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악산 분비나무림의 군집구조와 생육변동에 관한 연구

        전영문,홍문표,권재환,이재석,이승호,정흥락 국토지리학회 2009 국토지리학회지 Vol.43 No.2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tructure and the growth variation of Abies nephrolepis in the subalpine zone of the Mountain Seorak. The sampling sites were Gwittegicheongbong (1,510m above sea level), Gwanmoneungseon (1,660m above sea level), and Seorak Falls (1,060m above sea level) in the Mountain Seorak. The contents of survey are community structure and population structure, tree ring, and the status of growth. The vertical structure of Abies nephrolepis consists of three layer without a tree layer in Gwittegicheongbong and Gwanmoneungseon site, while consisting of four layers in Seorak Falls area. Population structure takes a reverse J-shape at Gwittegicheongbong, J-shape with high distribution ratio of medium size in diameter classes at Gwanmoneungseon, and stable bell-shape with diameters in the breast height being various at Seorak Falls site. With regard to tree age, the main group of trees are 20 to 60 years old adult trees at Gwittegicheongbong and Gwanmoneungseon site, while there was found a type of stable community with extreme divisions of saplings and adult groups at the Seorak Falls site. Annual change in deviation of the radial growth of Abies nephrolepis population at each of research sites shows decreasing trend in growth by approximately 20~40% during the last 20 to 30 years. 본 연구는 설악산 아고산대인 귀떼기청봉(1,510m)과 관모능선(1,660m), 설악폭포(1,060m)지역을 대상으로 분비나무림의 군집구조, 개체군구조, 연륜 및 생육 상태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귀떼기청봉과 관모능선 지점의 분비나무림은 교목층이 없는 3층 구조이고, 설악폭포지에서는 4층 구조가 발달하였다. 분비나무의 개체군 구조는 귀떼기청봉 지점에서는 역 J자형이며, 관모능선 지점에서는 J자형으로 중경목 개체의 분포비가 높다. 그리고 설악폭포 지점에서는 흉고 직경의 분포가 다양한 안정된 종형이다. 수령은 귀떼기청봉과 관모능선 지점에서 20~60년생의 성숙목 개체가 주축인 반면, 설악폭포 지점의 경우 치수집단과 성숙목 집단을 중심으로 쌍봉형의 안정된 군락 양상을 나타내었다. 각 조사지점의 연륜생장 연 편차변화는 최근 20~30년 동안에 20~40% 범위의 생장 감소 추세를 보였다.

      • KCI등재

        설악산국립공원 분비나무개체군의 구조와 동태 모니터링

        전영문,이호영,권재환,박홍철 한국환경생태학회 201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3 No.5

