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지애와 증오애(hurting love)-회월 박영희의 전향선언과 `좌파/문학`

        정주아(Joung, Ju-A) 한국현대문학회 2016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8

        ‘얻은 것은 이데올로기요, 상실한 것은 예술’이라는 회월 박영희의 전향선언은 이념적으로 불철저한 사회주의자의 포기 선언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 논문은 박영희의 비평 작업 및 전기적 행보를 바탕으로, 근대 계급주의 문학운동의 조직적 구현체였던 카프가 당초 사회주의 문학운동을 의욕적으로 추진했던 문학청년의 이상과 어떤 지점에서 불화하게 되는지를 설명한 것이다. 본문의 논의는 박영희의 전향 선언에서 추출해낸 세 가지 메시지를 되묻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첫째, 이데올로기와 예술은 왜 양립할 수 없는가, 둘째, 상실의 대상이라 지칭된 ‘예술 자신’이란 무엇인가, 셋째, 그리고 무엇보다도 예술을 상실하면서까지 얻으려 했던 그 이데올로기를 스스로 포기한 작가는 어떤 존재 기반에 놓이게 되는가. 이상의 세 가지 질문을 통해서 이 논문은, 이데올로기적 보편자가 성립하기 위해 원리적으로 배제되어야만 하는 개별자의 처지에 놓인 예술가(작가)의 운명과 그로부터 파생되는 내적 분열 및 환멸의 양상, 한국 근대 문학운동사의 근원적 토포스로서의 공동체의식과 정치적 ‘조직’화 사이의 거리감, 사회주의 조직운동 내부의 자기 결벽성과 결합된 증오애가 생산되는 방식, 결국 이념과 문학을 모두 포기한 자리에서 마련되어야만 하는 문학 행위의 윤리 의식 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논의는 좁게는 회월을 나약한 사회주의자로 평가하는 시각에 대한 재고를 요청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아가서는, 한국의 사회주의 문학 운동, 즉 좌파문학 운동을 카프 중심의 조직운동사로 제한하는 시각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이는 박영희를 좌절시켰던 조직운동의 배타적인 자기 구성 원리에 앞서 ‘동지애’로 상징되는 공동체적 연대감이 계급문학운동 나아가 조선의 사회주의운동을 출발시킨 동력이었음을 확인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로써 ‘좌파/문학’ 사이의 틈새가 가리키는, 서로 합일되지 않는 불화의 지점에 도리어 근대 사회주의 문학운동의 이상이 자리하고 있다는 점을 살피고자 하였다. Park Young-Hee was a Korean Marxis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He was a part of the KAPF (Korea Artista Proleta Federacio) as a writer and critic in 1925. The KAPF led Korean leftist literature, and Park was considered a highly competent theorist within the KAPF. But Park had declared his ideological shift and ultimate departure from the KAPF when it faced the threat of disbandment from the policy of socialist suppression by the Japanese. His declaration, “What we get is ideology, what we lose is art” (1934), became an almost mantra-like recitation that is often quoted amongst Korean critics and Korean modern literature researchers alike. This paper focuses on the meaning of what Park termed ‘lost art’. The aesthetic of Park’s earlier literary work had been one of romance and idealism, but once Park decided to embrace Marxism, his work took on a more practical yet provocative tone. Many researchers interpreted the meaning behind his declaration as a renunciation of Marxism, and a proclamation of his return to a more visionary aesthetic. This paper will go into detail about Park’s departure from the KAPF, and his conversion in terms of the incongruity between his desire for a major collective literary movement, and the organizing principles of his socialist party. Park’s experience of creating a magazine (and a literary movement), with a coterie of other writers helped foster a sense of genuine camaraderie amongst himself and the other writers. But the socialist party required its members prove their loyalty to the socialist party orthodoxy during its struggle for recognition and legitimacy. Park could no longer endure that kind of hurting love, which was primarily a partnership filled with hostility and mistrust; that undermined the bonds of fellowship he had with his fellow writers. The loss of those bonds with his comrades almost felt as if he were losing his ability to write literature, and his artistic identity.

