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목단강유역 발해 장성의 특징과 축조시기 문제

        정석배(JUNG Suk-bae) 고구려발해학회 2014 고구려발해연구 Vol.49 No.-

        발해의 구국과 상경도성이 위치한 목단강 상류와 중상류지역에는 이 두 도성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수많은 관방유적이 분포하며, 그 중에는 목단강장성, 강동장성, 그리고 경박호장성이라 불리는 3개의 장성유적도 있다. 이 글에서는 이 3개 장성유적에 대해 기 발표 자료들, 현장답사 내용, 그리고 구글어스를 통해 확인되는 내용 등을 통해 그 양상을 최대한 자세하게 파악해보고자 하였고, 또한 이 3개 장성유적의 축조 주체와 구체적인 축조시기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유적의 양상과 관련하여 목단강 유역의 3개 발해 장성유적은 상호간에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첫 번째는 모두 한쪽이 강에 접한다는 점이다. 목단강장성은 동쪽 끝 부분이, 강동장성과 경박호장성은 서쪽 끝 부분이 각각 목단강에 접한다. 두 번째는 모두 장성의 전체적인 방향이 남동-북서 방향이란 사실이다. 세 번째는 모두 방어대상을 북동쪽으로 삼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 점은 성벽의 입지와 성벽 부대시설인 호성이나 치의 방향을 통해 분명하게 파악된다. 네 번째는 모두 평지가 아닌 산지에 자연 지세를 이용하여 성벽을 쌓았다는 점이다. 다섯 번째는 목단강장성과 경박호장성은 산악지역의 북쪽 가장자리가 아니라 남쪽으로 적지 않게 들어온 지점에 성벽을 구축하였다는 점이다. 여섯 번째는 모두 다른 성들과 서로 호응한다는 점이다. 목단강장성은 남성자고성과, 강동장성은 대왕산성과, 경박호장성은 성장립자산성과 각각 호응한다. 일곱 번째는 모두에 일반적인 토축 성벽과 석축 성벽 외에 돌담형식 성벽이 공존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들은 목단강유역의 3개 장성유적이 상호간 밀접히 관련되었음을 보여준다 하겠다. 목단강장성의 축조 주체에 대해서는 금, 동하, 발해 등의 설이 있다. 목단강장성의 ‘마면’은 체성을 밖으로 호선을 이루게 돌출시켜 쌓은 ‘호성’으로서, ‘치’에 해당되는 금대도성이나 금계호의 ‘마면’과는 큰 차이를 보인다. 또한 3개 장성유적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된 돌담형식 성벽은 금대 관방유적에서는 아직 발견예가 없다. 이 사실들과 목단강유역과 관련된 역사적인 사건들을 고려할 때에 목단강유역의 3개 장성유적은 모두 발해시기에 축조된 것임이 분명하다. 목단강장성의 구체적인 축조 시기는 목단강 중상류지역이 무왕 중기에 이미 발해의 영역에 포함되었고 그리고 무왕이 726년에 흑수말갈을 공격하고 다시 732년에 대당 군사원정을 감행하였다는 역사적인 사실을 염두에 두어 726년과 732년 사이일 것으로 파악하였다. 당과 언제 협공할지 모르는 흑수말갈의 예상 공격에 대한 방어책을 강구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해가 당을 공격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강동장성은 성벽의 양상이 경박호장성에 비해 목단강장성과 더 많은 유사성을 보인다. 때문에 강동장성은 목단강장성과 그 축조시기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을 것이다. 경박호장성은 성벽의 위치와 치의 방향으로 볼 때에 발해 상경도성이 아니라 구국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되었음이 분명하다. 치는 발해성들에는 특징적이지 않지만 이른 시기의 발해 성들에서는 확인된다. 고왕 대조영이 목단강 상류지역의 분지에 건국의 터전을 잡은 다음에 구국과 구국이 위치하는 분지 전체를 방어하기 위해 경박호장성을 쌓았음이 분명할 것이다. 발해가 목단강유역에 3개의 장성을 쌓은 것은 모두 북동쪽 흑수말갈로 대표되는 말갈세력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었음이 분명하다. In the upstream and upper-middle stream of the Mokdan River, where the Old capital and the Upper capital of Balhae were located, there are a lot of fortifications built to protect them; among them there are three great walls called Mokdangang-jangseong, Gangdongjangseong and Gyeongbakho-jangseong. In this paper we have tried to examine their condition and to clarify who built these walls (the subject of construction), and particularly when they were built (time of construction), by using already published materials, direct examination (tours) and Google-earth maps. As to condition of the sites we found that these three Balhae great walls have a lot in