 HMM이 효과적임을 입증한다. This paper presents a context recognition method using environmental sound signals, which is applied to a mobile-based client monitoring system. Seven acoustic contexts are defined and the corresponding environmental sound signals are obtained for the experiment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context recognition, MFCC and LPCC method are employed as feature extraction, and statistical pattern recognition method are used employing GMM and HMM as acoustic model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LPCC and HMM are more effective at improving context recognition accuracy compared to MFCC and GMM respectively. The recognition system using LPCC and HMM obtains 96.03% in recognition accurac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LPCC is effective to represent environmental sounds which contain more various frequency components compared to human speech. They also prove that HMM is more effective to model the time-varying environmental sounds compared to GM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