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별의 차이에 따른 관계 중심 기부 방법 선호에 관한 연구

        정혜욱,Jeong, Hyewook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10

        소비자들의 기부에 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연구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부자의 수가 급증하고 있는 기부 방법 중 하나인 관계를 통한 기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성별의 차이를 제안하였다. 연구 1에서는 남성보다 여성이 관계 중심의 기부 광고에 더 호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여성 소비자들을 각각 남성성과 여성성을 점화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실제 기부 현장에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여성성이 점화된 그룹이 남성성이 점화된 그룹보다 관계 중심의 기부 광고에 더 높은 기부 의도와 수혜자와의 상호작용 의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그 동안 연구되지 않은 주제인 관계 중심의 기부 방법이 성별에 따라 선호도가 다르게 나타났고, 여성의 관계 지향적인 특성이 관계 중심의 기부를 선호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관련 연구자와 마케팅 실무자에게 중요한 의미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As increasing interests in charitable giving, there is also a growing need to examine the factors which influences on consumer's giving behavior. Whereas past research focused mainly on one-time donation, this study examined how gender affects giving behaviors related to social connection with a donee. In Study 1, we found that compared to men, women showed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the relationship based giving. Results from Study 2 revealed that, compared to male-primed women, female-primed women reported more positive giving intention. They are also more interested in interaction with donee. The current research demonstrates that gender differences leads to different responses towards the relationship based giving.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for charity solicitation methods are discussed.

      • KCI등재

        사회적 배제가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통제감을 중심으로

        전수지,정혜욱,Jeon, Sooji,Jeong, Hyewook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10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배제 경험이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지각된 통제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배제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염려를 증가시키고, 개인정보 제공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배제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지각된 통제감의 조절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지각된 통제감으로 인해 사회적 배제가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배제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지각된 통제감이 사회적 배제의 영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함으로써 기존의 프라이버시 관련 연구 분야에서 개인의 심리적 요인도 영향 변수로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has investigated how social exclusion affects privacy concerns and intention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sense of control in the proces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ocial exclusion increases users' privacy concerns and reduces the intention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exclusion on the privacy concerns and intention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was significant. In other words, it was proved that sense of control can reduce the influence on privacy concerns and personal information provision intentions due to social exclu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social exclusion can act as a factor influencing privacy concerns and intention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and that perceived control can reduce the effect of social exclus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as influencing variables in privacy research.

      • KCI등재

        소비자의 독립성이 합의된 주장 광고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수지(Sooji Jeon),정혜욱(Hyewook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9

        본 연구는 개인 수준의 문화적 성향과 자기해석수준을 활용한 소비자 특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발전시키고 확장한 연구이다. 현재 한국의 경제․사회적으로 개인의 독립적인 성향이 점차 강해지고 있는 추세에 따라 개인의 문화적 수준에서 소비자의 독립적인 성향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사람들이 선택하는 제품이라고 주장하는 합의된 주장이 묘사된 광고에 대해 독립적인 성향의 소비자들의 태도 및 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선행 연구와 문헌을 바탕으로 소비자의 독립적인 성향이 강할수록 합의된 주장이 제시된 광고의 제품에 대한 태도가 더 부정적이며, 제품을 구매할 의도 또한 낮을 것이라는 것과 독립적인 소비자의 성향과 합의된 주장이 묘사된 광고사이에서 제품과 소비자와의 적합성이 매개효과를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두 번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 수준의 문화적 성향을 바탕으로 기존의 연구에서 이론적으로 주장해왔던 내용의 연구를 실제적으로 증명해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소비자들에게 차별적인 마케팅 활동을 실시할 필요가 있음을 도출하고, 소비자를 좀 더 세분화하여 접근할 수 있는 방향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study has expanded the existing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using the personal level of cultural dimensions and self-construal. As Korean are becoming more individualistic and independent, we have focused on consumer independence in self-constru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sumer independence on consumers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 consensus claim in ads. We hypothesized that individuals with higher in independence are more likely to show negative attitudes and the purchase intention towards the ads focused on consensus claim. Two experiments revealed that consumers higher in independence, depicting consensus claim in ads reduces consumers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that for individuals higher in independence, consensus claims in product advertisement are less effective advertising strategy which ultimately lower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Import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부담감이 제품 무게 예측에 미치는 영향

