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A Study on the Strategies of European Retailers: The Tesco Experience

        정월순 ( Wol Soon Chung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09 유라시아연구 Vol.6 No.3

        유럽 소매기업의 글로벌 전략의 특징을 규명하기 위해, 해외진출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후발주자이지만 기본적인 부분만을 표준화하고 그 외의 요소들은 철저한 현지화 전략으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영국에 본사를 두고 있는 테스코에 대해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음을 규명하였다. 첫째, 해외진출 초기에는 진출처가 대부분이 유럽 등의 선진국이었으나 유럽 소매시장 성장의 한계 때문에 최근에는 지리적으로나 문화적으로 거리가 있는 아시아지역 진출이 현저하다. 아시아 시장 진출의 경우는 아시아 각국의 특수성을 습득하기 위해 운영비가 상대적으로 낮은 국가나 영업하기 쉬운 국가를 선택해 테스트를 하는 방식으로 각국에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유럽 소매기업에게는 아시아 시장의 경우 여러 면에 있어서 컨트리 리스크가 크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다. 둘째, 진입방법의 상이점이다. 테스코는 현지에서 이미 인지도가 있는 소매체인을 매수 또는 합병을 통한 진입모드(quick entry) 방식을 취하여 일시에 점포 확대를 하고 있다. 진입 후에도 끊임없이 현지 소매체인을 매수하면서 급격한 성장을 해오고 있다. 한편, 타 유럽 소매업의 경우 까르푸와 같이 일부 소매업체는 현지 법인을 설립하고 점포를 스스로 설립해 나가는 셀프 엔트리(self entry) 방식을 취하고 있다. 세 번째, 업태의 진출 형태이다. 해외진출 초기의 업태는 리스크가 적은 강력한 브랜드를 가진 전문점이 진출을 했으나 이후에는 식품 비식품 등을 취급하는 대형점포의 진출이 많아지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의 경우는 대부분이 대형점포가 출점하고 있다. 그러나 소매업의 글로벌화가 급속하게 진행된 1990년 이후는 대형점포 뿐만 아니라 각종 업태를 개발하여 그 지역에 맞는 업태를 혼재해서 출점하고 있다. 테스코의 경우는 해외 진출에 있어서 후발주자로 1994년 헝가리를 시작으로 해외 진출을 본격화 하고 있으며, 초기에는 대형점포의 출점이 대부분이었으나 현지 시장 진입 후에는 현지 시장에 맞는 점포를 개발하여 점포 전개를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표준화와 현지화 전략을 조합한 경영전략이다. 많은 글로벌 소매기업은 자국에서 구축한 경영시스템을 해외 시장에서도 그대로 구사하는 표준화 전략을 선호하고 있다. 이는 표준화 전략이 주는 장점을 최대화 시키려는 의도이나 각국에 존재하는 특수한 환경, 특히 소비자의 소매습관, 상관습 등 각국의 문화 환경을 극복하지 못하고 실패한 경우가 많다. 이에 테스코는 본국에서 구축한 경영시스템을 기본으로 하는 표준화 전략과 현지 시장에 맞게 수정하는 현지 적응화 방식을 조합한 절충화 전략을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은 테스코를 통한 유럽 소매기업의 글로벌 경영의 특징은 글로벌 소매기업이 본국에서 구축한 경영노하우가 글로벌 스탠더드가 될 수 없다는 교훈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진출한 현지국가의 특수한 환경을 무시하지 않고 그 특수성을 살리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러한 유럽 소매기업의 글로벌 경영전략에 관한 연구는 한국 소매기업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국 소매기업 역시 대형마트는 1990년대부터 해외진출을 하고 있으나, 그 업체 수는 극히 미진한 상태이며 해외시장에서 그 성장은 매우 둔한 상태이다. 소매기업은 체인화를 통해 경제의 규모를 실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해외시장 진출 후 점포 증가 역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많은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으로 한국 소매기업은 난관에 봉착해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서는 끊임없는 이론과 실증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매기업의 해외 진출에 관한 좀 더 활성화된 연구를 위한 기폭제가 되리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 global strategy of European retailers, 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Tesco(U.K.) which is the relatively newcomer in internationalization but has succeeded by thorough globalization except basicpart. In this study the following features were identified. First, the initial internationalization is into Europe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but in recent years due to the limited growth of European retailers, remarkably extending to the Asia even though distance and culture differences. To learn the uniqueness of the Asian countries, testing the countries which have a relatively low operating cost and a easy surrounding of sales. Such an approach shows high country risk in many ways to European retailers in Asia Market. Second, it is the difference of entry way. Tesco has extended its branches by acquisition or merger of well-know local retailers at once. After entering the local market, it has been grown rapidly by taking over local retailers continuously. Meanwhile other European retailers, like Carrefour, founded a local subsidiary and established branches by themselves which is called self entry. Third, it is an entry type of business condition. Initial type of internationalization was a specialty store, having strong brand, for less risk. Then the large retail stores, handling food and etc, were getting more popular and had been branched out especially in Asia. However advancing in developed type for each business as well as large retail store, rapid globalization of retailing conducted since 1990, to fit the local. In the case of Tesco, late comer in overseas expansion, starting with Hungary in 1994 by large store then developing store type to fit the local and branched it out. Finally, it is a business strategy combining globalization with localization. Many global retailers prefer to use management system which is made in their country in overseas markets as the standardization. It is to maximizing advantage of standardization strategy. But there are many failed cases due to special circumstances such as customer`s behavior pattern and business custom which are difficult to overcome. So Tesco is taking a combination method, adapting the management system from head office as globalization and fitting the local market as a glocalization. The feature of the global management of European retailers such as Tesco teach us that global retailer`s management know-how from own country can`t be global standard. So retailers need to make use of the specialty, not to ignore the local environment. This research about the European retailers gives a big suggestion to Korean retailers. The Korean retailer also has advanced abroad as a large store since 1990, but not very exciting the status and its growth in overseas markets is a very dull state. Increasing branches is very important to retailer due to the economy of scale, through a chain, after overseas expansion. However Korean retailers are faced with difficulties competing with many global companies. To demonstrate this theory and research is needed constantly. Therefore, this study shall be an active catalyst for the research on overseas expansion of the retailers.

