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구려 벽화 편의 보존과 분석

        조연태 국립중앙박물관 2013 박물관보존과학 Vol.14 No.-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구려 벽화는 국립중앙박물관 도록에 소개된 벽화 모사도와 일제 강점기에 촬영한 유리건판 사진으로만 제공되어 왔다. 그러나 이번에 수행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구려 벽화 편의 보존과학적 처리와 분석을 통해 전모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보존과학적 처리는 벽화 편의 바탕층의 구조와 성분, 균열 등의 손상 파악과 퇴색된 채색 부분에 광학현미경과 적외선 조사를 했으며, 취약한 벽체와 박락된 채색층 강화에 중점을 두고 수행하였다. 더불어 적외선 조사한 결과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벽화 모사도와 유리건판 사진과 비교하여 고분의 위치를 조사했으며, 일부 벽화 편에서 감신총, 개마총, 고산리1호분, 운봉리고분으로 확인되었다. 고구려 벽화 편에 채색된 안료의 성분 원소와 벽체층의 광물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측정 위치에서 방해석[calcite, CaCO₃]이 확인되었다. 이는 벽화의 바탕재료로 보이며, 석회층 위에 안료를 채색한 것으로 판단된다. 안료 색상 중 갈색을 포함한 황색은 산화철[hematite, Fe₂O₃]로 검출되었고 일부 편에서는 백연석[cerussite, PbCO₃]과 산화납[lead oxide, PbO]이 확인되었다. 이는 연백[lead white, 2PbCO₃·Pb(OH)₂]의 산화물로 추정된다. 또한 적색에서는 주사[cinnabar, HgS], 흰색에서는 방해석[calcite, CaCO₃]과 백연석[cerussite, PbCO₃]이 확인되었다. Conservation and analysis of wall painting Goguryeo was performed to classify the unknown fragments. The conservation naked eye observation, optical microscopy, and infrared examination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figure out the structure, quality of constituting materials, and damages such as cracks, and discolored fragments of colored areas. Based on such investigation, conservation was proceeded. and it was completed with strengthening the weakened pigment layer of wall blocks. In addition tombs where the wall painting fragments were excavated were investigated by making comparison with gelatin dry plates and copies possessed by National Museum of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 they were Kaemachong, Gosan-ri Tomb No.1 Gamsinchong, and Wonbong-ri Tomb. The components of colors with which Goguryeo wall painting fragments were painted and the mineral pigments of the wall layer were analyzed. Portable µ-XRF spectrometer and X-ray diffractometer were employed. It showed that lime (CaCO₃) used for the wall layer, and the brown color is hematite(Fe₂O₃) and cerusite (PbCO₃) and lead oxide(PbO) were identified. In the red color, cinnabar (HgS) were detected.

      • KCI등재후보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중앙아시아 벽화 보존처리

        조연태,이용희,허윤현 국립중앙박물관 2004 박물관보존과학 Vol.5 No.-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중앙아시아벽화 5점(본4054, 본4074, 본4077, 본4096, 본4097)을 약 2년여에 걸쳐 연차적으로 보존처리를 실시하여 완료하였다. 이번에 보존처리 완료한 중앙아시아벽화는 세척 - 안료층 강화 - 안료층 보호를 위한 Facing - 목재 프레임 해체 및 분리 - 벽체 강화 및 보강 - 벽체 지지체 부착 - Facing 제거 - 액자 제작 및 마감처리 순으로 실시하였다. 특히, 박락된 안료층과 약화된 벽체의 강화와 전시 프레임의 구조개선에 중점을 두고 처리 하였다. The five pieces (Bon 4054, 4074, 4077, 4096 and Bon 4097)of the Central Asia murals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ere conserved for approximately 2years. The Central Asia murals conserved for this time have undergone the processes of cleaning, reinforcing pigment layers, facing to protect the pigment layers disassembling, separating wooden frames reinforcing the wall layers, attaching supports to the wall layers, removing facing and making picture frames. They were conserved with emphasis placed on reinforcing the peeled pigment layers and the weakened walls and on improving the structural problem of the exhibit frames.

