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과에서의 디자인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정진현(Jung, Jin Hyun) 한국실과교육학회 2007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plan to improve the design education which was able to execute it systematically and practically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inquired into the theory about elementary design education, analyzed the contents about design education shown in practical arts textbook, and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about design education of practical arts in elementary schools. For analyzing the contents about design education, the contents were grouped into aestheticㆍsymbolic expression area, usefulㆍfunctional performance area, scientificㆍtechnological application area, and socialㆍemotional attitude area. For the questionnaire in elementary schools, subjects are 165 charge teachers of the 5th and 6th grade in Daegu. The method of this survey has been through the arbitrary-chosen questionnair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ontents about desig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textbook focus more on estheticㆍ symbolic expression area and usefulㆍfunctional performance area than other areas. Scientificㆍtechnological application area have smaller proportion in practical arts. Therefore, contents about scientificㆍtechnological application area are necessary to put into practical arts textbook more and more. 2.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for the working process because teachers cannot enough to understand about the working process of products, when they teach the making and decorating in class. 3. It is necessary to use the educational media positively, to develop the design materials for teaching the making and decorating. 4. Considering the creativity extension of studen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following products of textbook alike. 5. For activating desig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it has to equip with the facilities and tools for practical arts instruction, has to expand the charge teacher for practical arts gradually, has to study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practical arts teacher, and needs to develop the reference books for desig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 KCI등재

        뇌기능을 통한 기술⋅가정 교과서의 ‘기술과 발명’ 단원 분석

        정진현(Jung Jin Hyun) 한국실과교육학회 201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가정 교과서의 ‘기술과 발명’ 단원을 뇌기능 특성의 관점에서 분석해봄으로써, 교과서가 학습자의 뇌기능 발달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뇌의 작용과 학습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기술⋅가정 교과서의 ‘기술과 발명’ 단원의 내용을 뇌의 특성에 의한 내용체계, 탐구 및 실습활동, 내용설명, 삽화의 4가지의 분석준거 및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뇌는 뇌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학습과 기억 및 문제해결과정의 중추로서 교육적인 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둘째, 좌뇌는 언어적, 상징적, 계획적, 분석적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고, 우뇌는 비언어적, 종합적, 구체적, 주관적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셋째, 인간의 뇌는 사고, 감정, 상상 등 여러 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지각된 사실기억이 공간 기억에 저장될 때 가장 잘 이해되고 기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 인간의 인지발달은 뇌의 초기발달뿐만 아니라 뉴런과 시냅스의 발달, 뇌의 신진대사의 변화, 수초화의 발달, 뇌파의 변화 등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다섯째, 연령에 따라 두뇌 기능과 인지적 특징은 여러 단계로 구분되어져 있음을 많은 연구자들 이 제시하였다. 여섯째, 교과서 분석 결과, 탐구 및 실습활동을 통해서 발명에 대한 호기심이 유발되며, 발명 활동이 실제와 유사성이 있는 활동으로 인식될 수 있는데, 다양한 발명 관련 내용의 개념을 습득하는데 있어 약간의 부족함이 있다고 판단되고, 우뇌 성향의 탐구 및 실습활동을 좀 더 할 수 있도록 보완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grasp how brain function reflect textbook, with the results which was analyzed technology & invention unit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from brain function point of view. For this, it considered the operation and learning of brain, analyzed the content of technology & invention unit by the analysis standards(content system, investigation and practice activities, content description, illustrations) from brain function point of view.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erebrum is composed of 80% in human s brain, take charge of learning, memor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is very important part in side of the education. 2. Left brain has the characteristics of verbal, symbolic, intentional, analytical, etc, right brain has the characteristics of nonverbal, synthetic, concrete, subjective, etc. 3. Human brain can carry out the various functions which of thinking, feeling, imagination, etc, at the same time. Also, human brain can memory and understand very well when the perceived fact memory keep in the space memory. 4. Human s recognition develop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neuron and synapse, the change of metabolism of brain, myelination development, and changes of brainwaves, not just an early stage development of brainwave. 5. Many researchers suggested that brain function and cognitive characteristic are separate in many stages by human age 6. As the analysis results of textbook, curiosity about invention can be induced by research and practice activities. Invention activity can be recognized as activity of similarity to real.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little adequacy about getting concepts of various quality of invention. Right-brain tendency about research and practice activity are needed to supplement to do it more.