common. First, one end of they all joins to the river. Mokdangang-jangseong eastern end, Gangdong-jangseong and Gyeongbakho-jangseong western end join the Mokdan River. Second, all three walls have SE-NW direction along the long axis; third, all the walls have their protective direction in the north-eastern side. This is evidenced by the direction of the fortress walls and the position of such buildings within the walls as 《Chi》 or 《Hoseong》. Fourth, all the walls weren’t built in a valley (flat country), but in mountainous areas. Fifth, Mokdangang-jangseong and Gyeongbakho-jangseong weren’t built on the edge of the mountainous areas, but within them. Sixth, all the walls correlate with other fortress sites, viz. Mokdangang-jangseong with Namseongja-seong, Gangdong-jangseong with Daewangsanseong, and Gyeongbakho-jangseong with Seongjangripjasan-seong. Seventh, they all have wall like a stone fence, apart from the usual earthworks and stone wall. All this shows that the three great walls near the Mokdan River have a close reolantiship to each other. Concerning the subject of the construction of Mokdangang-jangseong there are versions that it was built by Jin, Eastern Xia or Balhae. 《Mamyeon》 in Mokdangang-jangseong is 《Hoseong》, which was built, skirting the wall by the outside, and is very different from 《Chi》. 《Mamyeon》 characteristic for the capital of Jin Dynasty and 《Geumgyeho》 of Jin period. In addition, the wall like a stone fence that is characteristic for these three great walls weren’ t still found in any Jin fortification. Judging by these facts and historical events that took place on the territory of the Mokdan River is clear that these three great walls were built during the Balhae period. Apparently, the Mokdangang-jangseong was constructed between 726 and 732, because during Moo-wang’s reign the territory of middle stream of Mokdan River was already included in Balhae, in 726 Moo-wang attacked Heuksumalgal and in 732 he made a military campaign against Tang China. Balhae couldn’t attack Tang China without taking any protective precautions against the expected attack of Heuksumalgal. Gangdong-jangseong is more similar to Mokdangang-jangseong than to Gyeongbakho-jangseong, so probably the time of their construction is close. Gyeongbakho-jangseong, judging by the direction of the wall and the location of 《Chi》, was built not for the Upper ictalp, but for the Old capital. 《Chi》 s are not typical for Balhae fortress, but they there were in the early sites of Balhae. Evidently Gowang Dae Joyeong built Gyeongbakho-jangseong after the founding of the country in the upper stream of the Mokdan River to protect not only the Old capital, but also all the flat part where the Old capital was. Thus, it appears that Balhae built great walls near the Mokdan River to protect against threats from Malgal forces headed by Heuksumalgal.