        배인해(Bae, In-Hae),정혜욱(Jeong, Hyewook),정용길(Jung, Yong-Gil),김병임(Kim, Byeong-Im) 한국소비문화학회 2016 소비문화연구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부담감과 무게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은유적 표현들을 바탕으로 하여 부담스러운 상황이 소비자들의 제품 무게 예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기반 인지(grounded cognition) 이론에 따라 은유적 표현의 사용은 구체적 개념과 추상적 개념을 상호 활성화시키므로 부담감의 경험은 이와 관련 있는 무게라는 구체적 감각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부담을 느낀 소비자는 부담을 느끼지 않은 소비자보다 물체를 무겁게 예측할 것이라는 가설을 성립하였다. 이와 같은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부담감의 조작을 통한 세 번의 실험을 시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온라인 설문을 이용해 부담감을 조작한 후 물체의 무게를 예측하였고, 두 번째 실험에서는 주어진 실험 공간 내에서 피험자들을 조작한 후 첫 번째 실험과는 다른 제품의 무게를 직접 체감하여 예측하도록 지시하였다. 그 결과 두 실험 모두 부담을 느낀 참여자들이 그렇지 않은 참여자들보다 제품을 무겁게 예측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실험에서는 무게 예측이 부담감과 구매 의도 사이에서 매개 변수 의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부담감을 느낀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무게를 무겁게 예측하였고, 무겁게 느껴진 제품은 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무게에 영향을 주는 새로운 변수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가 있으며, 마케터의 입장에서도 소비자의 구매 결정과정에서 부담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점원, 가격, 매장 분위기 등)를 고려하여 소비자에게 접근할 수 있는 방향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을 가진다. This study revealed how the burden influences consumers’ weight prediction by focusing on metaphoric expressions that show a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and weight. According to the grounded cognition, experiencing the burden influences relevant concrete sensation such as weight, because using a metaphoric expression co-activates a concrete concept and an abstract concept. Therefore, we hypothesized that consumers who feel the burden will predict the product weight heavier than those who do not feel the burden. To investigate this relationship, we conducted two experiments. Experiment 1 manipulated the feeling of burden using an online survey and predicted the product weight. Experiment 2 manipulated participants in a lab and made them to carry a product personally for weight prediction.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s high in burden are more likely to predict the weight much heavier than those low in burden. Experiment 3 revealed that weight predic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and purchase intention. Individuals high in burden are more likely to predict the weight much heavier and the heaviness negatively affects the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investigated a new variable that can affect weight prediction. Moreover, this study suggested a useful direction to marketers in that they can consider several factors(employee, price, store atmosphere etc.) which may influence burdensome formation during the consumers’ decision making processes.

      • KCI등재후보

        사회적 배제 경험이 언더독(underdog) 광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안유현(Yuhyun Ahn),전수지(Sooji Jeon),정혜욱(Hyewook Jeong)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19 연세경영연구 Vol.56 No.2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현상을 바탕으로 문학, 신화, 스포츠 분야에서 흔하게 살펴볼 수 있는 언더독 효과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으로 배제된 경험이 언더독 광고에 대한 공감을 이끌어 내고, 일등 광고 보다 언더독 광고에 심리적 지지를 보내는 언더독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고 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3가지 실험을 통해 사회적 배제 경험이 일등 광고가 아닌 언더독 광고에 공감 하고, 심리적으로 지지를 보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실험 1에서는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 소비자가 열등 캐릭터를 이용한 언더독 광고에 대한 태도 측면에서의 언더독 효과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으로 배제를 경험한 소비자는 언더독 포지셔닝 광고에 더 호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진행된 실험 2에서는 사회적 배제 경험을 가진 소비자들이 언더독 광고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가 긍정적이라는 사실을 증명했다. 더불어 실험 3에서는 실제 언더독 현상을 보여주어 공감을 매개로 하여 배제의 정도에 따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고, 배제된 정도가 클수록 언더독 현상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언더독 효과를 설명한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사회적 배제경험을 가진 소비자에 대한 언더독 효과를 탐구한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how social exclusion experiences relate to the underdog advertising environment and affect the underdog effect that provides psychological support to the underdog advertisements more than the first-grade advertisements. For this reason, we conducted three experiments to find out how social exclusion experience relates better to the inferior advertisement than to the first-grade advertisement and provides psychological support. First, in Experiment 1, we examined the underdog effects on the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as regards the attitude toward the underdog advertisement made with inferior characters. In Experiment 2, we examined the effects of purchase intentions and attitudes toward underdog advertisements and first-class advertisements by considering social exclusion and daily experiences of consumers. In Experiment 3, we showed the actual underdog effect and used empathy to examine how it affects the attitude depending on the degree of exclusion: The greater the degree of exclusion,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 toward underdog effect. Therefore we compared our study to the previous study, which explored the underdog effect toward consumers with the experience of social exclusion and came up with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