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목회(기독교) 상담사의 협동조합 모델 실천 경험에 대한 목회신학적 성찰

        정아름(Arum Ju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3 신학사상 Vol.- No.201

        이 연구는 목회돌봄이 교회를 넘어 공적 역할이 요구되는 시대에 출현한 협동조합 모델의 실천이 돌봄의 또 한 명의 주체인 상담사에게 이 경험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앞으로 이 모델을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목회신학적 성찰을 통해 한국 목회상담의 모델로서의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성과 중심의 무한 경쟁 사회로 달리고 있던 신자유주의 체제의 시대는 사회적으로 불평등과 양극화의 심화 등의 한계가 대두되며 사회적이고 공평한 체제로의 전환을 위하여 세계는 사회적 경제를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사회적 경제는 자본보다 사람 중심을 강조하며 등장하였다. 삶의 질 증진, 빈곤, 소외 극복 등을 위해 협력과 호혜를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시점에 코로나19 팬데믹이 나타나면서 삶의 현장에서 연대와 민주적 상호 호혜의 가치는 더욱 중요한 사회적 가치로 강조되고 있다. 목회돌봄 또한 교회 내부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목회신학적 가치로 사회에 공적 역할에 대한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 그 대안으로 협동조합 모델이 시도되었다. 그리하여 목회상담가들이 각자 개인의 한 주체로서 협동조합에 참여하여 공적 역할의 실천을 기대하고, 그 실천을 행하고 있다. 그렇기에 연구자는 새로운 대안으로 등장한 협동조합 모델이 그동안의 실천 경험 속에서 각 주체로서 개인에게 어떠한 의미를 지니며, 협동조합의 철학과 운영이 실천 경험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인터뷰 분석을 통하여 살펴본다. 이 연구를 통하여 신자유주의 체제에서 사회적 경제 체제로, 코로나19로 인하여 마음의 연대가 중요하게 대두되는 시대의 전환기에서 돌봄의 현장의 필요와 목회상담가들의 필요에 목회(기독교) 상담의 협동조합 모델이 응답하는 실제적인 대안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considers the practice of the cooperative model which emerged at a time when pastoral care was called to play a public role beyond the church. It also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this experiencer the counselors, another practitioner of care. Finally it looks at the requirements for this model in the future. Through pastoral and theological reflection, the study is also an attempt establish a new alternative for Korean pastoral counseling. In an era of neoliberalism, marked by a performance-centered society in endless competition, negative impacts of social inequality and deepening polarization are emerging. The world has begun to pay attention to the social economy in order to transition to a social and equitable system. The social economy has placed the emphasis on people over capital. It is based on cooperation and reciprocity towards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and the overcoming of poverty and alienation. With the occurrence of COVID-19, the values of solidarity and democratic reciprocity are becoming ever more important social values in various walks of life. It is also becoming increasingly necessary for pastoral care to play a public role in society, with pastoral theological values. Thus, the cooperative model was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approach. Pastoral counselors participate in the cooperative model as individual subjects and, embracing their public roles, put it into practice. By analyzing interviews, this study looks at the cooperative model and its significance for individuals as subjects in their practical experience, as well as the significance of the cooperatives’ philosophy and practical experience of operation. In an era shifting from the neoliberal system to the social economy, and in an era where solidarity of the mind becomes vital due to COVID-19, this study hopes to offer a practical alternative to the needs of caregivers and pastoral counselors through the cooperative model of pastoral (christian) counseling.

      • KCI등재

        상호놀이로서의 돌봄

        정아름(Jung, Arum),정연득(Jeong, Youn Deuk) 한국기독교학회 2017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6 No.-