      • KCI등재

        연해주 발해시기의 유적 분포와 발해의 동북지역 영역문제

        정석배(JUNG Suk-bae) 고구려발해학회 2011 고구려발해연구 Vol.40 No.-

        발해의 동북지역 경계에 대해 한국과 중국의 학자들은 지금의 연해주의 북쪽을 따라 대략 서쪽의 쉐레메찌예보에서 동쪽의 사마르가 강 하구를 잇는 선으로, 러시아의 학자들은 서쪽의 레소자보드스크-뽀쥐가에서 동남쪽의 빠르띠잔스크 강 하구를 잇는 선 혹은 더 남쪽의 레소자보드스크-추구예브까-빠르띠잔스크 강 하구를 잇는 선으로 각각 파악하고 있어 서로 큰 차이를 보인다. 러시아 발해 전문가들은 이미 1900년대 초부터 발해의 영역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발해 영역에 대한 생각은 오늘날 큰 변화를 보이는데, 1968년에 E.V. 샤브꾸노프가 발해 동북지역의 경계가 아무르 강 하류를 따라 나있었다고 생각하였다면, 지금은 대부분의 러시아 발해 전문가들이 그 경계를 연해주의 남부지역으로 국한하고 있다. 발해 동북지역의 영역에 대한 이러한 생각의 변화는 A.L.이블리예프의 문헌자료에 대한 새로운 해석에 기인하는 바 크다. 하지만 이 의견에는 고고학 자료에 대한 판단도 적지 않게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데, A.L.이블리예프는 일관되게 현재 연해주에서 알려진 가장 북쪽의 발해유적은 마리야노브까 성이라고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연해주 지역의 발해시기의 유적들에 대해 그 분포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발해 동북지역의 영역 문제와 관련시켜 검토하여 보았다. 연해주 지역의 발해시기 유적은 모두 315개소로 집계되었다. 하지만 연해주 동북해안 지역의 유적들은 발해유적, 말갈유적, 혹은 발해시기 유적 등 그 문화적 해석에 학자들 간 이견을 보인다. 연해주 북쪽 지역의 볼샤야 우쑤르까 강과 비낀 강 유역의 발해시기 유적들은 말갈 유적 혹은 뽀끄로브까 문화의 유적으로 파악된다. 발해시기 유적의 분포와 러시아 발해학계의 여러 의견들을 종합하고, 또한 새로운 고고학 자료들을 참고한다면, 발해 동북지역의 영역은 그 경계가 한까 호 북단-마리야노브까-오끄라인까-올가를 잇는 선 혹은 비낀-오호뜨니치-꾸즈네쪼보를 잇는 선 이 둘 중의 하나일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첫 번째 안은 대부분의 러시아 발해 전문가들이 발해 유적이라고 인정하는 유적들과 오끄라인까 성과 올가 지역의 시니예 스깔르이 주거유적을 발해 유적으로 인정할 경우이며, 두 번째 안은 O.V.디야꼬바가 발해의 유적이라고 주장하는 연해주 동북해안지역의 유적들을 발해유적으로 인정할 경우이다. Korean and Chinese specialists consider that the boundary of the north-eastern part of Balhae is situated in the north of Primorye region, in general on the line from Sheremetyevo village in the west to the mouth of the Samarga river in the east, and Russian specialists believe that it’s situated on the line from Lesozavodsk-Pozhiga in the west to the mouth of the Partizanskaya river in the south-east or even more in the south on the line from Lesozavodsk-Chuguevka to the mouth of the Partizanskaya river. Russian experts on Balhae since the early 1900s took an interest on Balhae territories’ questions. However, the opinion on Balhae area changed in recent years. Thus, in 1968, E.V. Shavkunov believed that the boundary of the north-eastern part of Balhae passed along the Lower Amur River, at the present time the most part of Russian experts on Balhae consider it was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Primorye region. Such a change in opinion on the north-eastern part of Balhae is due first of all to a new study of written sources, made by A.L. Ivliev. But the opinion of the specialist apparently refers also to archaeological data, as he repeatedly asserts that among Balhae sites nowadays studied the most northern Balhae site in Primorye region is Mariyanovka fortress. The author of this article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Balhae period sites in Primorye region and therefore studied the territorial problem of the north-eastern part of Balhae. There are 315 sites of Balhae period in Primorye region. However, the Balhae period sites in the north-eastern Primorye are considered by different authors as Balhae, Malgal or just sites of Balhae time. Sites of Balhae time in Northern Primorye, namely in valleys of the Bol’shaya Ussurka and Bikin rivers are attributed to Malgal or Pokrovka culture. If we consider location of the sites of Balhae period, different views of Russian specialists and new archaeological data, there are two variants of the location of the boundary in the north-eastern part of Balhae: the northern edge of Lake Hanka- Mariyanovka-Okrainka-Olga, or Bikin-Ohotnich-Kuznetsovo. The first variant takes place if we take the opinion of the majority of Russian experts on Balhae sites, and recognize the fortress Okrainka and Sinie Skaly site as Balhae ones. The second version is possible if we recognize sites in the North East of Primorye region, which O.V. Diyakova relates to Balhae as really Balhae ones.