      • KCI등재

        노년기 인지기능과 정서가 주관적 기억 감퇴 호소에 미치는 영향

        정진현(Jung, Jinhyun),김정모(Kim, Jungmo)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3

        주관적 기억 감퇴란, 기억력 측정 과제 수행에서 객관적인 기억 문제가 시사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기억력이 저하되었음을 호소하는 상태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기억 감퇴를 호소하는 노인들의 신경심리학적인 특징과 정서 특징들을 살펴봄으로서 노년기 주관적 기억 감퇴 호소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심리학적 변인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주시에 거주중인 60세 이상의 노인 중, 무선적 선별을 통해 주관적 기억 감퇴 집단에 해당한 41명(남 25명, 여 16명)과 통제 집단 48명(남 26명, 여 22명) 총 89명을 대상으로 신경심리검사 및 정서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주관적 기억 감퇴 호소 양상과 인구학적요인 간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주관적 기억 감퇴 호소 양상과 신경심리검사 중 단어목록기억, 단어목록회상 검사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또한 불안과 우울과 같은 정서적 특성과도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통제 집단과 주관적 기억 감퇴 집단의 인지기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T-검증을 실시한 결과 단어목록기억, 단어목록회상, 구성회상, 구성재인, 전두엽 기능평가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주관적 기억 감퇴 호소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신경심리검사의 변인 중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없었으나 제한된 인원수를 감안하였을 때 기억력 관련 검사에서 유의한 경향성을 보였다. 부정적인 정서 상태 중 주관적 기억 감퇴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인은 없었으나 제한된 인원수를 감안하였을 때 우울감이 주관적 기억 감퇴와 유의한 경향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주관적 기억 감퇴를 호소하는 노인들과 객관적인 인지기능의 저하가 연관이 있으며 부정적 정서상태 중 우울과도 관련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Subjective memory complaints(SMC) are defined as a phenomenon , where people complain their memory loss even they have intact cognition.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otions and the neuropsychological variables of the memory loss, and the cognitive functions of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For the purpose of this, we measured neuropsychological tests and emotion evaluation for 89 people(control = 48, SMC = 41) over 60 years. in Gyeongju city. The results were follows: SMC showed less cognitive functions of Word List Memory, Word List Recall and Construct recall and recognition as well as the lower emotion of depression.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and the affective variables between the two groups i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MC was significant influenced by Word List Memory and depression in 10% level. The results showed that SMC is related with memory loss and depression. It was discussed about the limitation of our study and a future research direction.

      • KCI등재

        실과에서의 디자인 교육과 교육 요구도 분석

        정진현(Jung, Jin Hyun) 한국실과교육학회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실과 디자인 지도를 위한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디자인 교육과 기술적 교양으로서의 디자인 교육에 대해 파악하고, 실과교과에서의 디자인 교육 관련 현황을 분석하고, 디자인 교육 요구도 조사 및 분석하였다. 교사들의 교육 요구도는 보리치의 공식을 이용하였다. 대구에 근무하는 초등 5, 6학년 담임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우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245명을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과 디자인과 관련된 예시자료는 미적·상징적 표현 영역과 실용적·기능적 수행 영역에 집중되어 있고, 과학적·공학적 응용 영역에 관련이 적게 나타났다. 2. 교사들의 요구능력수준과 현재능력수준은 보통이며, 전자제품 만들기, 스킬자수와 뜨개질 하기, 간단한 용품 만들기 등은 교육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3. 실과에서의 교사를 위한 디자인 자료 개발의 고려사항들을 추출하였다.

      • KCI등재

        뇌 기반 K-6학년 창의적 공학기술문화 교육을 위한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Ⅰ) 1) - 유치원 및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

        정진현(Jung, Jin-Hyun)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아동들이 공학기술의 중요성을 자각하도록 하며 공학기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가지고 스스로 이해하고 흥미를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아동들에게 창의적 공학기술 교육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뇌 기반 창의적 공학기술문화 교육을 위한 콘텐츠를 개발하여 그 적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 7세반 2개 학급, 초등학교 1학년 2개 학급으로 하였으 며, 검사 도구는 창의성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뇌 기반 창의적 공학기술문화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실험반에 1주에 1-3시간씩 10회로 총 10-22차시를 실시하였으며, 비교반에서는 각 유치원및 초등학교의 교육과정에 맞추어 일반적인 교과수업을 실시하였고, 사전검사-본 실험처치-사후검 사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분석을 위해 SPSS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t검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초등학교 1학년의 실험반과 비교반의 창의성의 사전검사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이 두 집단은 동질한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3. 창의성에서 유치원, 초등학교 1학년의 경우 실험반과 비교반의 사후 검사 결과, 창의성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더욱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창의성이 더욱 증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치원,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에게 뇌 기반 창의적 공학기술문화 교육 콘텐츠를 적용한 것이, 아동들의 창의성 증진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This study makes conscious about importance of engineering technology for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tudents, focusing on making new sight about engineering technology, how creative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should understand and get interested for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s about contents which for creative engineering technology culture education based on brain. Subjects ar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 city and they are two 7 years old classes in kindergarten, two 1st grad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Testing tool is creativity examination test. And also developed education contents of creative engineering technology based on brain, and carried out experimental group for 10 weeks by 1-3 hours in one week and total is 10-22times. In controlled group, they carried out regular subject education which is fitted with each kindergarten and school curriculum. It was progressed through pretest-experimental treatment–posttest. For this research analysis, SPSS was used and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alysis enforc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ep were follows; 1. Results of pretest about creativity, there had no difference in statistically, so these two groups had likely the same groups. 2. Results of posttest about creativity i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1st, there had difference in statistically between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s were more increased than controlled group. Therefore, the contents of creative engineering technology culture which based on brain had effective to increase creativity to children.