      • KCI등재후보

        석조불좌상의 보존과 과학적 특성 연구

        조연태 국립중앙박물관 2011 박물관보존과학 Vol.12 No.-

        The seated stone Buddha(Bon5190) of National Museum of Korea initially consisted of some 90 fragments, making it difficult to guess its overall appearance. Under a restoration work which lasted four months, the fragments were joined together, giving shape to a seated Stone Buddha in Bhumisparsa(earth touching) mudra and an associated figure of Bodhisattva missing the face. The statue was made from a single stone block by digging out the center. Traces of lacquer coating and a gilded layer above the lacquer coat were found in various parts. Polarizing microscopy and XRD analysis revealed that the stone was zeolite, a mineral formed through diagenesis of volcanic glassy ashes from trachytic tuff (Nuldaeri) and dacitic tuff (Guryongpo). In Korea, zeolite deposit found mostly in Gyeongsangbuk-do, in places like Yeonil, Guryongpo, Gampo and Ulsan. The restored statue of seated Buddha proved very similar in appearance to the seated stone Buddha of Deoksa Temple in Cheongdo-gun, Gyeongsangbuk-do (housed in Yeongsanjeon Hall). The scroll inside the statue,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background and circumstances of creation of this Buddhist sculpture, indicates that the monk Seung-ho took part in it as the head sculptor-monk.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석조불좌상(石造佛坐像, 본5190)의 보존처리는 원래의 형태를 알 수 없는 약 90여 편의 파편으로만 전해왔으나, 4개월 동안 접합과 복원작업을 통해 오른팔을 내려 오른 무릎 위에 두고 손끝은 땅을 가리키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자세의 석조불좌상과 추가적으로 얼굴부분이 결손된 보살상을 복원하게 되었다. 불상의 제작은 한 덩어리의 돌을 조각하고 속을 파내어 만든 것으로 표면에는 옻칠을 한 후 그 위에 금을 입혔던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다. 편광현미경 관찰과 XRD분석 결과 눌대리 조면암질과 구룡포 데사이트질 응회암의 화산유리질 물질이 속성변질작용에 의해 형성된 불석(佛石, Zeolite)으로 밝혀졌으며 국내의 제올라이트 산출지는 경상북도 연일, 구룡포, 감포, 울산지역 등에 분포하고 있다. 보존처리를 완료한 석조불좌상과 유사한 형식의 불상을 파악한 결과, 경북 청도군에 위치한 덕사(德寺) 영산전에 봉안되어 있는 석조석가모니불좌상(石造釋迦牟尼佛坐像)으로 복장 발원문 기록을 통해 승호(勝湖)가 수조각승으로 불사 조성에 참여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법천사 지광국사 현묘탑에 대한 기초적 검토 : 이전 건립 경과 및 보존처리 내용을 중심으로

        신소연,조연태 국립중앙박물관 2015 미술자료 Vol.- No.87

        The Stupa of State Preceptor Jigwang (National Treasure No. 101), located at Gyeongbokgung Palace, was first built at Beopcheonsa Temple in Wonju circa 1085. This study examined records of how the stupa was relocated and how it was treated for conservation based on relevant gelatin dry plates mad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hotos taken in the ensuing periods, and 3D images. According to the gelatin dry plates, Wada Tsuneichi took the stupa from Beopcheonsa Temple in 1911 and reestablished it in Myeong-dong, Seoul. The stupa was taken to Osaka in 1912 and returned to Korea in the same year. It was relocated in front of the Museum of the Joseon Industrial Exhibition in 1915. The stupa was moved to the east of Gyeonghoeru in 1923 and was disassembled for restoration in 1932. In 1957, the stupa was restored after the finial was destroyed during the Korean War and it was finally relocated to its current location in 1981. In 2003, conservators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examined the stupa to check its structural status after years of weathering. In the ensuing period, high-resolution photos were taken periodically to check its condition. After a diagram was drawn up regarding its status of damage and weathering in 2012, the stupa was cleaned to remove dust and stains, and a 3D scan was done on it. The images and the elements of the relief engraved on the stupa were found to have similarities to the architectural elements of stone pagodas erected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 of China. This study also focuses on four lion images, which were originally located on the stupa. The results of periodic surveys and conservation done in the 2000s and 2010s, including 3D scan images and drawings, will serve as useful materials in the work for the restoration of the stupa to its original form.