      • KCI등재

        A Study on the Changes of Thailand Retailing by the Global Retailers Expansion

        정월순 ( Wol Soon Chung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1 유라시아연구 Vol.8 No.3

        타이는 1980년대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재래시장과 백화점 사이에 새로운 업태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 중간 업태로 슈퍼마켓이 등장 하였으나 자금부족, 경영기술 결여 등으로 제대로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경제성장과 더불어 그에 필요한 내부에서의 새로운 업태의 생성이나 발전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로 인해 타이 소매업은 장기간에 걸쳐 재래시장인 타라트와 근대적인 업태로는 백화점으로 양극화 되어 왔다. 이러한 소매 환경에 변화가 일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후반부터 진입하기 시작한 글로벌 소매기업에 의해서이다. 1997년에 발생한 타이의 외환위기가 경제위기로 확대되면서 외압에 의해 많은 규제가 철폐되었고 이로 인해 글로벌 소매기업이 대거 유입되어 현지 소매업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글로벌 소매기업의 진출에 따른 타이 소매업의 변화로는, 첫째, 소매시장의 환경 변화이다. 타이 소매시장은 현지 재벌이 진행하고 있는 일부 대형점을 제외하고는 매우 영세한 소매점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영세소매업은 글로벌 소매기업의 대거 진입에 따라 대폭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며 대부분이 생계유지형이라는 점에서 그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이러한 영세소매업의 감소와 더불어 소매시장의 경쟁의 심화 및 가속화, 과점화 현상 등 큰 변화를 보이고 있다. 또 신업태인 대형점의 입지를 들 수 있는데 대형점은 업태의 특수성 때문에 넓은 면적의 필요성, 비용절감, 저가격 실현 등을 위해 외각 지역에 입지하는 업태로 개발된 것이다. 그러나 타이에서는 외각지역의 모빌리티의 문제 등으로 인해 도심 출점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결국 도심의 경쟁 심화, 업태의 포화, 환경 문제, 중소소매업과의 마찰의 원인이 되고 있다. 둘째, 업태의 다양화를 들 수 있다. 장기간에 걸쳐 재래시장과 백화점으로 양극화 되어 있던 타이 소매시장에 글로벌 소매기업의 유입으로 다양한 업태가 도입되었다. 일반적으로 업태 개발은 내부에서 필요에 의해 생성되거나 도입되는 것이나 타이의 경우 글로벌 기업의 유입에 의해 동시다발적으로 다양화 되었다. 주된 업태는 대부분이 대형점으로 까르푸의 하이퍼마켓, 테스코의 슈퍼센터, 마크로의 캐시 & 캐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업태는 식품과 비식품을 동시에 취급하며 대형 매장을 보유하고 저가격 실현을 위해 외각 지역에 입지하며, 셀프 서비스 방식을 채용하여 대량 판매를 한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이러한 새로운 업태는 많은 공통점은 가지고 있지만 각 업태마다 개발된 국가의 시장 환경, 유통구조, 소비자의 구매행동과 니즈 등을 반영해 그 타깃을 정하는 등 경영적인 측면에서는 명백한 차이를 보인다. 셋째, 소비 패턴의 변화를 들 수 있다. 타이는 가족 구성원 수는 많고 주택은 협소하며 신선식품을 보존하는 설비 등의 미비로 인해 소량의 구매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소비습관을 지니나 이러한 소비습관이 급격히 변화되고 있다. 물론 경제성장으로 인해 냉장고 등의 보급율이 증가하고는 있지만 그러한 물리적인 요소보다는 글로벌 소매업이 전개하는 저렴한 묶음 단위를 구매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리된다. 이러한 대형점에서의 구매는 일반적인 개인 소비자뿐만 아니라 도매업이 발달하지 않은 타이에서는 영세 소매업자도 많이 이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규제의 강화를 들 수 있다. 규제 완화로 대거 유입된 글로벌 소매기업이 1990년대 후반부터 대도심에 대형점을 과다하게 출점하면서 다양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주된 규제는 대도심의 대형점 출점규제, 토지이용에 관한 규제, 외국인사업법에 의한 자본금 및 업종 규제, 세금 규제, 대도심의 교통 혼잡시간의 물류 이동 규제, 그리고 취로에 관한 규제 등이다. As Thailand went through the rapid economic growth in 1980s, the new retail type condition was necessary between Talat(local market) and department stores. There were supermarkets but they did not function well because of the financial deficit and a lack of management skill. Thus, the creation of the new retail type, despite economic growth, was not introduc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ailand retailing constituted only the Talat and department stores, on the opposite extreme ends. The retailing environment in Thailand, however, started