      • KCI등재

        뇌 기반 K-6학년 창의적 공학기술문화 교육을 위한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Ⅱ) 1) - 초등학교 3, 5학년을 대상으로 -

        정진현(Jung, Jin-Hyun)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아동들이 공학기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가지고 스스로 이해하고 흥미를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아동들에게 창의적 공학기술 교육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 에서는 뇌 기반 창의적 공학기술문화 교육을 위한 콘텐츠를 개발하여 그 적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 5학년 2개 학급으로 하였으며, 검사 도구는 공학기술의 태도, 창의성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뇌 기반 창의적 공학기술문화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실험반에 1주에 3시간씩 10회로 총 30차시를 실시하였으며, 비교반에서는 초등 학교의 교육과정에 맞추어 일반적인 교과수업을 실시하였고, 사전검사-본 실험처치-사후검사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3, 5학년의 실험반과 비교반의 공학기술의 태도, 창의성의 사전검사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이 두 집단은 동질한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2. 공학기술의 태도에서 초등학교 3학년과 5학년의 경우 실험반과 비교반의 사후 검사 결과, 공학 기술의 태도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더욱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공학기술의 태도 인식이 더욱 증진되었음을 알 수 있다. 3. 창의성에서 초등학교 3학년과 5학년의 경우 실험반과 비교반의 사후 검사 결과, 창의성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더욱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창의성이 더욱 증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3학년과 5학년 아동들에게 뇌 기반 창의적 공학기술문화 교육 콘텐츠를 적용한 것이, 아동들의 공학기술의 태도 및 창의성 증진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This study made conscious about importance of engineering technology for elementary students, focusing on making new sight about engineering technology, how creative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should understand and get interested for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s about contents which for creative engineering technology culture education based on brain. Subjects wer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 city and they were two 3rd grade classes and two 5th grad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Testing tool was the attitude of engineering technology and the creativity examination test. And also developed education contents of creative engineering technology based on brain, and carried out experimental group for 10 weeks by 3 hours in one week and total was 30 hours. In controlled group, they carried out regular subject education which was fitted with each school curriculum. It was progressed through pretest-experimental treatment–posttes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ep were follows; 1. Results of pretest about attitude of engineering technology and creativity, there had no difference in statistically, so these two groups had likely the same groups. 2. Results of posttest about attitude of engineering technology in elementary school 3rd and 5th, there had difference in statistically between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s were more increased than controlled group. 3. Results of posttest about creativity in elementary school 3rd and 5th, there had difference in statistically between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s were more increased than controlled group. Therefore, the contents of creative engineering technology culture which based on brain had effective to increase the attitude of engineering technology and the creativity to children.

      • KCI등재

        실과 공업ㆍ기술 영역 지도내용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정진현(Jung Jin Hyun) 한국실과교육학회 2005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8 No.1

        This study was purposed to search for resolution about the results, which was examined about the contents appropriateness of industrialㆍtechnology field in practical arts text. The criterion, for the subject of teachers and university students, such as usefulness in real life, interest and curiosity of students, fitness of growth step, coincidence between home work and students’ circumference, actualization of chapter, learning quantity, difficulty of contents, application of teachers, accord between objectives and contents, relationship with other subjects, structure of contents and text were developed to test appropriateness. Also for the subject of elementary students, the criterion such as difficulty of contents, usefulness in real life, practice degree of contents, interest of students, concern of students, learning quantity, worth after learning were developed to test appropriateness.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108 elementary teachers and 835 elementary students in Daegu city analyzed by SPSS/PC+ package program.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for analysis were frequency and cross tab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follows; 1.Teachers recognized that students got interest and curiosity, fitness of growth step presented somewhat high, usefulness in real life presented somewhat high, coincidence between home work and students’ circumference presented a little low, actualization of chapter presented a little low, learning quantity presented a little much, difficulty of contents presented fairly difficult, application of teachers presented difficult, accord between objectives and contents presented a little low, relationship with other subjects presented low, structure of contents and text presented somewhat bad about the contents appropriateness of industrial technology field. 2. Students recognized that difficulty of contents presented average, usefulness in real life presented somewhat high, interest of students presented somewhat high, concern of students presented somewhat high, learning quantity presented average, worth after learning presented fairly high