        설악산 분비나무 개체군의 쇠퇴징후에 대한 요인과 군락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귀때기청봉, 관모능선, 설악폭포 지역에 고정조사구를 설치하였으며, 군락구조, 개체군동태, 비대생장 및 활력도 등을 2009년부터 모니터링 하였다. 설악폭포지를 제외한 3개 조사지는 아교목층이 수관층을 형성하는 3층구조를 보였다. 목본수종의 중요치에서는 분비나무, 눈측백, 신갈나무, 사스래나무, 당단풍나무 등이 주요 종으로 분포하였으며, 설악폭포지에 분포하는 분비나무의 중요치는 2009년 45.3%에서 2018년 36.8%로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생육목의 개체수(DBH≥5cm)는 귀때기청봉2와 관모능선에서 각각 1,800개체/ha와 1,700개체/ha로 가장 많았으며, 지난 10년 동안 고사율은 귀때기청봉1과 설악폭포지에서 각각 38.3%와 35.3%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분비나무 개체군의 흉고직경급 분포에서는 귀때기청봉1 지역에서 가장 안정적인 역 J자형의 분포를 보였다. 분비나무의 연평균 비대생장은 0.96∼1.73mm/year 였으며, 활력도가 감소 추세를 보인 귀때기청봉2, 관모능 선, 설악폭포 지역에서 비대생장은 대체로 생장이 저하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향후 모니터링 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아고산 식생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cline and the patterns of changes in Abies nephrolepis populations on Mt. Seorak. We installed permanent quadrats in the areas of the Gwittagicheongbong (peak), Gwanmoneungseon (ridge), and the Seorak Falls and have monitored the community structure, population dynamics, radial growth, and vitality in the quadrats since 2009. Excluding the Seorak Falls, the three research sites showed a three-layer structure in which the low-tree layer forms the canopy. Major tree species were Khingan fir, Korean arborvitae, Mongolian oak, Erman's birch, and Korean maple. The significance of Khingan fir in Seorak Falls decreased from 45.3% in 2009 to 36.8% in 2018. The number of shoots (DBH ≥ 5 cm) was highest at 1,800 individuals/ha and 1,700 individuals/ha at the Gwittagicheongbong 2 and the Gwanmoneungseon, respectively. The mortality rates over the past 10 years were very high, at 38.3% and 35.3%, respectively, in the Gwittagicheongbong 1 and Seorak Falls. The most stable inverse J-shaped distribution in the Gwittagicheongbong 1 area was shown in the size-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Khingan fir populations. The average annual ring growth of the Khingan fir was 0.96 ~ 1.73 mm/year, and the ring growth tended to decrease in the areas of Gwittagicheongbong 1, Gwanmoneungseon, and Seorak Falls, where the vitality was low. If the monitoring process continues, it will be possible to obtain basic data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subalpine vegetation.

      • KCI등재

        설악산 분비나무림의 입지환경과 천이

        전영문,권재환,홍문표,이승호,이재석,정흥락 국토지리학회 2010 국토지리학회지 Vol.44 No.1

        In this research, the soil environments and micrometeorological environment of habitat, population distribution, and succession of Abies nephrolepis forest were analyzed in the Mountain Seorak. Gwittegicheongbong site was most excellent in view of the overall soil environments, and had the soil of strong acidity (pH 4.13 to 4.84). In study o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each of habitats during the growing season, Seorak Falls site showed actually observed daily mean temperature that was lower than expected temperature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lapse rate. Further, Seorak Falls site was considered the most humid location among studied sites. The major dominant species in the order of importance value were as follows: Abies nephrolepis (74.5), Betula ermanii (43.7) and Thuja koraiensis (26.3) in Gwittegicheongbong, Abies nephrolepis (81.9), Quercus mongolica (42.5) and Betula ermanii (37.6) in Gwanmoneungseon, and Abies nephrolepis (63.2), Acer pseudo-sieboldianum (41.2) and Pinus koraiensis (33.3) in Seorak Falls. Meanwhile, it is estimated that the current community where the Abies nephrolepis is mostly dominant will be maintained as the major dominant population in the future in each of study sites, considering the DBH distribution of the major woody species, distribution of seedling, location environment, and so on.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에 분포하는 분비나무림을 대상으로 생육지의 토양환경, 미기상환경, 개체군 분포, 군락의 천이방향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전반적인 토양환경은 귀때기청봉지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토양의 pH는 전체적으로 강산성(4.13~4.84)을 나타내었다. 생육지별로 측정한 온습도조사에서 설악폭포지는 실제 관측된 일평균기온이 환경기온체감률을 고려한 값에 비하여 낮고, 가장 다습한 입지를 보였다. 상대우점치를 통한 종 분포에서는 귀때기청봉지에서 분비나무(74.5), 사스래나무(43.7), 찝빵나무(26.3) 등이, 관모능선지에서는 분비나무(81.9), 신갈나무(42.5), 사스래나무(37.6) 등이, 설악폭포지에서는 분비나무(63.2), 당단풍나무(41.2), 잣나무(33.3) 등이 각각 주요 목본 수종으로 분포하였다. 한편, 주요 목본수종의 DBH 분포와 유묘의 분포, 입지환경 등을 고려한 향후 조사지별 주요 우점 개체군으로는 대체로 분비나무가 우점하는 현 군락으로의 진행이 유지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 KCI등재

        주목(Taxus cuspidata) 개체군의 구조와 동태

        전영문,홍문표,이나연,서은경,이승호 한국자원식물학회 2012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5 No.1