to change as global retailers entered Thailand towards the end of 1980s. The global retailers came into Thailand when many regulations were abolished as the financial crisis expanded to economic crisis in 1997. The global retailers influenced local retailing in Thailand in many ways. The research showed changes in Thailand retailing caused by the entrance of global retailers. First, the environment of retailing markets has changed. The large-scale stores in Thailand were managed by rich conglomerates and the small-scale retailers were decreasing. This was a serious social issue in Thailand as the small-scale retailers got confiscated of their only source of living. In retailing markets, competition was rising and getting fiercer. The new large-scale stores were created in the first place to be located on the outskirts. This is because large-scale stores require wide space and aim for low costs. However, in Thailand, due to mobility issue on the outskirts, large-scale stores entrance into center of a cities was rapidly increasing. Eventually, this caused intense competition in the city, the saturation of markets, environmental problems, and conflicts with medium and small-scale retailers. Second, the retail type became diversified. Various retail type entered the retailing markets, which used to consist only of Talat and department stores. Generally, the development of markets is caused by the requests within the market. In case of Thailand, the diversification of retail type was caused by the entrance of global retailers. The examples are large-scale stores such as Carrefour`s Hyper market, Tesco`s Super center, and Makro`s Cash and Carry. The common traits of these retail type are that they sell both food and non-food products, they have huge space, they are located on the outskirts for lower costs and they use self-service. They, however, differentiate from each other by having different management strategies such as different local market environment, distribution structure and customers` purchasing behavior and needs. Third, there is a change in consuming pattern. Usually, there were large families with small house. They lacked facilities to keep fresh food so they would buy little amount of food. However, the consuming pattern has changed. Due to economic growth, many families started having refrigerators at home but such physical factor does not cause change in consuming pattern. Rather, the inexpensive packages of good offered by global retailers explain the cause of change in consuming pattern. Because Thailand does not have well-functioning wholesalers, the large-scale stores are popular not only among individual customers but also small-scale retailers. Finally, reinforcement of regulation has taken place. From the end of 1990s, many large scale stores have entered Thailand due to mitigated regulation. The major reinforcements were done with restriction of large-scale stores entering center of a cities, restriction in the use of land, restriction in capital and business for foreigners, restriction in tax, restriction in transportation of goods during rush hour and restriction in employment.

