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덕유산국립공원의 식생에 관한 연구 -남덕유지역 낙엽활엽수림을 중심으로-

        김현숙 ( Hyoun Sook Kim ),이상명 ( Sang Myong Lee ),정흥락 ( Heung Lak Chung ),송호경 ( Ho Kyung So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3 No.5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 남덕유지역 낙엽활엽수림의 식생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2007년 5월부터 2008년 9월까지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구배분석을 실시하여 임분의 구조와 특성을 비교하였다. 남덕유지역의 낙엽활엽수림을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군락(전형하위군락, 철쭉꽂하위군락, 그늘사초하위군락), 졸참나무군락(전형하위군락, 굴참나무하위군락, 서어나무하위군락), 서어나무군락, 들메나무군락 및 층층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군락 간에는 종조성, 계층구조 및 식피율 등 생태적 특정에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군락에서 나타난 중요치는 신갈나무가 가장 높고(67.8) 다음으로 들메나무(44.8), 졸참나무(24.5), 당단풍(17.0), 층층나무(15.9), 쇠물푸레(11.5), 철쭉꽃(11.0), 까치박달(11.0), 쪽동백나무(10.9), 함박꽃나무(10.4), 서어나무(9.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흉고직경급을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는 정규분포형의 밀도를 나타내고 있어 당분간은 이들 수종의 우점 상태가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들메나무는 계곡부에 한정적으로 출현하며 어린 개제의 밀도가 높아 지형적인 극상림으로 발달될 것으로 판단된다. 졸참나무는 어린 개체와 중간 개체의 밀도가 높아 앞으로 계속 높은 우점도를 나타낼 것으로 사료된다. 남닥유지역의 낙엽활엽수림 식생을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하여 분류된 5개 군락과 11개의 환경 요인으로 DCCA ordination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 군락은 해발고가 높고 양이온치환용량과 전질소(C.E.C, T-N)가 많은 지역에 분포하였다. 들메나무군락은 해발고가 높고 수분과 치환성양이온(Ca, Mg, K)이 많은 곳에 분포하였으며, 졸참나무군락과 서어나무군락은 해발고가 낮고 양이온치환용량과 전질소가 적은 지역에 분포하였다. 층층나무군락은 타 군락과 비교해 볼 때 중간지역에 분포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ssify vegetation structure on the deciduous forest at Namdeogyu area in Deogyusan National Park from May 2007 to September 2008 using the gradient analyses and phytosociological method. The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Quercus mongolica community(Typical subcommunity, Rhododendron schlippenbachii-Q. mongolica subcommunity, Carex lanceolata-Q. mongolica subcommunity), Q. Serrata community(Typical subcommunity, Q. variabilis-Q. serrata subcommunity, Carpinus laxiflora-Q. serrata subcommunity), C. laxiflora community, 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and Corn us controversa community. Ec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pecies composition, layer structure, vegetation ratio, and the distribution of individual trees by DBH(diameter at breast heigh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ommunities. The order of important value of the forest community with DBH 2cm above plants was Q. mongolica(67.8), F. mandshurica(44.8), Q. serrata(27.5), Acer pseudo-sieboldianum(l7.0), C. controversa(15.9), F. sieboldiana(11.5), R. schlippenbachii(11.0), C. cordata(11.0), Styrax obassia(10.9), Magnolia sieboldii(10.4) and C. laxiflora(9.8). Distribution of DBH of Q. mongolica had a formality distribution, suggesting a continuous domination of these species over the other species for the time being. In contrast, F. mandshurica appeared limited to the valley of the sheet and a higher frequency of young individuals, suggesting a continuous domination of these species the development of a climax forest terrain. Q. serrata had a higher frequency of young individuals and middle individuals, suggesting a continuous domination of these species over the other species for the time being in contrast.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community and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DCCA ordination. The Q. mongolica community predominated in the highest elevation habitats which had many C.E.C and T-N. F. mandshurica community predominated in the highest elevation habitats which had many Moisture and EX-Cation. The Q. serrata community and C. laxiflora community mainly occurred in the low elevation habitats which had few C.E.C and T-N. The C. controversa community appeared on the park in the middle habitats.

