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방육종의 예후 인자: 52예 후향적 연구

        정양국,강용구,박원종,이승구,이안희,박정미,김민우,Chung, Yang-Guk,Kang, Yong-Koo,Bahk, Won-Jong,Rhee, Seung-Koo,Lee, An-Hi,Park, Jung-Mee,Kim, Min-W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6 No.1

        목적: 지방육종의 국소재발과 원격전이 및 무병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이후 치료받은 52명의 지방육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단시 연령, 종양의 크기, 발생 부위, 조직학적 유형, 조직학적 악성도, 절제 유형, 수술적 절제연,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가 국소재발, 원격 전이 그리고 무병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39개월이었고 통계적 분석에는 단일변수 및 다중변수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국소 재발이 11예(21.2%)에서 발생하였으며 원격전이는 4예(8%)에서 발생하였다. 지속적 무병생존율은 술 후 4년에 67%였다. 단일변수 분석에서 조직학적 악성도, 절제연,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가 국소재발과 관련이 있었으나(p<0.05) 다중변수 분석에서는 절제연과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가 불량한 예후인자로 나타났다. 종양이 체간에서 발생한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원격 전이율이 높았다(p<0.05). 무병생존율에 대한 단일변수 분석에서는 조직학적 악성도 및 항암화학요법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다중변수 분석에서는 유의한 인자가 없었다. 결론: 선택오차를 고려할 때 절제연 양성이 국소재발의 불량한 예후인자였으며 종양이 체간에서 발생한 경우 원격 전이율이 높았다. 무병생존율과 관련하여서는 유의한 인자가 없었다. Purpose: To investigate prognostic factors influencing on local recurrence, distant metastasis and event-free survival of liposarcomas. Materials and Methods: Fifty-two patients managed for liposarcomas since 1993 were analyzed respectively in the view of prognostic influence of patient age, tumor size, location, histologic type, histologic grade, resection type, surgical margin,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on local recurrence, distant metastasis and event-free survival.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39 months. The univariate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statistical evaluation. Results: The local recurrences occurred in 11 patients (21.2%) and distant metastasis in 4 patients (8%), Event-free survival rate at 4 year follow up was 67%. In univariate analysis, histologic grade, surgical margin,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on local recurrence (p<0.05). However, histologic grade lost its significance in muitivariate analysis. Trunk location revealed higher rate of distant metastasis than extremity location. In univariate analysis on event-free survival. histologic grade and chemotherapy were significant factors (p<0.05). No factor remained significant in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 Considering selection bias, positive surgical margin was negative prognostic factor on local recurrence. Liposarcomas arisen in trunk revealed higher rate of distant metastasis. There was no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on event-free survival of patients with liposarcomas.

      • 비구주변 골반골 악성 골종양에서 재건술을 시행하지 않은 내골반골 절제술의 기능적 결과

        정양국,강용구,이승구,박원종,이안희,박정미,이교선,이형주,Chung, Yang-Guk,Kang, Yong-Koo,Lee, Seung-Koo,Bahk, Won-Jong,Lee, An-Hi,Park, Jung-Mi,Lee, Kyo-Sun,Lee, Hyung-Ju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7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3 No.1

        목적: 비구주변 악성 골종양에 대한 재건술을 동반하지 않은 내골반골 절제술의 기능적 결과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비구주변을 침범한 악성 골종양에 대하여 내골반골 절제술 후 특별한 재건술을 시행하지 않았던 8예의 기능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남자가 6명, 여자가 2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42세였다. 골육종이 3예였고, 연골육종 3예, 전이성 골종양2예였다. 골반골 절제유형은 I+II+III 형 6예, I+II형 1예, II+III형 1예였다. 기능적 결과는 ISOLS의 수정된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최단 6개월에서 최장 84개월이었다. 결과: 최종 추시시 무병생존이 5예, 유병생존이 2예였고 나머지 1예는 질병으로 인하여 사망하였다. 기능적 평가에서 통증, 기능, 정서적 만족도, 보조기구 사용, 보행능력, 보행양상은 각각 4.9, 2.9, 2.9, 1.5, 2.3 및 2.5점이었으며 정상 측의 37~70%(평균 56%)에 해당하였다. 3예에서 일시적인 신경마비가 발생하였다. 결론: 비구주변 악성 골종양에 대한 제건술을 동반하지 않은 내골반골 절제술은 합병증 발생이 적고 양호한 기능적 결과를 보여 재건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환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unctional outcomes of periacetabular malignant bone tumors treated by internal pelvectomy without re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1996 and December 2005, eight patients with primary malignant or metastatic periacetabular bone tumors were treated by internal pelvectomy without reconstruction. There were 6 men and 2 women. Mean age was 42 years old. There were 3 osteosarcomas, 3 chondrosarcomas and 2 metastatic carcinomas. The type of pelvic resections were 6 type I+II+III, 1 type I+II and 1 type II+II resection. The functional outcomes were evaluated with ISOLS revised criteria. The follow up period ranged from 6 to 84 months. Results: At last follow up, 5 patients showed CDF, 2 patients, AWD and the remained 1, DOD. The mean functional score for pain, functional activity, emotional acceptance, use of external support, walking ability and gait were 4.9, 2.9, 2.9, 1.5, 2.3 and 2.5 respectively. The total functional score ranged from 37% to 70%(average: 56%). There were three temporary nerve palsies. Conclusion: The internal pelvectomy without reconstruction for selective difficult periacetabular malignant tumors could be a viable option with fewer complications and fair functional outcomes.