      • KCI등재후보

        해남 흑천리 마등 4호 토광묘 출토 화천의 보존처리와 고고학적 분석

        김미도리,조연태,이양수 국립중앙박물관 2020 박물관보존과학 Vol.24 No.-

        본 연구에서는 해남 흑천리 마등 4호 토광묘에서 출토된 청동주화 화천(貨泉)을 보존처리하고 과학적으로 조사한 결과를 고고학적으로 해석하였다.‘화천’은 중국 왕망대(王莽代)에 만들어진 동전으로 우리나라의 삼한시대에 사용되었던 화폐이다. 해남 흑천리 마등 유적에서는 조사결과 총 13점이 중첩되어 출토되었는데, 크게 세 묶음으로 구분된다. 이중 B 묶음의 한 점만 육안으로 화천이라는 글자가 확인되며, 나머지는 전혀 글자가 확인되지 않는다. 보존처리 방법은 우선 동전 표면 위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취약한 재질을 강화한 후 접합하였다. 다음으로 동전의 정확한 개수와 표면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Nano CT 촬영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13점 중12점에 화천이라는 명문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번 흑천리 출토품 외에 광주 복룡동 무덤에서 다량의 화천이 출토되는 사례로 보아 당시 이 지역에서 화폐경제가 이루어졌을 가능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This paper presents an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of conservation treatment and scientific analysis of the ancient Chinese bronze coin known as Huo Quan(貨泉) coins excavated from Tomb No. 4 at the Madeung Archaeological Site in Heukcheon-ri, Haenam. Huo Quan coins were issued in China by Wang Mang(王莽) when he founded the short-lived Xin(新) Dynasty and were used in the Samhan(三韓) period in Korea. A total of thirteen Huo Quan coins were excavated from the Madeung Archeological Site with some coins fused to each other. They were classified as clusters A, B, and C. On a coin from the B cluster the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貨泉” are visible to the naked eye, but no characters are visually identifiable in the other coins. For conservation treatment,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urfaces of the coins were removed, weak materials were reinforced with protective coatings, and fragments were reattached to the main bodies of the coins. Next, Nano CT scanning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xact number of coins within the clusters and examine the surface condition of the coins. It revealed the inscription “貨泉” on twelve out of thirteen coins. In addition to these coins excavated from Heukcheon-ri, a number of coins were excavated from a tomb in Bokryong-dong, Gwangju. This necessitates an investigation into the possible development of a monetary economy in this region.

      • KCI등재후보

        중앙아시아벽화 보존처리(2) : 벽화의 채색 안료 및 벽체 조성에 사용된 초재류 조사

        이용희,유혜선,김수철,강형태,조연태,시게오 아오키,켄타로 오바야시 국립중앙박물관 2003 박물관보존과학 Vol.4 No.-

        용산 새 박물관에 전시될 중앙아시아 벽화의 보존처리를 위해 이들 벽화의 채색안료 성분분석과 벽체에 포함된 지푸라기의 식물종 식별을 위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1916년 우리 박물관에 반입되기 이전에 일본에서 시행된 보존처리 재료 및 방법을 검토하기 위하여 나무 보호틀의 목재수종 및 종이의 재질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본4075, 4078의 검은색 안료는 carbon(C), 바탕의 흰색은 gypsum[Ca(SO₄)(H₂O)₂], 적색 계통은 lead oxide(Pb₃O₄, PbO)와 hematite(Fe₂O₃), 녹색은 Cu, As, O 화합물 등을 채색 안료로 사용하였다. 또한 벽체를 조성할 때 흙벽이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섞어 넣은 지푸라기는 밀짚 또는 귀리짚 종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현재 벽화를 둘러싸고 있는 나무 보호틀은 버드나무속, 사시나무속, 삼나무, 그리고 소나무 중 적송류로 만들어진 것으로 밝혀졌으며 벽화(본4054, 4097)의 보호를 내부에서 발견된 종이는 뽕나무 껍질로 만든 것으로 조사되었다. For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Central Asia mural painting which is to be exhibited in the new museum in Yongsan, we analyzed the pigments used in this mural painting and examined to identify the species of the straw in the wall. We also analyzed the species of the wood of the wooden protective frame and the material of the paper in it, in order to review the material and technique of the conservation treatment performed before the mural painting had been brought to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191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black pigments of Bon4075 and Bon4078 is carbon(C); the white pigment on the background is gypsum[Ca(SO₄)(H₂O)₂]; the red pigment is lead oxide(Pb₃O₄) and hematite(Fe₂O₃) etc. The straw, which had been mixed into the wall to prevent the wall from cracking, was proved to be either wheat straw or oats straw. The wooden protective frame, which protects the mural painting now, was proved to be made of Salix, Populus, Cryptomeria japonica and pine. The paper discovered in the frame was proved to be made of the bark of a mulberry.