      • KCI등재

        현진건 문학에 나타난 기교의 문제

        정주아(Ju A Joung) 한국현대소설학회 2008 현대소설연구 Vol.- No.38

        Modern literary circles in Korea place a high value on technical excellence of novel of Hyeon, Jin-Geon. At this moment, technists represent limitation of a writer rater than a compliment to a writer because the creative viewpoint based on realism is the mainstream of the 1920`s. Therefore, peoples think literature is supposed to reflect a fact of colonialtimes of Joseon. This paper described how the assessment that Hyeon, Jin-Geon is a `technists writer` affects his consciousness and works. First of all, this paper will mention that Hyeon, Jin-Geon`s works have technical influences by short stories of naturalism in 1920`s for instance Maupassant and Chekhov`s. Next this paper will demonstrate that Hyeon, Jin-Geon`s familial background has an effect on his professionalism. He believes a writer has to write with a spirit of Joseon instead of imitating Western stories. Because of Western short stories of naturalism and familial influence, Hyeon, Jin-Geon has an ideal which he would like to write short stories which not only are technically excellent but also reflect the reality of Joseon. He used words `Joseonhon(the soul of Joseon)` in his critical essay. However, the ideal which reflects reality like naturalism and realism conflicts with short stories which pursue the completed beauty of the form. Hyeon, Jin-Geon makes a great effort to harmonize those two ill-matched ideals. Unfortunately the attempt does not succeed. He stops to write short stories and starts to write a novel which has never been completed. He eventually finishes a historical novel which is pleased with both naturalism and ideal of short stories. Hyeon, Jin-Geon`s works show a point of view of the early literary circles of Joseon which identifies technical excellence with easy-going way of thinking about reality. While Yeom, Sang-Seop releases realistic novels and Kim, Dong-In is fascinated by short stories, Hyeon, Jin-Geon is a writer who tries hard to harmonize realistic spirit with a style of short stories for a long time.

      • KCI등재

        『백조』의 러시아문학 수용 양상 고찰

        정주아(Ju A Joung) 한국현대소설학회 2009 현대소설연구 Vol.- No.41

        This paper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jo> (1922~1923), Korean literary magazine and the Russian literature in the method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the works of Na, Do-hyang and Hong, Sa-yong, it can be found a passage or motif from Turgenev`s On the Eve, Poems in prose. Under the influence of Turgenev, they represented their literaty theme distinctly: the negation of life and the life as a process of death. Noh, Ja-young who was one of the Baekjo group, also described his longing for Russian nature in his essay. He had the idea that Russia was the land comforted a wanderer. For all narratives from the various writers, Russia and the Russian literature had been a source that produced the notion of transitory and instability. In this attachment to Russia, it was reflected a self-conscious of the Baekjo group who considered themselves as a unsettled wanderer. The members of the Baekjo group set themselves as the generation in the transition period. They were attracted by the theme of `youth`. They praised a youth, and sighed out with the youthfulness faded. The more they were fascinated with a youth, the more were they sentimental and lost their life. They were the target of criticism by people, but their instability was a means of resistance which they free themselves from bondage and an old generation. They were impressed by the Russian Literature not only a communism or a communist revolution, but also the attitude of a intelligentsia worried about the way of living. It gave support to convert a definition of the art, a masterpiece became no longer only the art, the life of artist in itself also could become the art.

      • KCI등재

        국제 노동 시장의 경험과 민족주의자의 딜레마 : 주요섭의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정주아(Joung Ju-a)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0 중앙사론 Vol.0 No.52

