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립드 러닝에 대한 중등 예비교사의 사용의도 탐색

        정한호(Hanho Jeong) 한국교육방법학회 2018 교육방법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플립드 러닝에 대한 중등 예비교사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효과적인 교원양성교육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테크놀로지 활용, 온라인 강의, 플립드 러닝, 사용의도와 관련된 다양한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가치, 평판을 외생변인, 신념과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시연을 매개변인, 그리고 사용의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으며 중등 예비교사 236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시연이 예비교사의 플립드 러닝 사용의도에 직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플립드 러닝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가치, 평판이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시연과 신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신념, 평판,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가치 등과 구조적인 관련성을 맺고 있는 예비교사의 테크놀로지 기반 수업시연의 영향력 탐색을 통해, 대학 교원양성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시연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 학교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플립드 러닝에 대한 예비교사의 사용의도 관련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the pre-service teacher for flipped learning and to suggest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teacher education. In order to do this, based on various prior studies related to technology utilization, online lecture, flipped learning, percevied usefulness, perceived value, reputation were adopted as exogenous variables. Belief in flipped learning and technology-based instruction experience were adopted as moderating variables, and pre-service teachers’ intention to use was adopted as a dependent variable. In addition,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research tool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236 pre-service teacher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we found that technology-based instruction experience had the greatest direct impact on loyalty to distance training course. Second, we found that percevied usefulness, perceived value, and reputaion indirectly influenced the intention to use through technology-based instruction experience and belief. Third, through the exploration of the influence of pre-service teachers technology- based instruction experiences that were structurally related to beliefs, reputati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value, we were able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the class demonstration at the university teacher training institut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distance training course were being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 학부모의 시각으로 바라 본 미국 공립학교의 교육 사례 고찰

        정한호(Hanho Jeong),한춘희(Choonhee Ha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0 사회과교육 Vol.49 No.4

        본 연구는 다문화 교육을 통해 하나의 미국을 만들어 가기 위해 노력하는 A공립학교의 교육 사례를 탐색하고 한국 다문화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A공립학교에 재학 중인 자녀들을 양육하는 한국인 학부모의 경험을 통해, A공립학교의 교육시스템, 교사역할, 외국어로서의 영어교육, 그리고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각종 행사 및 활동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A공립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경험과 느낌을 기록한 일지와 심층 면담을 바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A공립학교의 교육은 다문화 학생을 담당하는 교사 책임 및 역할만을 강조하기 보다는 체계적인 교육시스템과 인종과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사회 분위기를 바탕으로 실시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미국의 교육은 타문화를 자국문화와 분리시키기 보다는 자국문화의 일부분으로 통합시키며 인종 및 언어문제 뿐만 아니라 개인적 장애까지도 포함하는 복지 시스템의 하나로 운영된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입학 초기, 다문화 학생들을 위한 특별 프로그램이나 안내 교육의 부족은 국내 다문화 교육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에서의 다문화 교육의 효과적인 방향에 대한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A public school that was striving for one US in order to improve the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analyze the education system of US, the role of the teacher in classroom,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and school events from the Korean mother’s perspective. To achieve this purpose, Korean mother’s parenting diaries that were faithfully recorded in her experiences and feelings of the education of US and indepth interviews data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education of US did not only emphasis the responsibility of the teachers who have muticultural students in their charge, but also carry out under systematic education system and social atmosphere of ethnic and cultural diversity. The finding revealed that education of US did not try to separate the different cultures from the own cultures, but effort to integrate with the existing cultures of US. In addition, education of US was not special education only for the peoples who has different ethnic and cultural backgrounds, public welfare systems for the people in US. However, there were no special program or information lesson for multicultural students. This is full of suggestions to the multicultural education of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discussion and implication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were provided.

      • KCI등재

        대학생이 인식하는 수업의 질, 만족도, 학습동기, 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탐색

        정한호 ( Jeong Hanh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의 질에 초점을 두고 대학교육에 대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구조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제안모형과 대안모형1, 2, 3을 수립하고 대학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관계를 구조적 제시할 수 있는 최적의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는 최적의 모형을 바탕으로 대학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충성도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변인 간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설명하는 최적의 모형을 구안하였다. 둘째, 수업의 질은 대학교육의 충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수업의 질은 대학교육의 충성도에 간접적으로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도가 대학교육에 대한 충성도에 직접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mpact variables related to students’ loyalty of college education and to establish an optimum model for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lated studies, we have developed a proposal model and alternative model 1, 2 and 3, and derived an optimal model that can effectively represent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variables that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students’ loyalty to college education based on the optimal model.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319 students who were taking courses at four-year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we analyz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developed an optimal model that explains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variables affecting students’ loyalty to college education. Second, we found that quality of instruction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loyalty to college education. In addition, the quality of instruction has the greatest indirect effect on the loyalty of college education. Third, we found that satisfction had the greatest influence indirectly on loyalty to college education.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both for practice and theory regarding the loyalty of college education