      • KCI등재

        일본인과 중국인 방한 관광객의 쇼핑 만족도 비교 연구

        박춘엽 ( Choon Yup Park ),정월순 ( Wol Soon Chung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0 유라시아연구 Vol.7 No.4

        2009년 통계자료에 의하면 2008년도 방한 일본인과 중국인 관광객 수는 전체 방한 외국인 관광객 수의 50%를 상회하는 정도로 비중이 크다. 최근에 한국 정부는 중국인 관광객 증대를 한국 관광 산업 발전의 핵심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방한 중국인 관광객의 수는 급격히 증가 할 것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중국인 관광객 수가 일본인 관광객 수를 추월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우리나라 관광쇼핑 업체가 중국인 관광객에 대한 쇼핑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일본인 관광객에게 적용했던 관광쇼핑 서비스와는 다른 중국인 관광객의 니즈에 맞는 관광쇼핑 서비스 전략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방한 일본인과 중국인 관광객의 쇼핑 만족도를 비교 연구하여 이들 각각에 대한 차별화된 관광쇼핑 서비스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는 본 연구는 시의성이 크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방한 일본인과 중국인 방한 관광객의 쇼핑만족도를 비교하여 이들 각각에 대한 차별 화된 관광쇼핑 서비스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연구방법은 만족도 특성에 대한 기대치와 지각치의 차를 비교하는 차이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일본인과 중국인 방한 관광객 각각 200명에 대하여 리커트 7점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 조사를 하였다. 조사한 만족도 특성은 9가지인데, 일컬으면, 가격, 품질, 성능, 포장, 상품에 대한 지식, 접객태도, 의사소통, 그리고 교통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방한 일본인과 중국인 관광객의 쇼핑 특성은 여러 가지로 다른 점이 많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방한 일본인 관광객과 중국인 관광객의 쇼핑 품목이 크게 다르다는 점이 나타났다. 둘째, 쇼핑 만족도 특성에 대한 기대치에 있어서, 일본인 관광객은 대체로 중위수보다 낮은 값을 보였고, 중국인 관광객의 기대치는 중위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들 두 나라 관광객의 기대치의 차이를 보면 중국인 관광객의 기대치가 일본인 관광객의 그것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쇼핑 만족도 특성에 대한 지각치를 보면, 일본인과 중국인 관광객 모두 중위수보다 높았다. 그런데 중국인의 지각치는 일본인의 그것보다, 의사소통을 제외하고는,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 쇼핑 만족도를 만족도 특성 별로 보면, 일본인 관광객의 만족도가 중국인의 그것보다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 관광객의 만족도 구조를 심층적으로 살펴보면, 일본인 관광객의 경우 기대치는 낮지만 지각치가 높아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중국인 관광객의 경우에는 지각치는 일본인의 그것보다 높지만 기대 치가 너무 높아서 결과적으로는 만족도가 일본인 관광객에 비하여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중국인 관광객의 기대치를 다소 현실화시켜야 최종 만족도를 올릴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전반적인 만족도는 일본인 관광객의 경우가 중국인의 그것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만족도를 특성 별로 분석한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가 일본인과 중국인의 방한 관광객의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일본인과 중국인 관광객의 관심의 대상이 되는 상품이 크게 다르다는 점을 고려하여 하여야 한다. 둘째, 일본 관광객의 쇼핑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상품의 포장을 개선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중국인 관광객의 쇼핑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의사소통과 상품에 대한 설명을 개선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중국인 관광객들에게 현실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방한 관광 쇼핑에 대하여 필요 이상의 기대를 하지 않도록 할 필요도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관광 진흥 정책 또는 전략 관계자, 그리고 관광 쇼핑산업 종사자에게 주는 시사점이 매우 크다고 하겠다. The sum of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visiting Korea in 2008 accounts for more than 50% of the total foreign tourists visiting Korea according to relevant statistics published in 2009. This research is specially timely because we need to develop appropriate tourism strategy to attract both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which have assumingly different shopping needs, and Korea is pushing hard to increase Chinese tourist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e shopping satisfaction of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in Korea. We study satisfaction in nine shopping attributes: price, quality, design, performance, package, knowledge, attitude to customers, communications, and transportation. Satisfaction is measured by the difference or the gap between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in the nine shopping attributes. We use 7-point Likert scal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the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are quite different in many aspects. First, shopping goods and services of the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are quite different. Second, expectations of Japanese tourists in all of the nine shopping satisfaction attributes are lower than or equal to the median value, while those of Chinese tourists are higher than the median for all selected nine attributes. Third, in regard to perceptions, tourists of the both countries are higher than or equal to median value. However, comparing the expectations of the tourists, we find that those of Chinese tourist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Japanese. Forth, examining satisfaction of the tourists using the differences between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we find that Japanese tourists are satisfied in seven shopping attributes except price and packaging. It should be noted that Japanese tourists have low expectation and perception in packaging. However, Chinese tourists appear to be dissatisfied significantly in the of attributes of communication and knowledge on products. Finally, in the survey question on overall satisfaction, both Japanese and Chines tourists indicate higher than median number, meaning that both of them are satisfied with shopping in Korea. Comparing values of the countries, Japanese response is higher than that of Chinese in more number of attributes. In particular, the Japanese overall satisfaction score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hinese tourist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n regard to tourism policy and retail strategies are as follows. First, since shopping goods of the tourists of the two countries are different. Korean retailers of shopping goods for tourists should be aware of this fact, and put this in consideration in developing composition of goods and services and retail strategies. Secon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Korean retailers should give more elaborate packaging service especially for Japanese tourists. Third, for Chinese tourists on the other hand, Korean retailers should develop means to improve communication with Chinese tourists and ability to explain features of products and services in the Chinese language. Finally, these implications suggest that tourism policy makers in Korea should develop adequate programs to educate the retailers and travel guides so that they can improve satisfaction of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for the shopping attributes in which they are not sufficiently satisfied yet.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소상공업 지원제도 비교 연구