        이 글은 해방 전후에 발표된 주요섭의 장편소설을 대상으로 3.1 운동 이후 민족주의 운동에 뛰어든 청년 민족주의자가 체험한 국제 자본 시장 의 현실과 그에 따른 정치적 신념의 딜레마를 분석하고 있다. 주요섭은 3.1 운동 직후 중국 상해로 건너가 임시정부에 합류한다. 이후 그는 1920∼40 년사이에상해를비롯하여북경, 미국캘리포니아등에서약16년간해 외에 체류한 바 있고 해당 경험을 토대로 장편소설을 써냈다. 도산 안창호 로 대변되는 평양 지역 민족주의 운동의 영향력 하에 있었던 그에게, 미국 및 중국에서의 체류 기간이란 사회의 저층을 이루는 노동 문제를 포괄하 지 못하는 민족주의 운동론의 한계를 깨닫는 경험이기도 했다. 그는 민족 공동체를 보전하는 동시에 그 내부에 상존하는 계급의 문제를 동시에 처 리해야 한다는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이 글에서는 주요섭이 당대 잡지에 기고한 글과 주요한의 기록 등을 통해 신간회가 민족과 계급을 포괄할 대 안으로 고려되었던 사정을 살폈다. 주요섭의 장편소설은 민족운동에 대한 의지와는 달리 대공황이나 전쟁 등으로 점차 열악해지는 현실 속에서 실 존적 위기를 느끼는 주인공들의 서사이다. 이에 그의 장편소설은 대의를 좇는 민족주의자의 방황을 통해 민족운동의 현장에서 먼 장소일수록, 즉 상해보다는 미주에서, 국내보다는 해외에서 ‘조국’이라는 별빛이 더 명징 하게 빛나는 현상을 담게 된다. This paper discusses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in international labor markets that a young Korean nationalist writer Ju Yo-seop experienced. Ju went to Shanghai to jo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just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Since then, he stayed abroad for about 16 years in Shanghai, Beijing, and California from 1920 to 1940. Based on his overseas experience, he has written some novels. Born in Pyongyang (the North Korean capital of today), he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Pyongyang regional nationalist movement represented by Ahn Chang-ho who asserted “Capacity-enhancing Movement” as the way to gain Korea’s independence; especially emphasizing modernization through industrial development. Ahn had a great influence not only on Korea but also on overseas Koreans. The time in the US and China helped Ju realize that ethnic and class issues can never be separated from the international labor market, a place where racial and ethnic discriminations prevail. He faces a dilemma between preserving the ethnic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lasses that exist within it. In this paper, Ju s novels and articles are examined to show Singanhoe was considered by him as an alternative to combine both the survival of ethnic community and abolition of class discrimination.

      • KCI등재

        조세희 문학을 통해 본 1970년대 산업사회와 ‘희망’의 문제

        정주아(Joung, Ju-a) 한국근대문학회 201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9 No.2

