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양 염류농도가 시설토마토의 생육, 수량, 광합성속도 및 무기양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

        이한철(Han Cheol Rhee),조명환(Myeung Whan Cho),이시영(Si Young Lee),최경이(Gyeong Lee Choi),이재한(Jae Han Le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7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6 No.4

        본 연구는 토양 염도(EC)에 따른 토마토의 생육효과를 검토코자 토양 염류농도(EC)를 각각 1.0, 2.5, 5.0 및 7.5dsㆍm?¹로 두어 폿트 실험을 수행하였다. 토마토의 초장, 생체중, 건물중 등 생육은 토양 중 염류농도가 높을수록 억제되었으며 특히 EC 5.0dsㆍm?¹이상의 염류농도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지상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초장과는 달리 EC 7.5sㆍm?¹에서 감소하였다. 반면 뿌리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지상부와는 달리 EC 5.0dsㆍm?¹까지는 차이가 없었으나 EC 7.5dsㆍm?¹에서는 매우 감소하였다. 평균과중은 EC 5.0dsㆍm?¹에서 92g으로 EC 1.0dsㆍm?¹의 129g보다 37g이나 가벼웠고 착과수는 평균과중과는 달리 EC 7.5dsㆍm?¹ 이상에서 감소하였다. 수량은 EC 5.0, EC 7.5dsㆍm?¹에서 각각 3,810, 3,216㎏/10a로 EC1.0dsㆍm?¹의 5,488㎏/10a보다 가각 31%, 41% 감소하였다. 토마토 과실의 당도와 산도는 염류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토양 중 EC 5.0dsㆍm?¹이상에서 과실당도가 5.2%이상 증가하였다. 잎의 수분퍼텐셜 및 엽록소, 기공전도도 및 광합성 함량은 염류농도가 높을수록 억제되었다. 총 T-N, P 및 Na 함량은 염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Ca, Mg 및 K 함량은 염류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Na함량은 증가하였으며 다른 성분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igh concentrations of salts in soil on the growth, yield, quality, photosynthetic rate, and mineral uptake of tomato (‘House Momotaro’) in pot cultivation. The growth of tomato such as plant height, top plant weight and root weight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s of salts in soils increased. Yield decreased by 31% and 41% in EC 5.0 and 7.5 dSㆍm?¹,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salt concentration of EC 1.5 dSㆍm?¹. Yield reduction was caused by low mean weight and number of fruit if at high salt concentration in soil, and affected by low photosynthetic rate and water potential in leaf. The rate of blossom-end rot was highest (16.7%) in EC 7.5 dSㆍm?¹ and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s of salts in soils increased. The contents of soluble solids and titratable acid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s of salts in soils. Photosynthetic rate, water potential and stomatal conductance in leaf decreased as the salt concentration in soil increased. The higher the salt concentration in soil, the lower the mineral uptake such as T-N, P, K, Ca and Mg but, the higher the content of Na.

      • KCI등재

        토양 염류농도가 시설토마토의 생육, 수량, 광합성속도 및 무기양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

        이한철(Han Cheol Rhee),조명환(Myeung Whan Cho),이시영(Si Young Lee),최경이(Gyeong Lee Choi),이재한(Jae Han Le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5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4 No.2

