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집단탐구 모형을 적용한 정보윤리 교수법 개발

        정하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사이버 공동체 속에서 지켜야 할 규범인 정보통신윤리의식의 중요성이 향상되는 사회를 반영해 정보통신윤리의식 향상에 필수 요인인 유대감에 맞추어 본 논문에서는 유대감 향상을 위한 정보윤리교육법들을 개발하였다. 먼저, 유대감에 대해 알아보고 유대감 향상 요인들을 분석하였고 해당 요인들이 포함된 교육법으로 협동 학습 모형 중 집단탐구모형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집단탐구모형에 유대감 향상 요인들이 포함된 것을 확인한 후 집단탐구모형을 정보윤리 수업에 맞게 적용하여 고등학교 2개의 반에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전과 후에 유대감 측정 설문지를 이용해 결과를 비교 측정하여 유대감 향상 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집단탐구모형을 적용한 정보윤리교육은 유대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1반과 2반 측정 결과를 비교해보니 유대감 향상 정도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집단탐구모형을 적용한 정보윤리교육은 유대감 향상에 효과가 있어 본 연구에서는 집단탐구모형을 적용한 다양한 정보윤리교육법들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정보통신윤리가 중요시되는 시대에 집단탐구모형을 적용한 정보윤리교육법들이 학생들의 정보통신윤리의식의 향상에 도움을 주길 바라며 집단탐구모형의 효과인 유대감 향상이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심리적 효과를 미쳐 다른 긍정적인 효과들도 가져다줄 것을 기대한다. It is essential to address the growing significa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awareness within cyber communities in modern-day society. This paper discusses several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at improve connectedness, a vital component of enhanc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awareness, among students. First, the definition of connectedness was meticulously studied and investigated, and an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improve its function in ethical awareness was conducted. Then, the Group Investigation Model,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was selected and studied. This particular model's relevance to the factors mentioned above was then established. Subsequently, the Group Investigation Model of teaching was implemented in the Internet ethics curriculum, and high school Class 1 and Class 2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degree of connectedness before and after learning experiences was measured with a questionnaire completed by the students. The questionnaire was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which revealed a significantly improved connectedness of students whose Internet ethics curriculum adopted the Group Investigation Model.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connectedness was comparable among the two groups of student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highlight various teaching methods of the Group Investigation Model, which significantly improve students' connectedness in the Internet ethics curriculum. It is anticipat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se teaching methods would help to improve student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awareness and also offer additional benefits, such as positive psychological impact on the learners.

      • Towards Real-Time Processing of Monitoring Continuous k-Nearest Neighbor Queries

        정하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thesis addresses the problem of monitoring continuous k-nearest neighbor (k-NN) queries in a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Given a set of moving (or static) objects and a set of moving (or static) query point, monitoring continuous k-NN query retrieves and updates the closest k objects to a given query point continually. With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mobile communication and widespread mobile devices, location based services (LBSs) become one of the challenging issues. In order to support LBSs in highly dynamic environments, where objects and/or queries are frequently moving, monitoring continuous queries require real-time updated results when objects and/or queries change their locations. Thus, it is important to minimize time delay for maintaining up to date the results. In this thesis, we present the monitoring method to shorten time delay for updating continuous k-NN queries based on the notion of result region and the minimum bounding rectangle enclosing all objects in each cell, referred to as c-MBR, in the main-memory grid index structure. Simulations are conducted to show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method.

