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역관 편지의 한글서체 조형미 고찰 - 대마도 `종가문고사료`를 중심으로 -

        정복동 ( Jeong Bok Dong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6 동양예술 Vol.32 No.-

        본 연구는 18·9세기 조선과 일본의 역관들이 작성한 대마도 종가문고 소장 한글 서간류 114건을 대상으로, 국한혼용체로 쓰인 한글 서체의 조형미를 분석한 것이다. 나아가 여기에서 밝힌 우수한 서체로써 교육용·예술용·상업용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아울러 발신자가 2명인 자료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필사자의 신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따라서 기존에 조사 검토한 서지사항을 정리하고, 발신자 2인의 16건 자료를 통해 개인별 이미지 자료를 면밀히 검토하였다. 이에 몇몇 자료에 대한 필체의 특징을 구분하고 약간의 필사자를 밝혀 서지학적으로 보완함으로써 연구의 의의를 추구하였다. 종가문고 한글 서간류의 서지학적 특징은 일본의 대통사인 소전기오랑이 국한혼용체로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口上書와 조선 역관이 작성한 서간의 양식을 비교한 결과 비록 개인이 작성한 서간이기는 하나 발신자와 수신자가 복수이며, 관직의 지위순으로 서명 날인을 한 것이어서 외교문서이면서도 실용문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 조선 역관이 작성한 서간 서체의 조형미는 문장의 장법미, 어절별 조형미, 단일문자의 결구미, 자모의 용필미를 사대부 김노경의 한글편지와 비교 분석하였다. 첫째, 장법미를 살펴보면 7인 모두 국한 혼서 흘림체로 작성한 것을 분석한 결과, 1행에 10~19자를 세로로 배자하였고 가로줄은 맞추지 않았다. 한 글자의 형체에 대체로 변화가 많으며, 시작과 끝 그리고 행별 호응이 있어 각각 규범이 있다. 행간 공간은 종이의 크기에 따라 모두 다르나 간격이 일정한 공통점이 있다. 중심축선은 중앙에 두고 있어 한자와 조화를 이루었다. 수신자에게 예를 갖추기 위해 ‘擡頭法’ 등을 사용하였다. 자간의 분간포백은 어절별로 ‘密’하게 구성하였으나 띄어쓰기 부분은 ‘疏’하게 안배하여 유창하되 안정된 장법미를 보이고 있다. 박준한, 박치검, 최경, 최국정 서간은 자간과 행간의 안배와 유창한 장법이 김노경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둘째, 어절별 조형미를 살펴보면 조선 후기 가장 명필로 알려진 추사 김정희와 서사상궁 서희순의 편지를 비교한 결과, 공간 안배에서 소밀의 변화는 김정희보다 적으나 궁체와 같이 자간을 일정하게 분배하는 공통점을 보이고 있다. 셋째, 단일문자의 결구미를 살펴보면 김노경과 문자의 외형을 비교한 결과, 세로로 긴 방형을 이루고 중심축선의 방향이 좌향인 공통점이 있으며, 공간 분배에 따른 여백에서 김노경보다 변화를 적게 보이고 있다. 단일문자의 시기별 특징을 ‘ㅅ’계 합용 병서자를 제시하여 파악한 결과, 좌측을 상하로 길게 하는 결구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16~19세기에 이르기까지 사대부 서간체의 큰 특징과 유사한 면을 보이는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114 Hangeul (Korean alphabet) letters which were written by Joseon and Japanese interpreter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nd possessed by Sokebungo of Tsushima and formative beauty of Korean Chirography in which Hangeul and Chinese letters are both used. Further, it is to present ways to utilize superb chirography in educational, artistic and commercial purposes and to identify transcribers by intensively analyzing data which has two senders. Therefore, this study organizes bibliographic data which have been previously researched and reviewed and thoroughly examines individual images through sixteen materials of two senders. The study’s significance is upon complementation in a bibliographic manner through identifying features of different handwriting in several materials and determining some transcribers. As a result of comparing forms on note verbale which is assumed to have been written by Oda Ikugoro, Tsushima’s Korean Interpreter, in combination of Hangeul and Chinese letters and on letters written by Joseon interpreters to see bibliographic features of Hangeul letters possessed by Sokebungo of Tsushima, it is clarified that both documents were prepared by individuals but they have multiple senders and recipients and they were signed and sealed in order of offices, which means those documents were not only diplomatic but also practical. Formative beauty of chirography in letters written by Joseon interpreters is with the art of writing, formative beauty of syntactic word, aesthetic of the conclusion in unitary word and aesthetic in use of brush within consonant and vowel and they are compared with elements in Hangeul letters by literatus Kim No-Kyeong. First in terms of aesthetic in art of writing, all of seven writers used cursive character