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론송』의 팔불연기는 연속적인가, 불연속적인가

        조종복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y there are double-sided perspectives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Nāgārjuna’s eight negations and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In the chapter 26th vādaśāṅgaparīkṣānāmaṣaḍvimśatitamam prakaraṇam of his book Mūlamadhyamakakārikā, Nāgārjuna described anuloma and paṭiloma of the traditional pratītyasamutpāda theory,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in a simple manner without expressing any of his personal interpretations. Unlike in the previous 25 chapters where the eight negations were explained, Nāgārjuna never used the word emptiness or śūnyatā-artha in the 26th chapter. The traditional pratītyasamutpāda theory of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in its appearance, contradicts Nāgārjuna’s eight negations. Scholars have always had vastly different views on how Nāgārjuna interpreted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in Mūlamadhyamakakārikā. Why? It is because mādhyamika basically denies the intrinsic nature(svabhāva) of dharma, and Nāgārjuna did not add any of his own interpretations of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in the chapter 26th. This study wants to prove that the reason why there are multiple perspectives around the relations between Nāgārjuna’s eight negations and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is because of the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he intrinsic nature(svabhāva). Nāgārjuna’s eight negations denies the intrinsic nature as a substance whil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support the intrinsic nature as being absent with substance. 연기설은 불교 사상사에서 다양한 형태로 등장한다. 그중 팔불연기는 용수의 대표적인 저술인 『중론송』(Mūlamadhyamakakārikā)의 귀경게에서 不生ㆍ不滅, 不常ㆍ不斷, 不一ㆍ不異, 不來ㆍ不去의 팔불로써 연기를 수식하여 설명한데서 팔불연기로 불리게 된 것이다. 본고의 목적은 팔불연기가 십이연기와의 관계에서 연속ㆍ불연속의 이중적 시각으로 관찰되는 이유를 살피는 것이다. 용수는 『중론송』 제25장까지는 계속하여 결과는 조건이 만드는 것도 아니고, 조건 아닌 것이 만드는 것도 아니라고 하는 부정어법으로 팔불연기를 말한다. 이는 용수가 인과의 공성을 주장한 것으로, 십이연기에서 각 지분이 조건과 결과가 되는 동시에 결과와 조건이 되는 관계를 부정하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중론송』 제26장 「십이연기의 고찰」에 가면 자신의 견해를 전혀 첨부하지 않은 채 기존의 십이연기를 그대로 기술한다. 용수가 무자성의 팔불연기를 설하는 『중론송』에서 초기불교에서 등장하는 십이연기를 별도의 장으로 주석 없이 그대로 첨부 한 것에 대해 학자들은 다양한 해석을 내린다. 본고에서는 십이연기와 팔불연기의 관계에서 여러 가지 시각으로 관찰되는 이유가 自性(svabhāva)에 대한 개념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임을 논증하고자 한다. 자성은 팔불연기에서 실체로서는 부정되지만, 십이연기에서 실체적 함의가 없는 자성은 施設(prajñapti)로서 긍정된다.