      • 청년세대의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접근도, 여가선호도, SNS 이용도, 상대적 박탈감을 중심으로

        정하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re have been various definitions of leisure according to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but today leisure is generally an activity that seeks to restore health, rest, hobbies, and culture and arts in free time away from work. This differs greatly from the meaning of leisure, which was perceived as a time of simple rest or recharging in the past, and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life for modern people. In particular, leisure is an even more important factor for the current younger generation, who are suffering from high unemployment and unstable housing conditions. For the current young generation, who are suffering from economic difficulties due to the economic downturn and high youth unemployment, leisure also leads to a problem of declining quality of life, so it is necessary to look at leisure activities of the younger generation. For the younger generation, leisure is a means of expressing themselves, and it can be an opportunity to establish their identity and realize their self, so the importance of leisure activities is very great for the younger generation. In addition, the youth generation is distinguished from other generations in that they are sensitive to trends and prefer a unique leisure and cultural life. However, such diverse and unique opportunities for leisure activities favored by young people tend to be concentrated mainl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ausing a sense of relative deprivation for young people in areas where leisure and culture opportunities are relatively scarce, as well as leading to the perception of leisure and cultural gaps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So far, the government has tried various policies to ease the leisure and cultural gap between regions, but there is still a lack of policies considering the leisure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generation. Therefore, based on the leisure culture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generation,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leisure culture gap between regions of the youth generation, and to draw empirical discussions to solve the problem of leisure culture gap between regions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among major factors. To this end, based on prior research,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leisure and cultural gaps among the youth generation were selected as access, leisure preference, SNS usage, and relative deprivation, and the survey and demonstr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impact and causal relationship of each factor on the recognition of gaps. The survey consisted of five types and basic response questions that recognized access, preference for leisure, SNS usage, relative deprivation, and awareness of leisure culture gaps between regions. The survey questions consisted of 20 questions and 10 questions to identify basic information of 10 respondents with a total of 30 questions. Based on the above survey,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confirmed factor analysis, a structural equation, and a multi-group analysis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leisure and cultural gaps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Studies have shown that leisure preference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both access and SNS usage, and access levels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both relative deprivation and awareness of leisure cultural gaps between regions. Relative deprivation has been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the leisure and cultural gap between regions, but SNS usage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relative deprivation.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addition of leisure and cultural facility variables to the research model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approaches showed that the leisure and cultural facility variables did not directly affect the perception of leisure and cultural gaps between regions, and that there was an indirect significant wealth (-) effect. This contrasts directly and indirectly with the significant impact of access levels on the recognition of leisure cultural gaps between regions, and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leisure cultural opportunities rather than physical access can be seen as having a greater impact on the recognition of leisure cultural gaps between regions. In conclusion, the more negative the perception of access level is, the more the perception of leisure culture gap between regions increases, and the more the preference for dynamic leisure and accompanying leisure activities, the less the perception of leisure and cultural gap between regions decreases, and the active use of SNS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perception of leisure and cultural gap between regions. Also, the increase in leisure facilities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reducing awareness of leisure and cultural gaps between regions. Next,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types of leisure consumption, residential area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found that groups consuming static leisure culture felt a greater sense of perception and relative deprivation of leisure cultural gaps between regions according to their approach compared to those consuming dynamic leisure culture. In addition, a comparison between groups in non-capital and metropolitan areas showed that groups living in non-capital areas were more affected by the relative deprivation of SNS usage than those living in metropolitan areas, indicating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cas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groups based on