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네덜란드의 파프리카 재배온실의 시설 내ㆍ외부 기상환경 비교

        정원주(Won-Ju Jeong),명동주(Dong-Ju Myoung),이정현(Jeong-Hyun Le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9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네덜란드의 상업적인 온실에서 파프리카의 전체 재배기간 동안 시설 내ㆍ외부 기상환경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양국간 생산량 차이 원인 분석을 함으로써 우리나라 파프리카의 시설내부 재배환경조건을 최적화 하기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하여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두 온실 모두 ‘Derby’를 공시하여 우리나라는 3.75주/㎡(2 stems), 네덜란드는 2.5주/㎡(3 stems), 1.875주/㎡(4 stems)로 암면에 수경재배 하였다. 두 온실 모두 재식주수는 상이하였지만, 줄기밀도는 7.5㎡/stems로 같았다. 양국의 파프리카 주별 생장량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전체 마디 대비 수확마디는 네덜란드가 우리나라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았다. 전체 재배기간 동안 일중 평균 광량은 우리나라 14.5MJ/㎡/day, 네덜란드 12.1MJ/㎡/day로 우리나라가 19.8% 높았다. 시설내부 24시간 평균온도는 우리니라 21.6℃, 네덜란드 21.2℃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지만, 우리나라의 시설내부 온도관리가 변화폭이 심하였다. 전체 작기의 시설내부 수분부족분(HD)은 우리나라 4.5g/㎥, 네덜란드 3.5g/㎥로 우리나라의 시설내부가 더 건조하게 관리되었다. 특히 우리나라 야간의 수분부족분은 매우 변화폭이 컸다. 주간 평균 이산화탄소 농도는 우리나라와 네덜란드가 반대의 경향으로 관리되었고 이는 네덜란드의 겨울철 난방 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시설내부로 시용한 결과에 기인한다. 일중 외부 광량 대비 시설내부 24시간 평균온도와 주간 이산화탄소 농도는 우리나라는 매우 불균일하게 관리되었지만 네덜란드의 경우 균일하게 관리되었다. 네덜란드의 시설 내ㆍ외부 환경은 우리나라에 비해 균일하게 관리되었고, 우리나라의 불균일한 시설내부 환경은 작물의 불균일한 생육을 유도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aims at comparison of climatic conditions of sweet pepper's greenhouse between Korea (KOR) and the Netherlands (NL) to find out the reason of much lower yield in KOR than NL focusing on greenhouse climatic conditions. Hence, greenhouse climate data were obtained from each one commercial glasshouse in both countries. The crops (cv. 'Derby') were grown on rockwool slab with two stems per plant with 3.75plants/㎡ in KOR and three stems per plant with 2.5plants/㎡ or four stems per plant with 1.875plants/㎡ in NL. Even though plant density was differed but stem density was on the same to 7.5stems/㎡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on weekly growth of sweet pepper plant both countries, whereas harvested nodes to whole nodes of NL's plant was more than two times higher compared to KOR. The averaged daily global radiation during the whole growing periods was 14.5MJ/㎡/day in KOR and 12.1MJ/㎡/day in NL. Averaged 24h temperature was similar to both glasshouse as 21.6℃ in KOR and 21.2℃ in NL during the whole growing periods, however the variance was higher in KOR than NL. Humidity deficit (HD) was observed higher in KOR during the whole growing periods. Averaged day CO₂ concentration was measured contrary pattern in both countries because of heating to greenhouse on NL winter season. Averaged 24h temperature and day CO₂ concentration to daily global radiation was regular pattern in NL, whereas there are large scatter in KOR. Consequently, more irregular greenhouse climate condition in KOR could be induced irregularly crop growth.