      • KCI등재

        『중론송』에 나타난 가명(prajñapti)에 대한 고찰

        조종복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7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prajñapti in madhyamakakārikā. Prajñapti in madhyamakakārikā has the same status as pratītyasamutpāda, śūnyatā and madhyamāpratipat.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prajñapti comes in the form of language. Among many lexical definitions of prajñapti, the most representative ones are ‘name’ and ‘remark’ showing that prajñapti is an expression in language. Despite all the research previously done on its grammatical and lexical meaning, the reason prajñapti has not been clearly explained is because its linguistic characteristics were not properly reflected in the previous studies. Prajñapti as a language has distinct characteristics from the language philosophy perspective and understanding thi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understanding the key message of MK 24.18 - prajñapti is the same as pratītyasamutpāda and śūnyatā. Prajñapti in madhyamakakārikā holds more meaning than ‘temporary nomenclature’ or simply ‘just a name’. Since he was not a language philosopher, Nāgārjuna didn’t analyze and contemplate on the function,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 in an objective and scientific manner. He simply, but clearly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ṃvṛti and paramārtha in the perspective of reaching nirvāṇa from saṁsāra. We can finally understand this through Nāgārjuna’s interpretation of prajñapti based on Buddha’s two truth theories. 본고의 목적은 『중론송』에 나타난 가명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가명은 여러 개의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다양한 사전적 의미들 중에서 대표적인 의미는 ‘명칭’, ‘언설’ 등 가명이 언어라는 점이다. 본 연구는 가명이 언어활동이라는 점에 천착한다. 가명에 대한 문법적, 사전적 선행 연구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가명에 대한 의미의 해명이 어려운 이유는 가명의 언어적 특징을 드러내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가명은 언어로서 언어철학적 관점에서 독특한 특징을 가지며, 이에 대한 이해는 가명이 연기이며 공성과 다르지 않다는 『중론송』에서의 가명의 의미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시사점을 준다. 『중론송』에서 가명은 ‘임시적인 이름’이라거나 ‘단지 이름일 뿐’인 것으로 쓰이지 않는다. 용수는 언어철학자가 아니기 때문에 언어가 갖는 기능, 의미, 속성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고찰하는 일은 하지 않는다. 어디까지나 윤회로부터의 해탈이라는 관점에서 진실을 알지 못하여 헤매고 있는 세계인 세속과 성스러운 진실의 세계인 열반적정의 관계를 언어를 통해 분명히 말하고 있을 뿐이다. 『중론송』에서 가명은 연기·공성·중도와 등가의 위상을 가진다. 연기·공성·중도는 제법실상의 진리이며, 가명 또한 이들과 동일한 제법실상의 진리이다. 이 구조는 용수가 가명을 붓다의 이제설로 포섭함으로써 비로소 이해된다.

      • KCI등재

        용수의 십이연기(十二緣起) 해석

        조종복 ( Cho Jong-bo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7

        본고의 목적은 용수가 空의 입장에서 십이연기에 대하여 기술한 『인연심론』과 관련문헌을 통해 그가 십이연기를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그는 『인연심론』에서 『중론송』과는 다른 특징적인 십이연기 해석을 하고 있다. 『인연심론』에서 용수는 십이지분을 3분하여 해설하고, 再生을 옮겨감이 없는 續生이라고 정의한다. 십이연기에서 인과의 연결고리를 형성하는 각 지분은 조건이 되는 동시에 결과가 됨으로써 苦의 발생과 소멸을 말한다. 용수의 대표적인 저술인 『중론송』을 보면 십이연기 해석에 있어서 부정과 긍정의 두 가지 설명 방식이 나타난다. 『중론송』 제26장 「十二緣起의 고찰」에서는 긍정의 형식으로 십이연기를 해석하는 반면, 『중론송』 제3장 제7게송에서 결과는 조건이 만드는 것도 아니고 조건 아닌 것이 만드는 것도 아니라는 논거로 십이연기를 부정하는 형식을 취한다. 십이연기는 어디까지나 만들어지지 않고, 다른 것에 의존하지 않는 고유한 성질[自性, svabhava]로서 긍정되지 않을 뿐이지, 오히려 부정할 수 없는 충실한 현실이다. 이는 붓다의 언설인 십이연기가 불가설한 실재의 언어적 표현이며 施設(prajñapti)이라는 의미이다. 시설은 찰나 생멸하는 실재를 소재로 실재론적 함의를 지니지 않고 이것을 드러나게 하는 것이다. 존재하는 일체의 것에 무상하지 않는 것이 없다는 전제로 보면 진실은 시설 속에서 체현되지 않으면 안 된다. 용수가 『인연심론』에서 십이연기를 전면적으로 긍정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본고에서 용수의 저술에 십이지분의 정의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은 부분은 관련 주석서의 해석에 의존하였다. 용수 저술의 주석가들은 각자 자신의 해석이 용수의 진의를 파악한 것이라고 할 것이나, 저마다 이해한 바는 서로 차이가 있다. This study is Nagarjuna’s interpretation on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based on his Pratityasamutpadahrdaya, in which Nagarjuna wrote about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mptiness(sunyata-artha). Nagarjuna’s take on the twelve links is mixed as he is both accepting and denying the concept. Each of the twelve elements that forms a link between causes and results is itself a condition as well as a result, explaining the birth and the death of agony. On the other hand, based on Nagarjuna’s Mulamadhyamakakarika, the twelve elements of dependent origination are denied because a result is not the product of a condition nor something that’s not a condition. When Nagarjuna denied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while mentioning eight negation in Mulamadhyamakakarika, he did not deny Buddha’s doctrine of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exist as prajñapti that bestows an intrinsic nature upon the naihsvabhavya of existence. In Mulamadhyamakakarika, pratityasamutpada, the conditional arising of objects and phenomenon, is all sunyata, and pratityasamutpada is caused by something, and is also the prajñapti of something. And that is the middle way. Prajñapti is used with the same level of importance as pratityasamutpada, sunyata, and the middle way. It is a critical building block of Mulamadhyamakakarika, being equally valuable as ultimate enlightenment.

