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의 영어 동화 읽기에서 나타난 겹자음 발음 오류분석과 발음 지도 방안 연구

        제은주 부산敎育大學校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 영어 학습자가 영어 동화를 읽고 활용하는 가운데 겹자음 /fr/, /fl/, /pr/, /pl/ 음소가 포함된 낱말과 문장을 발음하는 학습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유형의 특징을 발견·분석하고, 학습자의 영어 동화 읽기능력이 증진되어 감에 따른 겹자음 발음 오류 유형의 특징 변화를 밝혀, 초등학교 고학년에게 올바른 발음의 표본으로 적용할 수 있는 영어 동화를 이용한 바람직한 발음지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첫째, 초등 학생이 겹자음 /fr/, /fl/, /pr/, /pl/이 포함된 낱말과 문장으로 이루어진 영어 동화를 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유형은 영어 학습 능력에 따른 상·중·하집단에 따라 어떤 특징이 있으며 집단간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 학생이 영어/fr/, /fl/, /pr/, /pl/이 포함된 낱말과 문장으로 이루어진 영어 동화를 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유형은 영어 학습 능력에 따른 상·중·하집단에서 낱말과 문장간에 서로 차이가 있는가? 셋째, 겹자음 /fr/, /fl/, /pr/, /pl/이 포함된 낱말과 문장으로 이루어진 영어 동화를 읽는 학습자의 능력이 증진되어감에 따라, 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 유형은 영어 학습 능력에 따른 상·중·하집단의 특징과 차이가 어떻게 변화하는가? 넷째, 겹자음 /fr/, /fl/, /pr/, /pl/이 포함된 낱말과 문장으로 이루어진 영어 동화를 읽는 학습자의 능력이 증진되어 감에 따라, 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 유형은 영어 학습 능력에 따른 상·중·하집단에서 낱말과 문장간에 서로 차이가있는가? 이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는 초등학교 4년째 영어 교과를 학습해 오고 있는 6학년 학생들을 진단 및 수행 평가를 이용하여 60명을 실험 대상으로 선정하고 오류 변인을 줄이기 위하여 상·중·하 20명으로 나누어 실험에 임했다. 3개월 동안 음철법을 이용하여 기본 발음 음소를 학습하고, 4개월에 걸쳐 목표 겹자음이 들어 있는 파닉스 동화와 일반 동화를 재구성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읽고 활용하면서 겹자음 낱말과 문장 읽기 학습을 하였다. 각 겹자음 음소당 10문항 합계 40문항으로 구성된 동화장면이 함께 제시되어 있는 낱말 및 문장 읽기 검사지를 1· 2차에 걸쳐 발음하게 하고, 발견한 오류 유형의 빈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발견된 영어 겹자음 발음 오류 유형은 L1모음삽입, L1자음간섭, 과일반화, 회피, 기타 현상이 있으며 학습자의 동화 읽기 능력이 증진되어 감에 따라 오류 유형과 집단에 따라 띠는 오류 양상은 변화하였다. 둘째, 겹자음 발음 오류 유형 중 제일 많은 빈도로 일어나는 유형은 낱말 읽기와 문장 읽기에서 공통적으로 L1모음삽입 현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동화를 이용한 겹자음 발음 학습을 통하여 L1모음삽입 현상을 많이 감소시킬 수 있었다. 넷째, 동화를 이용한 문장의 반복적 발화 연습으로 인하여 오류 유형별 낱말 읽기와 문장 읽기간 빈도 차이가 없어졌다. 영어교과가 초등학교부터 도입되면서 초등학생의 잘못된 발음이 화석화되는 것을 예방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따라서 모국어 전이로 인하여 발음하기 어려운 음소에 관한 오류 분석이 계속되어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적합한 발음 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error types occurring in the pronunciation /fl/, /fr/, /pl/, and /pr/consonant clusters -which do not exist in Korean- in English stories by Korean elementary sixth grade students. As their story reading ability grows, this study investigated transitions and differences between first test and second test error types in pronouncing the consonant clusters. The study also indicates a desirable pronunciation teaching method by using English stories applicable to Korean elementary sixth grade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using a quasi-experimental control group design. Sixty students from the sixth grade of N elementary school in Pusan were chosen and devided into three groups by scores of their English proficiency test. The subjects for study were : First, which error types will occur in pronouncing the /fl/, /fr/, /pl/, and /pr/of consonant cluster s when reading words and sentences of English stories and is there a difference in error types among the three ability groups (high, mid, low)?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in error types occurring in pronouncing the /fl/, /fr/, /pl/, and /pr/consonant clusters in reading English stories between words and sentences? Third, as learners' story reading ability grows, is there a difference in error types occurred in pronouncing the /fl/, /fr/, /pl/, and /pr/consonant cluster s in reading words and sentences of English stories among three groups (high, mid, low). Fourth, as learners' story reading ability grows, is there a difference in error types occurred in pronouncing the /fl/, /fr/, /pl/, and /pr/consonant clusters in reading English stories between words and sentences. It was hypothesized that there would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ypes of errors and frequency of errors among the three proficiency groups. As a first step, the English pronunciation of vowels and consonants were taught through the phonics teaching methods. As a second step, the reading of English phonics stories, folk tales and fiction stories containing English clusters were taught through reading or the creation of stories by various methods. As a third step, the learners' pronunciation was observed and recorded by writing down on testing paper including story scene and analyzed by three evaluators.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error types occurring in pronouncing the /fl/, /fr/, /pl/, and /pr/consonant clusters are : L1 vowel transfer, L1 consonant tranfer, overgeneralization and avoidance ; and that the error types in the three groups changed according to their improving pronunciation skill. Second, there was a preponderance of the L1 vowel transfer of error types in all three groups. Third, the frequency of L1 vowel transfer was reduced by reading English stories containing the consonant clusters. Fourth, frequency difference in each error type between words and sentences was reduced by reading sentences in various stories repeatedly. The necessity of prevention errors in pronouncing was increased sin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studied English subject. The study indicates that more research of error types analysis of English phonemes which Korean elementary learners have difficulty pronouncing, and for desirable methods of teaching pronunciation, have to be continued.