      • KCI등재

        유리온실과 플라스틱온실 재배환경하에서의 파프리카의 생장, 건물분배율 및 수량

        정원주(Won-Ju Jeong),이정현(Jeong Hyun Lee),김호철(Ho Cheol Kim),배종향(Jong Hyang Ba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9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현재 대일 수출중인 상업적인 유리온실과 플라스틱 온실에서 파프리카 ‘Derby’를 공시품종으로 하여 국내 온실 간 생산량 차이 발생을 분석하여, 생산성 차이를 개선하고자 시설내부의 광량, 작물의 생장량및 수량을 두 온실간 기간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재배기간 동안 평균 일중 광량은 유리온실 9.03MJ/㎡/day, 플라스틱 온실 7.37MJ/㎡/day로 23% 정도 유리온실의 시설내부 광량이 많았다. 총 조사기간 동안 파프리카의 생장량은 유리온실 1759.9gㆍm?², 플라스틱온실 1308.5gㆍm?²으로 유리온실의 작물 생장량이 높았다. 총 건물생산량 대비 영양생장/생식생장 기관의 건물분배는 시설내부 광량이 높은 유리온실에서 생식생장 기관의 건물분배는 높았고, 영양생장 기관의 건물분배는 낮았다. 두 온실의 파프리카 생산성은 유리온실 14.1㎏ㆍm?², 플라스틱 온실 7.8㎏ㆍm?²으로 유리온실이 매우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온실 간 파프리카의 기간별 동적인 건물생산량과 건물 분배 패턴, 수량을 분석함으로써 파프리카의 수량을 예측하고 우리나라 파프리카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재배기술 분야의 기초 자료와 농가 간 생산성 차이 원인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생산성 극복 기술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compare drymatter production and yield pattern between commercial glasshouse (G) and plastic greenhouse (PG) in Korea. In both greenhouses sawing and plating of sweet pepper was 28 August and 27 September, 2007. Destructive measurement and yield of sweet pepper, cv. 'Derby', was obtained from January to May, 2008. Averaged light transmissivity over 20 times observed 65% in G and 51 % in PG. The averaged daily radiation sum of greenhouses during whole growing period was 9.03MJ/㎡/day for G and 7.37MJ/㎡/day for PG. Leaf area index (LAI) in G crop was 36% higher than the crop in PG at the end of experiment (247days after planting: DAP),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for 212 DAP in both greenhouses. Total dry matter production was 1759.9gㆍm?² for G and 1308.5gㆍm?² for PG. Fruit production observed 14.1㎏ㆍm?² in G and 7.8㎏ㆍm?² in PG. There was slightly difference measurement of dry matter distribution of generative or vegetative parts to total dry matter between G and PG.

      • KCI등재

        다발성 골연골종증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분석

        정원주(Won-Ju Jeong),홍남수(Nam-Soo Hong),박일형(Il-Hyung Park),서일(Il Seo),오창욱(Chang-Wug Oh),윤종필(Jong Pil Yoon),경희수(Hee-Soo Kyung),김하(Ha-Jeong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2

