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또래상담자가 경험한 어려움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정신애(Jung Shin-ae),선혜연(Seon Hye-yon),박은경(Park Eun-kyung),오정희(Oh J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또래상담자들이 또래상담 훈련 과정과 또래상담 활동과정 중 경험하는 어려움을 이해하고 이들의 또래상담 활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교육하고 조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언하는데 있다. 이를 위 해 또래상담 훈련을 받고 6개월 이상 또래상담 활동을 한 경험이 있는 9명의 초등학교 또래상담자들을 대상으로 2018년 7월부터 10월까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이후 3명의 합의팀을 구성하여 자료를 분석하였고, 분석된 결과에 대하여 감수자의 피 드백을 받아 수정 보완하였다.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또래상담 훈련의 어려움은 친한 친구 없이 혼자 훈련에 참석하는 것에 대한 걱정, 또래상담에 대한 정보 부족, 훈련 내용과 방법에 대한 불만족, 또래상담 훈련 공동체 안에서의 어려움, 주변 선생님들의 태도로 인한 어려움, 훈련 참여 시간 확보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둘째, 또래상담 활동 중의 어려움으로는 상담자 역할에 대한 부담, 미숙한 대처능력과 전문성 부족, 스마트폰으로 하는 상담의 어려움, 내담자와 관계 맺기 어려움, 상담자를 위한 여러 지원의 부족에 관한 내용이 도출되었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또래상담자들이 상담 훈련 및 상담 활동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의 범주와 내용을 탐색하여 또래상담자로서 겪는 경험에 대한 이해를 높였으며, 또래상담 지도 교사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자들에게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peer counselors during the peer counseling training and during the counseling activitie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interviews of 9 elementary school peer counselors who have been engaged in peer counseling for more than six months, using the CQ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method. We interviewed for three months and analyzed data for two months. Difficulties in peer counseling training were concerned about participating in the training alone without close friend s, not knowing about the peer counseling, dissatisfied with contents and methods of training, difficulties in peer counseling training community, difficulties due to teachers attitudes, and difficulty in securing time for training. In addition, the difficulty of peer counseling activities resulted from the burden of counselor role, inadequate coping ability and lack of professionalism, difficulty of counseling by smart phone, difficulty of connecting with client, and lack of support for counselor.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extent of difficulty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peer counselors in counseling training and counseling activities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experiences as peer counselors. And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eer counseling guidance among teachers and program developers, and general teacher training materials as well.

      • KCI등재

        존재론적 교리교육

        정신철(Shin-Chul Jung)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6 가톨릭신학 Vol.8 No.-