      • 한국인과 북한이탈주민의 거절화행 실현 양상 비교 연구

        제은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인과 북한이탈주민의 거절화행 실현 양상을 비교 분석하여 한국의 다문화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사회 적응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돕기 위한 화행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2000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한 북한이탈주민은 2015년 10월 기준으로 2만 6천 명이 넘게 거주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언어 교육은 첫 입국 시 이루어지는 남한 사회 정착을 위한 사회 교육 기간을 제외하고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남한의 공용어인 ‘표준어’와 북한의 ‘조선어’는 같은 뿌리를 둔 ‘한국어’로 그 문법체계와 구성이 동일하다. 그러나 ‘원활한 의사소통’이라고 하는 것은 그 언어의 문법체계만을 이해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 언어가 사용되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는 적절한 반응을 보일 수 있어야 비로소 성공적이고 원활한 의사소통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여러 연구를 통해 분단으로 인해 단절된 70년 동안 남북의 사회문화가 상당히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언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남북의 언어 문화, 즉 사회화용적 차이로 인한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보고한 연구들이 다수 있었다. 이 연구들에 의하면 남한 사람뿐만 아니라 북한이탈주민 또한 정착 과정에서 처음 부딪히는 어려움으로 언어 적응에 대한 문제를 꼽고 있으며, 그 원인으로 낯선 외래어와 서로 다른 언어 문화를 들고 있었다. 즉 남북의 다른 사회문화로 인해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거나 오해하는 일이 종종 발생하는 것이다. 언어의 사회화용적인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그 언어의 문법체계를 숙지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것으로 아무리 그 언어의 문법을 이해한다고 하더라도 상황에 맞게 적절히 사용하지 못한다면 그 언어를 완전히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없다. 북한이탈주민이 겪는 어려움은 바로 이러한 것으로 남한 사람과 대화할 때 남한 사회문화에서 기대되는 적절한 반응을 보이지 못하기 때문에 오해를 받거나 의사를 제대로 전달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연구는 같은 한국어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분단으로 인한 남북의 사회화용적 맥락 및 지식의 변화로 인해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것과 북한이탈주민이 한국 사회 내에서 다문화 사회의 구성원으로 차지하는 중요성을 인식하여 여러 화행 중 북한이탈주민이 가장 큰 어려움을 느낀다고 응답한 거절화행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인과 북한이탈주민의 거절화행 실현 양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50명과 북한이탈주민 50명을 대상으로 서면 담화완성형 설문(Discourse Completion 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담화완성형 설문(DCT)은 화자와 청자의 사회적 지위 및 친밀도, 공사 관계를 고려하여 총 24가지 상황으로 설정하였고, 서면 DCT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사후 인터뷰를 실시하여 설문 응답의 이유 또는 거절화행 발화 시의 어려움 등에 대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 결과는 Beebe 외(1990)를 포함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총 25가지 전략으로 설정한 거절화행의 전략 분석 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집단별, 상황별 및 변인별 사용 빈도와 두 집단의 거절 표현의 특징과 차이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과 북한이탈주민의 거절화행 발화 시 사용하는 전체 전략의 개수는 북한이탈주민이 다소 높았으며, 이는 연구에 참여한 북한이탈주민의 한국 거주기간이 4년 이상이라고 응답한 참여자가 54%가 넘고, 80%가 여성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하였다. 둘째, 한국인과 북한이탈주민이 최고빈도로 사용한 거절 전략은 ‘불가피한 이유 설명하기’와 ‘사과하기’로 두 집단이 동일했다. 그러나 변인별로 두 집단이 높은 빈도로 사용한 전략을 10개씩 확인할 결과 최고빈도 사용 전략을 제외한 나머지 전략의 선호 순위에는 차이가 있었다. 한국인이 선택한 고빈도 전략 중에는 ‘개인적인 이유 설명하기’나 ‘단정적 거절’이 한 번도 포함되지 않았던 것에 비해 북한이탈주민의 경우에는 모든 상황에서 두 전략이 고빈도 선호 전략에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각 상황별로 두 집단이 사용한 거절 전략의 양상 및 구체적인 거절 표현을 살펴본 결과, 사용한 거절 전략이 동일하다 할지라도 그 구체적인 표현에는 차이가 있어 북한이탈주민이 한국인에 비해 다소 단정적이고 단호한 느낌을 주는 표현을 많이 사용함을 알 수 있었다. 사후 인터뷰에서도 이러한 표현 및 전략 사용의 차이로 인해 화용적 실패를 경험한 적이 많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화행 및 언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기존의 외래어와 한자어 등 어휘 교육에 집중했던 하나원의 북한이탈주민 대상 한국어 교육에 화행을 포함한 화용 교육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비록 한국어를 사용한다 할지라도 분단으로 인한 사회문화의 차이로 인해 의사소통에서 실패를 경험하는 북한이탈주민의 어려움을 스스로 해결할 때까지 기다릴 것이 아니라 다문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한국어 교육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계속적인 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실제 화행 양상을 살펴본 연구는 매우 적은 편이다. 