        목적: 다발성 골연골종증 환자들의 동통, 신체적 사회적 기능, 삶의 질을 연구하여 예후, 치료, 장기적 관리에 도움이 고되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3월부터 2014년 6월까지 다발성 골연골종증을 진단받은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Research and development-36을 통해 신체 기능, 정신 건강, 생활 활력, 사회적 역할, 동통, 전반적인 건강 상태가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관련 인자는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수술 여부, 침범된 관절 변형 발생 여부, 재발 여부, 가족력 유무, 종양의 위치, 병변의 개수로 하였다. 통계는 SAS ver. 9.3 (SAS Inc., Cary, NC, USA)을 사용하고 p값이 0.05 미만일 경우 의미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결과: 가족력이 있는 환자군에서 종합 평가, 신체적 기능, 생활 활력, 사회적 활동, 건강 상태가 저조한 결과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동통, 정서적 건강, 전반적인 건강 상태의 평가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열등한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가족력을 인지할 만큼 중증도가 높은 환자일수록 예후가 불량하였다. 다발성 골연골종이 동통만이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심리적인 문제를 포함한 삶에 전체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질병임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predict the prognosis of multiple osteochondromatosis patients with the investigation of social function, pain,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orty-five cases were diagnosed as multiple osteochondromatosis from March 1993 to June 2014. We performed a survey on pain, daily life, school or work life assessment of research and development-36. Forty-five people who responded to the survey completely were enrolled. Variable factors, including physical functioning, role limitations due to physical health, role limitations due to emotional problems, energy/fatigue, emotional well-being, social functioning, pain, and general health state were considered as element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addition, we investigated significant factors for multiple osteochondromatosis patients, and analyzed the survey by scoring. Related factors included age (over 18 years and under 18 years), gender, body mass index, operation, joint deformity, recurrence of disease, family history, the number of involved joints and the location of tumor.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AS ver. 9.3 (SAS Inc., Cary, NC, USA). p-values of <0.05 were deem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Patients with a family history of multiple osteochondromatosis showed a significantly decreased result of assessment, physical function, vitality of life, social activities, and health state. In addition, there was a tendency of a poor influence in pain, emotional wellbeing, and general health.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family history i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and predicting the quality of life. In other words, the developed patients in the household including patients with severe enough for the rest of the family to know have poor prognosis. Through this study multiple osteochondromatosis is a chronic disease having a profound impact on quality of life.

      • 섬유성 골 이형성증에서 시행한 골 이식술의 결과 분석

        정원주,김태성,조환성,윤종필,박일형,Jeong, Won-Ju,Kim, Tae-Seong,Cho, Hwan-Seong,Yoon, Jong-Pil,Park, Il-Hyu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20 No.2

        목적: 섬유성 골 이형성증은 신호전달 G 단백의 alpha 소단위체 유전자 변이에 따른 양성 골격계 질환으로 다양한 임상적 양상을 보인다. 기능적 장애, 구조적 변형를 방지하기 위해 제한적으로 수술을 시행하게 되는데 종양소파술 후 발생한 공동을 메우는 골 이식술이 시행된다. 이 연구에서는 본원에서 시행한 섬유성 골 이형성증 치료로서 자가 해면골 이식술을 시행한 경우와 자가 해면골과 동종골, 동종골만을 사용한 경우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7년4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본원에서 섬유성 골이형성증으로 진단된 58 명 중 수술 후 1년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했던 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시 평균 연령은 26.7세(범위, 2-57세)이었고, 남자는 13명, 여자는 21명이었다. 자가 골이식은 모두 장골에서 채취한 망상골을 이식하였고, 동종골은 골은행에서 기증받은 뼈를 이식용으로 재처리하여 이용하였다. 자가 해면골만 이식한 경우(I군)는 5예, 자가 해면골과 동종 골, 혹은 동종골만 이식한 경우(II군)가 29예였다. 재발, 이차적 변성 같은 합병증을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인 단순 방사선 촬영으로 관찰하였으며 각 군을 비교하였다. 결과: 섬유성 골이형성의 재발이 4예(11.4%)있었으며, 자가 해면골 이식술 시행한 군(I군; 1예 20%)과 자가해면골과 동종골, 혹은 동종골만을 이식한 경우(II군; 3예, 10.3%) 간의 재발율을 Kaplan-Meier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두군간의 차이가 없었다(p=0.554). 재발한 경우는 모두 소파술 및 자가골이식술을 다시 시행하였으며 재수술 후 재발은 없었다. 낭종 같은 이차적 변성이 확인된 경우가 1예, 병적 골절을 보인 경우 1예가 있었으나, 악성변화를 일으킨 경우는 없었다. 결론: 섬유성 골 이형성증 환자들에게 골이식을 시행한 경우, 자가 해면골 또는 동종 골 이식술을 시행한 양 군에서 재발,병적 골절 같은 합병증의 결과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종양의 부피가 작고 병변의 위치가 체중이 가하지는 부위가 아닐 경우에는 자가 해면골 이식 또한 좋은 방법으로 사료되며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Fibrous dysplasia is related to the mutation of gene encoding the alpha-subunit of a signal-transducing G-protein and has variable clinical course. Operation can be performed to prevent functional disorder or structural deformity. After curettage, autologous bone graft were used to fill the defects after curettag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result of autogenous cancellous bone grafting and allogenic bone grafting for fibrous dysplasia. Materials and Methods: Among the patients who visit our hospital during the period of April, 1997 to October, 2013, we selected 34 patients who diagnosed fibrous dysplasia and visited our clinic over 1 year. There were 13 males and 21 females. Average age was 26.4 (range 2 to 57) years old. Autogenous bone graft (group I) in 5 cases, Non-autogenous bone graft (group II) in 30 cases. Iliac bone is used in all cases of autogenous bone graf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follow-up period, preoperational laboratory finding between two groups. Radiographic image was done to evaluate the recurrence of fibrous dysplasia or secondary degeneration. Results: There were four cases in recurrence (group I: 1 case, group II: 3 cases, p=0.554). In all recurrent cases, reoperations were done using curettage and autogenous iliac bone graft. There was no re-recurrence after reoperation. One case of secondary aneurysmal bone cyst was confirmed (group II) and 1 cases of pathologic fractures had developed (group I: 0 case, group II: 1 cases, p=0.559). No malignant change occurred.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utogenous bone graft group and non-autogenous bone graft group. Our result suggested that autogenous bone graft seems to be good method to treat fibrous dysplasia, in the case of small volume of tumor lesion or non-weight bearing portion.

