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컴퓨터 불안 결정요인

        조아미(A Mi Cho) 한국청소년학회 1999 청소년학연구 Vol.6 No.2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컴퓨터 불안 수준에 있어서 성차가 있는지를 조사하고, 성별에 따라 관련 변인들(컴퓨터 사용경험, 컴퓨터 태도, 수학불안, 그리고 컴퓨터 효능감)이 컴퓨터 불안을 어느 정도 설명해 주는가에 대해서, 그리고 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조사대상은 수원시에 소재하고 있는 K중학교에 재학중인 297명의 중학생이었다. 이 중에서 남학생은 131명이고 여학생은 148명이었다. 컴퓨터 불안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Marcoulides의 CAS와 Loyd와 Gressard의 CAS를, 컴퓨터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Pelgrum과 Plomp의 CAQ를, 그리고 수학불안은 Wigfield와 Meece의 MAQ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컴퓨터 불안에 있어서의 성차는 컴퓨터 불안의 측정도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즉 Marcoulides의 CAS에 의해 측정된 컴퓨터 불안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Loyd와 Gressard의 CAS에 의해 측정된 컴퓨터 불안에서는 남녀학생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컴퓨터 불안의 결정요인에 있어서는, 남학생의 경우, 컴퓨터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Marcoulides의 CAS에 의해서 측정된 컴퓨터 불안의 결정요인이고, Loyd와 Gressard의 CAS에 있어서는 컴퓨터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컴퓨터의 유용성이 중요한 결정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여학생의 경우, 컴퓨터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수학불안이 두 척도에 의해서 측정된 컴퓨터 불안의 결정요인이고, 컴퓨터 효능감은 Marcoulides의 CAS에만 중요한 결정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1) a gender difference in computer anxiety, (2) whether several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computer experience, attitudes toward computers, math anxiety, and computer efficacy would predict computer anxiety, and (3) examine what their relative importance wa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97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mong them 131 were males while 148 were females. The results indicted that male adolescents were lower in their levels of computer anxiety than female adolescents in terms of Marcoulides` CAS, but no gender difference was found in terms of Loyd and Gressard`s CAS. Positive emotion toward computers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in computer anxiety. But usefulness was a significant element for computer anxiety in male students whereas math anxiety and computer efficacy were crucial predictors for computer anxiety in female students.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낙인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지연 ( Lee Ji Yeon ),조아미 ( Cho A Mi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1 청소년복지연구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의 낙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색함으로써, 학교 밖 청소년이 경험하는 낙인에 대해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함이다. 연구참여자는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서 학교의 정규교육과정을 1년 이상 중단한 경험이 있는 20∼24세의 학교 밖 청소년 11명을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연구참여자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에는 Giorgi(2004)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총 148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하위구성요소 22개로 묶은 뒤 최종 9개의 구성요소 범주로 구조화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낙인 경험의 본질적 구조를 구성하는 9개의 구성요소는 <문제아로 취급됨>, <저평가 됨>, <소외를 당함>, <차별을 당함>, <자신의 가치를 절하함>, <상처가 되어 남음>, <상황에 따라 대처함>, <힘든 여정임을 깨달음>, <성장하는 내가 있음> 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탐색한 결과 학교 밖 청소년의 낙인 경험의 본질은 ‘문제아라는 족쇄를 달고, 사회라는 배움터로 들어가는 성장의 여정’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낙인 경험을 보다 집중적으로 탐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연구결과를 통해 학교 밖 청소년들의 낙인 경험 속에서도 성장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the essence of stigma experience of out-of-school youth. 11 out-of-school youths who were 20 to 24 years old, and experienced more than 1 year cease of regular education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Phenomenology of Giorgi (2004)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were divided into 9 categories and 22 sub-categories. 9 categories of stigma experiences among out-of-school youth consisted of ‘Being treated as a problem child’, ‘Being underestimated’, ‘Getting alienated’, ‘Getting discriminated’, ‘Devaluing one’s values’, ‘Being hurted, and imprinted hurt’, ‘Handling depending on situation’, ‘Realizing hard journey’, and ‘Being as a person who is growing’. As a result, the essence of stigma experiences of out-of-school youths presented as a journey that out-of-school youths labelled ‘a problem child’ entered the society, so-called the place of learn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development possibilities of out-of-school youths were found despite the stigma experiences of out-of-school youths.