      • KCI등재후보

        중앙아시아 벽화 보존처리(1) : 벽화(본4074, 본4096)의 상태조사

        강형태,이용희,유혜선,김연미,조연태,시고 아오키,노리코 야마모토,켄타로 오바야시 국립중앙박물관 2001 박물관보존과학 Vol.3 No.-

        국립중앙박물관은 용산 새 박물관의 전시 유물로 선정된 중앙아시아 벽화의 연차적인 보존처리를 위해 “독립행정법인 일본 도쿄문화재연구소’’와 공동연구를 모색하게 되었다. 2001년에 본4074, 본4096 작은 벽화편 2점의 보존처리를 시작하면서 벽화의 균열 박락 등 손상상태, 구조와 구성재료, 이전 보존처리에서 적용된 재료와 방법에 대한 기초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본4074, 본4096 2점의 벽화는 흙과 지푸라기를 반죽하여 만든 벽체에 석고를 발라 바탕으로 하고 그 위에 채색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벽체 속에 포함된 지푸라기의 방사선 탄소연대측정 결과 본 벽화는 10세기 말에서 13세기 초에 만들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X-선회절 분석 결과 화면의 흰색 바탕은 gypsum[Ca(SO₄)·2H₂O]과 CaSO₄, Calcite(CaCO₃)가 적색계통은 연단(鉛丹:Pb₃O₄)과 led arsenate[Pb(As₂O₆)], 녹색계통은 Cuprite(Cu₂O)와 arsenolite(As₂O₃), arsenic oxide(As₂O₄) 등이 사용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article is about a joint project carried out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Tokyo Cultural Properties Research Institute for the conservation of central Asia Wall painting that has been selected for the exhibition at the new Seoul National Museum of Korea at Yongsan. The investigation of the wall painting revealed very useful information. This includes the condition of the object, and the identification of evident damage, such as cracks, loss of pigment, plus materials and methods employed during the object's creation, as well as previous conservation treatment. The object was mainly made by applying plaster to the body (wall) that consisted of a mixture of soils and rice straws. Then, on the surface of the wall-painting, pigments were used to draw and to colour it. As a part of the investigation, radiocarbon dating was conducted using straw samples taken from the object.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object is probably dated form between the end of the 10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13th Century. The result of X-ray diffraction also revealed the composition of the pigments used on the surface. These are 1. gypsom[Ca(SO₄)·2H₂O], CaSO₄ and Calcite(CaCO₃) and Calcite(CaCO₃) that were used for the white background. 2. Pb₃O₄ and led Arsenate [Pb(As₂O₆) that were used for the red colouring. 3. Cuprite(Cu₂O), Arsenolite(As₂O₃) and Arsenic Oxide(As₂O₄) that were used for the green colouring.

      • KCI등재후보

        비파괴 분석을 이용한 화강암류 석조문화재의 부재특성과 산지추정 :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과 천수사 오층석탑을 중심으로

        김용휘,최선규,서지은,강정극,이종현,조연태 국립중앙박물관 2018 박물관보존과학 Vol.19 No.-

        국내의 석조문화재는 대부분 화강암류가 부재로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화강암류 부재는 전국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석조문화재의 원산지 추정을 위하여 강원지역의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과 천수사 오층석탑을 중심으로 산상, 물성, 광물상 및 화학조성 자료를 종합적으로 적용하였으며, 석조문화재의 소재지와 인접한 지역인 원주 화강암 특성과 비교하였다.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은 단일 부재의 복운모 화강암으로 구분되었으며, 천수사 오층석탑은 복운모 화강암과 흑운모 화강암 두 부재로 구분된다. 해당 석조문화재의 산상 및 자화강도는 원주 화강암 특성과 전반적으로 일치하며, 향후 석조문화재의 복원 과정에서 유사한 부재 선택은 소재지와 인접한 화강암체의 현지 조사를 병행하여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Most stone monuments in Korea are made from the granitoids found extensively throughout the nation. To identify the provenance of the stone materials, this study carried out comprehensive analyses of the occurrence, physical properties, mineralog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Stupa for National Preceptor Wongong at Geodonsa Temple and Five-story Pagoda at Cheonsusa Temple, both located in the Gangwon region. Their featur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granite from Wonju City near the sites of the two monuments. Stupa for National Preceptor Wongong is composed purely of two-mica granite, whereas Five-story Pagoda was made from both two-mica and biotite granites. The occurrence and magnetic susceptibility of the two granite monuments generally coincide with those of granite from Wonju. When selecting materials for the restoration of stone monuments, it is deemed necessary to carry out a field survey on granite in areas adjacent to the locations of the stone monuments subject to restor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