        이 글은 1970년대 문단의 총아로 등장했던 조세희의 작품 전반을 대상으로, 급속한 산업화의 흐름에 역행하여 도덕성의 회복과 분배 정의의 실현 등 공동체적 ‘희망’을 기획하는 일의 지난함이 조세희의 소설쓰기를 파국으로 몰고 가는 과정에 대해 논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강력한 도덕주의적 요청 이면에 존재하는 현실적 딜레마와 작가적 혼돈의 지점을 살폈다. 우선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의 재독을 통해, 생존투쟁에 몰두하는 군중 앞에서 도덕성을 주장하거나, 인류 문명사를 지탱해온 산업화의 비인간적 발전 방향에 항의하거나 하는 서술 내용과는 별도로 텍스트 내부에서 무기력함이나 불안함 등이 표출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어서 조세희의 문학에서 사회 중산층으로 자리 잡은 엘리트가 비판 받는 지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회적 약자에 대한 도덕적인 연민을 지닌 지식인 엘리트일수록 그의 소설에서는 비난의 대상이 된다. 이는 세속적인 자기이익의 실현에 몰두하면서도, 도덕적인 연민을 도리어 자기 결백성을 입증하기 위한 근거로서 소비해버리는 행태를 보이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중산층을 향한 작가의 비판을, 칸트 도덕론의 관점을 차용하여 ‘심정적 전도’라는 개념을 통해 살폈다. 아울러 조세희의 문학의 한계로 비판되곤 하는 선악의 이분법은, 비단 제한적인 현실인식의 결과라 비판될 것이 아니며, 오히려 이분법으로 규정하거나 단죄할 수 없는 현실적 모순을 너무 명료하게 인식한 결과 그 모순 앞에서 주저할 수밖에 없는 태도를 청산하기 위해 요청된 도덕주의적 서술 전략으로 보아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산업사회의 ‘닫힌 프레임’ 속에서 희망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책임감은 결국 조세희의 소설 쓰기를 파행으로 이끈다. 이 글에서는 그의 후기 작품이 도덕성 회복을 향한 강박에 시달린 나머지 사실적 재현의 수준을 벗어나, ‘재현’이 소거된 르포르타주나 ‘사실’이 소거된 신학적 서사로 귀결되었음을 살폈다. 조세희의 문학적 행보는 ‘산업화의 첫 세대’라는 자의식 속에서 공동체의 미래에 대해 고민했던 작가로서 감당해야만 했던 현실적 고투를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Based on the overall works of Cho Sehee, who rose in the literary circle as a gifted writer in the 1970s,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cess of how the nearly impossible task of going against the fast trend of industrialization and planning for communal “hope,” including the restoration of morality and the realization of distributive justice, led to the end of Cho Sehee’s career as a writer of fiction. For the aforementioned discussion, this study initially examined the dilemma behind the strong demand for morality and the point of confusion for the writer. First of all, this study reread the novel The Dwarf and found that aside the fact that while the descriptions in the novel overtly calls for morality in front of the crowd solely focuses on the struggle for survival or protests against the inhuman progress of industrialization, which has so far sustained the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the text internally expresses emotions such as lethargy or anxiety. This study further examines the passages in Cho Sehee’s novels where middle-class elites are criticized. In Cho’s novels, the elites who are more sympathetic towards the socially vulnerable are more likely to become targets of criticism, since they are hypocrites who do not give up on realizing their secular self-interests and use the sympathy towards the weak as an evidence of their morality. Drawing from Kantian ethics, this study took a look at the author’s criticism of the middle class with respect to the concept of “the perversity of the heart.” Moreover, this study posited that the dichotomy of the good and evil, which is pointed out as a limitation to Cho Sehee’s literature, was not the outcome of having a limited perception towards reality, but a result of knowing so well about the contradiction in actual life that could not be defined as dichotomy nor be a reason for punishment. Rather,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a moral narrative strategy used to free oneself from hesitating in front of a contradiction in reality. However, the responsibility of having to create hope within the “closed framework” of the industrial society leads Cho Sehee’s literary career to a dead end. This study found that his later works displayed signs of an obsession with the restoration of morality that Cho departed from realistic representation to write reportages without “representation” or theologically imaginative works with no “reality.” Cho Sehee’s literary footsteps reflect his real struggle as a writer who considered himself “the first generation of industrialization” and agonized over the future of the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

        김태준의 『조선소설사』 개작과 문학사적 기원으로서의 한글의 위상

        정주아(Joung, Ju-A)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과학연구 Vol.0 No.54