      • KCI등재

        청소년의 대중가요 가수 우상화 현상에 대한 분석

        조아미(A Mi Cho) 한국청소년학회 1998 청소년학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급별과 성별로 청소년들이 그들이 우상으로 여기는 가수들의 행동을 어느 정도 따라하고 있는지, 왜 특정가수를 우상으로 여기는지, 그리고 우상으로 여기는 가수의 의견이 어느 정도 청소년들에게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서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총 434명의 학생이었다. 그 중에서 중학생은 218명, 고등학생은 217명이었고, 남자는 242명, 여자는 192명이었다. 조사도구는 Raviv 등이(1996) 사용한 우상화의 표현, 우상화의 원인, 그리고 우상에 대한 의존도에 관한 질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우선 청소년들의 우상에 대한 모방행동이나 숭배행동은 일반인들이 생각했던 것처럼 청소년들의 보편적인 현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둘째, 우상에 대한 모방행동이나 숭배행동은 예상보다 적었지만 자신이 좋아하는 가수의 CD나 카세트 테이프 등의 물품구입 행동은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상화의 원인으로 중학생은 고등학생보다 주로 외면적인 측면에 많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고, 여자들은 남자들에 비하여 가수의 모든 면을 중요하게 여겼다. 넷째, 청소년들은 가수에게 전통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목소리나 가창력뿐만 아니라 가수에게 덜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사람됨이나 예의바름, 재치나 유머성, 성격 등도 특정가수를 좋아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한다. 다섯째, 다양한 주제에 관한 우상에 대한 의존도는 청소년들에게 생각보다 적은 편이었다. 여섯째, 본 연구에서 청소년들의 우상화 현상이 학교급별과 성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것은 선행연구와 비교해 보았을 때 일부만 지지되는 것이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1) to investigate adolescents` imitative behaviors of their idols according to grade and sex, (2) to analyze the causes of idolization, and (3) to find reliance on idols` opinions. The subjects were 43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mong them, 218 students were from middle school and 216 students were from high school while 242 of them were males and 192 of them were femal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present study was based ell Raviv et al.(1996)`s study(expression of idolization, causes of idolization, and reliance). Several items were added considering cultural differenc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Adolescents` imitation or worship for their idols were not popular, 2. Althouth adolescents did not imitate or worship their idols, they showed active behaviors in buying their idols` CD or cassette tapes. 3. For middle school student(compared to high school students), an external aspect of pop singers such as dancing style or appearance was important causes for idolization whereas for girls(compared to boys), everything was important to idolize pop singers. 4. Adolescents reported indispensible factors for pop singer not only voice or talent which was traditionally considered important elements for pop singers, but also character or humor. 5. Unexpectedly the effect of idols` opinions about various topics were not significant. 6. Idolizing behaviors among adolescen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ex and grade.

      • KCI등재

        비행친구와 청소년 가출의 관계에서 약물사용의 매개효과

        조아미 ( A Mi Ch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1 청소년복지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비행친구, 약물사용, 가출의 관계를 살펴보고, 약물사용이 비행친구와 가출의 관계에 있어서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한국 청소년 패널조사(초등학교 4학년 패널 5차년도)에 참가한 2,844명이다. 조사대상자 2,844명 중, 남자 청소년은 1,303명(53.2%)이고 여자 청소년은 1,145명(46.8%)이다. 사용된 변인은 가출여부, 비행친구, 약물사용이었는데 패널조사의 문항을 사용했다. 본 자료의 분석은 SPSS 15.0을 사용했다. SPSS를 사용해서 가출, 비행친구, 약물사용 간의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고, Sobel의 z test를 사용해서 약물사용의 매개효과에 대한 크기를 검증했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논의 및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청소년의 가출은 비행친구의 수와 약물사용과 정적 상관이 있다. 둘째, 비행친구와 약물사용은 정적 상관이 있다. 셋째, 약물사용은 비행친구와 가출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넷째, 비행친구가 청소년의 가출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다섯째, 비행친구가 약물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국내연구가 매우 제한적이므로 이 분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deviant peers, runaway, drug use,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rug u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unaway and deviant peers. The subjects were 2,844 participants of Korea Panel Survey(4th grades, 5th wave). Among them, 1,145 were female youths while 1,303 were male youths. The instrument were the items which used in Kore Panel Survey. One item was for runaway, 6 items for deviant peers, and 2 items for drug use(drinking and smoking). SPSS 15.0 was used to analyze the Korea Panel Data. The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implemented and Sobel z test was perform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unaway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the deviant peers and drug use. Second, the deviant peers is correlated with drug use. Third, drug use plays an important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unaway and the deviant peers. Fourth, although the deviant peers influence on youth`s runaway, they do not explain the total variance of runaway. Fifth, it is required to study on the effect of the deviant peers on drug use.