gender, income, social status and status of work,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gender and work status. On the other hand, group comparisons based on income and social statu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relative deprivation on the perception of leisure and cultural gaps between regions. Considering the above findings, it was confirmed that the youth generation's perception of leisure and cultural gaps between regions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s access, preference for leisure, SNS usage, and relative deprivation. In particular, the approach chart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the perception of leisure and cultural gaps, and was the biggest factor among the major factors. This means that the youth's access to leisure opportunitie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recognizing the cultural gap between regions, which means that more leisure opportunities are needed to suit the leisure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generation in the future. Also, considering that leisure preference reduces awareness of leisure and cultural gaps between regions, it suggests that young people need policy support to spend dynamic leisure time with others. 그동안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여가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있었으나, 오늘날 일반적으로 여가란 일에서 벗어난 자유시간에 건강의 회복, 휴식, 취미, 문화예술을 추구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과거 단순한 휴식이나 재충전의 시간으로 인식되었던 여가의 의미와는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현대인에게 여가는 삶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특히 높은 실업률과 주거 불안정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 청년세대에게 여가는 더욱더 중요한 요소에 해당한다. 경기 침체와 높은 청년실업률 등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 청년세대에게 여가는 삶의 질 저하 문제로도 이어지는 만큼, 청년세대의 여가활동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청년세대에게 여가는 자신을 표현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에 해당하며 자신의 정체성 확립 및 자아를 실현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청년세대에게 여가활동이 갖는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하겠다. 이뿐만 아니라 청년세대는 유행의 흐름에 민감하게 변화하며 개성 있는 여가문화생활을 선호한다는 특징이 있다는 점에서 다른 세대와는 구별된다. 그러나 이처럼 청년세대들이 선호하는 다양하고 개성 있는 여가활동의 기회는 주로 수도권에 집중된 경향이 있어 상대적으로 여가문화 기회가 부족한 지역의 청년들에게 상대적 박탈감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청년세대의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지금까지 정부 차원에서도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완화를 위해서 여러 정책을 시도했지만, 아직 청년세대의 여가문화 특징을 고려한 정책은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년세대의 여가문화 특징을 바탕으로 청년세대의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주요 요인 간의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문제 해결을 위한 실증적인 논의를 끌어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청년세대의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접근도, 여가 선호도, SNS 이용도, 상대적 박탈감으로 선정하고 각각의 요인이 격차 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크게 접근도, 여가 선호도, SNS 이용도, 상대적 박탈감, 지역 간 여가문화 격차 인식을 알아보는 5개의 유형과 기초응답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설문 문항은 총 30문제로 20개의 응답질문과 10개의 응답자의 기초정보를 파악하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위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다중집단분석을 이용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청년세대의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추정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여가 선호도는 접근도와 SNS 이용도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접근도는 상대적 박탈감과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에 모두 유의한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박탈감은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지만, SNS 이용도는 상대적 박탈감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객관적 접근도와 주관적 접근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모형에 여가문화시설 변수를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여가문화시설 변수는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며, 간접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접근도가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에 직⋅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과는 대조되는 것으로서, 물리적인 접근도보다 여가문화기회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이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에 더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접근도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일수록 지역 간 여가문화 격차 인식이 더 증가하고, 동적여가와 동반여가활동을 선호할수록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NS의 적극적인 이용은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가시설의 증가는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여가소비 유형과 거주 지역, 개인 특성을 중심으로 집단을 구분하여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적 여가문화를 소비하는 집단이 동적 여가문화를 소비하는 집단에 비해 접근도에 따른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과 상대적 박탈감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수도권과 수도권의 집단 간 비교에서는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집단이 수도권에 거주하는 집단에 비해 SNS이용도에 따른 상대적 박탈감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개인 특성의 경우 성별, 소득, 사회적 지위, 종사상의 지위를 기준으로 집단을 구분하여 다중집단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분석 결과 성별과 종사상의 지위에서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득과 사회적 지위에 따른 집단 비교에서는 상대적 박탈감이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청년세대의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에는 접근도, 여가선호도, SNS이용도, 상대적 박탈감이 직⋅간접적으로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접근도의 경우 여가문화격차 인식에 직⋅간접적으로 모두 영향을 미쳤으며 주요 요인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년들의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에는 여가기회에 대한 접근성이 가장 주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앞으로 청년세대의 여가 특성에 맞는 여가 기회의 공급이 더 필요함을 뜻한다. 