        본 연구는 토양 염도(EC)에 따른 토마토의 생육효과를 검토코자 토양 중 염류농도(EC)를 각각 1.0, 2.5, 5.0 및 7.5dSㆍm?¹로 두어 폿트 실험을 수행하였다. 토마토의 초장, 생체중, 건물중 등 생육은 토양 중 염류농도가 높을수록 억제되었으며 특히 EC 5.0dSㆍm?¹ 이상의 염류농도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지상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초장과는 달리 EC 7.5dSㆍm?¹에서 감소하였다. 반면 뿌리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지상부와는 달리 EC 5.0dSㆍm?¹까지는 차이가 없었으나 EC 7.5dSㆍm?¹에서는 매우 감소하였다. 평균과중은 EC 5.0dSㆍm?¹에서 92g으로 EC 1.0dSㆍm?¹의 129g보다 37g이나 가벼웠고 착과수는 평균과중과는 달리 EC 7.5dSㆍm?¹ 이상에서 감소하였다. 수량은 EC 5.0, C 7.5dSㆍm?¹에서 각각 3,810, 3,216㎏/10a로 EC 1.0dSㆍm?¹의 5,488㎏/10a보다 각각 31%, 41% 감소하였다. 토마토 과실의 당도와 산도는 염류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토양 중 EC 5.0dSㆍm?¹ 이상에서 과실당도가 5.2% 이상 증가하였다. 잎의 수분퍼텐셜 및 엽록소, 기공전도도 및 광합성 함량은 염류농도가 높을수록 억제되었다. 총 T-N, P 및 Na 함량은 염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Ca, Mg 및 K 함량은 염류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Na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다른 성분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igh concentrations of salts in soil on the growth, yield, quality, photosynthetic rate, and mineral uptake of tomato ('House Momotaro') in pot cultivation. The growth of tomato such as plant height, top plant weight and root weight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s of salts in soils increased. Yield decreased by 31% and 41% in EC 5.0 and 7.5 dSㆍm?¹,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salt concentration of EC 1.5 dSㆍm?¹. Yield reduction was caused by low mean weight and number of fruit if at high salt concentration in soil, and affected by low photosynthetic rate and water potential in leaf. The rate of blossom-end rot was highest (16.7%) in EC 7.5 dSㆍm?¹ and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s of salts in soils increased. The contents of soluble solids and titratable acid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s of salts in soils. Photosynthetic rate, water potential and stomatal conductance in leaf decreased as the salt concentration in soil increased. The higher the salt concentration in soil, the lower the mineral uptake such as T-N, P, K, Ca and Mg but, the higher the content of Na.

      • KCI등재

        서낙동강 유역 평강천의 수질 특성과 용수원에 따른 토마토 및 오이의 생육

        이한철(Han Cheol Rhee),조명환(Myeung Whan Cho),이시영(Si Young Lee),최경이(Gyeng Lee Choi),이재환(Jae Han Le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서낙동강 유역 평강천의 수질을 분석하고 이 하천수의 대체 용수원으로 지하수나 빗물이 가능한지를 검토코자 수행되었다. 평강천의 염 농도(EC)는 계절에 따라 차이가 컸으며 갈수기인 3월~5월에는 EC 3.22~3.62dSㆍm?¹로 매우 높았고 성수기인 6월부터 점점 낮아져 9월에는 EC 2.37dSㆍm?¹까지 낮아졌다. 염 농도(EC)는 평강천의 위치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여 상류는 EC 0.71dSㆍm?¹, 중류는 2.38dSㆍm?¹, 하루는 3.02dSㆍm?¹였다. 초장, 생체중, 건물중 등 생육이 토마토, 오이 모두 하천수보다 빗물이나 수돗물에 좋았다. 평균과중은 토마토는 수돗물이 가장 무거웠으나 오이는 처리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착과수는 토마토, 오이 모두 하천수가 가장 적었으며 빗물과 수돗물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수량은 토마토에서는 수돗물이 10,594㎏/10a으로 가장 많았으며 빗물, 하천수 순이었다. 오이는 각각 수돗물이 11,826, 빗물이 10855㎏/10a로 하천수보다 44, 33% 많았다. 토마토 과실의 품질에서 당도는 하천수가 다소 높은 경향이었으나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배꼽썩음과의 발생은 하천수가 가장 많았다. T-N 및 P의 함량은 토마토, 오이 모두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Ca 함량은 토마토에서는 하천수보다 빗물이나 수돗물이 많았고 오이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반면 Na 함량은 Ca와 달리 하천수에서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서낙동강 유역의 농업 용수원으로 하천수 대신 지하수나 빗물을 이용하면 토마토 생육에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is the chemical properties of Peunggang river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irrigation sources on the growth of tomato and cucumber. The salt concentration in Peunggang river was high by 3.22-3.62 dSㆍm?¹s from March to May and lower gradually from April to February of next year, which was also lower in upper stream than in middle or low stream of Peunggang river. The growth such as plant height, fresh weight and dry weight in tomato and cucumber was better in drain water and tap water irrigation than in PR water (Peunggang river) irrigation. Mean fruit weight was highest in the tap water, and that of cucumber was no significance in the treatments. The number of setting fruit was lower in the PR water than in the treatments, and which was no significance between rain water and tap water. The yield of tomato and cucumber was found to be highest by 10,594 and 11,826 ㎏/10a in tap water, respectively and also lowest in the PR water among the three treatments. The fruit quality, soluble solids of tomato shows a tendency to increase in the PR water as compared with the other treatment, and the rate of blossom-end rote was higher by 13.6% in the PR water. T-N and P content of tomato and cucumber were no significance in the treatments. Ca content was lowest, but Na content highest in the PR water. It was thought that a rain water and tap water as alternative irrigation source of a PR water were proper.