      • KCI등재

        학교 예술강사의 수업실태에 대한 연구

        정한호(Hanho Jeo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敎育問題硏究 Vol.0 No.41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예술교육에 대한 예술강사들의 경험과 느낌을 탐색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예술교육이 활성화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자료는 예술 강사 64명으로부터 수집하였으며 초등학교 교사 2명을 대상으로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예술 강사들은 학교 분위기와 교실 환경 등으로 가르치는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환경의 ‘폐쇄성’과 ‘예술수업에 대한 무관심’은 예술 강사들의 수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예술 강사들은 자신의 수업 아이디어를 구체화하여 표현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예술교육이 학교현장에서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예술교육에 대한 학교당국 의 올바른 이해 및 현직교사들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며 현행 예술교육의 긍정적인 면은 극대화시키면서 부정적인 면을 최소화시키는 방향으로 예술교육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예술 강사들의 수업방법의 신장 방향과 향후 연구 방향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art lectures‘ teaching experiences and to explore the educational meaning in order to improve the art education in right direction. In this study, data were open questionnaires and in-deep interviews. Open questionnaires were from sixty-four art lecturers and in-deep interviews were from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art lectures had trouble teaching students in the school climate and classroom environment. In additions, ’closeness‘ of school environment and’indifference to art education in school‘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art lecturers’ lesson and teaching method. The art lecturers felt that it is difficult to embody their lesson idea. According to the results, we need a sound understanding of school authorities and teachers’ correct perception in order to improve the art education in the right direction. We found that education officials should design and develop arts the education systems in a way to maximize the positive aspects of the current arts education systems and to minimize the negative aspect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 to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 for art lecturer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코로나에 따른 대학에서의 비대면 팀학습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 지각된 가치, 만족도 간의 구조적인 관계 탐색

        정한호 ( Jeong Hanh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5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로 인한 원격기반 팀학습에서의 동기, 지각된 가치, 만족도가 대학생의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원격기반 팀학습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설정하고 변인 간의 관계성에 관한 최적화된 모형을 수립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원격기반 팀학습 관련 실용적, 사회적, 유희적 동기를 외생변인, 원격기반 팀학습에 대한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를 매개변인으로 설정하고 지속적인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조적으로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20학년도 1, 2학기 연속으로 100% 원격기반 팀학습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연구대상 213명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각된 가치가 팀학습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의도에 직·간접적으로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희적 동기가 팀학습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의도에 두 번째로 큰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용적 동기가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를 매개로 팀학습의 지속적인 참여의도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력을 구조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원격상황에서의 팀학습의 효율적인 방안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influence of motivation,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n the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to continuously participate in distance-based team learning COVID-19. To this end, the study derived variables that had influenced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in distance-based team learning and formed an optimized model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dditionally, in this study, the utilitarian, social, and hedonic motives related to distance-based team learning were set as exogenous variables, and the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f distance-based team learning were set as mediators. Furthermore, the study structurally explored the influence on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Due to the COVID-19 outbreak, the selected research participants were predominantly university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complete distance-based team learning for both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2020. Accordingly, first, the study found that perceived value had the greatest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ously participate in team activities. Second, the study found that hedonic motivation had the second-largest influence, directly or indirectly, on the intention to continuously participate in team activities. Third, the indirect influence of utilitarian motivation on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toward distance-based team learning could be structurally grasped through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This study presented effective plans and implications for online distance team learning performed in a remote situation.

      • KCI등재

        대학에서 수행되는 팀 학습 활동의 환경, 역동성, 지식공유, 성과에 대한 질적 고찰

        정한호(Hanho Jeo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敎育問題硏究 Vol.0 No.40

        본 연구는 대학수준에서 이루어지는 팀 학습의 실태를 탐색하고 효과적인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팀 학습의 전 과정을 기술한 주간 보고서, 집단 및 심층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팀 환경, 팀 역동성, 지식 공유, 그리고 팀 성과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대학생들은 팀원들 간의 합의와 균등화를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었다. 둘째, 팀 학습을 평가하는 대상에 따라, 팀 성과를 바라보는 대학생들의 시각에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대학생들은 팀 학습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팀 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of team based learning and to provide effective direction of team based learning in university. To pursue the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status of team based learning from weekly reports, group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This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focusing on team environment, team dynamics, knowledge sharing, and team performance.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ree major findings. First, the participants over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utual agreement and equalization between team member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viewpoint of team performance depending on who is rating. Third, the participants had positive perception of the process of team based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for team based learning in universities are being discussed.