        복음 선포적 교리교육이 등장한 이후, 여러 국제회의가 1960년대에 각 지역에서 열렸다. 이 회의의 개최 순서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아시아의 방콕(1962)에서 열렸고, 이어 아프리카의 카티곤도(1964), 아시아의 마닐라(1967), 마지막으로 남미의 메델린(1968)에서 교리교육에 관한 국제회의가 개최되었다. 이렇게 여러 차례의 교리교육에 관한 국제회의가 열린 목적은 복음선포적 교리교육의 기본 원리를 알려주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문답식 교리교육에서 벗어난 새로운 형태의 교리교육을 시키고자 하는 원의가 있었다. 또 다른 더욱 본질적인 목적은 복음 선포적 교리교육을 각 대륙에 적용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이런 목적은 교리교육에 관한 국제회의가 처음으로 열렸던 방콕 회의에서부터 수정되기 시작한다. 왜냐하면 참석자들은 회의가 진행되면서 복음 선포적 교리교육이 유일하고도 보편적인 방법이 아니라는 통찰을 하기 시작하였기 때문이었다. 사실 아시아는 사회 주변적 환경이 복음선포적 교리교육이 탄생한 유럽과는 완전히 다르다. 아시아 대륙은 전통 종교가 살아 쉼 쉬는 곳이고, 전통 종교에 따른 문화적, 도덕적 규범이 있는 곳이며. 정치 경제적으로도 개발도상국이면서도 동시에, 민주화에 대한 갈망이 강하게 표출되는 지역이다. 이런 배경은 이미 그리스도교 문화 안에 살고 있는 유럽인들이 복음의 메시지를 듣는 것과 아시아인들이 복음의 메시지를 듣는 것에 있어 그 이해에서부터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음을 보여준다. 이는 곧 교리교육의 방법에 있어, 내용 중심적 교리교육을 하기 이전에, 먼저 교리를 받는 이들의 이해가 선행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다. 즉 교리를 받는 이들에 대한 깊은 이해가 있을 때, 이에 맞는 효과적인 교리 내용이 전달 될 수 있고, 교리교육의 본질적인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교리를 받는 이들에 대한 이해를 선호하는 교리교육을 인간학적 교리교육이라 칭한다. 인간학적 교리교육은 교리를 받는 이들에 대한 깊은 배려에서부터 교리교육이 시작된다. 그런데 교리를 받는 이들을 배려함에 있어 ‘그들이 누구인가’ 즉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그 교육 방법이 아주 다양하게 등장한다. 따라서 다양한 상황 속에 있는 인간을 바라봄에 있어, 어디에 교육 초점을 맞추느냐에 따라 교육의 방법도 다양하게 드러난다. 왜냐하면 아무리 훌륭한 교리교육 방법이라 하더라도, 모든 인간의 삶의 총체적 조건을 다 충족시키는 단일한 형태의 교육방법은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소고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존재론적 교리교육은 인간학적 교리교육 방법의 한 형태이다. 이 방법이 인간학적 방법의 한 형태인 이유는 이 교리교육 방법이 강조하고자 하는 것이 인간 존재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즉 복음의 메시지를 전달함에 있어 인간 존재는 그 심층에서 이 메시지를 어떻게 받아들이는지에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존재론적 교리교육이 인간의 여러 삶의 조건과 환경 중에서 인간의 존재론적 문제에 해답을 주는 것으로서의 메시지를 알려주고 전달해 주고자 함을 그 목표로 두고 있음을 말한다. 이러한 교리교육 방법은 제 2차 바티칸 공의회의 계시 헌장에서 그 신학적 근거를 찾을 수 있다. 하느님의 자기 계시는 인간을 향해 다가오는 것이고, 이는 인간의 역사 안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표징을 통한 하느님의 자기 계시는 인간이 이 표징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통해 그 뜻이 드러난다. 이는 인간이 하느님의 자기 계시를 인간의 삶의 한 중심에서 특별히 자신의 깊은 체험의 성찰을 통해 찾을 수 있는 것이며, 이를 통해 인간은 자기 존재의 심층을 울리고, 삶의 의미를 충만하게 하며, 그 근거를 제공하시는 하느님을 만나게 된다. 이러한 신학적 근거를 지니는 존재론적 교리교육은 교리교육의 실천적 현장에 적용될 때 3단계의 구조를 지니게 된다. 첫 번째 단계는 인간의 경험을 상기시키고, 그의 종국적 의미를 찾는다. 이어 그 의미와 하느님 말씀과의 만남을 통해 자신의 경험을 하느님의 말씀 안에서 해석한다. 마지막으로 하느님 말씀을 통한 깊은 자기 경험의 의미를 발견하고, 그리스도인의 삶에로 나아간다. 이러한 구조를 지닌 이 교리교육 방법은 한국 천주교회에 많은 영향을 끼치지는 못하였다. 왜냐하면 한국의 시대 상황은 인간 존재의 의미를 묻기 보다는 정의와 평화를 워한 노력에 더 관심을 많이 가졌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개의 교리서는 이러한 노선을 추구하였는데, 그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였고, 아직 연구도 불충분하여 대중화되지 못한 방법으로 머물고 있다. 