      • KCI등재

        파프리카 육묘기간 및 육묘블록의 크기가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최경이(Gyeong Lee Choi),조명환(Myeung Whan Cho),정재완(Jae Woan Cheong),노미영(Mi Young Roh),이한철(Han Cheol Rhee),강윤임(Yun im Ka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1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0 No.4

        파프리카 공정육묘시 육묘일수와 적정 육묘소요면적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육묘블록의 크기를 5 × 5㎝, 7.5 × 7.5㎝, 10 × 10㎝로 달리 하여 25, 30, 35, 40, 45, 50일간 육묘하는 시험처리를 하였다. 묘소질은 25일 육묘시에는 육묘블록의 크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육묘기간이 길어지면 5 × 5㎝ 블록처리에서 나빠졌다. 7.5 × 7.5㎝와 10 × 10㎝간에는 엽수와 엽면적을 제외한 생육은 차이가 없었다. 정식이후 생육은 정식 후 35일까지는 육묘기간이나 블록크기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육묘기간이 길어지고, 육묘블록의 크기가 작을수록 나빠졌다. 개화시기도 35일 육묘처리까지는 처리간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이후 육묘기기간이 길어지고 육묘블록의 크기가 작을수록 개화가 지연되었다. 수량은 30일과 35일 육묘구가 가장 많았고, 40일 이상 육묘할 경우 육묘기간이 길고 육묘블록의 크기가 작을수록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ursery period and block size on seedling quality and fruit yield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Cupra’). Seeds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Cupra) were sown in rockwool plugs. Seedlings were transferred and grown to the rockwool block different sizes: 5 × 5, 7.5 × 7.5 and 10 × 10 ㎝ at sowing after 15 days. The plants were transplanted by 25, 30, 35, 40, 45 and 50 days we planted the seeds to the rockwool slabs. Seedling growth was not influenced by block size in the 25 day old plant, since then growed poorly with increasing nursery period in the 5 × 5 cm block size, plant height, stem diameter, fresh weight, dry weight have no difference from 10 × 10 cm and 7.5 × 7.5 ㎝, but leaves and leaf area were higher 10 × 10 ㎝ than the 7.5 × 7.5 ㎝ block size. Growth of the paprika in field 80 days after sawing did not differ from nursery period and block size below 35 days old, but decreased with increasing nursery period and decreasing block size beyond 40 days old. Flowering did not differ from nursery period and block size below 35 days, but delayed with increasing nursery period and decreasing block size beyond 40 days old. The highest yield was obtained from 30 and 35 days old,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nursery period and decreasing block size beyond 40 days old.

      • KCI등재

        서낙동강 유역 평강천의 수질 특성과 용수원에 따른 토마토 및 오이의 생육

        이한철(Han Cheol Rhee),조명환(Myeung Whan Cho),이시영(Si Young Lee),최경이(Gyeong Lee Choi),이재한(Jae Han Le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5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4 No.2