for mixed use of Hangeul and Chinese letters and they arranged 10-19 letters on a vertical line but they didn’t particularly adjust the number of letters on a horizontal one. Even a single letter usually has various changes and there also are norms that sequence lies on start, end and lines. Space between the lines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of paper but what is in common is that the space is regular. The central axis is on the center so it is in harmony with Chinese letters. Daedubeob (擡頭法. a manner to write upwards the letters for royalty) was adopted to exercise due courtesy to a recipient. Space between letters and blank space were densely composed to each syntactic word but spacing was sparse, which shows flowing but stable aesthetic in art of writing. Letters by Park Jun-han, Park Chi-Geom, Choi Kyeong and Choi Guk-Jeong are by no means inferior to those of Kim No-Kyeong as to arrangement in space between letters and lines and flowing art of writing. Second in terms of formative beauty of syntactic word, letters by Chusa Kim Jeong-Hee, the best known Joseon calligrapher, and the female scribe Seo Hee-Sun are compared and changes of sparseness and denseness in space arrangement are less than Kim Jeong-Hee but what is in common is that regular space between letters like in the court style of writing. Third for conclusion in unitary word, appearance of characters by Kim No-Kyeong is compared and it is the same that the characters are in a square which is longer lengthways and the direction of central axis is toward left and blank space depending on space arrangement shows less change that in Kim No-Kyeong. Time-Periodic features of unitary word examined through presenting parallel ‘siot (ㅅ)’ consonant system show that conclusion is long lengthwise, which is similar to a distinguished feature in literati’s letters from 16th to 19th century. Fourth for aesthetic in use of brush within consonant and vowel, 373 consonants and 74 vowels are selected from 76 scripts written by the seven and arranged for analysis and vowels are largely written backward while consonants are written with easy flow. Starting of consonants is largely of brush stroke in division and heading and facing is mostly of exclusion; Migabeob (微加法, a manner to make fine addition) used upon creation of Hunminjeongeum partially remained on ‘bieup (ㅂ)’ and; straight lines mostly changed to curves for simplicity. Location of points and thickness of stroke are of much similarity but a difference lies in that Kim No-Kyeong shows straight strokes a lot while interpreters use cursive ones or combination of the two. Hangeul letters written by Joseon and Japanese interpreters are mostly of similarities in brush strokes and conclusion by Kim No-Kyeong. This shows that it was a universal trend among master literati calligraphers in 19th century and some consonants show less changing and stable art of writing than those of literati, which represents practical chirography that is similar to handwriting of court ladies for professional use. In particular, art of writing in mixed use of Hangeul and Chinese letters in harmony can serve as an example for today’s free chirography work creation.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that it can be utilized for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between studies of bibliography and calligraphy and as educational resources for calligraphic history with aesthetics of calligraphy and history of calligraphic development and its diversity for using chirography in textbooks, cultural history and also for commercial purposes.