        박춘엽 ( Choon Yup Park ),정월순 ( Wol Soon Chung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09 유라시아연구 Vol.6 No.1

        소상공업은 과거에는 경제적 산출 측면에서의 비중이 작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충분이 인식되지 못하였으나, 요즘에는 고용 창출과 창업 분야에서 그 역할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소상공업을 전체적으로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아직도 소상공업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탐색적 방법을 통해 소상공업에 대해 일찍이 지원을 시작한 일본과의 비교 연구를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소상공업 지원제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특히, 지원제도에 있어서 조직상의 특징, 지원의 종류와 내용, 지원시스템의 운영 등에 대하여 비교한다. 이 비교 연구를 위한 기초 정보로서 한국과 일본의 소상공업에 대한 정의를 비교하여 보았다. 한국에서는 제조업과 건설업의 경우 종사자 10인 이하의 기업을 소상공업이라고 지칭하고, 일본의 경우는 20인 이하의 기업을 소규모기업이라고 지칭한다. 한편, 서비스업에서는 한국과 일본 모두 종사자 5인 이상의 기업을 소상공업 및 소규모기업이라고 지칭한다. 이들 정의를 비교하면, 제조 및 건설업에서 일본의 소규모기업의 범위가 한국의 그것보다 넓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과 일본 양국 모두에서 소상공업을 지원하는 특별한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역사적으로 보면, 일본에서는 1962년에 상공회를 설립하여 소규모기업 지원을 시작하였고 한국에서는 1999년에 소상공인지원센터를 설치하였다. 한국의 소상공업지원은 일본은 소규모기업 지원보다 37년 늦었음을 알 수 있다. 일본에서는 상공회가 소규모기업에 대한 지원서비스를 주로 담당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상공회의소가 지원서비스에 참여하고 있다. 한편, 한국에서는 소상공업에 대한 지원서비스는 소상공인지원센터가 전담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소상공업을 위한 지원서비스의 종류를 살펴보면, 경영개선, 자금지원, 창업과 혁신지원, 교육과 훈련이 포함된다. 자금지원에서 한국과 일본에서의 차이점은 일본에서는 마루케이라고 하는 소규모기업을 위한 특별한 자금지원제도가 있으며, 한국에서는 소상공업을 위한 자금 지원제도로서 신용보증제도가 있다. 일본의 소규모기업 자금지원제도는 한국의 경우보다 이자율과 담보의 측면에서 유리한 조건이다. 또 다른 한 가지의 차이점은 일본의 소규모기업 지원기관에서는 노무관리에 대한 서비스를 하고 있는데, 한국의 소상공인지원센터에서는 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한국과 일본의 현장 지원센터의 수를 비교하면, 일본의 상공회는 전국에 약 2,800여 개소가 있고, 한국에는 소상공인지원센터가 전국에 60개소가 있다. 이와 같은 현장 지원센터 개수의 차이는 소상공업의 지원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의 차이를 가져온다고 할 수 있는데, 결과적으로 일본의 소규모기업은 한국의 소상공업보다 지원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더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일본의 상공회와 한국의 소상공인지원센터의 조직상의 특성을 살펴보면, 전자는 재단법인체이고, 후자인 한국의 소상공인지원센터는 초기에는 중소기업청 산하기구였으나, 현재는 지방자치단체가 각각 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점을 볼 때, 일본의 상공회는 조직의 운영 면에서 안정성이 높고 한국의 소상공인지원센터는 과도기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보면, 일본은 한국보다 경제적으로 선진국임에도 불구하고 소규모기업에 대한 지원이 한국보다 더 광범위하며, 한국은 소상공업을 위해 일본만큼 충분한 자원을 투입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본이 소규모기업을 위해 제공하는 광범위한 양질의 지원서비스는 한국이 관심을 가지고 교훈으로 삼아야 할 점이라고 본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에서 소상공업에 대한 지원서비스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제안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에서는 소상공업지원센터의 수를 늘려서 지원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해야 한다. 즉, 현재는 대도시와 규모가 큰 시를 중심으로 지원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는 한계점을 자기고 있기 때문에 이를 극복해야 한다. 둘째, 소상공업에 대한 자금지원의 조건이 개선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소상공업에 대한 지원서비스를 다양화하고 질적인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 이러한 개선안의 실천은 한국의 소상공업들이 당면하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다소나마 해소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나아가서, 이와 같은 개선 사항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관련 정책담당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실천의지가 있어야 할 것이다. Today the microenterprise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business entity collectively because its socioeconomic roles in such areas as employment generation and start-up are very significant. In the past, however, since the proportion it accounts for in total economic output is relatively small, its importance was not fully recognized and research papers on it were few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the supporting systems for the microenterprises in Korea and Japan to identif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m in the two countries.