      • 장관골에 발생한 Stage IIB 골육종의 치료결과

        정양국,이승구,김형민,박원종,이안희,박정미,강용구,최광천,Chung, Yang-Guk,Rhee, Seung-Koo,Kim, Hyung-Min,Bahk, Won-Jong,Lee, An-Hi,Park, Jung-Mi,Kang, Yong-Koo,Choi, Kwang-Cheo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6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2 No.1

        목적: 장관골에 발생한 stage IIB 골육종의 치료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2월 이후 장관골에 발생한 골육종에 대하여 수술 후 1년 이상 추시한 5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48예에서 광범위 절제술을, 2예에서 변연부 절제술을 시행했으며 나머지 8예에서는 절단술을 시행했다. 평균 추시기간은 4.1년 이었고 국소 재발, 원격 전이, 합병증, 생존율과 함께 종양학적 및 기능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시 지속적 무병생존 35예, 무병생존 9예, 유병생존 5예, 질병으로 인한 사망이 7예였으며 2예는 다른 원인으로 사망하였다. 국소 재발이 8예(13.8%)에서 있었고 원격전이는 18예(31%)에서 있었으며 재건술을 시행한 48예 중 9예(18.8%)에서 감염증이 발생했다. 기능적 결과는 평균 24.3점이었다. 5년 생존율은 84.6%였으며 지속적 무병생존율은 술후 5년에 68.7%, 10년에 42.3%였다. 결론: 총 58예의 장관골에 발생한 Stage IIB의 골육종 중 46예(79.3%)에서 평균 4.1년 추시상 지속적 무병생존 또는 무병생존을 보였다. 치료군 전체의 5년 생존율은 84.6%였고 기능적 결과는 평균 24.3점으로 우수하여 다른 연구자들의 결과와 비견할 만 하였다.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outcome of stage IIB osteosarcomas arisen in the long bones. Materials and Methods: Since February 1993, 58 Enneking stage IIB osteosarcomas arisen in long bones were managed and followed at least one year at our four university hospitals. There were 48 wide resections, 2 marginal resections and 8 amputations.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4.1years (up to 12.2years). Local recurrence, distant metastasis, complication, survival rate, and oncologic and functional results were evaluated. Results: At the last follow up, 35 patients were CDF, 9 were NED, 5 were AWD, 7 were DOD and the remained 2 died with unrelated disease. Eight local recurrences (13.8%) and 18 distant metastases (31.0%) were occurred. Nine infections were developed after 48 reconstructions (18.8%). Overall functional outcome was 24.3 (81.%). The 5 year overall survival rate was 84.6% and the continuous disease-free survival rate was 68.7% at 5 years and 42.3% at 10 years. Conclusion: Forty-six of 58 stage IIB osteosarcomas arisen in long bones (79.3%) showed CDF or NED at an average 4.1 year follow up. Overall 5-year survival rate was 84.6% and overall functional outcome score was 24.3, which were comparable to those of other studies.

