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집단 언어와 실어 상태 : 중국 문인들의 한국전쟁 참전 일기를 중심으로

        조영추 ( Zhao Ying Qiu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8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4

        본고는 중국에서 2000년대에 출판된 '항미원조' 참전 문예 창작자들의 일기, 특히 작가 시훙과 쉬광야오, 그리고 화가 허쿵더의 일기를 주된 연구대상으로 하여 집단적 인식을 대변하고 있는 일기와, 집단적 인식을 인정하되 한 개인과 창작자로서 경험한 사상적·감정적 고민을 진솔하게 기록하고 있는 일기 사이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전시 생활서사와 이국전장(異國戰場)서사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 가운데 이들의 일기가 개인으로서의 체험과 집단의 요구 사이에서 균열을 보이고 있음을 지적했으며, 집단의 요구에서 일탈하여 오감을 되찾거나, 주변적 위치에서 시각적 언어인 그림으로 조선 및 조선 사람들과 교감할 때 비로소 실어의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었음을 밝히고자 했다. 이처럼 출판된 사적 기록물을 문제적 시각에서 살핌으로써 참전 당시 중국 문예 창작자들의 모습을 입체적으로 복원하며 이에 대한 공론장의 다층적 이해의 계기를 마련했다. This paper offers a close reading of the Chinese writer Xi Hong and Xu Guangyao, painter He Kongde's diary of "KangMeiYuan Chao (Resisting U.S. Aggression and Aiding North Korea)". It seek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diaries by analyzing the narrative of the war life and the battlefield of North Korea. In particular,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ir diaries, which were released nearly half a century after the war, show a crack between the diarists' own experiences as an individual and the needs of the group, which made the diarists encountered a difficulty in expressing themselves and creating works in word language. However, when the diarist tried to break away from the collective request and relived the feeling brought by the sense of the body, or realized the communication with the North Koreans with the visual language of drawing, it seems that they were able to find a way to overcome the state of aphasia. By exploring the published private diaries, this paper offers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War from the perspectives of Chinese scholars. It also helps us to clarify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sphere and private

      • KCI등재

        정치적 유토피아와 전통지향적 미학의 이합(離合)관계 : 이태준의 소련·중국 기행문과 소설 「먼지」 겹쳐 읽기

        조영추 ( Zhao Ying-qiu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9 민족문학사연구 Vol.71 No.-