하지만 한국 사회가 점차 물질화를 통해 정신적 공허함을 느끼는 시대로 접어들고 있기 때문에, 한국 천주교회의 미래를 위해, 이 교리교육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 Apr?s l'apparition de la cat?ch?se k?rygmatique au d?but des ann?es 60 dans le si?cle dernier, les semaines internationales de cat?ch?se ont ?t? ouvertes par les demandes des sp?cialistes de cat?ch?se, parce que ces derniers voulaient appliquer la m?thode de la cat?ch?se k?rygmatique dans les autres continents : la semaine internationale de cat?ch?se ? Bangkok en 1962, ? Katigondo en 1964, ? Manille en 1967 et ? Medellin en 1968. Tout au long de ces semaines, les sp?cialistes de cat?ch?se europeen voulaient pr?senter la nouvelle m?thode, la cat?ch?s k?rygmatique pour l'appliquer dans les situations asiatique, afrique et latine am?rique. En effet, la session de Bangkok accepte en gros les principes fondementaux du renouveau k?rygmatique, formul?s ? Eichst? tt en 1960. Mais la m?thode de la cat?ch?se k?rygmatique qui accentue l'aspect th?ologique, centr? sur la Parole de Dieu, avait un peu oulbi? que la Parole de Dieu est aussi parole de Dieu ? l'homme, que la r?v?lation de Dieu est aussi r?v?lation de l'honune. En disant cela, on a commenc? ? se faire sentir, surtout dans les pays de mission, ? l'?gard de la cat?ch?se k?ry gmati que, parce que, malgr? toute insistance que l'on mettait sur le k?rygme en Europe, les missionnaires devaient tout d'abord prendre en conscience sur les traditions religieuses et sur les mentalites asiatiques. Conune on a d?clar? dans la semaine interna?tionale de cat?ch?se ? Bangkok que "la cat?hc?se doit pr?parer le terrain en ?purant les jugements, les sentiments et m?me les impressions subconscientes, afin de les rendre conformes ? la doctrine du Christ", on devait s?pcialement l'accent sur l'approche humaine, sur les probl?mes que pose la cat?ch?se surtout dans sa premi?re ?tape d'?vang?lisation et de conversion. Ainsi, on a commenc? ? parler pour la premi?re fois de prendre en conscience de l'homme, lui-m?me, en disant symboliquement 'le terrain'. C'est pourquoi on dit que la semaine internationale de cat?ch?se ? Bangkok s'ouvre un vent nouveau souffle, d'orientation nettement anthropologique. Bien qu'on commence ? donner une attention sp?ciale ? la culture, la mentalit? et la r?ligiosit? dans la cat?ch?se, la cat?ch?se antropologique s'av?re difficile dans la pratique, parce que, ?tudier l'homme, prendre en compte de l'homme, c'est d?j? compliquer : quel point de vue sur l'homme? quels aspect de l'homme : religieux, mentale, culturelle, politique ou pscycologique? Cela veut dire que la cat?ch?se anthropologique ne peut pas ?tre facillement appliqu?e dans la pratique, mais qu'elle a diverses m?thodes d'appliquer, selon le point de vue sur l'homme, dans la pratique. La cat?ch?se existentielle que je veux pr?senter dans ce travail, est une sorte de la cat?ch?se anthropologique : cette premi?re prend en compt du sens de la vie des hommes, parce que le message chr?tien peut donner toutes r?ponses aux questions des hommes et qu'il donne aux hommes la raison de vivre et ses fondements. En effet, cette cat?ch?se a un fondement th?ologique qui vient de la constitution, Dei Verbum, du concile Vatican Ⅱ. La R?v?lation est une relation inter-personnelle entre Dieu et l'homme ; le Dieu invisible d&ea