      • KCI등재

        2세 이하에서 발생한 Langerhans 세포 조직구증

        정양국(Yang-Guk Chung),김양수(Yang-Soo Kim),이승구(Seung-Koo Rhee),강용구(Yong-Koo Kang),박원종(Won-Jong Bahk),이안희(An-Hi Lee),박정미(Jung-Mi Park),김주영(Joo-Young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1

        목적: 2세 이하에서 발생한 Langerhans 세포 조직구증의 임상적 특정과 치료결과를 분석하고 2세 이상에서 발생한 군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2세 이하에서 발생한 Langerhans 세포 조직구증 14예에 대하여 주소, 발병 연령, 골 침범 부위 및 병소 수, 전신적 장기 침범 유무, 시행한 치료 및 최종 치료결과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고 같은 기간동안 치료받은 2세 이후에 발생한 14예와 비교하였다. 통계학적 검증은 Fisher Exact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2세 이하에서 발생한 Langerhans 세포 조직구증은 2세 이상 군에 비해 진행된 병기를 보였고(2.5병기/1.1병기) 침범된 골부위 수가 많았으며(2.7병소/1.7병소) 전신 장기나 조직의 침범률이 높고(29%/0%) 더 빈번하게 화학요법이 필요하였다(9예/2예). 또한 빈번한 재발(0.5/0.3)과 낮은 완치율(57%/79%)의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전체 62 골 병소 중 47 골 병변은 생검술 외의 특별한 수술적 치료 없이 경과 관찰이나 전신적 화학요법만으로 치유되었다. 결론: 2세 이하에서 발생한 Langerhans 세포 조직구증은 골 침범 부위가 많고 전신 장기나 조직의 침범률이 높으며 높은 재발의 경향을 보여 화학요법 등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요망되었으나 대부분의 골 병변은 수술적 치료 없이도 치유되었다.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 of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that developed in patients younger than 2 years and to compare them with those of older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he chief complaint, age of onset, site and number of bone involvements, systemic organ involvement, treatment and final outcome of fourteen cases of histologically proven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that developed in patients younger than 2 year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from those of fourteen older patients. The Fisher Exact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that developed in patients younger than 2 years had a more advanced stage (2.5/1.1), multiple bone involvement (2.7/1.7 sites) and a higher rate of systemic organ involvement (29%/0%). It required chemotherapy more often (9/2 patients). There was also a trend of frequent relapse and a lower rate of complete healing,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62 bone lesions, 47 were healed by simple observation or systemic chemotherapy without the need for surgical intervention. Conclusion: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that developed in patients younger than 2 years showed multiple bone involvement, more systemic involvement and a high recurrence rate. It also required systemic chemotherapy more often. However most bone lesions were managed successfully without the need for surgical intervention.

      • KCI등재후보

        Curved Hemostat와 Meniscectomy Hook Knife를 이용한 경피적 수근관 감압술

        정양국(Yang-Guk Chung),김양수(Yang-Soo Kim),김정만(Jung-Man Kim),김동휘(Dong-Hui Kim),최승욱(Seung-Woog Choi),김승준(Seung-Ju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7

        목적: 수근관 증후군에 대한 수술적 치료로 저자들이 시행했던 경피적 수근관 감압술을 소개하고 그 치험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Curved hemostat와 meniscectomy hook knife를 이용하여 수근관절부의 단일 소절개를 통한 경피적 수근관 감압술을 시행했던 수근관 증후군 81명 125예 중 1년 이상 추시된 58명 91예의 치료 결과를 임상 증상의 개선과 합병 증 발생을 중심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평균추시 기간은 38.9개월이었다. 결과: 수술 후 1예를 제외한 90예(99%)에서 증상의 완전 소실이나 현저한 개선을 보였고 86예, 94.5%의 환자는 수술 결과를 만족스럽게 평가하였다. 수술 직후 증상의 개선을 보였다가 재발한 만성 신부전 1예와 지속적인 증상을 호소한 1예에서 재수술이 필요하였으며 합병증으로는 2예의 천수장궁 손상과 1예의 지신경 손상이 발생했으나 그중 2예는 경험이 적은 수술자들의 초기 증례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경피적 수근관 감압술은 경험 있는 수술자에 의하여 정확하게 시행될 경우 수술 후 동통 감소와 조기 회복 등의 장점을 지닌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술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troduce a method of percutaneous carpal tunnel release and report the results of our experience. Materials and Methods: A percutaneous carpal tunnel release was performed using a curved hemostat and a meniscectomy hook knife through a small transverse incision at the proximal wrist crease. Among 125 cases from 81 patients, 91 wrists from 58 patients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in terms of the symptomatic resolution and complications.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38.9 months ranging from 12 to 118 months. Results: All but one cases (99%) showed a complete symptomatic resolution or a marked improvement postoperatively, and 94.5% of cases were satisfied with the final result. Two patients had a second operation, one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 showed recurrent symptoms after an initial improvement and the other showed persistent symptoms. There were two superficial palmar arch injuries and one digital nerve injury. However two of them were the earliest cases of an inexperienced surgeons. Conclusion: When an experienced surgeon performs a percutaneous carpal tunnel release meticulously, it is a safe and reliable method with the benefits of less postoperative pain and an early recover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인공 주관절 전 치환술의 장기 추적시 기구에 따른 합병증과 재치환율