      • KCI등재

        유⋅초등학교 교사의 공학기술문화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정진현(Jung Jin Hyun) 한국실과교육학회 201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공학기술문화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있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초등학교교사의 공학기술문화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내용은 공학기술의 특성, 공학기술의 내용, 공학기술의 능력, 과정 및 수준, 공학기술의 콘텐츠 교육방법이다. 설문방법은 우편조사이고, 설문지 1,055부를 통계 처리하였으며, 교육요구도는 보리치 공식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든 항목에서 요구되는 능력수준과 현재 자신의 능력수준의 격차가 크다고 볼 수 있다. 2. 공학기술의 특성과 관련한 항목 중에서 ‘공학기술적 사고와 창의성’ 항목의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학기술의 내용에서 제조 영역은 ‘간단한 도면 작성하기’ 항목이, 건설 영역은 ‘모형 다리 만들기’ 항목, 에너지⋅수송 영역은 ‘수소 자동차 이해’ 항목, 정보통신 영역은 ‘간단한 교육용 멀티미디어 자료 제작’ 항목, 생명 영역은 ‘유전공학의 이해’ 항목, 전기⋅전자와 기계영역은 ‘로봇의 이해와 간단한 로봇 조립’ 항목, 발명 영역은 ‘지식 재산과 특허 출원’ 항목이 가장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공학기술의 콘텐츠 교육방법과 관련한 항목 중에서는 ‘공학기술 관련 견학 및 체험활동’ 항목이 가장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분산분석 결과, 5개의 집단별로 요구되는 능력수준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반면, 자신의 능력수준은 모든 항목들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basic materials for developing contents of engineering technology culture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about characteristics of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of engineering technology, ability, process, and level of engineering technology, and education method of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and analyzed an educational need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teachers. The educational needs of teachers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Borich s formula. All teachers who taught students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in Korea were considered.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the mail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researcher and 1,055 cases were analyzed finally.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follows; 1. All items showed high gap between required competence level and present competence level. 2. In the educational needs of characteristics of engineering technology, engineering technological thinking and creativity was high. In the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the simple drawing out of manufacture area was high, and the model bridge making out of construction area, the hydrogen car understanding out of energy⋅transportation area, the simple multimedia making ou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rea, the genetic engineering understanding out of life area, the robot understanding and simple robot assembling out of electric⋅electronic and machine area, the intellectual property and patent out of invention area. 3. In the educational needs of education method of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the observation and experience action about engineering technology was high. 4. Results of variance analysis, required competence level at 5 group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partly, but all items of present competence level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 KCI등재

        교환학생의 한국어 학습 탈동기 연구

        정진현 ( Jinhyeon Ju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이 연구는 외국인 교환학생의 한국어 학습에서의 탈동기 경험을 조사하여 한국어 교육에서의 개선점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에서 수학 중인 교환학생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focus group)을 활용하여 이들의 탈동기 경험과 인식, 요구사항 등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교환학생들은 교수 방법이나 선택 가능한 한국어 수업의 부족, 한국어 학습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한국어 학습 탈동기화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한국어 학습 탈동기에 대한 연구는 주로 설문조사와 같은 정량적인 방법이 활용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한국어 학습 탈동기 요인을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교환학생이라는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을 바탕으로 이들의 탈동기 경험과 인식을 살펴보며 국내 교환학생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환학생의 한국어 학습 및 탈동기 경험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환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이 개선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motivational experiences of foreign exchange students in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to use the result to find solu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a focus group was used for interviewing exchange students’ demotivational experiences, perceptions, and requirements about studying in universities in Korea.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exchange students experienced demotivation in Korean language learning due to the teaching methods, the lack of selectable Korean classes, and difficulties in learning Korean. In the meantime, studies on demotivation of Korean language learning have mainly used quantitative methods such as surveys, bu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factors of demotivation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addi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s exchange students, this study will help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exchange students in Korea by examining their demotivational experiences. Based on this study,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exchange students can be improved.

      • KCI등재

        뇌과학에 기초한 실과 창의적 문제 해결 수업이 아동의 창의성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정진현(Jung Jin Hyun),김용익(Kim Yong Ik),황옥곤(Hwang Ok Gon),박준영(Park Jun Young) 한국실과교육학회 200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7 No.1

        This study has a purpose of finding the effect of children’s creativity and self-efficacy through creative problem solving teaching in practical arts subject based on the brain science and proving the result. We have put in operation a practical arts developing the teaching media material and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teaching-learning plan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brain function. Experimental group who took part in practical arts teaching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brain function significantly improved in creativity and self-efficacy. Meanwhile, controlled group who participated in general teaching showed no meaningful improvement in creativity and self-efficacy. Therefore, we could think of the effectiveness improving creativity and self-efficacy, the teaching and learning which is synthesizing characteristics of perceptive process of left hemisphere and right hemisphe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