        이 논문은 신자유주의 성과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호소하는 어려움에 응답하는 목회돌봄의 방향을 모색하는 시도이다. 필자들은 돌보는 사람이나 돌봄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 모두 무한경쟁의 압박에 놓여 있음을 직시하면서 ‘상호놀이’로서의 돌봄이 우리 시대에 필요한 돌봄이라고 제시한다. ‘상호놀이’로서의 돌봄은 돌보는 사람이 돌봄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돌봄이 아니라, 놀이할 수 있는 환경 속에서 돌보는 사람이나 돌봄을 받는 사람이 함께 놀이에 참여할 수 있는 놀이공간을 만들어 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 주장을 발전시키기 위해 크리스토퍼 볼라스의 ‘정상증후군’ 개념을 통하여 돌봄의 실천 현장에 드리워진 성과사회의 그림자를 분석한다. 정상증후군이라는 개념을 통해 성과사회에서 사람들이 요구하는 돌봄의 본질이 무엇인지 접근하고자 한다. 볼라스에 의하면 정상증후군이란 주체가 자신의 고유한 이디엄을 발현하는 것을 포기한 상태를 말하며, 그 결과 주관적 세계가 텅 비어버리게 되고, 스스로가 주체가 되기를 포기해버리고 자신을 타인이나 환경에 의해서 사용되는 하나의 대상처럼 여기는 상태이다. 성과사회에는 개인들이 자신의 이디엄의 발현과 주관적 세계에 집중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오히려 외적이고 객관적인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데 집중하도록 압박한다. 이처럼 성과사회의 보이지 않는 권력에 의해 자기착취에 매인 주체는 자유롭고 진정한 놀이를 즐기지 못한다. 멋지지 않은 이야기들과 실패로 점철되었던 실험의 과정은 매끄럽고 아름다운 결과물 뒤에 숨겨져야 한다. 성과사회의 돌봄조차 주체의 필요보다 아름다운 성과를 만들어 내기 위한 돌봄이 되고 있는 것이 오늘날 돌봄의 현실이다. 돌봄의 과정이 사라졌다. 성과라는 결과만이 보여야 할 뿐이다. 그리하여 필자들은 성과사회에서의 주체가 자유롭고 생생한 삶을 회복하기 위해 필요한 돌봄은 상호놀이로서의 돌봄이라고 주장하며, 돌봄의 결과보다는 과정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을 발전시키기 위해 볼라스와 도널드 위니캇과 대화를 이어간다. 돌보는 사람 또한 성과사회의 주체이다. 돌본다는 것은 돌봄이 필요한 사람의 동반자가 되는 것이다. 돌봄의 관계가 동반자의 관계로 변화될 때에만 상호놀이가 가능하게 된다. 상호놀이는 돌봄의 과정에 머물도록 하는데, 이 돌봄의 과정에는 창조와 파괴, 사랑과 공격성의 역동에 대한 인정과 수용의 과정이 포함된다. 이러한 수용과 인정의 과정 속에서 자신의 고유한 이디엄이 발현되고, 나아가 자기가 회복되고 확장된다. 이는 돌봄의 동반자 모두에게 충분히 좋은 관계 경험이 될 것이다. 필자들은 상호놀이로서의 돌봄은 상담실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가족, 공동체, 문화의 영역으로 확장되어 나간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어머니 유아 사이의 놀이가 문화로 확장되어 나간다고 보았던 위니캇의 주장과 맥락을 같이한다. 그러므로 우리시대의 목회돌봄은 상호놀이가 되어야 한다. 상담실에서 시작된 상호놀이로서의 돌봄은 성과사회의 어두운 곳을 밝히고 회복시켜 나가는 새로운 문화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suggest a way of pastoral care in response to the sufferings of people burdened by the pressure of unlimited competition in the context of achievement oriented neoliberal society, In the course of arguments, we suggest the care of “mutual play” as a needed way of care in current society. By the conception of “mutual play,” we insist that the provision of care should not be the one-way activity that caretakers endeavor to provide good cares while care-eceivers simply receive them. Rather, it should be the process of creating a space for mutual play in which both caretaker and carereceiver can play together. To prove this, we delve into the experience of Korean contemporaries living in achievement-oriented society by drawing on Christopher Bollas’ concept of normotic illness. By normotic illness, we can reach the essential meaning of care that suffering people want to receive. We also analyze the effect of achievement oriented society shadowed in the practice of care. For Bollas, normotic illness is a condition that a subject’s endeavors to elaborate his or her idiom are stoped and his or her inner psychic world become empty. In achievement- oriented society, one cannot focus on his or her idiom, but one should follow the objective world’s pressure for achievement. For this reason, we argue that the needed care for achievement oriented society is the care of mutual play in which both caretakers and care-receivers can freely partake in the play and enjoy the process of care, not the result of it.

      • KCI등재

        상실의 시대에 머무르는 목회상담

        정아름 ( Jung Arum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6 목회와 상담 Vol.27 No.-