      • KCI등재

        청소년의 여가동기가 여가만족도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조아미(Cho A-M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4 한국청소년연구 Vol.- No.39,40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여가동기가 여가만족도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성별과 학교급별로 청소년의 여가동기, 여가만족도, 안녕감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청소년의 여가동기가 여가만족도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한다.<br/> 조사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403명의 청소년이었다. 이 중에서 남학생이 196명(48.6%)이었고 여학생이 207명(51.4%)이었다. 학교급에 따라서는 중학교 1학년이 97명(24.2%), 중학교 2학년이 43명(10.7%), 중학교 3학년이 40명(9.9%), 고등학교 1학년이 115명(28.7%), 그리고 고등학교 2학년이 106명(26.4%)이었다.<br/>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여가동기 유형에 따라 여가만족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다른 패턴을 보였다. 둘째, 성별이나 학교급별에 따라 청소년의 여가동기, 여가만족도, 안녕감의 관계에 차이가 있다. 셋째, 청소년의 여가동기는 여가만족도나 안녕감에 대한 설명력이 비교적 높다. 넷째, 여가동기 중에서 내재적 동기와 확인적 조절동기는 여가만족도와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무동기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olescent's free time motivation on leisure satisfaction and well-being. The correlations among adolescent's free time motiva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well-being by gender and grade were included.<br/> The subjects were 403 adolescents. Among them, there were 196 male<br/> students and 207 female students. There were 180 middle school students and 221 high school students.<br/>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br/> First,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free time motiv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showed different patterns according to its subtypes.<br/> Second, the correlations among adolescent's free time motivation, leisure satisfaction, well-being wer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br/> Third, adolescent's free time motivation significantly explained the variance of leisure satisfaction and well-being.<br/> Fourth, internal motivation, identified regulated motivation, and amotivation had an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and well-being.

      • KCI등재

        근거이론으로 접근한 학교폭력 피해학생의 학교 적응과정

        이진숙 ( Jin Sook Lee ),조아미 ( A Mi Ch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학교폭력 피해학생의 학교적응을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탐색함으로써 피해학생의 고유한 심리적 특징이나 적응경험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피해학생의 학교적응을 돕고, 학교 적응과정에 대해 효율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학교폭력 피해학생의 학교 적응과정은 어떠한가?``로 설정하였고,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3개월 이상의 학교폭력피해 경험이 있고 폭력을 당한 이후 6개월 이상 학교에 재학 중인 중·고등학생 15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1년 3월부터 10월까지 심층면접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 개방코딩에서는 총 85개의 개념과 28개의 하위범주, 11개의 범주를 구성했다. 축코딩에서는 패러다임 모형에 의한 범주분석 결과, 인과적 조건이 ``현재 삶에서의 문제 인식``과 ``막막한 미래로 인한 절박함``으로 나타났고, 중심현상은 ``주체성의 회복``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은 ``친구에 대한 갈망``과 ``성취경험으로 인한 희망`` 이었고,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중재하는 조건으로는 ``지지체계의 특성 인식``과 ``주변에 대한 시각의 변화``가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대처방법에 변화주기``와 ``낙인감 조절하기``이고, 결과는 ``과거를 통한 깨달음`` 과 ``미래를 위한 인내``로 나타났다. 과정분석을 통해서는 ``인식의 단계``, ``동경의 단계``, ``변화시도의 단계``, ``재정립의 단계``, ``구축의 단계``의 5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택코딩을 통해 나타난 핵심범주는 ``주체성의 회복을 통한 새로운 자리매김하기``로 나타났고, ``개입형``, ``생존형``, ``대응형``, ``갈망형``으로 유형화되었다. 결론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학교폭력 피해학생의 학교 대응과정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student victims of school violence adjust well into school environment and find solutions to effectively intervene in such adjustments through understandings of victim individual`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r past experiences on adaptations while treating the school adjustments as a ``process``. Therefore, the main question of the study was ``What is the school adjustment process of school violence victims?``, and it was analyzed by applying Grounded Theory introduced by Strauss and Corbin(1998).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in middle to high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school violence for 3 months or more and went to school for 6 months or more after the viol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011 to October 2011 through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pen coding consisted of 85 concepts, 28 sub-categories and 11 categories. According to a paradigm analysis by category in axial coding, causal conditions were ``current awareness of issues in life`` and ``feeling of urgency from gloomy future``, and a central phenomenon was ``identity restoration``. Contextual conditions to obtain this central phenomenon were ``a longing for friends`` and ``hopes for fulfilling experience``, while conditions intervening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included ``recognition of a support system`` and ``change in views of surroundings``. Action/ interaction strategies were ``variating coping method`` and ``controlling the feeling of being stigmatized``, and the results were ``realization from the past`` and ``patience for future``. Through a process examination, they were analyzed to go through five stages including ``awareness stage``, ``admiration stage``, ``attempting-to-change stage``, ``redefining stage``, and ``establishment stage``. The key category appeared to be ``newly positioning oneself through recovery of identity``. And focusing on the core category, through confirmation of the relevance amongst continuously appearing categories, it was found that the process of adjustment was materialized into ``intervention``, ``survival``, ``response``, and ``craving`` types. Finally, in the conclus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school violence on student`s school adjustment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long with some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 KCI등재