        본 연구는 서낙동강 유역 평강천의 수질을 분석하고 이 하천수의 대체 용수원으로 지하수나 빗물이 가능한 지를 검토코자 수행되었다. 평강천의 염 농도(EC)는 계절에 따라 차이가 컸으며 갈수기인 3월~5월에는 EC 3.22~3.62dSㆍm?¹로 매우 높았고 성수기인 6월부터 점점 낮아져 9월에는 EC 2.37dSㆍm?¹까지 낮아졌다. 염 농도(EC)는 평강천의 위치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여 상류는 EC 0.71dSㆍ?¹, 중류는 2.38dSㆍm?¹, 하류는 3.02dSㆍm?¹ 였다. 초장, 생체중, 건물중 등 생육이 토마토, 오이 모두 하천수보다 빗물이나 수돗물에 좋았다. 평균과중은 토마토는 수돗물이 가장 무거웠으나 오이는 처리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착과수는 토마토, 오이 모두 하천수가 가장 적었으며 빗물과 수돗물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수량은 토마토에서는 수돗물이 10,594㎏/10a으로 가장 많았으며 빗물, 하천수 순이었다. 오이는 각각 수돗물이 11,826, 빗물이 10855㎏/10a로 하천수보다 44, 33%많았다. 토마토 과실의 품질에서 당도는 하천수가 다소 높은 경향이었으나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배꼽썩음과의 발생은 하천수가 가장 많았다. T-N 및 P의 함량은 토마토, 오이 모두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Ca 함량은 토마토에서는 하천수보다 빗물이나 수돗물이 많았고 오이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반면 Na 함량은 Ca와 달리 하천수에서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서낙동강 유역의 농업 용수원으로 하천수 대신 지하수나 빗물을 이용하면 토마토 생육에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is the chemical properties of Peunggang river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irrigation sources on the growth of tomato and cucumber. The salt concentration in Peunggang river was high by 3.22~3.62 dSㆍm?¹s from March to May and lower gradually from April to February of next year, which was also lower in upper stream than in middle or low stream of Peunggang river. The growth such as plant height, fresh weight and dry weight in tomato and cucumber was better in drain water and tap water irrigation than in PR water (Peunggang river) irrigation. Mean fruit weight was highest in the tap water, and that of cucumber was no significance in the treatments. The number of setting fruit was lower in the PR water than in the treatments, and which was no significance between rain water and tap water. The yield of tomato and cucumber was found to be highest by 10,594 and 11,826 ㎏/10a in tap water, respectively and also lowest in the PR water among the three treatments. The fruit quality, soluble solids of tomato shows a tendency to increase in the PR water as compared with the other treatment, and the rate of blossom-end rote was higher by 13.6% in the PR water. T-N and P content of tomato and cucumber were no significance in the treatments. Ca content was lowest, but Na content highest in the PR water. It was thought that a rain water and tap water as alternative irrigation source of a PR water were proper.

      • KCI등재

        멜론 관비재배시 고품질 과실생산을 위한 관수량 조절

        이한철(Han Cheol Rhee),조명환(Myeung Whan Cho),엄영철(Young Cheol),박진면(Jin Meun Park),이재한(Jae Han Le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8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7 No.4