        이 글은 김태준이 써낸 『조선소설사』의 최초 단행본과 개정증보판을 중심으로 각 판본에서 한글의 위상이 변모하는 양상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조선소설사』는 당초 신문에 연재되었던 것으로, 1933년에 단행본으로 출간되고, 이후 1939년에 개정증보판이 나왔다. 이 논문에서는 이 두 종의 단행본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차와 개작 내용의 변화를 유의미하게 보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특히 최초 단행본에서 국민문학의 기원으로 거론되었던 한글의 위상이 증보판에 이르러 변모하는 양상과 그 원인을 해명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간 두 단행본 간의 차이는 ‘경성콤그룹’의 구성원으로서 공산주의 운동에 심취했던 김태준의 사상적 변화 속에서 설명되곤 했다. 증보판으로 갈수록 유물론적 시각이 강화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본 논문에서는 당대 국학운동의 지형도 속에서 한글의 위상이 변화하는 양상을 통해 두 텍스트의 차이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로써, 개작된 문학사 텍스트 내에 존재하는 시간의 중층성을 읽어내고, 『증보 조선소설사』가 1930년대 국학자 김태준의 이념적 지향은 물론 사실상 그가 부정하고자 했던 1920년대 국학운동의 지향까지도 흔적처럼 포괄하고 있는 이중적인 텍스트라는 사실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의 논의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우선 『조선소설사』에서 한글이 조선문학을 구성하는 기준으로 선택될 수 있었던 정황에 대해 살핀다. 다음으로는, 한글이 조선문학의 기준으로 선택되면서 생겨난 역사적 딜레마를 중국 및 일본의 근대화 및 ‘국자(國字)논쟁’의 차원에서 논의해본다. 이 역사적 딜레마는 김태준이 최남선이나 신채호 같은 국학운동 첫 세대와 결별하게 되는 맥락과 관련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1930년대 중반 사회주의 사학의 출현 및 고전부흥논쟁을 거치면서 기술된 과학적 문학사 속에서 한글이라는 ‘문학사적 기원’의 위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논의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of Hangeul’s status by comparative analysis in the first edition of “the History of Chosun’s Novel” and its revised edition by Kim Tae-jun. The History of Chosun’s Novel appeared in a series in a newspaper. Later, it was published as a book in 1933 and finally “the History of Chosun’s Novel; the Revised Edition” was published in 1939. The time gap and changes of the content between the two editions are in the center of discussion. This paper focuses on clarifying the way and the reason Hangeul’s status changed in the revised edition after Hangeul started to be considered as the origin of the national literature in the first e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editions has been often explained in the context of socialist Kim Tae-jun’s ideological change as a member of Kyungsung Com-group. In fact, materialistic perspective strengthened in the revised edition. However, this paper puts change of Hangeul’s status in the center of analysis to show difference of the two texts in the progress of national studies movement of Korea. Through this analysis, one can capture multi-layers of time appearing between the two texts of literary history. Furthermore, it is aimed to prove that the revised edition includes trace of national studies’ orientation in the 1920s that Kim was against as well as Kim’s ideological stance as a scholar of national studies in the 1930s. Three main discussions take place in this paper. First, the backgrounds where Hangeul could be suggested as the standard for Chosun’s literature are examined. Second, the historical dilemma caused when Hangeul became the standard for Chosun’s literature is discussed in relation with “controversies about national character” and modernization of China and Japan. Such a dilemma is related to the situation where Kim Tae-jun broke up with the first generation of national studies movement including Choi Nam-sun and Shin Chae-ho. Lastly, the status of Hangeul as the “origin of a literary history” will be analyzed in scientific history of literature suggested through emergence of socialist history and controversy about revival of classic in the mid 1930s.

      • KCI등재

        개발독재 시대의 윤리와 부(富) : 광주대단지사건의 텍스트들과 ‘이웃사랑’의 문제

        정주아 ( Joung Ju-a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민족문학사연구 Vol.61 No.-

