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사용자 중심의 칫솔 디자인 개발 사례 연구

        조재상 ( Cho Jae Sang ),송하영 ( Song Ha Young ),이세희 ( Lee Se Hee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0 산업디자인학연구 Vol.4 No.3

        본 연구는 치아 건강에 대한 관심과 급증하고 있는 구강 질환의 효율적인 예방을 위한 새로운 칫솔 디자인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사에서는 칫솔 구강용품 디자인의 기존 칫솔 및 구강관리 용품의 문제와 한계점에 대한 시장 조사와 선호도 분석을 통해 제품의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소비자 칫솔을 구매, 사용습관 등을 관찰, 분석하여 소비자 특성을 분류하였다. 기존의 제품조사를 통해 각 제품의 특성 및 소비자 기호를 파악하고, 제품 구매시 소비자의 선호도 조사를 통해 소비자에 대한 이해와 소비자의 특성을 조사하여 제품에 대한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였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제품들을 바탕으로 한 시장조사 및 디자인 분석 결과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단색과 유기적인 조합의 형태 및 색감을 가지는 칫솔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칫솔 구매시, 제품의 특성을 구조성, 기능성, 심미성의 3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하였고, 일반 시민 150명을 대상으로 선호도 조사를 통해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자인 Process 과정에서는 3가지 스타일의 칫솔 디자인에 대한 컨셉을 만들고 스케치 및 렌더링을 진행하여 최종 디자인 안을 완성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propose a mouth care product for consumers by reflecting on the background that the understanding and supply on mouth care products is low although the interest and concern toward the health of teeth by the people of modern society is getting higher at this time. The problems of product were identified through market survey and preference analysis as to what problems and limitations there are in existing toothbrushes and mouth care products while investigating the consumer traits by observing and analyzing the appearance of consumers purchasing and using toothbrush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duct and consumer preference were identified through existing product survey while the design objective toward product was set up by investigating the understanding on consumers and traits of consumers through the preference survey of consumers while purchasing the products. As a result of performing market survey and design analysis based on the products that are currently being sold, it was investigated that most consumers prefer toothbrushes with single color or having shape and color of organic combination. Also while purchasing toothbrushes,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of structurality,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while being analyzed through trait and preference survey targeting 150 normal citizens. After classifying into three main styles of toothbrush design in the future design process, th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esign have performed sketch and design rendering.

      • KCI등재

        헬스케어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조재상 ( Jae Sang Cho ),권대규 ( Tae Kyu Kwon ),홍정표 ( Jung Pyo Hong ) 한국감성과학회 2014 감성과학 Vol.17 No.3