        멜론의 관비재배시 고품질 과실을 생산하기 위해 과실비대기 이후 관수시점을 20~25, 30~35 그리고 45 ~50(-㎪)로 각각 설정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관수량은 관수개시점 45~50(-㎪)가 115㎜로 20~25(-㎪)구보다 2배 적었다. 줄기의 길이는 45~50(-㎪)구에서 144㎝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다소 짧았으나 절간장은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 잎 생체중 및 건물중은 45~-50(-㎪)에서 각각 512, 58.3g으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가벼웠다. 과중은 관수량이 적은 45~50(-㎪) 처리구가 1,634g로 관수량이 많은 20~25(-㎪)구에 비해 다소 가벼웠다. 과경은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과고는 유의성 있게 작았다. 총수량은 관수랑이 많은 처리구에서 다소 많으나 상등품수량은 관수량이 적은 45~50(-㎪)구가 2,531㎏/10a로 가장 많았다. 과실의 당도는 관수량이 적은 45~50(-㎪)구가 15.2"Bx로 20~25(-㎪)구보다 0.9°Bx 정도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멜론의 관비재배시 개화 후부터 과실비대기 까지는 관수개시점을 15~20(-㎪)로 설정하여 과실의 비대에 수분이 부족하지 않게 관리하고 과실비대기 이후에는 관수량을 줄여 45~50(-㎪)로 관리하면 당도가 높은 과실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irrigation amount to produce high quality melon fruit in fertigation culture, Irrigation amount of during fruit harvesting period was doubled at the low irrigation point (-45~50 ㎪) treatment as 115 ㎜ as than that of the high irrigation point (-20-25 ㎪) treatment. The plant growth rates such as stem length, leaf weight and plant height were a little diminished at the low irrigation point (-45~50 ㎪) than those of the other treatments. Internode length was however not affected by irrigation amount. Fruit weight was lighter at the low irrigation point (-45~50 ㎪) than that of at the high irrigation point and fruit height was shorter, but fruit diameter was not affected by irrigation amount. Fruit soluble solid was 0.9°Bx higher at the low irrigation point (-45~50 ㎪) than at the high irrigation point (-20~25 ㎪) and net index was higher. Total marketable yield was highest by 3,937 ㎏/10a at the high irrigation point (-20~25 ㎪), but the excellent marketable yield was highest by 2,531 ㎏/10a at the low irrigation point (-45~50 ㎪). Inorganic contents of the soil N, K, Ca and Mg were not affected by irrigation amount. It was therefore thought that optimum irrigation point to produce high quality melon fruit by fertigation culture was -45~50 ㎪ at ripening stage.

      • KCI등재

        여름철 파프리카 수경재배 시 시설 내 포그냉방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이한철(Han Cheol Rhee),최경이(Gyoeng Lee Choi),여경환(Kyung Hwan Yeo),조명환(Myeung Whan Cho),조일환(Ill Whan Cho)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5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4 No.3

        여름철에 파프리카 코이어 배지경에서 ‘Cupra’, ‘Piesta’ 2품종을 공시하여 시설 내 포그냉방 효과에 의한 파프리카 생육을 검토코자 하였다. 시설 내 포그 냉방처리를 통해 무처리보다 온실 내의 온도가 2~3℃ 낮았으며 최고온도를 35℃이하로, 그리고 실내습도도 80% 내외로 유지할수가 있었다. 초장, 엽수 등 생육은 포그냉방 처리구가 무처리에 비해 양호하였다. 평균과중은 두 품종 모두 포그냉방 처리구에서 158~160g으로 무처리보다 무거웠고, 주당 착과수는 ‘Cupra’, ‘Piesta’ 모두 포그냉방 처리구가 각각 18.4, 18.3개로 무처리에 비해 7~8개 많았다. 상품수량은 ‘Cupra’, ‘Piesta’ 두 품종 모두 포그냉방 처리구가 각각 6,027, 5,890㎏/10a으로 무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다. 과실의 당도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Cupra’, ‘Piesta’ 두 품종 모두 5~6°Bx 였으며 과육의 두께는 포그냉방 처리 효과가 없었다. 과실의 열과 발생률은 포그냉방 처리구가 낮았으며 품종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여름철 파프리카 수경재배시 포그냉방으로 시설내 온도의 강하와 습도조절이 가능하였으며 그에 따른 결과, 생육이 양호하며 과실의 품질 또한 좋아짐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fog-cooling system on the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two large-fruited paprika cultivars during summer cultivation season. The temperature inside the greenhouse equipped with fog-cooling system was 2-3℃ lower than that in the control. The results of study show the possibilities of maintaining indoor temperatures below 35℃ and relative humidity at the level of 80% using fogcooling system during hot seasons of the year. Plant height, fruit weight and number of fruits per plant were higher for both cultivars in the fog-cooling treatment compared to those in control. Mean fruit weight and yield per unit area were higher in the fog-cooling treatment than those in the control.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gar content, flesh thickness and locule number of fruits due to fog-cooling system. Number of fruits with epidermal cracking was decreased in the fog-cooling system for both paprika cultivars. Mineral contents of plants such as nitrogen (N), potassium (K), calcium (Ca), magnesium (Mg), were not affected due to fog-cooling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