      • KCI등재

        복음선포적 교리교육의 기원과 그 이론적 기초

        정신철(Shin-Chul Jung)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5 가톨릭신학 Vol.6 No.-

        교리교육의 역사 안에서 문답식 교리교육은 오랫동안 교회 안에서 유일한 신앙 교육 방법으로 인식되어져왔다. 트리엔트 공의회 이후 본격적인 교리서의 출판과 더불어 시작된 이 교육 방법은 교리서의 내용을 모두 다 암기하였을 때, 교회가 바라는 착한 그리스도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즉 교리 조문의 암기가 곧 신앙의 성숙을 이끌어 낸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교육 방법은 사회와 교회가 일치된 시기 즉 중세 시대에는 많은 효과를 지닐 수 있었다. 왜냐하면 교리 내용에 대한 이해는 그리스도교 문화라는 사회적 분위기가 채워줄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대가 변화되면서, 교회는 사회의 한 부분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고, 학교에서 더 이상 공적으로 교리교육을 실시할 수 없게 되었으며, 점차 교육학과 심리학 등의 주변 학문의 발달과 이런 이론들의 교육 현장에로의 적용으로 인해, 문답식 교리교육의 방법뿐만 아니라, 교리교육 전반에 대한 깊은 쇄신을 사람들은 요구하였다. 1900년 초반부터, 특별히 뮌헨 방법론이 교리교육에 소개되고 적용되면서부터, 문답식 교리교육의 틀을 버리고, 심리학과 교육학의 원리를 적용한 새로운 형태의 교리교육의 방법들이 고안되는데, 이러한 움직임을 교리교육의 부흥 운동이라고 한다. 이러한 움직임은 1940년대까지 새로운 교수법의 탄생과 적용을 이루어 냈고, 교리를 전달함에 있어 교리를 듣는 이들에 대한 배려 또한 이루어져, 본연의 의미의 교리교육을 실시하는 긍정적 결과를 가져왔다. 교리교육 부흥운동은 이렇게 긍정적인 발전과 결실을 가져왔지만, 다른 한편으로 교수법의 발달과 지나친 강조로 인해, 진정으로 전달해야 할 교리내용에 대한 전수여부에 대한 의문을 가져오게 하였다. 또한 교육학과 심리학의 전적인 교리교육에로의 도입으로 인한 그리스도교 진리 전체 이해에 대한 문제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교리교육 현장에서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 증대가 있던 시기에, 신학계 한편에서는 2차 세계 대전을 보내면서 진정으로 이 시대와 세계에 힘과 희망을 줄 수 있는 복음 메시지에 대한 신학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신학적 연구 결과는 복음선포 신학이라는 이름 아래, 복음 선포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런 배경 속에서 열린, 엉베르 교리교육 국제회의에서는 교리교육의 중심적 내용이 살아 숨 쉬는 복음 메시지임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움직임은 1960년 독일 아이쉬테트에서 열린 교리교육 국제회의에서 그 본연의 윤곽이 드러나는데, 이를 복음선포적 교리교육이라고 부른다. 이 교육 방법은 살아있는 메시지를 어떻게 전달할 수 있는 가에 초점을 맞춘 교육 방법으로, 살아 있는 메시지의 핵심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에서 정점으로 드러난 하느님의 구원 역사임을 강조한다. 이 교육 방법은 교회 역사 안에서 늘 등한히 해 왔던 성서를 교리교육의 중심으로 다시 불러놓았고, 구원의 역사를 강조하면서, 현재 살고 있는 우리에게 하느님의 구원 역사가 어떻게 재현되고 있고, 이에 대한 신앙인의 책임감을 강조한다. 이 교육 방법은 현대 교리교육의 기본적 방향을 제시한 중요한 노선이라고 평가되고 있고, 달리 그리스도 중심주의적 교리교육이라고 지칭된다. 문답식 교육의 종말과 신학적 관점에 교리교육을 생각하게 했던 복음선포적 교리교육은 1970년대와 1980년대 한국 천주교회의 부흥기라 할 수 있는 시대에 예비자 교리교육 방법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왜냐하면 이 시기에 저술된 대표적 예비자 교리서들이 이 교육 방법에 기초한 교리서였기 때문이다. 아무리 좋은 교육 방법이라 하더라도, 그 이론이 현실에 적용되면서 가지게 되는 부족한 점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복음선포적 교리교육 방법도 현실에 적용되면서 부족한 점이 나타나는데, 그것은 바로 내용 중심적 교리교육이 되면서 많은 교리 내용을 짧은 시간에 전달하고자 하는 어려움이고, 이로 인해 등장하는 교육 초점의 분산현상, 그리고 삶에까지 연결되는 교육을 실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그리스도교적 문화권에서 살고 있지 않는 한국의 예비자들에게, 전이해가 있는 것처럼 전달되어지는 그리스도교 메시지에 대한 이해 여부도 문제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복음선포적 교리교육의 기초 원리가 어떻게 한국 천주교회에 적용될 수 있을 지에 대해서 연구할 필요성이 있고, 한국 천주교회 부흥기에 사용되었던 이 교육 방법이 과연 어떠한 신앙인을 육성했는지에 대한 깊은 반성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선결과제가 극복 될 때, 한국 천주교회의 주류를 이루는 복음 선포적 교리교육의 모습이 신자들에게 또한 예비자들에게 더욱 친근하고, 쉽게 이해될 수 있는 방법론으로 탄생할 수 있을 것이다. Through the catechesis history, the catechism has been regarded the only way of catechesis for a long time. Since the Council of Trent along with much publication of catechism books, people have thought that they couldn't be good Christians without memorizing the whole catechism. In other words, they regarded memorizing the catechism as the mature faith. This kind of education was very effective in the Middle Age when the society and Church were not separated. Because the understanding of the catechism was not so different from that of Christian Culture. But times have changed. Today Church is only a part of the society, and the catechism is not taught in public at school any longer. In additi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uch studies in the educational fields as pedagogics and psychology come to demand a further reform of catechism and catechism in general. In the early 1900s when Munich methodology was introduced and applied to catechesis, a new kind of teaching method using pedagogic and psychological application was devised, which was called the revival movement of catechesis. This movement resulted in birth and application of new catechesis until 1940s. It was very effective because not only the content of the catechesis but also people who take lessons were focused. Even though the revival movement was fruitful and successful, the catechesis itself was too emphasized and the content of dogma itself was comparatively overlooked. Besides, the introduction of pedagogics and psychology interfered with understanding the whole Christian truth. At the time of growing realization of those problems in the education fields, the theological research about the gospel message, saying power and hope for people in the period of the world war Ⅱ, was on progress. The research resulted in the emphasis of the importance of the gospel proclamation, which was named theology of gospel proclamation. The Anvers International Catechism Convention held under that circumstance reinforced that the main content of the catechesis is gospel message which is alive and vital. The true meaning revealed in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f Catechesis in 1960 held in Eichst?tt in Germany, which was called the kerygmatic catechesis. It was focused on how to preach the message and emphasized that the core of the message is the God's salvation history revealed in Jesus Christ's life. Thanks to this, Bible was brought in the middle of catechesis. The kerygmatic catechesis stresses the salvation history, that is, how god's salvation history is represented in us now here as well as the subsequent responsibility of the Christians. This method is estimated as an important line to point out the basic course of modem catechesis. So it is called Christ-centered catechesis. The end of catechism and the appearance of kerygmatic catechesis with theological view gave much influence to the method of teaching catechumens in 1970s and 1980s, the revival period of Korean Church. But the kerygmatic catechesis itself is not free from faults. Because of its content-centered method, it takes long time and the lack of time causes the decentralization of the main content and fail people to change their lives. It's also another problem whether the Koreans, who live in quite different culture from Christian background, can understand Christian message. In this respect, it is needed to study how the basic theory of the kerygmatic catechesis can be applied to Koreans. And a deep reflection is required on what kind of people has been fostered during the Korean Church revival period, when the method was used. When all these problems are overcome, the kerygmatic catechesis, the main stream of Korean Church, will be better and easier method for believers and catechumens.