        광주대단지 사건은 1971년 서울시가 도시 빈민들을 경기도 광주(현재의 성남)로 이주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한 주민 봉기 사건으로, 그간의 연구사에서는 국가의 통치 논리 하에서 도시 빈민의 생존권과 인권이 말살당한 사례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되었다. 이 글은 철거민 이주와 도시 빈민의 생존권 문제라는 문제의식의 이면, 즉 광주대단지 사건의 텍스트들이 주제를 강조하기 위해 역설적으로 텍스트에서 지워야했던 사실들에 주목하고 있다. 광주대단지 사건은 도시 빈민의 생존권 다툼이 일어났던 장이지만, 동시에 1970년대의 시대적 압축판이라 할 맹목적 부동산 투기의 현장이기도 하였다. 광주대단지 사건의 주체들은 토지 및 주택 소유의 욕망을 자극한 투기 시장에 뛰어든(혹은 놓이게 된) 저소득 층들이었고, 그나마 행사할 재산권이 애초부터 없었던 무산자층은 이 시민봉기의 현장에서 조차 무자격자로서 소외당했다. 요컨대 광주대단지 사건은 도시 빈민의 인권 및 거주권 투쟁의 이면에, 주택 및 토지 소유권을 둘러싸고 대단지 구성원들 사이에 내부 차별이 생겨나고 이익 관계가 노골적으로 충돌했던 사건이다. 이 글에서는 광주대단지 사건을 다룬 르포와 소설 들을 통해, 이들의 서사에서 지워진 존재들 및 그들의 속성을 ‘소시민(성)’이라는 키워드와 연결시켜 논하였다. 이는 1960년대 중후반부터 본격화된 경제개발의 광풍 속에서, 장차 1970년대 문학이 떠안게 될 다음과 같은 질문으로 연결된다. ‘민중’은 소시민과 같은 범주인가, 다른 범주인가. 이들의 일차적인 대응은 민중과 소시민을 분리해나가는 것이었지만, 욕망의 평등 앞에서 모호하기 만한 민중의 정체는 서사의 공백으로 자리 잡는다. 이 글에서는 서사의 공백에서 유래하는 질문, 즉 소시민(성)에 대한 고민이 일상적 타자인 ‘이웃’에 대한 태도 정립의 문제로 이어진다고 보았다. 즉, ‘민중’을 향한 당위적인 사랑을 넘어, 속물적 욕망으로 가득한 타자를 어떻게 사랑하고 공동체적 윤리 속에 포용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이 문제는 ‘이웃이란 누구이며 과연 어떻게 사랑할 수 있느냐’는 질문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질문은 소시민이나 민중 등의 용어에 내포된 관념적인 전치를 벗어나, 작가 자신도 포함된 속물의 세계 속에서 서로 불화하게 마련인 타자와의 관계 문제를 근본적인 수준에서부터 다시 묻고 있는 것이기에 중요하다. The Gwangju Housing Complex Incident was an uprising of residents which occurred in the process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plan to relocate the urban poor to Gwangju, Gyeonggi-do Province (currently Seongnam). Previous studies highlighted the Gwangju Housing Complex Incident as a case through which the right to live and human rights of the urban poor was grossly violated under the governing ideology of the ruling government. This study focuses on the hidden side of the relocation of displaced people and the urban poor’s right to live. In other words, this study examined the facts which paradoxically had to be erased from the text on the Gwangju Housing Complex Incident to put emphasis on the main theme. Although the Gwangju Housing Complex Incident was an altercation surrounding the urban poor’s right to live, it was also a site of fierce speculative investment in real estate, and an epitome of the 1970s. The main agents of the Gwangju Housing Complex Incident were the people, classified in the low-income bracket, who joined the speculative investment market with desires for land and houses, whereas those without properties who did not have the property rights to wield in the first place were excluded for being unqualified, even in the uprising of citizens. In short, behind the fight for the urban poor’s human rights and the right to live were also the inner discrimination between the residents of the grand housing complex, which made the Gwangju Housing Complex Incident into an altercation between conflicting interests. By focusing on the reportages and novels on the Gwangju Housing Complex Incident, this study connects the entities that were erased from the narrative and connected their characteristics with the keyword “petit bourgeois.” This leads to the following question that the Korean literature had to answer in the 1970s, in the aftermath of the frantic eco nomic development which started in the mid- to late 1960s : do “the people” fall into the same category as the petit bourgeois or not? The people and the petit bourgeois were initially distinguished but the identity of the people, which becomes obscure in the face of the equality of desire, becomes a vacuum in the narrativ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question stemmed from the vacuum in the narrative, that is, the question on what being “petit bourgeois” is, leads to the issue of one’s attitude towards one’s “neighbors” in everyday life. The issue at hand, therefore, is “who is one’s neighbors and how can one love them?” This is an important question, because the love towards others is not merely given as a normative virtue, but becomes something that could be likened to a commandment, with self-denial as a cost.