      • KCI등재

        학교현장에서 활용되는 테크놀로지에 대한 예비교사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학교현장실습을 중심으로

        정한호 ( Hanho Jeong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효과적인 교원양성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을 도출하고 각 변인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종합적인 모형을 구안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사교육에 대한 지각된 용이성과 지도교사와의 경험을 외부변인, 테크놀로지 활용수업에 대한 신념과 테크놀로지 활용수업 경험을 매개변인, 그리고 사용의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9개의 가설을 설정한 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학교현장실습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예비교사 375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연구가설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현장실습 기간 동안 이루어진 테크놀로지 활용수업 경험이 예비교사의 사용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교사교육에 대한 지각된 용이성, 지도교사와의 경험, 테크놀로지 활용수업에 대한 신념 등을 바탕으로 형성된 테크놀로지 활용수업 경험이 예비교사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탐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원양성기관에서의 교사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pre-service teachers’ behavior intentions to using technology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right direction. This study proposes a model to conform to the pre-teachers’ behavior intentions to using technology within schools. To examine the impact, this study investigated impact variables related to pre-teachers’ behavior intentions to using technology within schools to discover an optimum model for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In this study, perceived course usefulness, and experiences with mentors were considered as the exogenous variables, beliefs about teaching, and technology integration implementation were considered as the moderating variables, and behavior intentions to using technology considered as the dependent variable. A total of 375 vali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echnology integration implementation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re-teachers`` behavior intentions. In addition, the findings showed that technology integration implementation were formed on the basis of perceived course usefulness, experiences with mentors, and beliefs about teaching positively exert significant influence on pre-teachers`` behavior intentions to using technology. In addition,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for practice teaching in schools are being discussed.

      • KCI등재

        코로나 시대에 수행된 원격수업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도 연구 : 기대일치모형, 기술수용모형, 과제기술적합모형, 합리적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정한호(Hanho Jeo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敎育問題硏究 Vol.33 No.4

        본 연구에서는 기대일치모형, 기술수용모형, 과제기술적합모형, 합리적 행동이론에 근거하여, 원격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지속적인 참여도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대일치모형, 기술수용모형, 과제기술적합모형, 합리적 행동이론 등 관련 선행연구들에 기초하여 기대일치,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과제기술적합성, 주관적 규범, 만족도, 태도를 영향변인으로 도출하고 원격수업에 대한 사용의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해, 2020학년도 1학기 전 교과를 원격수업으로 시행한 수도권 소재 C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38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변인 간 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1)주관적 규범이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력, 2)태도가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력, 3)기대일치, 지각된 유용성, 만족도가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력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 실제적인 논의를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Expectation Confirmation Model,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sk-technology Fit Model, and Theory of Reasoned Action, learners continuous participation in remote class was explor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we derived expectation-confirmation,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task-technology fit, subjective norm, satisfaction, attitude as influence variables. And we explored direct or indirect effects of these influence variables on student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remote class. In addi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238 students attending C 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who conducted 100% distance learning for the first semester of 2020, due to COVID-19. In this study,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variables were verified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rough this study, we could grasp that 1)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f subjective norms on continuous intention to participate, 2) indirect influence of attitude on continuous intention to use, 3) indirect influence of expectation-confirmation,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on continuou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remote class. In this study, a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 of the research results was presented.

      • KCI등재

        MOOC 수강에 대한 대학생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기술수용모형, 기대일치모형, 과제기술적합모형을 기반으로

        정한호 ( Hanho Jeo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수용모형, 기대일치모형, 과제기술적합모형을 기반으로 MOOC에 대한 대학생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형, 기대일치모형, 과제기술적합성모형 등을 기반으로 수행된 관련 선행연구로부터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기대일치, 과제기술적합성, 만족도 등의 변인을 도출하고 MOOC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32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각 변인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과제기술적합성이 MOOC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직접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기대일치가 과제기술적합성, 지각된 유용성, 만족도를 매개로 MOOC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간접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지각된 유용성이 태도와 만족도를 매개로, 또는 직접적으로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TAM의 핵심 변인인 지각된 용이성은 MOOC의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지각된 유용성이나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와 같은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 실제적인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affecting continuous behavior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on MOOC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Expectation Confirmation Model, and Task-technology Fit Model. In this study, variables from these model and theories were chosen as important predictors of MOOC acceptance. And then,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s of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expectation-confirmation, task-technology fit, attitude, and satisfaction on the continuance use intention of MOOC. To pur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322 students who were taking MOOC classes in universit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total of 322 questionnaires was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we found that task-technology fit has the greatest direct influence on the continuance behavior intention of MOOC. Second, we found that expectation-conformation indirectly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MOOC continuously through task-technology fit,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Third, we found that perceived usefulness affects the intention to use continuously or directly through attitude and satisfaction. However, perceived ease of use, which is a key variable of TAM,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erceived usefulness or attitude, whic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MOOC.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learning system are being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