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research approach using the secondary data. A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is comparative study, we initially compare the definitions of the microenterprise in the two countries. In Korea an enterprise that has less than 10 working people are categorized as a microenterprise in the areas of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industries. In the areas of service industries, however, an enterprise with less than five working people are defined also a microenterprise. In Japan an enterprise that have less than 20 working people are categorized as the microenterprise in the areas of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industries. In the areas of service industries, an enterprise with less than five employees is defined also as a microenterprise in Japan. Both in Korea and Japan, there are organizations established specially for the micorenterprise. In Japan the primary organization in charge of supporting the microenterprise is the Society of Commerce and Industry, and in Korea it is the Korea Micro Business Development Center. Historically Japan began the supporting services in 1962 while Korea did in 1999. The types of assistance and services for the microenterprise in the two countries share more similarity than differences. Types of assistance and services for the microenterprise both in Japan and in Korea include ones for management improvement, financial support, services for startup and innovation, and training and education. One of notable differences is found in the financial support. In Japan, Marukei program is the program specially designed for the microenterprise only. However, in Korea there is no counterpart of the Marukei program. In Korea the financial support for the microenterprise is relatively limited. The major financial service for the microenterprise in Korea is the credit guarantee service. In financial services for the microenterprise, Japan has more favorable services than Korea in term of interest rates and collaterals. Also difference is observed in the services for labor management. In Japanese support organizations include such service for the microenterprise. On the other hand, Korea Micro Enterprise Development Center does not provide service for the labor management. Comparing the number of field offices, Japan`s Society of Commerce and Industry has some 2800 field offices while Korea`s Micro Business Development Center has only 60 ones. Consequently Japanese microenterprises have better accessibility to the assistance and services than their counterpart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Japan, although it is a more advanced country economically than Korea, provides much more extensive assistance and services for the microenterprise than Korea. Findings of this comparative study indicate that Korea has not allocated as adequate resource for the microenterprise as Japan has done. This appears to be an important fact and a lesson that Korea should be aware of, suggesting that Korea needs to expand the supporting system for the microenterprise and improve its assistance and services. Specific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assistance and services for microenterprises in Korea include: First, the number of Korea Micro Enterprise Development Center should be increased to improve accessibility to assistance services. Second, financial assistance programs for the microenterprise in Korea must be improved in terms of collaterals and interest rates. Finally, more advanced services for the microenterprise must be developed and deploy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