또한 여가선호도가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을 감소시키는 것을 고려하면, 청년세대들이 타인과 함께 동적인 여가를 소비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간호 대학생을 위한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정하림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Humanitude care educational program and validate its effects with a sample of third-year nursing students, thereby providing fundamental data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o the field of gerontological nursing. Methods: Humanitude care comprised four strategies and five steps for the elderly. In this study, the Humanitude care educational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was developed according to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 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process. And then, a non-randomized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dop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Humanitude care educational program. The intervention group with 22 third-year nursing students completed the Humanitude care educational program and then participated in clinical practice for 3 weeks. The 25 third-year nursing students in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clinical practice without taking educational intervention.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 and control group on Humanitude care knowledg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and care efficacy were analyzed with t-tests. Results: Interven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scores in Humanitude care knowledge (t=8.82, p<.001),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t=2.54, p=.015), and care efficacy (t=2.14, p=.040) whereas the score of human-centere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t=0.86, p=.394) was not. However, after finishing clinical practi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 Humanitude care educational program can be adopt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in Humanitude care knowledge,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and care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However, to continue the educational effect, instructors should facilitate nursing students applying Humanicide care in clinical practice. Ultimately, it can propose a novel educational direction that can be applied to human-centered care in gerontological nursing practice. 목적: 본 연구는 간호학과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노인간호교과에서의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은 휴머니튜드 케어의 4가지 전략과 5 단계를 ADDIE(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모델을 토대로 개발하였다.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간호 대학생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비무작위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로 하였다. 중재군은 22명이었고, 6가지 주제에 대한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 적용 후, 임상 실습을 진행하였다. 대조군은 25명으로, 교육 중재 없이 임상 실습만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다. 종속변수의 동질성 검증은 t-test로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중재군과 대조군의 차이검증은 t-test, 두 군간의 시간경과에 따른 결과변수의 변화와 그룹과 시간과의 교호작용여부에 대한 검증은 Repeated Measure ANOVA로 분석하였다. 결과: 두 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 결과, 일반적 특성에서 동질하지 않은 나이와 성별 항목을 공변량으로 처리하였고, 구형성 검정을 확인하였다.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의 제공한 직후, 중재군의 휴머니튜드 케어 지식(t=8.82, p<.001),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t=2.54, p=.015), 돌봄 효능감(t=2.14, p=.040)의 점수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노인에 대한 인간중심적 태도(t=0.86, p=.394)는 유의하게 높지 않았다. 결론: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은 간호 대학생의 휴머니튜드 케어 지식,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 돌봄 효능감에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노인 간호학 실습에서 인간중심돌봄을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학습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을 이용한 역사교육 : Age of Empires Ⅳ를 사례로

        정하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his study, the primary objective is to assess the effect of leveraging a strategy simulation game to enhance students' contextualization and critical reading skills,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potential development of historical thinking. Notably, efforts to integrate gaming elements into history education have been frequent. This research introduces a distinct method aimed at fostering advanced historical thinking among participants possessing rudimentary historical knowledge through engagement with a simulation game. Simulation games afford users choices similar to those faced by historical figures, thereby facilitating exploration of diverse historical aspects encompassing diverse perspectives, causality, ethics, and other dimensions. For this research, <!-- Not Allowed Tag Filtered --><Age of Empires IV> was chosen as the focal game. Positioned as a real-time strategy simulation game based on historical framework, <!-- Not Allowed Tag Filtered --><Age of Empires IV> intertwines a narrative grounded in reality with elements designed to maximize user experience, including unrealistic components. The game’s context is settled on the conquest of England orchestrated by William the Conqueror of the Norman tribe. Five high school studen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providing insights into their perceptions of William the Conqueror, the conquest of England, and the act of conquest, both before and after gameplay. Significant disparities emerged among participants' responses pre- and post-gameplay. Favorable appraisals of William the Conqueror and the conquest of England, evident before gameplay, underwent critical reevaluation as participants began adopting the perspective of the conquered. Additionally, participants grappled with cognitive dissonance as their pre-existing knowledge collided with alternative viewpoints, prompting a reassessment of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warfare and its consequences on culture, customs, and language. The study revealed participants' demonstration of historical imagination, proficiency in value judgments, and formulation of ethical criteria as outcomes of their gaming experience. Consequently, these findings suggest a discernible transformation in participants' historical thinking, substantiating the potential contribution of simulation games in augmenting history education.