      • KCI등재

        발해의 북방경계에 대한 일고찰

        정석배(JUNG Suk-bae) 고구려발해학회 2016 고구려발해연구 Vol.54 No.-

        한국과 중국의 연구자들은 발해의 북방경계가 아무르 강까지 이른 것으로 판단하지만 오늘날 러시아의 대부분 연구자들은 그 경계가 한까호 일대와 연해주의 남부지역에 국한된다고 생각한다. 이와 같은 의견의 차이는 기본적으로 문헌자료에 대한 해석의 차이에서 기인하지만, 러시아 학계에서는 ‘발해유적’의 분포현황도 발해의 북방경계를 연해주 남부지역으로 국한하는 주요 근거 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문헌자료에는 발해 영역의 크기가 방2천리와 방5천리였고 그리고 발해가 모든 말갈제부를 복속하였다고 분명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발해의 북방경계 문제를 문헌자료와 고고학 자료를 통해 몇 가지 측면에서 검토해 보았다. 먼저 구국 시기의 방2천리와 발해 전성기의 방5천리는 영주에서 동모산(돈화 성산자산성)까지 그리고 현주(서고성)에서 발해왕성(상경성)까지의 직선거리를 통해 방 2천리는 최소 방514㎞, 최대 방660㎞, 평균 방587㎞, 방5천리는 최소 방1,285㎞, 최대 방1,650㎞, 평균 방1,467㎞이었음을 산출하였다. 다음에는 말갈제부의 상대적 위치에 대한 문헌자료의 내용과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들 및 발해에 복속된 말갈제부들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발해는 말갈7부 이외에도 사모, 군리, 굴열, 막예계, 우루 등 북방의 모든 말갈들도 복속시켰다. 흑수말갈도 일정 기간은 복속시켰는데 흑수말갈의 서쪽과 북쪽 그리고 북동쪽에 위치하는 사모, 군리, 굴열이 발해에 복속되었다는 사실은 그 사이에 위치한 흑수 역시 발해에 복속되었음을 반증한다고 하겠다. 고고학 자료를 통한 검토에서는 먼저 ‘본원적인’ 발해유적의 분포현황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요녕성에서 시작하여 길림성, 흑룡강성을 지나 연해주 동해 연안까지의 본원적인 발해유적의 서방 및 북방 한계선은 석대자산성 주변 고분군-농안고성-백도고성-석두인유적 혹은 발리하삼도교유적-고성촌고성-십이련산성-안흥고성-끄라스나야 소쁘까 2 유적-마리야노브까 성-시니예 스깔르이 유적을 잇는 선임을 알 수 있었다. 발해의 북방경계 문제와 관련하여 해결해야할 중요 과제 중의 하나는 뽀끄로브까 문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아무르 여진 문화’로 불리기도 하는 이 문화는 서기 7~13세기로 편년되고 있지만 실제 서기 10세기를 과도기로 하여 그 전과 후가 문화적으로 큰 차이를 보인다. 서기 10세기까지의 뽀끄로브까 문화 유적은 ‘발해말갈’의 유적으로 간주되고 있어 사실은 발해의 유적임을 알 수 있다. 다음에는 말갈유적의 분포현황과 흑수말갈의 이주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오늘날 말갈유적은 길림성과 흑룡강성 그리고 연해주지역뿐만 아니라 아무르 강 중하류지역에서 확인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멀리 아무르 강 하류의 수추섬에서 그리고 서쪽으로는 멀리 쉴까 강 유역에서까지도 확인되고 있다. 동아무르 일대의 나이펠드-동인 문화 유적들은 흑수말갈이 남긴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런데 이 나이펠드-동인문화는 서기 4~7세기까지는 동아무르 지역에 분포하였지만, 서기 8세기 이후에는 동아무르지역에서 사라지고 대신 소흥안령 서쪽의 서아무르지역에서 발전하게 된다. 이 사실은 흑수말갈이 발해의 북진정책으로 인해 동아무르 지역에서 서아무르지역으로 이주하였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나이펠드-동인 문화 이후 동아무르지역에서는 발해의 일부였던 뽀끄로브까 문화가 발전하게 된다. 따라서 발해의 북방경계는 서북쪽으로 소흥안령을 지나고, 북쪽으로 나이펠드-동인문화 유적들의 분포범위와 서기 10세 초까지의 뽀끄로브까 문화 유적 분포 범위를 포괄하며, 동북쪽으로는 발해시기 말갈유적이 분포하는 연해주 북부의 사마르가 강 하구까지를 잇는 선임을 알 수 있다. 흥미로운 사실은 발해의 방2천리는 본원적인 발해유적 및 말갈유적의 전체 분포범위의 크기와 각각 대체로 일치한다는 점이다.