      • KCI등재
      • 중학교 계발활동 참가자의 위험지각과 위험감소행동에 관한 연구

        정신호(Jung, Shin-Ho),이홍구(Lee, Hong-Goo) 한국사회안전학회 2011 한국사회안전학회지 Vol.7 No.2

        본 연구는 중학교 계발활동의 유형에 따라 중학생들이 인지하는 위험지각과 이에 관련하여 학생들이 취할 수 있는 위험감소행동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교육활동에서 위험지각과 위험감소행동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바람직한 계발활동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여 학생중심의 교육활동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 수원지역의 Y, T중학생 520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99명의 데이터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계발활동을 선제적, 정서적, 인지적 활동의 3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계발활동에서 중학생이 인지하는 위험지각이 위험감소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중학생은 계발활동 유형 중 정서적 활동에서 위험지각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은 계발활동 유형 중 정서적, 인지적 활동 보다 신체적 활동에서 위험감소 행동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계발활동 위험지각(선제적 요인, 금전적 요인, 사회ㆍ심리적 요인)은 계발활동 위험 감소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볼 때, 중학생들은 계발활동 유형 중 정서적 활동에서 위험지각을 많이 하고, 신체적 활동에서 위험감소행동을 많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계발활동 위험지각이 계발활동 위험감소행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은 계발활동에서 위험지각과 위험감소행동을 인식하고 있으나, 교육활동에 있어서 경제사회 활동과 달리 수동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계발활동의 위험지각과 위험감소행동의 분석을 통하여 교육활동이 보다 풍부해지고 공급자 위주의 교육이 아닌 학생중심교육과정으로 발전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risk and risk reduction behavior of the club activity participants at middle school. To achieve the study goals, Various methods were used : 499 subjects were selected from 2 middle schools which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in Gyeonggi-do 2011.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SPSSWIN 12.0 program, and the methods to analyze the materials were factor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 (1) Middle school students (appear to) have a higher perceived risk in emotional activities among the types of club activities. (2) Among the types of club activities, the risk reduction behavior in physical activit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in emotional and cognitive activities. (3) The perceived risk(physical factor, financial factor, social & psychological factor) has no influence on the risk reduction behavior in the club activities. According to this study, middle school students have the highest perceived risk in emotional activities among various types of club activities, and they show a great deal of risk reduction behavior in physical activities. However, it doesn’t seem that the perceived risk affects the risk reduction behavior in the club activities. In conclusion, students notice the perceived risk and the risk reduction behavior, but they show passive attitudes in educational activities unlike in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Accordingly, by analyzing the perceived risk and risk reduction behavior in the club activities, educational activities will be able to enrich and develop into the student-centered curriculum rather than the provider-centered one.