        This study analyz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tructure, species composition, population conditions and annual mean radial growth of Taxus cuspidata in the subalpine zone of the Seoraksan, Deokyusan, and Hallasan National Parks. Deokyusan and Hallasan sites had three layers of stratification structure without tree layer in it and four layer in Seoraksan site. The major dominant species in the order of importance value were as follows: T. cuspidata, Acer tschonoskii var. rubripes, Quercus mongolica, Abies koreana and Sorbus commixta. The trees (> 5 cm DBH) of T. cuspidata were extremely high with 986.0 individuals/ha at the Hallasan site. Average DBH class were 42.0 cm at the Hallasan site and mainly showed large class. The populations of seedlings and saplings with 357.3 individuals/ha, and juvenile with 128.6individuals/ha, as a succession tree,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at the Hallasan site. In the size frequency distribution, the populations of T. cuspidata in Mt. Halla site showed a reverse J-shaped curve and it was estimated that T. cuspidata community of this site might be maintained continuously as a stable state like present state. Annual mean radial growth of T. cuspidata populations at Seoraksan, Deokyusan, and Hallasan sites showed up as 1.27 mm/year, 0.93 mm/year and 0.89mm/year respectively. 본 연구는 설악산, 덕유산, 한라산국립공원의 아고산대에 분포하는 주목개체군의 군락구조와 종조성, 개체군동태, 연륜생장을 조사, 분석하였다. 각 조사지별 계층구조는덕유산과 한라산은 교목층이 없는 3층구조를, 설악산지역에서는 4층구조로 분포하였다. 중요치를 통한 주요 분포수종은 주목을 비롯하여 시닥나무, 신갈나무, 구상나무, 마가목 등으로 나타났다. 주목의 개체(DBH > 5 cm) 밀도는한라산지역에서 986.0개체/ha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평균 흉고직경은 설악산지역이 42.0 cm로 대경목의 개체들이 주로 분포하였다. 유묘와 치수, 그리고 후계목으로서유목의 밀도는 357.3개체/ha와 128.6개체/ha로 한라산지역에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흉고직경 분포에서는 한라산지역의 주목개체군이 역J자형의 유형을 보이고 있어현 식생상태의 지속적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평균 연륜생장은 설악산, 덕유산, 한라산지역이 1.27 mm/연, 0.93 mm/연, 0.89 mm/연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 KCI등재

        오대산국립공원 분비나무군락의 군락구조와 동태

        전영문,이승호,안재기,홍문표,신정태,원혁재 국토지리학회 2011 국토지리학회지 Vol.45 No.4

        본 연구는 오대산국립공원 상왕봉, 두로봉, 노인봉지역의 아고산대에 분포하는 분비나무군락의 군락구조와 종조성, 개체군동태, 연륜생장을 조사, 분석하였다. 각 조사지별 계층구조는 4층구조이나 노인봉조사구는 두로봉과 상왕봉조사구에 비하여 교목층의 식피율이 빈약하게 분포하였다. 중요치를 통한 주요 분포 수종은 분비나무를 비롯하여 신갈나무, 잣나무, 사스래나무, 당단풍나무, 피나무 등으로 나타났다. 분비나무의 개체밀도는 두로봉조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흉고직경급 빈도 분포는 상왕봉조사구에서 대경목의 개체들이 주로 분포하였다. 유묘와 치수의 개체수는 노인봉조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후계목의 공급원으로서 유목의 분포는 전체적으로 매우 낮은 상태이다. 연평균 연륜생장은 두로봉, 상왕봉, 노인봉조사구에서 1.79mm/year, 1.55mm/year, 1.20mm/year의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tructure, species composition, population conditions and annual mean radial growth of Abies nephrolepis in the subalpine zone of the Odaesan National Park. The sampling sites are Sangwangbong, Durobong, and Noinbong in the Odaesan National Park. Stratification structure of each sites had four layers, but tree coverage (%) in Noinbong site was very low compared to those of Durobong and Sangwangbong sites. The major dominant species in the order of importance value were as follows: Abies nephrolepis, Quercus mongolica, Pinus koraiensis, Betula ermanii, Acer pseudo-sieboldianum, and Tilia amurensis. The populations density of Abies nephrolepis was highest at the Durobong site, and large diameter class was found to be mainly distributed at the Sangwangbong site according to the study of frequency distribution of DBH (diameter at breast height). The populations of seedlings and saplings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at the Noinbong site; however, overall distribution of juvernile as a source for succession tree is very low. Durobong, Sangwangbong, and Noinbong sites showed 1.79mm/year, 1.55mm/year, and 1.20mm/year of annual mean radial growth of Abies nephrolepis populations, respectively.