        본고는 이태준의 소련 및 중국 기행문, 그리고 소설 「먼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해방 직후 사회주의 새 사회 건설에 참여한 작가가 어떻게 전통지향적 미학관과 창작방법을 재사유하였는지를 고찰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주로 이 시기 이태준이 어떠한 정치적 이념과 편향을 보이는지에 관심을 둠으로써 단지 작가를 정치적 피사체로 파악한다. 그러나 이는 작가의 심미안과 창작 관행의 작용을 소홀히 한 것으로서 이 시기 이태준의 문제의식과 현실에 대한 관심이 작가로서의 주체적 행위였음을 간과하고 있다. 해방을 맞아 이태준은 소련을 방문하고, 뒤이어 월북을 단행하며, 6․25 전쟁 당시에는 중국을 방문한다. 이는 서로 다른 정치 제도와 문화 및 역사의 경계를 넘어서는 ‘여행’ 행위였으며, ‘월경’ 혹은 ‘탈경계’ 체험은 ‘견문’에 대한 일종의 ‘번역’이자 ‘허구’로서 이태준의 기행문이 되고 소설이 되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이태준의 전통지향적 미학관과 문화관은 사회주의국가 건설이라는 현안과 부딪치며 결국에는 지배 담론의 영향 하에 수정되고 파기되기에 이른다. 즉 해방기 이태준의 텍스트들은 그동안 축적해온 작가의 미학관과 창작관이 현실 정치로의 실천이라는 외부적 논리와 교착되는 과정에 시대착오적인 낡은 사물로 인식되어 지속적인 탐구 가능성이 단절되고 마는 궤적을 보여준다. 이에 본고는 이태준의 해방 후창작을 이해함에 있어서 기존의 이데올로기적 접근 방법에서 벗어나 그의 정치적 행위와 문학 창작 실제 간의 다층적 관계를 읽어내고, 더 나아가서 작품 및 작가가 어떻게 매개물이자 주체로서 사회주의 사회의 새로운 현실과 전통지향적인 미학관념을 상호 연결시키는 지를 탐문하고자 한다. By offering a close reading on the Soviet travelogue A Trip to the Soviet Union(1947), the China travelogue The Great New China(1952) and the novel The Dust(1950) of Korean writer Yi Taejun after liberation, this article aims at exploring how Yi Taejun rethought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traditional aesthetics and the new reality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construction of a new socialist society in North Korea. Previous researches have specifically shed light on Yi’s political conceptions of Soviet and China by examining his overstatements of Soviet and China’s achievements and eulogies to the solicialist way of life. However, this is only one of the important aspects that these travelogues show to us. In this article, I will focus on how Yi Taejun tried to open up the potential avenues to socialist society through his own aesthetic vision and literary practices as a writer. After liberation, Yi first visited the Soviet Union, then chose to stayed in the early North Korea, and visited China during Korean war. This is a kind of ‘travel’ behavior that transcends the boundaries of different political systems, cultures and history. The cross-border or transnational experiences have been ‘translated’ and ‘fictionalized’ as a kind of knowledge, which constitutes Yi Taejun’s travelogues and novels. In this process, Yi’s traditional aesthetics and cultural outlook interacted with the task of building a socialist country, and was eventually modified and lost its usefulness under the increasing strengthening of mainstream ideology. In this regard, this article, in order to laying open potentials of meaning with and beyond the literary texts of Yi Taejun after liberation, will mainly explore the multi-level relationships between his political behaviors and literary practices, and further figuring out how the literary works and the author served as a medium to connect the development of socialist society with the problem of traditional aesthetics.

      • KCI등재

        개벽사 『중국단편소설집』 번역자 소고

        崔昌竻 ( Choe Chang-ruk ),趙穎秋 ( Zhao Ying-qiu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6 No.-

        본고는 그동안 학계의 미스터리로 남아 있던 한국 최초의 중국근대문학 작품집인 『中國短篇小說集』(개벽사, 1929.1.25)의 번역자가 누구인지를 밝히는 실증적 작업을 시도하였다. 이에 중국어 원작의 출처 및 그 저자들과 북경 평민대학 교수진과의 관계, 번역서와 김홍선의 기타 한국어 작품들과의 주제·문체적 근접성, 김홍선과 개벽사 및 천도교와의 관계 등을 살펴봄으로써 베이징 평민대학에서 유학하였던 천도교인 김홍선이 번역자임을 밝혔다. 더불어 본고는 天友라는 필명으로 활동한 김홍선이 바로 중국의 『京報副刊』, 『國聞週報』 등에서 활발한 문필활동을 펼친 翠生임을 고증하기도 하였다. 이는 천도교인 및 독립운동가들과 중국의 언론인 및 문학장과의 연동과정을 드러내 주고 한국의 중국 신문학 수용이 문학장을 넘어서서 혁명과 저항적 의지의 구현이기도 하였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intends to reveal the mystery of who was the translator of Korea’s first collection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The Collection of Chinese Short Stories (Gaebyuksa, 1929.1.25) through an empirical study. The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urces and authorship of the Chinese originals included in the translation and the professors at Beijing Civilian University where Kim Hong-Seon attended, the thematic and stylistic proximity between the translation and Kim Hong-Seon’s Korean work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Hong-Seon, Gaebyuksa and Chondogyo, demonstrating that Kim Hong-Seon was the translator. In particular, this paper verifies that Kim Hong-Seon, who wrote under the pseudonym Ceonwoo, was the Korean student “Cuisheng” who was active in China’s Supplement to Peking Daily (Jingbao Fukan) and Guowen Weekly (Guowen zhoubao). The fact that the translator of The Collection of Chinese Short Stories is Kim Hong-Seon shows that the acceptance of the modern Chinese literature in Korea transcended the literature field as an expression of the will of “revolution” and resistance, and it reveals the process of linking the follower of Chondogyo and independence activist in Korea with the journalist and literature field in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