      • 중력장내 힘과 운동의 오개념 조사를 통한 효과적 교수-학습방안

        정하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고등학교 물리교과 중 힘과 운동 단원에 대한 오개념을 조사하고 오개념을 교정하기 위한 교수방법을 연구하였다. 조사 결과, 학생들은 매우 다양한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그 대표적인 것은 다음과 같다. 운동은 가한 힘의 방향으로 일어난다. 힘은 물체의 성질이고 물체는 힘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힘을 다 써버리면 물체는 정지한다. 중력은 모든 낙하하는 물체에 같다. 에너지와 힘은 같은 개념이다 등이다. 따라서 오개념 분석을 통해, 힘과 운동에 대한 효과적인 수업 모형을 모색하고자 개념변화 학습 모형을 통한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 통합적 동작활동이 유아의 지각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하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적 동작활동이 유아의 지각운동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에 위치하고 있는 Y유치원의 만 5세 유아 5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비교 집단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통합적 동작활동을 2007년 8월 31일 ~ 2007년 10월 26일까지 8주에 걸쳐 주 1~2회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신체활동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와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통합적 동작활동이 유아의 지각운동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가설 1. 통합적 동작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비교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지각운동능력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1-1. 통합적 동작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신체 지각 운동 능력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1-2. 통합적 동작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공간 지각 운동 능력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1-3. 통합적 동작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방향 지각 운동 능력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1-4. 통합적 동작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시간 지각 운동 능력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먼저 유아의 지각운동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실험처치-사후검사의 순서로 이루어졌으며, 검사 도구는 두 집단 모두 사전과 사후에 실시한 동일한 것으로 제시하였다. 지각운동능력 검사 도구는 이영심(1997)의 박사학위 논문 ‘유아지각 운동 프로그램개발과 효과검증’에서 사용한 지각운동 능력 검사와 Gallahue(1998)의 지각운동 능력 검사를 토대로 황순각(2000)의 박사학위 논문 ‘유아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에서 번안한 것을 사용한 것이다. 통합적 동작활동이 유아의 지각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WIN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의 지각운동능력은 통합적 동작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신체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지각운동능력의 구성요소인 신체지각, 공간지각, 방향지각, 시간지각에 대해서도 통합적 동작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신체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ositive effects of integrated movement activity o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perceptual motor abilit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50 five-year old young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experimental group 25, comparison group 25). Experimental treatment was performed as follows : for eight weeks from August 31, 2007 to October 26, 2007, Experimental group have experienced integrated movement activity through one~two times per week and Comparison group have experienced general physical activity. The following tasks of study are established on this purpose and hypothesis. Purpose :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o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perceptual motor ability? Hypothesis : 1.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s will be higher than the comparison group's in perceptual motor ability. 1-1.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s will be higher than the comparison group's on body perceptual motor ability. 1-2.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s will be higher than the comparison group's on space perceptual motor ability. 1-3.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s will be higher than the comparison group's on direction perceptual motor ability. 1-4.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s will be higher than the comparison group's on time perceptual motor ability.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Pre-Experimental Test,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 The perceptual motor ability test was produced by Rhee, Young Sim(1997), Gallahue(1998) and translated by Hwang, Soon Gag(2000). The data gained from the research was analyzed using a SPSS 12.0 computer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s will be higher than the comparison group's in perceptual motor ability in terms of subordinate factors of young children's perceptual motor, i.e body, space, direction and time.