      • KCI등재

        한국문학의 로컬리티와 지정학척 상상력 ; 움직이는 중심들, 가능성과 선택으로서의 로컬리티(Locality) -한반도 서북 지역의 민족주의 문화운동을 사례로

        정주아 ( Ju A Jou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1 민족문학사연구 Vol.47 No.-

        이 논문은 인문사회학의 제반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로컬리티``(locality) 개념의 발생사를 살피고, 이를 한국근대문학 연구의 방법론으로 수용할 때 고려해야 할 전제와 그 적용에서 얻을 수 있는 시각적 전환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로컬리티 가 특정 지역에 대해 소속감을 공유한 일원들에 의해 형성된 집단의식이며, 이때 ``로컬``은 보다 상위 집단인 국가(민족) 공동체의 미래를 획득하기 위해 경쟁하는 헤게모니 투쟁의 단 위가 된다고 보았다. 로컬은 언제나 중심을 향하는 ``탈-로컬(beyond-local)``의 욕망을 지니 기에, 로컬의 윤리적 자질은 비단 그 주변성만으로 확보되지 않는다. 그것은 로컬이 제시한 공동체적 이상이 기존 중심의 모방을 떠나 얼마나 새로운 중심의 형상을 제시하는가의 여 부에 따라 판단되어야 하고, 이에 비로소 단순한 지역주의(localism)와 생산적 로컬리티 (locality)를 구분하여 논의할 수 있다. 아울러 이 논문에서는 로컬을 좁게는 개인에서 넓게는 국가에 이르기까지 다만 상대적인 중층성을 속성으로 하는 관계적 개념으로 해석해온 관행을 벗어나, 연구 단위로서의 로컬 은 어디까지나 그 위계상 개인과 국가 사이에 위치하는 ``지역(province)``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는 일차적으로 로컬이 기존 탈식민주의 방법론의 ``하위주체``라는 개념 과 혼용되면서 일종의 수사(修辭)로 전락할 가능성을 경계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보다 더 근본적인 목적은 민족국가의 ``지리적 신체``(geo-body)가 국가의 영토라는 균질한 공간을 단 위로 하여 논의되곤 하는 상황에서, 로컬이 그 시각의 전환을 이끄는 개념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는 데 있다. 식민지 시기, 사실상 국가 없는 민족을 지탱한 ``상상된 단일성``은 비단 한 반도뿐만 아니라, 이민·유학·망명 등을 계기로 나타난 디아스포라 현상과 그 이동의 루트에 생겨난 ``로컬 간의 네트워크``로 인해 가능한 일이었다. 이때 로컬리티 연구는 ``고향``이라 는 심정적 중심에 대한 논의로 환원되곤 하는 기존 민족주의문학 연구의 관점을 해당 로컬 들이 내세운 정치사회적 이상 간의 차이와 경쟁의 구도 속에서 살펴볼 수 있게 해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근대 민족주의 운동의 구심점이 되었던 한반도의 서북지역, 특히 평안 도 평양 지역의 문화운동을 사례로 이상의 내용을 논의하였다. 로컬은 어떤 방식으로든 중심이 되는 순간 로컬이라는 명명과 그 자질을 잃는다. 즉 로컬은 언제나 중심을 향한 이상을 과제로 제출하고 그것을 실현하는 과정 속에서만 존재할 수 있 다는 점에서 ``과정적 중심``들이고, 미래를 선취하려는 경쟁 속에 놓인 가능성들의 인자로 기 능 한다는 점에서 ``움직이는 중심``들이다. 이에 로컬리티 연구는 고정된 중심-주변 구도를 추인하는 작업이 아니라 수많은 중심의 구상이 시도되고 좌절되었던 흔적을 논의하는 작업 이며, 이로써 지역사의 수준을 벗어나 시대사적 의의를 확보하게 된다. This paper ponders over premises which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studies on Korean literature introduce the concept of ``locality`` widely used in several fields of humanities and sciences. First, it identifies problems which can arise when ``local`` is treated in the same stratum as the subaltern of post-colonial theories. When local is locked in the fixed frame of the center and the margin, it might simply affirm perception that it belongs to the marginal section. Even though local retains desire to negate something local, its marginal features is naturally construed as ethical superiority, and consequently local itself can be easily mystified. Accordingly, this paper highlights that local is formed by those members with a shared sense of belonging and that local constitutes specific unit of collective hegemonic struggles for securing the future of national (ethnic) community. Local`s desire for ``beyond-local`` always tends to head toward the center. Here, local should propose an ideal for community distinct from existing logic of authoritarian regime, thereby drawing a distinction between dimensions of simple localism and productive locality. As part of case studies, this paper analyzes the cultural movement prevalent in northwestern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especially Pyeongyang in Pyeongan Province, which became the spiritual epicenter for Korean nationalists at the forefront of the movement of power establishment in the modern era of colonization. Second, this paper addresses problems associated with specific interpretation of ``local`` as the concept of relatively middle stratum ranging from nation to individual. As specific unit of study, ``local`` covers ``province`` located between individual and nation. In other words, it can overcome individual fragmentation and national abstractness, thereby delivering the narrative of community grounded upon concrete life experiences. Moreover, it implies that an isolated community can exist within the nation spearheading the value of unity. In particular, when Korea was colonized by Japan, ``local`` network worldwide underpinned ``imaginative unity`` as numerous Koreans experienced exile or emigration to China, U.S., or Japan in the absence of their sovereign state. Such perspective can shed new light on discussion about nationalist literature in the era of colonization.