        이 논문의 목적은 상실의 시대에 머무름의 목회상담을 제안하는 것이다. 현대 사회에는 세월호 참사, 메르스 사태 등의 집단적 상실이 가득하다. 또한 관계, 장소, 취업기회, 꿈 등의 개인적인 상실도 많다. 그러나 신자유주의 경제체제의 성과사회에서는 상실의 경험에 머무르기 보다는`괜찮지? 괜찮아`라며 위로 아닌 위로로 이를 강요한다. 상실을 경험한 이들이 먼저`괜찮다`고 느끼기 이전에 환경이 먼저 강요한다. 이에 상실의 경험이 다뤄져야 하는 필요를 가지고 이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제독철학자 한병철과 정신분석가 지그문트 프로이트, 대상관계이론가 도널드 위니캇과 함께 대화하였다. 먼저, 괜찮지 않은 상실의 경험에 괜찮음을 강요하는 환경으로 한국사회와 교회에 대하여 비판적 성찰을 한다. 한국사회는 신자유주의 성과사회의 가속화된 시간 속에서 성과를 얻기 위해 괜찮기를 강요하였다. 그리고 성과사회가 드리워진 교회 내에서는 종교적 관념의 영향으로 괜찮음을 강요하였다. 그러나 성과사회에서의 상실의 경험은 괜찮지가 않았다. 두 번째, 괜찮지 않기에 나타나는 증상으로 우울증과 강박 행동에 대하여 살펴본다. 부정성의 규율사회에서 긍정사회로의 확장은 개인에게 향하는 억압을 강화시켰다고 본다. 그리하여 사랑과 공격성을 통해 그 증상들을 이해해본다. 마지막으로 머무름의 목회상담을 제안한다. 상실에 머무름으로 충분히 좋은 환경에서의 중간공간이 창조되고 그 안에서 사랑과 공격성이 통합되는 애도로서 놀이를 이야기 한다. 그 머무름의 공간에서 상실 속에서도 자신의 존재를 경험할 수 있다. 머무름은 사랑과 창조성, 파괴와 창조의 상반된 작용이 일어나는 역설적이지만 역동적인 것이다. 역동적인 머무름의 목회상담은 신자유주의 성과사회에 삶의 의미를 재창조할 수 있도록 이끈다. 이에 머무름의 목회상담을 제안한다. This paper proposes a pastoral counseling of staying in times of loss. Modern society is replete with collective loss, such as the Sewol ferry tragedy and the MERS outbreak. In addition, there is a great deal of personal loss in relationships, locations, job opportunities, and dreams. However, in the achievement-oriented social and economic system of neoliberalism, we force the so-called consolation by saying, “Are you okay? Yes, you are okay,” rather than experiencing the loss. Before people who experience the loss feel okay, the environment forces them to be so. This highlights the need to deal with the experience of loss, on which this paper is based. I had a conversation with the admirable philosopher Han Byung-chul, psychoanalyst Sigmund Freud, and object relations theorist Donald Winnicott. First, I critically reflect on Korean society and the church as the environment that imposes being okay when people experience loss. While South Korean society became results-oriented in the neoliberal achievement-centered system, the church did the same under the influence of religious ideas; however, the people experiencing loss were not all right. Second, I examine depression and obsessive-compulsive behaviors as symptoms that appear from not being okay. The expansion from a disciplinary society of negativity into a more positive one seems to have strengthened the oppression of individuals. Thus, I attempt to understand the symptoms through love and aggression. Finally, I propose a pastoral counseling of staying. By staying and experiencing loss, the transitional space provides a good-enough environment, and within it, we talk about play as condolences that integrate love and aggression; and even ones who experience loss can have an experience of their existence. Staying is paradoxical, yet dynamic, and it is where the opposite effects of love and creativity, destruction and creation, occur. A dynamic pastoral counseling of staying allows individuals to recreate the meaning of life in the achievement oriented, neoliberal society; hence, I make this proposal.

      • SCIESCOPUSKCI등재

        Conductive Thin Films Composed of Silver Nanowires and Poly(acrylic acid) Prepared by Layer-by-Layer Assembly

        Changho Kim(김창호),Arum Jung(정아름),Nari Ha(하나리),Bongjun Yeom(염봉준) 한국고분자학회 2017 폴리머 Vol.41 No.4

        최근 나노물질을 실제 응용소자에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ayer-bylayer(LbL) 자기조립 방법을 이용하여 은 나노와이어와 poly(acrylic acid)(PAA)를 전도성 박막으로 제조하였다. LbL 자기조립 과정을 관찰한 결과, 은 나노와이어와 PAA로 이루어진 이중층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 흡광도 값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XPS)를 통해 흡착 과정에는 수소결합과 배위결합 모두 관여한다는 것을 밝혀 내었다. 면저항 수치는 4.2±0.6 Ω/sq에서 14±2 Ω/sq 범위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전도성 박막 제조방법이 광전자 소자의 전극제조에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Practical use of nanomaterials has drawn significant attention of researchers in the fields of nanoscience and technology. However, the control and processing of nanomaterials are still challenging especially for device applications. In this report, we prepared conducting thin films using silver nanowires (AgNW) and poly(acrylic acid) (PAA) via layerby- layer (LbL) assembly methods. The AgNW/PAA LbL assembled films exhibited typical adsorption behaviors with a linear increase in the UV-Vis absorbance at the maximum absorbed wavelength with increasing number of bilayers. We utilize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to investigate the adsorption mechanism. The results revealed that both hydrogen bonding and coordination bonding were engaged in the assembly process. The sheet resistances of AgNW/PAA LbL assembled films were measured within the range of 4.2±0.6 Ω/sq to 14±2 Ω/sq, indicating their potential use as thin film conductors for the fabrication of opto-electronic de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