      • KCI등재

        무아·윤회 문제의 공약불가능성

        조종복 ( Cho Jong-bo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3

        무아설에서는 주체가 부정되지만 윤회설에서는 주체가 필연적으로 전제되는 사실에서 무아와 윤회의 주체성을 모순 없이 연결하는 문제를 두고 그 동안 많은 해석과 논쟁이 있어 왔다. 본고는 무아와 윤회가 공약불가능하기 때문에 그 둘이 공존할 수 없다는 것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무아와 윤회가 서로 충돌되거나 모순되지 않음을 공약불가능성(incommensura bility) 개념에 의탁하여 살펴보자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토머스 쿤(Kuhn, T. S.)이 『과학혁명의 구조』(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에서 주장한 상이한 패러다임 사이의 공약불가능성 테제에 의하면 패러다임 간의 차이는 근본적인 것이고 서로 다른 세계를 의미하기에 때문에 상이한 패러다임에 입각하면 서로 다른 이야기를 할 수밖에 없으며 상대방의 관점에 완전히 접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한다. 무아와 윤회는 동일 평면에서 분절된 개념이 아니다. 무아의 세계와 윤회의 세계는 ‘규칙이 다른 게임’의 세계이므로, 한쪽의 기본 술어를 가지고 다른 한쪽을 재단하려고 하면 필연적으로 범주의 오류(category-mistake)를 범하게 된다. 무아와 윤회 사이에는 공약불가능성이 존재한다. 불교 내의 무아와 윤회의 상충이라는 문제는 여기서 비롯된 것이다. 무아·유아 논쟁에서 무아와 윤회를 동일 평면에서 양립시키려는 시도는 무아설의 절대성을 인정하되 윤회설의 의미를 약화시켜 무아·윤회설을 정당화하거나, 반대로 윤회설을 수용하고 무아설을 약화시켜 타협하는 견해를 취할 수밖에 없게 된다. 그런데 무아와 윤회는 동일한 시공간의 차원이 아니다. 양측의 시공간에는 공약 불가능성이 존재하므로, 그 둘의 소통은 수평적 평면이 아닌 수직적 사고를 통해 시도되어야 한다. While the concept of ‘the self’ is not valid in the anatman theory, it has been inevitably presumed in the theory of samsara. Therefore, there have been countless conflicting interpretations and controversies as to relating anatman and samsara in terms of the existence of ‘the self’ without any contradictions. Such controversies have taken diverse forms based on how anatman and samsara are interpreted. In Thomas Kuhn’s study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explaining the incommensurability between different paradigms, different paradigms, which represent different worlds to each other, have fundamental differences, and therefore, involve different ideas and arguments. Based on Kuhn’s thesis, reaching a complete agreement with those arguing for a different paradigm than yours is simply impossible. Anatman and samsara are not the concepts separated in the same dimension. Since they are two different worlds with different sets of rules, you would inevitably make category mistakes if you try to judge the other world with the terms of your own. Conflict between anatman and samsara in Buddhism stems from this incommensurability of the two different worlds. In the argument between anatman and samsara, attempts to make anatman and samsara coexist in the same dimension would eventually end up in compromises such as acknowledging the absoluteness of anatman while weakening the meaning of samsara or vice versa. However, as anatman and samsara are not from the same dimension and as incommensurability is bound to exist between the two, communication can only be possible with vertical thinking not horizontal integration of the two wor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