      • 미래지향적 한국사회를 위한 안전이미지 구축

        정신호(Jung, Shin-Ho),이홍구(Lee, Hong-Goo) 한국사회안전학회 2012 한국사회안전학회지 Vol.8 No.2

        우리는 사회전반에 걸쳐 총체적 안전불감증이 만연한 시대에 살고있다. 그러나 사회 안전 문제를 단순히 취급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왜냐하면 안전한 사회건설은 안전 프로그램 매뉴얼 개발, 안전 인프라 확충, 안전 시설ㆍ설비 증대, 국민의 안전 의식 확대 등이 최적합 상태를 유지할 때 이루어진다. 안전의 상황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시대에 다양한 사회 안전 요소들을 하나로 묶고 최선의 결과를 만들기 위해서는 21세기의 시대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부응하는 리더십을 갖출 수 있어야 된다. 우리는 2002년 한ㆍ일 월드컵 4강의 주역 히딩크 감독을 보고, 이제까지 느끼지 못한 새로운 리더십을 경험하였다. 다양한 사회 안전의 욕구들을 하나로 통합하고 시대의 변화에 맞게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히딩크 감독의 리더십을 중심으로 새로운 지도력에 대해서 성찰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그간 성공적인 면모를 보여주었던 히딩크 감독의 리더십과 그 외 우리의 지도력을 개선하는데 도울 줄 수 있는 몇몇 예를 들어 미래지향적 한국사회를 위한 체육지도자의 안전이미지 구축에 대해서 집중 성찰해 보고자 한다. 미래지향적 한국사회를 위한 안전이미지 구축을 위한 리더십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인텔리젠트 리더십 ⅰ) 히딩크 감독의 리더십 ⅱ) 집단역학 리더십 둘째, 선진국가의 젠틀리더십 ⅰ) 클럽메드의 젠틀 리더십 ⅱ) 선진각국의 스포츠 리더십 ⅲ) CEO형 경영 리더십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reflect on new leadership in response to the ardent desire that domestic sports leaders must be equipped with leadership that copes with historical changes in the 21st century.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Director Hiddink’s intelligent leadership that has been successful so far and several cases of sports leadership that may help improve our leadership. In particular, soccer director Hiddink is a good example demonstrating the concept of ‘knowledge leader,’ which is the image of sports leaders in the 21st century. He has proved his excellent leadership by showing outstanding performance at teams under his leadership including Korean, Australian and Russian national soccer teams and professional teams like PSV Eindhoven in his country the Netherlands and Chelsea in the U.K. His distinguished leadership can be summarized into ‘intelligent leadership,’ and its outcome is not ‘a hero’ but ‘teamwork that makes everybody a hero.’ This is the way for the survival of our soccer and a leadership principle to be admitted by new leaders in our sports circle. Furthermore, we conclude that it can be a solution in Korean society where polarization has been worsening and sectarian conflicts between the government party and the opposition parties have been rising further since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As shown empirically by Director Hiddink and observed in the field of leisure sports leadership in most of developed countries, gentle leadership that respects the subjects of sports leadership is also another virtu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