      • KCI등재

        Effect of Food Supplements for Improvement of Well-being Industry and Their Cytotoxicity

        Suk-Yul Jung(정석률)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9 No.3

        웰빙은 개인 혹은 단체 예를 들어 사회적인, 경제적인, 심리학적인, 정신학적인 혹은 의학적인 상태를 일컷는 말이다. 질적상태가 우수한 웰빙은 어떤 의미에 있어서 개인이나 단체의 경험이 긍적적이지만 낮은수준은 부정적 요인과 관련이 있다. 웰빙은 사람들의 식습관을 제어하고 또한 사람들의 의식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관련성으로 식품에서 첨가되는 조미료 또한 가능성이 있을 수 있는데, 조미료는 허브와 그 자체로 조미료라 불리는 양념이며 음식맛을 풍부하게 하거나 더욱 맛이 나도록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업화된 조미료는 포유동물 세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좀 더 상세한 분석을 위하여 포유동물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조미료는 맛보고, 다시다 및 맛선생이다. 조미료 처리를 위하여, 5 그램을 완전히 녹이고 여과한 다음 사용하였다. 맛선생과 맛보고는 표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농도에 따라 증가됨을 보였다. 좀 더 희석, 즉, 10배로 희석한 다음 조미료를 처리한 결과 전반적으로 세포독성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좀 더 상세한 분석이 더욱 더 많은 조미료를 이용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해로운 효과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좀 더 세포적인 면에서 수행되어야 함을 본 연구는 제시한다. Well-being is a general term for the condition of an individual or group, for example their social, economic, psychological, spiritual or medical state; high well-being means that, in some sense, the individual or group"s experience is positive, while low well-being is associated with negative happenings. Well-being controls people"s eating habits and also can be controlled by people"s consciousness. In terms of well-being and food, supplements for dish, e.g., seasonings, can be associated with high well-being. Seasonings include herbs and spices, which are themselves frequently referred to as "seasonings" and magnify a natural flavor of a food making it richer or more delicate. Commercialized seasonings need to be analyzed to affect mammalian cells. For more detailed analyses, this study was to analyze cytotoxicity to the mammalian cells. Matbogo, Dasida and Matseonsang were used in this analysis. For preparations of the seasonings, 5 gram was completely dissolved. Matseonsang and Matbogo decreased the living target cell according to decreasing ratio. To analyze the diluted solutions of the seasonings, cytotoxicity was performed and only living number of the target cell was calculated. Overall, the cytotoxic effect of diluted seasoning solutions was decreased. Further analyses would be done with commercialized more seasonings. And new and healthy seasonings should be developed and analyzed for their harm and effec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