        청소년지도자의청소년활동 안전의식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조아미 ( Cho A Mi ),이진숙 ( Lee Jin Sook ),강영배 ( Kang Young Ba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6 청소년복지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지도자의 청소년활동 안전의식 평가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이다. 첫째, 청소년활동 안전의식의 개념 정의를 제시하였다. 이제까지는 청소년활동, 안전, 안전의식에 대한 각각의 정의만 있을 뿐 청소년활동 안전의식의 정의는 논의되지 않았으나 이 연구를 통하여 이에 대한 개념적 정의가 도출되었다. 둘째, 청소년지도자용 청소년활동 안전의식 평가척도가 개발되고 타당화되었다. 그 과정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문헌고찰, 전문가 협의회, 내용타당도를 실시함으로써 청소년활동 안전의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69문항을 잠정적으로 도출하였다. 이후 청소년지도자 374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7개요인 38문항을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이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이론적으로 설정한 연구모형인 38문항에 대한 7개의 요인구조는 χ2 값, NFI, CFI, TLI, RMSEA 등과 같은 모형적합도 지수를 통하여 경험적 자료와 일치함을 보였다. 논의에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고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afety consciousness scale of the youth activity for youth workers. Sixty nine items were drawn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performing expert discussion, and conducting content validity. 374 youth work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7 factors and 38 items were identified by conduct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goodness of fitness indexes such as χ2 value, NFI, CFI, TLI, and RMSEA were appropriat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efinition of the safety consciousness of youth activity was suggested. In other words, this study created the integrated definition of youth activity, youth safety, and the safety consciousness of youth activity, three of which indeed have been defined separately. Second, the safety consciousness scale of the youth activity for youth workers was developed and validated. Importance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provided, and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study was proposed.

      • KCI등재

        청소년 심리 ; 자아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한 비행청소년의 문제행동 결정요인

        조아미(A Mi Cho),권두승(Doo Seong Kwon) 한국청소년학회 1998 청소년학연구 Vol.5 No.3

        본 연구에서는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문제행동과 자아관련 변인(자아중심성, 자아존중감, 자아정체감)의 관계를 분석하고 자아관련 변인들을 중심으로 한 문제행동의 결정요인과 이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춘천소년원에 수감 중인 299명의 비행청소년이었다. 연구대상을 연령별로 보면, 12세가 2명(0.7%), 13세가 9명(3.0%), 14세 27명(9.0%), 15세 88명(29.4%), 16세 96명(32.1%), 그리고 17세 52명(17.4%), 그리고 19세가 4명(1.3%)이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행동들 중에서 유흥업소 출입과 음주는 다른 문제행동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행동을 전체적으로 보느냐 아니면 각각으로 나누어 보느냐에 따라 자아관련 변인과의 상관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자아중심성과 자아정체감의 경우 이들을 하나의 개념으로 파악하느냐 아니면 여러 하위개념으로 나누어 다루느냐에 따라 문제행동과의 관계에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비행청소년의 문제행동을 결정하는 요인들로는 상상속의 청중, 목표지향성, 그리고 대인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behavior and self-related variables(egocentrism, self-esteem, self-identity), and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and their relative importance of these variables on problem behavior in inmate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99 inmate adolescents in Chuncheon Juvenile Reformatory. Among them, there were 2 twelve years old, 9 thirteen year old, 27 fourteen years old, 88 fifteen years old, 96 sixteen years old, 52 seventeen years old, and 4 nineteen years old boy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xperiences of prohibited places for adolescents and drinking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other problem behavior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behavior and self-related variables was different from whether problem behavior was analyzed by totally or individually. Third, there were different result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gocentrism, self-identity, and problem behavior, whether egocentrism and self-identity were considered by totally or individually. Finally, imaginary audience, goal-directed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 were important predictors of problem behavior in inmate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