        오늘날 고령인구의 증가와 장애인 인구의 증가로 인해 재활훈련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재활훈련기와 사용자간의 제공받아야 할 서비스에 대한 평가 요소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에 있어서 평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디자인 평가를 위한 기본 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재활의료전문가, 의공학자, 디자이너들의 토의 및 분석, 실험을 통하여 새로운 평가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기존 디자인 평가 요소들을 수집, 분석하여 10가지의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와 44개의 세부 평가항목을 구축하였다. 이는 앞으로 재활훈련기를 디자인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될 것이다. 둘째, 헬스케어 재활훈련기 디자인 개발 시 고려해야 할 디자인 평가요소로는 사용성, 인지성, 안전성, 학습성, 운동성, 내구성, 경제성, 공간성, 심미성, 환경성의 10가지 디자인 평가요소가 있다. 셋째, 환경성, 공간성, 인지성, 사용성, 경제성, 심미성의 디자인 평가요소는 제품디자인에서 공통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고, 학습성, 안전성, 운동성, 내구성의 요소는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에서 매우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이다. 넷째, 재활 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는 제품디자인요소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환경성, 공간성, 인지성, 사용성, 경제성, 심미성에 학습성, 안전성, 운동성, 내구성을 의 요소를 더해 중요하게 생각한 것이 기존 제품디자인 평가요소와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의 차이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10개의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와 44개의 세부 평가항목 구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전체적인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만을 연구한 것으로, 향후연구 에서는 시 제품 제작을 통하여 평가요소들을 실제 재활훈련기 디자인에 적용해 보고, 미진한 점들을 수정 보완할 예정이다. Due to the increase of the aged population and population of the disabled today,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s. Furthermore,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evaluation indices for services that should be provided for uses of the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s. In order to evaluate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designs in this study, the basic index for design evaluations shall be identified to search for assessment plans. Through this, new evaluation indices will be deduced through discussions and analysis of rehabilitation medical experts, biomedical engineers, and design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isting design evaluation indic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construct 10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design evaluation indices and 44 sub-evaluation items. These will be important evaluation standards for designing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s in the future. Second, the design evaluation indices that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developing health care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s are the 10 design evaluation indices of usability, cognition, safety, learning, motility, durability, economic feasibility, space, aesthetics and environmental aspects. Third, design evaluation indices of environment, space, cognition, usability, economic feasibility and aesthetics are indices that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product design, while learning, safety, motility and durability are factors that must be given special consideration for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design evaluation indices. Fourth, if existing product design evaluation indices placed importance on environment, space, cognition, usability, economic feasibility and aesthetics of products for design evaluation indices,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design evaluation indices placed importance on learning, safety, motility and durability on top of usa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which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sign evaluation indices of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and other product designs. The 10 rehabilitation medical device design evaluation indices and 44 sub-evaluation items were carried out in this study. This research is only on the overall rehabilitation medical device design evaluation indices. In future research, the evaluation indices will be applied in the actual rehabilitation medical design device through production of prototypes, while making revisions and supplementations where necessary.

      • KCI등재후보

        헬스케어 체성분분석기 디자인 사례연구

        조재상(Cho, Jaesang),이성필(Lee, Sungpil),홍정표(Hong, Joungpyo)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2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1 No.3

        오늘날 국민 소득의 증가와 삶의 질 향상으로 인하여 건강한 육체와 정신을 추구하는 라이프 스타일인 웰빙(Well-being)과 헬스케어(Healthcare)가 새로운 문화 코드로 대두되고 있다. 사회 전반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어 각종 운동이나 식이 요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건강 유지를 위해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체중, 체지방량, 근육량, 기초대사량 등 전체적으로 여러 가지 수치를 측정 하는 측정기기를 사용하여 쉽게 비만 및 건강 진단을 이용한 다이어트를 하고 있고, 이러한 측정기기를 사용하여 건강을 관리하는 사람들이 늘어남에 따라 체성분분석기 제품들의 시장규모 역시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체성분분석기에 대하여 조사 하였고, 3번의 실험을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1차 실험에서는 2011년 체성분분석기 시장 판매순위 상위 5개회사 제품 샘플 30개를 선정하였고, 클러스터 분석을 통하여 대표 모델 2개를 선정하였다. 클러스터 분석을 통하여 선정한 가정용 체성분분석기 2개 제품을 체험하고, 연관 규칙 탐사기법 적용 분석을 진행하여 특성과 구성요소를 추출하였다. 2차 실험에서는 1차 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체성분분석기의 스케치와 모델링 그리고 7점 척도법에 의한 디자인 요소의 평가를 통하여 가장 이상적인 디자인 안을 선정하였다. 3차 실험에서는 2차 실험에서 선정된 디자인 안을 중심으로 회귀분석을 통한 창의성 평가를 진행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보편화된 기능과 디자인이 대부분인 체성분분 석기 시장에서 경쟁력있는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디자인 요소평가를 통하여 기존제품과는 차별화된 체성분분석기 디자인을 제안하였고, 창의성 평가를 통하여 체성분분석기를 디자인할 때 고려해야 할 디자인적 요소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체성분분석기 신제품의 안정적 시장 진입과 헬스케어 제품 활성화에 기여 하고자 한다. Today, the lifestyle to pursue healthy body and mind called Well-being and Healthcare is rising as a new cultural code due to the increase of national income and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As the concern toward health is getting much higher throughout the society, the people going on a diet to maintain health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various types of exercise or diet therapy are increasing. People are easily going on a diet with obesity and health diagnosis using the measuring instruments to measure various figures such as weight, body fat, muscle mass and basal metabolism while the market scale of body fat analysis products is also getting greater as the people managing health using such measuring devices are getting increased. In this study, the investigation was performed on the body composition monitor through a theoretic approach and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ree experiments. In the first experiment, 30 body composition monitor machine samples, which belongs to front three companies in 2011 sales list, and then 2 representative models were chosen by cluster analysis. Two home body composition monitor products have been experienced to extract their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s by performing an analysis that has applied the association rule mining technique.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most ideal design proposal was selected through the evaluation of design factors by the sketch and modeling of body composition monitor as well as the 7 point scale method based on the result of first experiment. In the third experiment, a creativity evaluation was performed through a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design proposal selected in the second experiment to draw a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body composition monitor with competitive strength for the market. Here proposed new design of body composition monitor that is differentiates products compared with existing ones through the design elements evaluation; and also this study showed the design eleme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in the process of body composition monitor design through creative evaluation. For the conclusion part, this new body composition monitor could be placed hope on entering the stable market and contributing to revitalize healthcare product.