앞으로 한국어 교육 및 다양한 분야에서 북한이탈주민 및 남북의 언어와 문화에 관심을 갖고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pect of refusal speech acts between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 refugees. The division of territory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caused differences in sociocultural context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s time passed over 70 years. Although both countries speak the same language, now both feel difficult to understand each other. When North Korean refugees arrive South Korea, they are required to stay at Hanawon, which is the settlement support facility for North Korean refugees, where they receive education on South Korean language and culture. For the most time during the South Korean language class they learn about loan words which are used only in South Korea, but not in North Korea. For the fluent communicati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not only grammar and vocabulary but also sociocultural context in the language. Speakers usually say with expectations of listeners’ reaction which is socially acceptable. Therefore to communicate successful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pragmatic competence and sociopragmatic knowledge. The data were elicited using Written Discourse Completion Test(DCT) from 50 native South Korean speakers and 50 North Korean refugees. The DCT consists of the questions classified into 12 requesting situations and 12 inviting situations depending on three factors: social status, ages, and intimacy and relationship at work. The result of DCT was analyzed by the classification of refusals which is built up for this study based on classifications of previous studies including Beebe et al.(1990). The current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fusal strategy frequency, North Korean refugees use a little more refusal strategies than South Koreans. The result showed such since 54% North Korean refugee survey respondents had lived in South Korea for more than 4 years and also 80% of the North Korean refugee survey respondents were female respondents. Second, both groups prefer ‘Apology’ and ‘Explanation about unavoidable circumstance’ refusal strategies.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expressions and strategies. The expressions of North Korean refugees are more conclusive and determined than the expressions of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 refugees use ‘Explanation about personal reason’ and ‘Determined refusal’ in every situation, while South Koreans don’t use them at all. That is the reason North Korean Refugees fail in fluent communication with South Koreans. With the result above, some implications can be drawn in South Korean speech acts of refusal. First, North Korean refugees should be considered as members of South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Second, it is necessary to give North Korean refugees an opportunity to practice South Korean speech acts including refusal. Also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not only vocabularies but also sociopragmatic knowledge to communicate with South Koreans successfully. It is important for us to understand North Korean refugees and North Korea. And this effort of studying North Korean language and culture should be continued to understand each other better in various field including South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Key words: speech act, refusal, refusal strategies, north korean refugee

      • 대학생의 BMI와 골초음파상태에 따른 영양섭취실태조사

        제은주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nutrition intake conditions with BMI and bone mineral density of university students. T-score was generated with quantitative ultrasound method involving 886 students(male 462, female 424) of Soonchunhyang University. Using the Inbody 4.0(Biospace Co. Ltd, Seoul, Korea), we measured body fat, height, weight and then calculated BMI(Body Mass Index). The nutritional conditions were estimated through the 24-hour recall method, and the nutrition intake was analyzed with the CAN-Pro3.0(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for Professionals). Based on WHO standard, the bone mineral density was compared by T-score; T-score≧-1 is Normal group; T-score<-1 is Osteopenia group. Based on Asian standard of WHO, BMI was divided into 3 groups; BMI< 18.5 is UW group; 18.5≦ BMI < 25 is NW group; 25≦BMI is OW group. In the two bone mineral density groups, male students showed the distribution of 89.4% on the Normal group and 10.6% on the Osteopenia group and female students showd the distribution of 96% on the Normal group and 4% on the Osteopenia group. The male students were more in the Osteopenia group(p<0.001). In the three BMI groups, male students showed the distribution of 2.4% on the UW group, 45.0% on the NW group and 52.6% on the OW group and female students showed the distribution of 10.4% on the UW group, 71.9% on the NW group and 17.7% on the OW group. The female students were more in the UW group, and the male students were more in the OW group(p<0.001). In result of the multi- regression analysis of the elements affecting on student’s bone mineral density, the higher the BMI and the lower the body fat, the higher the bone mineral density. In case of the nutrient intake by bone mineral density group, male students had no considerable differences and female students showed considerable differences in vitamin C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Osteopenia group(p<0.001).