      • KCI등재

        ‘정치적 난민’의 공간 감각, 월남작가와 월경의 체험

        정주아(Joung, Ju A) 한국근대문학회 2015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6 No.1

        이 논문은 해방 이후 월남민이 정착해야 했던 남한 사회의 공간적 특수성을 바탕으로, 월남민의 존재 방식과 월남 작가의 창작 행위를 해명하고자 한 것이다. 해방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남한은, 미수복 영토까지를 포함한 하나의 민족국가라는 당위와, 군사분계선 이남(以南) 지역의 통치 를 강화하려는 국민국가의 현실적 과제를 동시에 끌어안게 된다. 이에 월남민은 임시 체류자 집단이자 국민국가의 일원이라는 이중적 위상을 갖게 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이중소속의 상태를 (무)소속의 존재 방식이라 보았다. 남한의 공간적 특수성에서 유래한 월남민의 이중적 위상은 월남작가의 문학장에도 투영된다. 목적문학과 순문학, 정치적 협력과 정치에의 냉소가 공존하는 월남작가의 창작 행위는, 그 자체로만 본다면 대립적인 요소가 공존하는 혼돈스러운 현상이나, 내부자이자 동시에 외부인으로 존재했던 월남민의 이중적 존재방식과 그대로 닮아 있다. 이 논문에서는 월남민의 존재 방식이 종군문학이나 고백적 글쓰기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임을 설명하고, 이로써 얼핏 보아 모순된 것처럼 보이는 월남 작가의 창작행위 내의 일관성을 해명하였다. This essay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tical status of the people who came from North Korea(월남민,[Wol-nam-min]) and their literature that crossed the border after 1945. This essay focuses on the linguistic restrictions in the spatial condition of South Korea. Throughout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South Korean government had to perform a self-contradictory task. They had to maintain Korea’s ethnically homogeneous community, including the un-recovered northern territory. At the same time, they wanted to strengthen the sovereignty over the southern territory as a single nation state. These self-contradictory tasks made the Wolnammin feel dual affiliation. On the one hand, they were temporary sojourners from North Korea. But on the other hand, they were members of South Korea. They were people of two nations- a unified Korea and South Korea to which they currently reside in. This essay deals with the dual affiliation as a special experiential condition of Wolnammin. Their anxiety as temporary sojourners and their desire for recognition as members of South Korea, were reflected in the literature of the writers from the Wolnammin group. Engagement and indifference to political issues coexisted in a single novel. This inconsistency seems like a creative defect, but comes from the dual affiliation of Wolnammin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