      • KCI등재

        지리산국립공원 구상나무개체군의 식생구조와 동태 모니터링

        전영문 ( Young-moon Chun ),김상민 ( Sang-min Kim ),박은희 ( Eun-hee Park ),박선홍 ( Sun-hong Park ),이호영 ( Ho-young Lee ),김진원 ( Jin-weo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4

        지리산 구상나무개체군의 쇠퇴 요인과 군락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7개 지역에 조사구를 설치하여 2009년부터 2018년까지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세석조사구를 제외한 6개 조사구의 층상구조는 4층구조를 나타내었으며, 조사구 전체를 대상으로 한 구상나무의 중요치는 2009년 55.7%에서 2018년 39.8%로 2009년 대비 28.5%라는 큰 폭의 감소율을 보였다. 흉고직경 5cm 이상의 개체수에서는 조사구 전체 평균이 2018년 711개체/ha 이며, 2009년부터 2018년까지의 누적 고사율 평균은 10.8% 이다. 고사 유형에서는 서서 고사하는 유형(Dead Standing, DS)이 조사구 전체의 82.4%로 가장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입지의 경사도가 35° 로 높은 반야봉1 조사구의 경우 DS유형을 제외한 기타 유형이 44.2%로 높게 나타났다. 구상나무개체군의 직경급 분포 유형은 세석평전에서 역 J자형을 보이고 있어 안정적인 군락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전체 조사구를 대상으로 한 비대생장값의 평균은 1.09mm/year 였으며, 주로 아교목상의 개체들이 수관층을 형성하고 있는 세석평전에서 가장 왕성한 생장을 나타내었다. 나이테 조사 결과, 벽소령과 반야봉1 조사구에서 구상나무의 평균 수령은 102년과 91년으로 추정되었으며, 활력은 2013년 이후 대체로 감소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We established and monitored survey sites in seven regions of Mt. Jiri to investigate population decline and change of the Korean fir (Abies koreana) over a ten-year period from 2009 to 2018. With the exception of one site (Seseok), the six remaining ones all showed a four-layer stratification structure. The importance value of Korean firs in all of the survey areas decreased significantly by 28.5%, from 55.7% in 2009 to 39.8% in 2018. The average population of objects with a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of 5cm or more in all survey sites was 711 objects/ha in 2018, and the cumulative death rate from 2009 to 2018 was 10.8%. Among the death types, DS (dead standing) was the most dominant, comprising 82.4% of the total survey area. However, in Banyabong 1, which had a high gradient of 35°, the death types other than DS accounted for 44.2%. We estimate that A. koreana can maintain a stable population as its distribution type for each diameter class in the Saeseokpyeongjeon site showed a reverse-J shape. The average annual ring growth in all survey sites was 1.09 mm/year, with the most abundant growth observed in the Seseokpyeongjeon site, which was formed mainly by a subtree layer. The growth ring survey showed the estimated average age of A. koreana population in the Byeoksoryeong and Banyabong 1 sites to be 102 and 91 years, respectively, a general downward trend of vitality since 2013.