      • 한국어판 감성지능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정하림 건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목적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Wong과 Law(2002)가 개발한 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WLEIS)을 우리나라 특성에 맞게 번안하고, 한국어판 감성지능 측정도구(K-WLEI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방법 : 충청도, 경상도 및 강원도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370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360부이다. 감성지능은 한국어판 감성지능 측정도구(K-WLEIS), 의사소통능력은 의사소통능력 측정도구(GIC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 프로그램과 AMOS 25.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 계수를 확인하였다. 결과 : K-WLEIS 모델 적합성 분석 결과, χ²/df=2.68, RMSEA=.07, GFI=.91, CFI=.95, TLI=.93 로 나타나 한국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을 설명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부영역별 표준요인부하량은 .53∼.87로 모든 요인에서 .5 이상이었다. 평균분산추출지수(Average Variance Extracted, AVE)는 .71∼.83으로 문항의 수렴타당도가 확보되었고, 모든 요인에서 요인 간 상관계수의 제곱값보다 해당 요인 각각의 AVE값이 크므로 문항의 판별타당도가 검증되었다. 한국판 감성지능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는 .88, 의사소통능력 측정도구는 Cronbach’s ⍺는 .89였다. 결론 : 한국판 감성지능 측정도구인 K-WLEIS는 국내 간호 대학생의 감성지능을 측정하는데 적절한 도구로 여겨진다. 추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K-WLEIS를 사용하여 감성지능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프로그램 개발 등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영작문 평가 시 학습자의 자기 평가와 전문가 평가 간 발생하는 차이의 특징 및 원인 분석

        정하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각각 논증적 글쓰기, 실용적 글쓰기, 그래프 분석하여 글쓰기의 세 가지 유형의 영작문에 대한 평가 시 학생들의 자기 평가 점수와 전문가 평가 점수 간 차이의 양상 및 정도를 분석하고 그 이유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이 결과를 이용하여 영어 쓰기 교육 현장에서의 자기 평가 적용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본 연구의 교육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총 3회에 걸쳐 영작문 과제 수행 후 자기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동일 영작문에 대한 전문가 평가 또한 추후 이루어졌다. 이 평가 결과에 대하여 학생들의 자기 평가 점수와 전문가 평가 점수 간 차이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두 점수 간 차잇값에 대한 빈도를 분석하였고, 차이의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차잇값에 대한 절대치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글쓰기 과제의 유형과 평가의 세부 영역을 기준으로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두 점수 간 차이 발생의 이유에 대하여 알아보고 논의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 대상 서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먼저 첫 번째 연구문제에 대하여, 영작문 평가 시 학생들이 스스로의 작문에 대해 자기 평가를 수행할 경우 교사와 같은 전문가가 평가하는 것보다 더 높은 점수를 부여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은 작문의 유형이나 평가의 세부 기준과 상관없이 나타난다. 두 번째 연구문제에 대하여, 영작문 평가 시 학생들의 자기 평가 점수와 전문가 평가 점수 간 가장 큰 차이가 발생하는 분석적 평가의 세부 영역은 언어사용 영역이다. 다음으로 구조, 내용 순이다. 작문 유형별로 비교하였을 때는 그 값이 유사하여 차이의 정도에 대하여 순위를 매기기 어렵다. 세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자기 평가자들이 인지한 두 점수 간 차이 발생의 요인으로는 제2언어 학습자로서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는 언어 능력의 수준이 평가자마다 다르다는 점, 언어사용 능력은 비슷하더라도 영작문 채점 경험 및 채점 숙련도에서 차이가 발생하며, 자기 평가 시에는 평가자가 본인의 영어실력의 수준에 대하여 이미 내리고 있는 판단이 점수 부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은 자기 평가가 상대적으로 주관적일 수 있다는 점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부족한 채점 경험을 보완하기 위해 학생들이 반복적으로 평가 상황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는 점과 함께 평가자 훈련을 통한 자기 평가자의 평가 능력 향상 기대해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와 선행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전통적인 평가 방식으로서 전문가의 객관적인 평가 결과보다 자기 평가 결과가 그 신뢰도에 있어서 한계를 지니는 것은 사실이다. 이렇게 자기 평가 적용을 조심스럽게 만드는 요인들에 대하여 자기 평가를 수행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평가자 훈련 프로그램의 구성이나 보다 원활하게 자기 평가를 적용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갖출 수 있는 요인 등을 고려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교사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도 평가자 훈련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결국 우리나라의 영어 교육 현장에서 교수·학습 과정의 구성과 학습 분위기가 한 단계 더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가 유용한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sclose the features and causes of differences between self-assessment and expert-assessment for 3 kinds of English writing: argumentative writing, practical writing, and writing of graphical analysis. This study is educationally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presents direction of the application of self-assessment for English writing in classrooms. The frequency of difference values between self-assessment and expert-assessment was analyzed to see the appearance of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the analysis of the absolute value was to look into the degree of differences.