      • KCI등재

        대학 디자인 교육과정에서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창의성

        조재상(Cho, Jaesang),조광수(Cho, Kwangsoo),홍정표(Hong, Jungpyo)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6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5 No.4

        연구배경: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사람들에게 항상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이 창의적 사고이다. 하지만 창의적 사고가 가장 필요한 분야인 디자인 교육 현장에서도 창의성 개발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나 활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디자인 창의성의 이해와 디자인 교육 현장에서의 창의성을 기르기 위한 방법인 아이디어 발상 교육을 통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디자인 전공 대학생들의 아이디어 발상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창의적 사고를 기를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확산적 사고기법과 수렴적 사고기법, 협업을 통한 공대와의 제품 개발 프로젝트를 통하여 디자인 창의성을 기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비전형성, 개방성, 편리성, 내구성, 다용도성, 현실성, 친근성의 창의성 요소들을 개발할 수 있다. 결론: 교육 현장에서 아이디어 발상 교육은 학년별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2학년 때에는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확산적 사고기법의 교육을 통하여 많은 창의적 아이디어를 만들어내는 연습을 하여야하고, 3학년 때에는 수렴적 사고기법들을 통하여 수많은 아이디어들을 분석하고, 묶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만들어내야 한다. 4학년 때에는 다른 학문과의 제품 개발 협업을 통하여 타 분야 전문가와 아이디어를 조율하는 능력과 차이점들을 교육한다면 창의적인 디자이너를 길러낼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People who work out new things always feel they need to be more creative. However, education programs for development of creativity even in the design education for which creative thinking is most necessary are not actively developed or provided sufficiently. Methods: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which is gained through idea development education as a way to cultivate design creativity in the design education and also to enhance understanding of design creativit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possibility of cultivating creative thinking through experiments on idea developments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design. Result: It was found that expansion thinking technique, convergent thinking technique, and product development projects through joint task with engineering university can cultivate design creativity. Especially, it is thereby possible to develop elements of not-specified nature, openness, convenience, durability, multiple use, practicability and affinity. Conclusion: Idea development education in the education location should be utilized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by grade. To achieve this, sophomore students should practice working out creative ideas through expansion thinking to enhance development of idea, and junior students should analyze lots of ideas by means of convergent thinking and produce creative and revolutionary ideas, and senior students should cultivate ability to coordinate ideas in association with experts of other fields through product development association with other academic fields and also cultivate ability to differentiate such ideas. Doing this will be able to train and produce creative designers.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