      • 원위 대퇴골 종양 금속 대치물(MUTARS$^{(R)}$)의 폴리에틸렌 잠김(LOCK)부 파손: 증례 보고

        정원주,박일형,Jeong, Won-Ju,Park, Il-Hyu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9 No.2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은 조기에 안정성을 얻어 빠른 시간 내에 환자의 관절 운동 및 체중 부하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으며. 최신 종양 대치물은 규격화된 제품을 조립하여 만들 수 있게 되면서 종양 대치물의 길이 선택에 있어 유연성이 확보되었고 기능적 결과에서 좋은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종양 대치물을 통한 재건술 후 광범위한 골 및 연부 조직의 결손, 긴 수술 시간, 삽입물 크기 등의 문제로 무균성 이완, 심부 감염, 기계적인 결함 등의 합병증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를 통하여 대퇴 원위부 종양 대치물(MUTARS$^{(R)}$)의 잠김(LOCK)부 파손으로 치료한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The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massive bone defects caused by bone resection due to tumors have changed from amputation to limb salvaging surgery. Limb salvaging surgery using endoprotheses is a well-established procedure. However, Aseptic loosening, infection, and mechanical defect remain significant problems. Among them, we experienced the case with a breakage of polyethylene lock of MUTARS$^{(R)}$ distal femur tumor Endoprostheses.

      • 졸레드론산을 투여한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 발생한 비전형적 대퇴골 전자하 골절: 증례 보고

        정원주,나상봉,조환성,김준우,박일형,Jeong, Won-Ju,Na, Sang-Bong,Cho, Hwan-Seong,Kim, Joon-Woo,Park, Il-Hyu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8 No.2

        악성 종양 환자에게서 졸레드론산과 같은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예방적으로 투여받은 경우 이와 관련한 비전형적 대퇴골 골절의 발생 위험성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으며, 국내에 지금까지 보고된 예가 매우 드물다. 본 증례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 고농도 졸레드론산을 지속적으로 투여받았던 환자에서 큰 외상의 병력 없이 우측 대퇴골 전자하 부위의 비전형적 골절이 발생한 경우로 폐쇄적 정복술 및 골수강 내 금속정 내고정술로 치료한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Little literature exists about the risk of atypical femoral fracture in patients received zoledronic acid for prevention of skeletal metastasis. We report an atypical subtrochanteric femoral fracture in a patient with multiple myeloma received zoledronic acid. The patient was treated by closed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cephalomedullary nai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