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the standards of 3 kinds of writing tasks and 3 specific sections of assessment. Lastly, the interview in writing went for the research participants to figure out causes of differences between two assessments and have a discussion about them. Considering the first research problem, regardless of the kind of writing task or the specific section of assessment, the scores of self-assessment by students tend to be higher than those of expert-assessment. With regard to the second research problem, 'language use' is the assessment section where the degree of difference between two assessment scores appear the biggest, followed by 'structure' and 'content' in order. When it comes to comparison on the basis of the kind of writing task, the resulting values are too similar to each other to determine the rankings of the degree of difference. As for the last research problem, some factors on differences between two assessments that self-assessors recognized are followings: different language competency each assessor has as an L2 learner, grading proficiency or assessing experience which would make difference between self-assessors and experts, and self-judgement and general impression on language competency of one's own. Additionally, students are fully aware that self-assessment could be relatively subjective. Also, improvement of students' ability of self-assessment would be expected by repeated exposure to the situation of assessment and the assessor-training. Wh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preceding researches put together, it is the fact that self-assessment has its limit of reliability comparing to expert-assessment as a traditional evaluation system. Regarding this,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for the factor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development in schools for effective operation of self-assessment. As students, as well as teachers, gain an opportunity to being trained as assessors, the future English education field in Korea can go one step further in respect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class climate. This study would be expected to be utilized as useful base line data for this.

      • 순서형 로짓 모형과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를 이용한 렌터카 교통사고 심각도 예측 연구

        정하림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의 교통사고는 아직도 심각한 상황이며, 교통사고 감소를 위해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최근 차량에 대한 인식이 소유의 개념에서 공유의 개념으로 변화되고 있어 카쉐어링, 렌터카와 같은 차량 공유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다. 이 중 렌터카의 경우 익숙하지 않은 차량과 도로구조, 신호체계 등의 환경요소와 운전자의 연령 및 운전경력 등의 인적요소들에 의해 교통사고가 발생할 경우의 사고 심각도는 일반적인 사고와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국내 대표 관광도시인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렌터카 교통사고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단순히 교통사고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교통사고 중 차지하는 비율이 커지고 있어 그 문제가 더욱 심각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렌터카 교통사고 문제가 심각하다고 판단되는 제주특별자치도를 대상으로 2011년부터 2013년 동안 발생한 렌터카 교통사고 자료를 이용하였다. 렌터카 교통사고의 심각도를 예측하기 위해 통계적 분석방법과 기계학습 방법을 이용하여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개발된 모형의 성능의 비교와 함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통계적 분석 방법으로는 순서형 로짓 모형, 기계학습 방법으로는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를 선택하여 렌터카 교통사고 심각도 예측 성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가지 방법 모두 모형의 성능이 실제로 적용하여 사용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았으며, 현재 보유한 렌터카 교통사고 자료를 기반으로 사고 심각도를 예측하는 것은 한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DTG와 같은 교통사고 심각도에 보다 밀접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데이터 추가를 통해 예측 성능이 향상된다면, 현재 보험사에서 실시 중인 UBI(Usage Based Insurance)와 같이 렌터카 이용료 조정 등에 사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와 관련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