      • KCI등재

        A study on stock price prediction through analysis of sales growth performance and macro-indicator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unghyuck Hong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1

        주가는 그 기업의 미래 가치의 척도이기 때문에 주가를 분석할 때 기업의 성장성인 매출과 이익 등을 고려하여 주식을 투자한다. 기관투자자들은 종목 선정 기준을 잡기 위해서 현재 산업의 트렌드와 거시경제 지표를 보고 성장 가능한 관련 분야를 먼저 정하고 관련 기업을 선정한 후 기업에 대한 분석을 하고 목표가를 설정 후에 매수를 하고 목표가에 도달하면 매도하는 방식으로 주식 매매를 실시한다. 하지만, 일반 개인 투자자들은 경제에 대한 지식이 기관이나 외국인 투자자에 비교하여 부족하고, 기업에 대한 재무재표 분석이나 성장성에 대한 분석 없이 전문가나 지인의 추천종목을 따라 투자를 하여 기관투자자나 외국인 투자자들 보다 수익률 면에서 낮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성장성인 매출과 이익 등을 고려한 지표인 ROE를 분석하여 저평가된 종목을 선택하고, 선택된 종목의 주가 흐름을 딥러닝 알고리 즘을 통하여 예측하는 연구방법을 제안하여 투기가 아닌 건전한 투자에 도움이 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한다. Since the stock price is a measure of the future value of the company, when analyzing the stock price, the company's growth potential, such as sales and profits, is considered and invested in stocks. In order to set the criteria for selecting stocks, institutional investors look at current industry trends and macroeconomic indicators, first select relevant fields that can grow, then select related companies, analyze them, set a target price, then buy, and sell when the target price is reached. Stock trading is carried out in the same way. However, general individual investors do not have any knowledge of investment, and invest in items recommended by experts or acquaintances without analysis of financial statements or growth potential of the company, which is lower in terms of return than institutional investors and foreign investors.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a research method to select undervalued stocks by analyzing ROE, an indicator that considers the growth potential of a company, such as sales and profits, and predict the stock price flow of the selected stock through deep learning algorithms. This study is conducted to help with investmen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전라북도 지역의 민속식물

        전영문 ( Young-moon Chun ),박문수 ( Moon-su Park ) 한국환경생물학회 2014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2 No.3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서 이용되는 민속식물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3년 3월부터 2014년 7월까지 수행하였다. 11개 시ㆍ군지역의 주민 59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885건의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민속식물은 총 66과 137속 140종 2아종 12변종으로 총 15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지역별로는 완주시가 135분류군으로 가장 많았고, 고창군이 128분류군, 무주군 104분류군, 진안군 103분류군, 부안군 87분류군, 정읍시 69분류군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용도별 이용은 식용 112종류, 약용 62종류, 관상4종류, 염료 3종류, 유지 3종류, 향료 1종류, 수액 1종류,향신료 1종류, 기타 9종류로 식용과 약용의 이용 빈도가높았으며, 이용부위로는 잎, 열매, 줄기, 뿌리, 전체 순으로 나타났다. 표준식물명과 각 시.군별 지방명의 일치에서는 무주 (59.4%), 완주 (51.8%), 부안 (51.0%), 고창(50.4%), 순창(46.3%)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민속식물의 이용정보는 대부분 구전으로 습득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March 2013 to July 2014 with the aim of examining folk plants used in Jeollabuk-do Province. The analysis of 885 surveys collected from 59 residents of 11 cities and counties shows that a total of 154 taxa composed of 137 genera, 140 species, 2 subspecies and 12 varieties belonging to 66 families are currently used in the province. Regionally, Wanju had the greatest variety with 135 taxa, followed by Gochang with 128, Muju with 104, and Jinan with 103. In terms of their use, the plants were most frequently used as food and medicine, with 112 taxa of edible, 62 taxa of medicine, 4 taxa of ornamental, 3 taxa of dye, 3 taxa of oil, 1 taxa of aroma, 1 taxa of sap, 1 taxa of spice, and 9 taxa of miscellaneous use. Regarding plant parts, leaves were used most often, followed by fruits, stems and roots. The coincidence degree betweenthe standard names of plants and their local names was the highest in Muju at 59.4%, followed by Wanju at 51.8%, Buan at 51.0%, Gochang at 50.4% and Jinan at 46.3%. The information on how to use folk plants was almost always orally transmit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