        김정만(Jung-Man Kim),이상명(Sang-Myung Lee),박재철(Jae-Chul Park),송석환(Seok-Whan Song),정양국(Yang-Guk Jung),부기현(Ki-Hyun Boo),이승구(Seung-Koo Rh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1

        목적: 주관절 전 치환술의 기구에 따른 기능 및 합병증, 재치환율에 대한 보고는 많지 않다. 저자들은 반구속형과 비구속형 주관절 전 치환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비교하여 기능 및 합병증, 재치환율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78예 7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평균 나이는 54세였고, 류마티스 관절염 42예, 외상성 관절염 24예, 퇴행성 관절염 5예였다. 35예에서 비구속형 치환술, 43예에서 반구속형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최종 결과는 Mayo 주관절 수행 점수(MEPS) 및 주관절 운동 범위, 합병증 및 재치환술 비율로 측정하였다. 결과: MEPS 및 능동 굴곡-신전은 술 전에 비해 술 후 호전되었다(p<0.00l, p<0.001). 비구속형 군과 반구속형 군 간의 수술 후 MEPS와 운동 범위는 차이가 없었다(p=0.764, p=0.728). 합병증은 비구속형 군이 반구속형 군보다 높았다(p=0.014). 그러나 재치환율과 기구 이완은 비구속형 군과 반구속형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p=0.764, p=0.382). 결론: MEPS 빛 운동 범위는 비구속형 군과 반구속형 군 모두 호전되었다. 그러나 반구속형 치환술이 비구속형 치환술에 비해 합병증이 낮으므로 반구속형 치환술이 추천된다. Purpose: Few studies have compared the outcomes, complications and revision rate of a total elbow replacement (TER) prosthetic design. This study examined a series of patients with semiconstrained and unconstrained total elbow replacements (TER) and evaluated them for any functional differences, complications and revision rates that might be attributable to the prosthetic design.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78 cases of primary TER was performed in 71 patients Their mean age at TER was 54 years. The causes of TER were rheumatoid arthritis in 42, post-traumatic arthritis and osteoarthritis 24 and 5 patients, respectively. Unconstrained and semiconstrained TER was employed in 35 and 43 cases, respectively The end results of TER by the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 their elbow range of motion before and after surgery, their complications and revision rates after an average 13 year follow-up were evaluated. Results: The MEPS was improved from 33 points pre-operatively to 87 points post-operatively (p<0.01). Active flexion-extension elbow motions were also improved markedly from 27˚_86˚ pre-operatively to 16˚-128˚ postoperatively (p<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emiconstrained and unconstrained TER in the post-operative MEPS (p=0.764) and range of motion (p=0.728). The complication rate was much higher in the unconstrained groups than in the semiconstrained group (p=0.014). The mean total revision rate was 29.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vision rate between the unconstrained and semiconstrained groups (p=0.402). Loosening was found in a total of 12 cases (15.4%)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oosening between the semiconstrained and unconstrained groups (p=0.382). Conclusion: Favorable results of MEPS and elbow motion were obtained in both the unconstrained and semiconstrained types after an average 13 year follow up after TER. However, the semiconstrained type of TER showed a lower complication rate than the unconstrained type of TER.