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nutrients. In case of nutrient intake by BMI group, male students had no considerable differences, and female students showed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energy, protein, pyridoxin, phosphorus, iron and zinc (p<0.05). In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of meal by bone mineral density group, male students had no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Normal group and Osteopenia group, but the evaluations of NAR, MAR, INQ was higher in the Normal group, and female students had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intake of vitamin C in the NAR(p<0.001). In the INQ,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protein(p<0.05), vitamin C(p<0.001), niacin(p<0.01), zinc(p<0.05). In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by BMI groups, there was no considerable differences in both of male and female students. In general, it has been well known that body fat helps enhance bone mineral density, but this study revealed that bone mineral density showed the positive relation with BMI but the negative relation with body fat.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on body fat and bone mineral density more studies are needed. 영양섭취는 적절한 신체활동과 함께 골밀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환경적 인자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BMI와 골초음파상태에 따른 영양섭취실태와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순천향대학교에서 실시한 학생대상 건강검진에 참여한 20~29세의 대학생 886명(남학생462명, 여학생424명)으로 비만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신장과 체중을 이용한 BMI(Body Mass Indax)를 산출하였고, 체지방량은 BIA (Bioelectrical Impedence Analysis)를 이용한 Inbod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영양상태는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CAN-Pro3.0을 이용하여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하였다. 골밀도의 측정은 골 조직을 통과하는 초음파의 감쇠와 속도를 측정하여 골다공증을 진단하는 정량적초음파(Quanitative ultrasound)법으로 broadband ultrasound attenuation (BUA; dB/MHz)를 측정하여 WHO에서 제시한 기준에 따라 20~30대 인구의 평균 골밀도를 기준으로 T-score를 산출하였다. 골초음파상태는 WHO에서 제시한 기준에 따라 T-score별로 T-score≧-1 은 정상군, T-score<-1 은 골감소군의 두군으로 나누어 영양섭취실태를 비교 하였다. BMI는 WHO의 아시아인의 기준에 따라 BMI< 18.5는 UW, 18.5≦ BMI < 25는 NW, 25≦ BMI는 OW의 세군으로 나누어 영양섭취실태를 비교하였다. 골초음파상태별 두 군의 분포는 남학생의 정상군은 89.4%, 골감소군은 10.6%의 분포를 보였고, 여학생의 정상군은 96%, 골감소군은 4%로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골감소군의 분포가 더 높았다(p<0.001). BMI별 세군의 분포는 남학생의 경우 UW군은 2.4%, NW군은 45.0%, OW군은 52.6%였고 여학생의 경우 UW군은 10.4%, NW군은 71.9%, OW군은 17.7%로 UW군은 여학생이 많았고 OW군은 남학생에서 더 많았다(p<0.001). 조사 대상자들의 골초음파상태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연령, 성별을 통제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BMI가 높을수록 그러나 체지방의 비율은 낮을수록 골초음파 상태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골초음파상태에 따른 영양소섭취량은 남학생의 경우 각 군별 영양소 섭취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학생의 경우 비타민C가 정상군과 골감소군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다른 영양소 섭취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BMI군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은 남학생의 경우 각 군별 영양소 섭취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학생의 경우 에너지, 단백질, 피리독신, 인, 철, 아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식사의 양적 질적 평가에서는 남학생에서 정상군과 골감소군 사이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정상군의 NAR, MAR, INQ 평가가 더 높았다. 여학생의 경우 NAR중 비타민C의 섭취량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INQ는 단백질(p<0.05), 비타민C(p<0.001), 나이아신(p<0.01), 아연(p<0.05)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BMI군별 식사의 양적 질적 평가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그동안 체지방은 골밀도를 높이는데 기여한다고 알려져 왔는데 본 연구에서는 골초음파상태가 BMI와는 양의 상관성을 체지방률과는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체지방과 골밀도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