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ritische Uberlegungen zur Richertschen Schulreform von 1924~1925

        Cho, Sangsik(조상식) 한독교육학회 2013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8 No.3

        In diesem Artikel geht es darum, den Bildungsgedanken Richerts und seine schulreformerischen Versuche von 1924~1925 kritisch zu behandeln. Das beruht darauf, dass sein padagogischer Gedanke und die von ihm am nachhaltigsten beeinflusste Schulreform in Preußen in die nationalsozialistischen Bildungsideologie einmündet. Diese Reform war nicht nur eine der Reaktionen auf die Schulkrise, die sich aus den expansiven Tendenzen im höheren Schulwesen durch die soziale Öffnung der Bildung ergeben hatte, sondern auch ein Resultat der heftigen Kampfe zwischen Interessengruppen bzw. Klassen um die Bildungserweiterung und –einschrankung. Von Standpunkt der gymnasialpädagogischen Tradition aus ordnete Richert die hohere Schule nicht rechtgemäß ein. Und die Kulturkunde oder Kernfächer, die sowohl die Methoden als auch die Prinzip für die Einheitsschule bei ihm sein sollten, vernachlässigten die Universalitätsforderungen des Bildungsideals und gerieten in eine didaktisch-methodologische Verengung. 이 논문의 목적은 독일 국가사회주의 교육사상의 한 근원을 탐색하는 데 있다. 그 대표적인 실례로서 1924/25년 중등학제 개혁을 주도했던 한스 리헤르트의 정책적 실천과 그 아래에 놓여있는 교육사상을 추적하는 데 있다. 이는 넓은 의미에서 교육이념과 실제가 긴장상태에 놓여 있음을 보여주는 교육사적으로 흥미로운 주제를 제공해준다. 논문에서는 리헤르트의 교육사상과 학교개혁의 실제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그의 개혁이 프로이센에만 국한되는것이 아니라, 국가사회주의라는 불행한 독일 현대사의 전체주의 흐름에 편승한 것임이 밝혀진다. 이러한 이념사적인 연속성 속에서 리헤르트의 교육사상의 본래 의미가 드러난다. 이는 리헤르트에 의해 주도된 프로이센의 중등학교 개혁을 거대한 학교사적(學校史的) 맥락에서 파악해야 함을 의미한다. 아울러 이 학교개혁은 오늘날에도 지속되고 있는 학교교육의 평등문제와도 직접 관련이 있다. 이 개혁안은 당시 학교교육의 기회확대가 초래한 이른바 학교위기에 대한 반응이면서 동시에 당시 학교를 둘러싼 각 이해당사자 및 계급 간의 갈등의 결과이기도 하다. 리헤르트가 추진하고자 했던 김나지움 교육과정에 대한 개혁 내용인 문화교과목 및 기본교과의 설정과 교육방법의 기본 방향은, 독일 교육사상사적인 맥락에서 보았을 때, 보편성이 결여된 민족주의적, 집단주의적 아이디어로 채워져 있고 교수방법상으로도 기술적(技術的) 사안에 매몰된 측면이 강하다. 결국 서구 및 독일 교육의 이념사에 비추어 보았을 때, 그의 개혁안에 놓여 있는 교육이념은 협소한 관점과 편견에 사로잡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전체주의 정치이념을 맹목적으로 수용한 결과에 불과하다.

      • KCI등재

        교육 공공성(公共性)의 측면에서 본 독일의 교육정책

        박종배(Jongbae Park),조상식(Sangsik Cho),임광국(Gwangguk Yim) 한독교육학회 2014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9 No.2

        최근 교육의 공공성 개념은 교육 정책 분야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을 정도로 지반이 흔들리고 있다. 특히 교육 영역에 시장주의가 침투하는 정도가 심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는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물론 역사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교육의 공공성 개념은 근대의 산물이긴 하다. 그럼에도 교육에 대한 규범적·반성적 차원에서 이에 대한 비판과 저항도 거세다. 국가와 결부된 공적(公的, official) 성격, 모든 사람이 관계하는 공통(共通, common)의 성격, 그리고 모든 이들에게 개방된(open) 성격을 교육 공공성의 준거라고 했을 때, 비교교육적으로 그 모범적 사례를 모색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 공공성의 세 가지 준거에 대체로 합치하면서 국가주도적인 특징을 가진 교육 공공성의 실례를 독일의 교육제도에서 찾았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독일의 교육정책인 의무․무상 교육, 아동 및 청소년 지원 복지 체제, 취약계층 지원 정책 등을 교육 평등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자 교육의 공공성을 보존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로 본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독일의 교육정책은 시장주의가 만연한 시대적 상황에서도 교육의 공공성이 견실하게 작동되고 있는 모범적 사례이다. Nowadays the concept educational publicity has been deprived of its safe ground, to such an extend that it becomes a target for controversial issues in the dimension of educational reality. In particular, this fact seems remarkable in a situation that the infiltration of market ideology into human education is becoming excruciating. From the point of historical view, the concept of educational publicity is naturally one of the western modern achievements. Nevertheless critical and resistant winds against such an unpleasant tendencies are also blowing in the fields of the normative and reflective pedagogy. When we consider the official characteristic related to state, the common one connected with people of all and the open one to people of all as three refinedly chosen references to educational publicity, a representative sample can be laid out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educational study. For this reason the article concludes that the educational policy in Germany is in accord with above-mentioned references to educational publicity and a stately led type. The compulsory and free education, institutional welfare for backing children and teenagers and support system for vulnerable social group are educational-political endeavors in order to actualize educational equality, and can be the standard of how we measure educational publicity. Clearly the institutional model of German educational policy is working soundly with undamaged state of educational publi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