      • KCI등재

        퇴행성 슬관절염에서 대퇴골 내측과 관절연골 병변의 Fat-suppressed 3D SPGR 영상

        김정만(Jung-Man Kim),지원희(Won-Hee Jee),정양국(Yang-Guk Chung),김양수(Yang-Soo Kim),라기항(Ki-Hang Ra),김동휘(Dong-Hui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6

        목적: 퇴행성 슬관절염에서 대퇴내측과 관절연골의 국소적 결손의 범위와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공명영상의 시상면 fat-suppressed 3D SPGR의 유용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정상 또는 퇴행성 관절염 등 총 112예의 내측 대퇴골과의 자기공명영상을 관절경 소견과 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관절경 소견은 Jackson (1992)의 등급 분류법을, 자기공명영상은 Disler (1996)의 등급 분류법을 사용하였다. 관절경 소견상 정상 10예, Ⅰ기 26예, Ⅱ기 36예, Ⅲ기 21예 그리고 Ⅳ기 19예였다. 결과: 관절경 소견상 정상으로 보인 10예에서 자기공명영상에서도 정상(0°)이었다. 관절경상 Ⅰ기인 26예 중 11예(42.3%)에서만 자기공명영상 소견상 관절연골 표면의 불규칙성을 보인 1°였고 나머지는 2°였다. 관절경 소견상 Ⅱ기는 자기공명 영상 2° 또는 3°를 보였으며, Ⅲ기는 3°를 보였다. Ⅳ기 19예 중 넓은 결손 13예(68.4%)만 자기공명영상 4°였다. 자기공명영상 기법을 이용한 선별 검사의 민감도(sensitivity)는 97%, 특이도(specificity)는 100%, 정확도(accuracy)는 97.3%였다. 가중 kappa 값은 0.7194, 표준 오차는 0,053으로 일치도가 높은 소견을 보였다. 결론: Fat-suppressed 3D SPGR영상은 퇴행성 관절염에서 초기와 아주 작은 병소를 제외하면 대퇴내측과 관절연골 병변의 정도, 깊이와 넓이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agittal fat-suppressed 3D SPGR MR imaging of the osteoarthritic medial femoral condyle in terms of extent and degree of a focal articular cartilage defect of the knee. Materials and Methods: The MRI findings (Disler scale) of normal and osteoarthritic medial femoral condyles from 112 knees were prospectively compared with the arthroscopic findings (Jackson staging). The arthroscopic findings were normal in 10 cases, stage Ⅰ in 26 cases, stage Ⅱ in 36 cases, stage Ⅲ in 21 cases and stage Ⅳ in 19 cases on arthroscopy. Results: All 10 cases arthroscopy findings were grade 0 in MRI. Among the 26 knees in arthroscopic stage Ⅰ, only 11 knees (42.3%) showed surface irregularities on MRI that were consistent with grade 1, otherwise grade 2. All cases of arthroscopic stage Ⅱ showed grade 2 or grade 3. Stage Ⅲ was grade 3 in all cases on MRI. Among the 19 knees in arthroscopic stage Ⅳ, 16 knees (84.2%) with a large defect showed grade 4 on MRI.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of the MRI compared with the arthroscopic findings was 97%, 100% and 97.3%, respectively. The weighted kappa index was 0.7194 and the SE (standard error) was 0.053, suggesting significant consistency. Conclusion: The sagittal fat-suppressed 3D SPGR MR imaging is valuable for determining the extent and degree of the articular cartilage lesion of the medial femoral condyle in an osteoarthritic knee.

      • 월상 골 제거 및 혈관부착 두상 골 이식으로 치료한 진행된 키엔벡 병

        이주엽,김형민,정양국,진성기,박일중,Lee, Joo-Yup,Kim, Hyoung-Min,Chung, Yang-Guk,Jin, Sung-Ki,Park, Il-Jung 대한미세수술학회 2008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Vol.17 No.2

        Purpose: There are many controversies concerning therapeutic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Kienb$\ddot{o}$ck's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 of lunate replacement by vascularized os pisiform transfer in advanced Kienb$\ddot{o}$ck's disease. Materials & Methods: There were two men and three women. The mean age was 55 years, ranging from 41 to 70. According to Lichtman's classification, three cases were stage IIIb and two cases were stage IV. Results: At the period of follow up, pain during motion was markedly diminished in all patients, the arc of motion ranged on average from 49 degrees of flexion to 53 degrees of extension and the grip power of the affected hand reached on average 83% compared with the contralateral side. Clinical results assessed by DASH and modified Mayo score showed 8 and 90. On plain X-rays, carpal height ratio and radioscaphoid angle were not changed postoperatively. Conclusion: Lunate excision and vascularized os pisiform transfer is a reliable alternative method for the treatment of advanced Kienb$\ddot{o}$ck's dis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