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통화정책충격과 이자율 기간구조 : 기대가설 검정을 중심으로

        정서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반적으로 이자율 기간구조는 미래 경제상황 및 인플레이션에 대한 예측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통화정책 지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이자율 기간구조에 예측력이 존재하기 위해서는 기대가설이 성립해야 한다. 본 논문은 Christiano, Eichenbaum, and Evans(1999) 모형을 적용한 충격반응곡선을 통해 한국의 경우 통화정책충격이 발생했을 때 기대가설이 성립함을 확인했다. 또한 충격반응곡선에 의해 도출된 결과처럼 기대가설이 성립하여 실제로 장기이자율이 미래에 기대되는 단기이자율의 평균과 유사한지 데이터를 이용해 검증해보았다. 그 결과 예측 시야를 5개월 이후로 확대할 경우 장기채권(국고채 1년물)의 수익률 흐름이 해당 만기의 단기채권(CD 91일물) 미래 예상 수익률의 기하평균 흐름과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이는 기간의 차이는 있지만 예측범위(forecast horizon)를 확대할 경우 예측력이 개선되어 기대가설이 성립한다는 Fama와 Bliss의 선행연구 결과와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 스마트폰 중독 잠재적 위험군 중학생의 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정서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중독 잠재적 위험군 중학생의 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해 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스마트폰 중독 잠재적 위험군 중학생의 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스마트폰 중독 잠재적 위험군 중학생의 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에 효과가 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소재 C중학교의 스마트폰 중독 잠재적 위험군 중학생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 26명을 13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스마트폰 중독 잠재적 위험군 중학생의 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박인우(1995)의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총 12회기로 구안하여 9월 9일부터 10월 30일까지 1주에 2회씩 방과 후 시간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한국정보화진흥원(2011)이 개발한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S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Windows 18.0에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양적 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마트폰 중독 잠재적 위험군 중학생의 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중독 성향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영역별 분석 결과에서도 실험집단의 일상생활장애, 금단, 내성 영역에서의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한 결과 이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 잠재적 위험군 중학생의 중독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없는 상태에서 스마트폰 중독에 잠재적 위험성을 갖고 있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중독 예방에 목적을 두고 중독 예방이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는 점과 특정 상담 기법이나 교수학습 방법을 도입하지 않아 학교 현장에 유용성이 높은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사용하고 있는 중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검사도구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둘째, 긍정적 효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보다 장기적인 계획 아래 많은 연구대상을 상대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prevent the addiction to smart-phones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potential risk group for such addiction and applying such a program to verify the actual efficacy of the program. To serve the study purpose,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were set; firstly, how should a group counseling program be designed to prevent the addiction to smart-phones by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ly, is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o prevent the addiction to the smart-phone by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potential risk group actually effective in such prevention? For this study, 26 students were selected as samples for this study and assigned to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hich were assigned with 13 students, respectively. The students were from the potential risk group for smart-phone addiction from C Middle School located in Chungbuk region. The program was designed based on the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model by Inwoo Park (1995.) The test tool was the S scale, which is the self-diagnosis tool for juveniles to diagnose the smart-phone addiction developed b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of Korea (2011.)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as processed using SPSS/Windows 18.0 via a Mixed ANOVA analysis. To compensate the limitation of the quantitative results in terms of their reliability, the self reports of the members of the groups and the observations by the counselors were also used for analysi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addictive tendency of the test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of this study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hanges shown by the control group. The analysis result of the sub-domains of the smart-phone addictions also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with the difficulties in every activity, the withdrawal effects, and the tolera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while there has not been any group counseling program to prevent the smart-phone addiction by the middle school students yet, a new program targeted to the potential risk groups for addiction to smart-phones in middle schools has been developed with a view to prevent such addictions and now is available for application in the class.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based on the findings above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a need for a test tool which is design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using the smart-phones. Secondly, m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continuously with a plan for a longer term and more study participants to ensure that the positive effects from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susta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