      •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의 삼림식생 분석

        이호준,김인택,정흥락,전영문,윤영진,임웅규 建國大學校基礎科學硏究所 1996 理學論集 Vol.21 No.-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의 삼림식생을 분석하기 위하여 1994년 4월부터 1994년 10월까지 식물사회학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상관에 의해 현존식생도 및 녹지자연도를 작성하였으며, 순 1차 생산력과 식물현존량도 추정하였다. 군집조성표에 의한 삼림군락은 소나무군락, 곰솔군락, 굴참나무군락, 상수리 나무군락의 4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각 군락의 주요 구성종으로는 소나무군락에서 소나무, 졸참나무, 털진달래, 맑은대쑥, 산거울, 곰솔군락에서 곰솔, 소나무, 진달래, 청미래덩굴, 굴참나무군락에서 굴참나무, 조록싸리, 큰기름새, 맑은대쑥, 댕댕이덩굴, 상수리나무군락에서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큼기름새, 그늘사초, 맑은대쑥 등이다. 현존식생도에 의한 삼림군락의 분포율은 곰솔군락이 40.3%로 가장 높고, 녹지자연도는 7등급이 60.0%로 가장 넓은 분포율을 보였다. 삼림토양의 pH는 4.45∼5.32, 유기물함량은 5.61∼6.34%의 범위로 나타났다. Montreal model에 의한 순 1차 생산력은 1,555.2g/㎡/yr, 식물현존량은 14,963.32ton/㎢로 추정되었다 The forest vegetation, estimation of phyt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on on the vicinity of Wolsong Atomic Power Plant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phytosociological data. And depending on physiognomy, actual vegetation map and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DGN) was drawn in 1:50,000 scale. According to Z-M method,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4 communities; A. Pinus densiflora community, B. Pinus thunbergii community, C.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D.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Generally, Pinus densiflora, Quercus variabilis, in tree-1 layer, Quercus acutissima, Quercus variabilis, in tree-2 layer, Rhodedendron mucronulatum, Quercus serrate, in shrub layer, Artemisia keiskeana, Carex humilis, in herb layer, showed high coverage index. The pH and contents of organic matter of the forest soil collected in each sites were shown range of 4.45 to 5.32 and 5.61% to 6.34% in mean of communities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rate in actual vegetation map were the highest in Pinus thunbergii community. The average DGN showed to 5.1. Net primary production and phytomass per unit area which estimated by Montreal model were assumed in 1,555.2g/㎡/yr, 14,963.32ton/㎢, respectively.

      • 칠절봉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림의 군락구조와 토양환경

        이호준,배병호,전영문,정흥락,홍문표,김용옥,길지현 建國大學校基礎科學硏究所 1998 理學論集 Vol.23 No.-

        칠절봉 신갈나무림의 군락구조와 토양환경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식물사회학적 조사와 토양 환경을 분석하였다. 조사지역의 신갈나무림은 신갈나무군락, 철쭉꽃하위군, 큰개별꽃하위군으로 구분되었으며, 철쭉꽃하위군과 큰개별꽃하위군에서의 방형구당 평균출현종수는 각각 30종(24∼46종), 43종(31∼52종) 이었다. 피복지수치에 의한 계층별 우점순위는 교목층에서 신갈나무(6750.0), 아교목층에서 당단풍(2364.0) 관목층에서 철쭉꽃(988.5), 초본층에서 쌀새(1040.5)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신갈 나무림의 DBH 분포는 2∼10㎝ 범위의 소경목이 전체의 29.7%를 차지하였으며 전체적으로 정규분포를 나타내어 교란 후 재생과정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후계목의 발달로 인한 극상상태로의 천이가 가능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반적인 토양환경은 두 하위군 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며, 큰개별꽃하위군이 철쭉꽃하위군에 비하여 다소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환경구배분석에서 까치박달, 물푸레나무, 함박꽃나무 등은 습한 곳에 분포하고 철쭉꽃, 전나무, 국수나무 등은 건조한 곳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y structure composition and soil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Quercus mongolica forest on Mt. Chiljelbong was investigated from June 1996 to August 1997. The Q. mongolica community was classified into two subcommunity of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nd Pseudostellaria palibiniana. The 30(24-46) species per quadrat were appeared in R. schlippenbachii subcommunity and 43(31-52)species in P. palibiniana subcommunity. The dominant sequences on each stratum determined by the coverage index showed that Q. mongolica was the most dominant in tree-1 layer with 6750.0, Acer pseudo-sieboldianum in tree-2 layer with 2364.0, R. schlippenbachii in shrub layer with 988.5, and Melica onoei in herb layer with 1040.5 value. The value of diameter breast height(DBH) showed a normal distribution displaying a highest value in the range of 2∼10㎝(29.7%) in Q. mongolica forest and it was investigated being at restoration phase after disturbance. It also was investigated that the succession to climax state would be possible due to growth of successive tree. Overall, which the soil conditions make little difference between two subcommunities, P. palibiniana subcommunity was favorable than those of R. schlippenbachii subcommunity. It was shown that in an environmental gradient analysis, Carpinus cordata, Fraxinus rhynchophylla, and Magnolia sieboldii were distributed in a mesic area, but R. schlippenbachii, Abies holophylla, and Stepanandra incisa in a xeric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