      • KCI등재

        한글서예의 예술성과 활용가치 고찰

        정복동 ( Jeong Bok Dong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8 동양예술 Vol.38 No.-

        본 연구는 전통적으로 계승되어온 한글서예의 예술적 근거에 주목하여 서예의 활용가치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글서예의 예술성은 훈민정음 창제원리의 오묘한 철학적 원리에 내재되어 있다. 그러므로 훈민정음의 문자관, 고체의 심미관, 정형화된 문헌의 정자체, 필사본의 정자체와 사대부가의 부부가 쓴 한글편지를 선별 고찰하여 품격을 갖춘 예술작품 제작은 전통서예의 본질을 이해해야 무궁한 변화와 다양한 개성 창출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훈민정음의 문자관은 한자의 신성관이 계승되어 정해진 계선안에 꽉 차고, 가장커 보이게 결구하여 중심축이 중앙에 있으며, 수직·수평·사선의 간결한 선과 동그란 곡선 등이 필획의 지극히 순수함만 취하여 좌우 대칭을 이룬 구조이다. 이는 태극의 심미의식인 中과 正, 그리고 陰과 陽이 조화하는 자연의 신묘함이 합일하여 이루어진 결구이므로 한자의 해서보다 웅혼미가 있고 균평하고 균형미가 있다. 이를 규구로 각종 문헌을 훈민정음으로 언해하며 사용된 인서체는 보고 쓰기에 편의한 정자체의 부드럽고 안정된 결구로 정형화되었다. 필사체의 정형화는 궁중 소설 낙선재본이 대표적이다. 영정조시기에 완성된 궁체로 한결같이 고르고 단정하며 아름답게 결구된 정자체와 흘림체 모두 관방과 왕실에서 간행한 문헌의 정자체를 正法으로 하되 궁중 여인의 敬과 禮道를 중시하는 생활환경과 궁녀의 성정 및 기질이 반영된 궁체로 필사하였는데, 공통된 미감이 구현되었다. 특히 상궁들의 편지 글씨는 낙선재본의 흘림체를 기초로 필획의 축약과 강약·대소·장단 등 운필의 리듬감과 공간분배의 소밀 등을 극대화시켜 진흘림체를 완성함으로써 궁체의 창신적 개성미를 선도하였다. 한편 사대부가의 개성을 추구한 흘림체는 부부의 편지를 선별하여 분석한 결과 문자의 외형, 연결성, 축약 등 형식은 유사성을 보이나 필획의 곡직, 강약, 대소 등 대대요소와 운필의 기교에 따라 필세, 필의, 필운을 달리하여 각각 개성 있는 품격을 갖추었다. 서예 작품의 개성 있는 풍격은 필봉의 운용에서 이루어지므로 筆鋒은 곧 太極과 같다. 그렇기 때문에 고인들은 서예를 大道·大美라 하고 세계를 中和할 수 있는 지표로 삼아왔다.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대도·대미를 추구하는 삶은 서체에도 반영되었다. 훈민정음에 적용된 不易속에서 ‘隨時變易’ 및 ‘隨時通變’할 수 있는 哲理性을 이해하여 외재적 형식은 시대별 가문별로 유사성을 띠고 있으나 심미적 특징은 각각 개성 있는 서체를 구현하였다. 전통이란 항상 그 시대의 문화적 역량 속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조선시대의 방대한 판본문헌과 필사문헌 및 고문서 등의 한글자료는 작품을 창작하는데 근거와 규구가 된다는 점에서 전통서예의 연구는 더욱 가치가 중시되고 활용 가치 또한 높다. This study aimed to grasp the utilization value of calligraphy focusing on the artistic basis of the traditional Hangeul calligraphy. The artistry of Hangeul calligraphy is inherent in the subtle philosophical principle of Hunminjeongeum creation. Therefore, it investigated a character perspective of Hunminjeongeum, an aesthetic perspective of the old handwriting, a square style of handwriting in formalized documents and manuscripts, Hangeul correspondence between husband and wife of gentry family, and it also suggested that the high-class art work, expressed infinite changes and diverse individuality, could be created after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traditional calligraphy. The character perspective of Hunminjeongeum has succeeded to a divine perspective of classical Chinese character. Therefore, it emerges as the symmetry structure that a character is filled in the prescribed lines to make it look as big as it can be, that its center axis is in the center of the blank, and that a concise line of vertical, horizontal, and diagonal lines and a round curve take purity. It is the structure made by unifying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Great Ultimate, the middle and the rightness, and the subtlety of nature in which Yin and Yang harmonize. Thus, Hunminjeongeum is more vigorous and balanced than a regular script of classical Chinese character. A style of handwriting used for annotating various documents in Hunminjeongeum based on this criterion has been standardized as a smooth and stable structure of a square style of handwriting that is convenient to read and write. A typical example of the standardization of the writing script is the royal novel, Nakseonjaebon, written in the court style of writing Korean script which has been completed in the era of King Yeongjo and Jeongjo. The square style of handwriting and the cursive style of handwriting in the novel were structured regularly, neatly and beautifully, and they set an example of the square style of handwriting in the documents pub lished by the public office or the royal court. In addition, a court lady’s life environment that emphasized respectfulness and propriety was reflected, and her nature and temperament were displayed. Moreover, a common aesthetic sense was expressed. Especially an upper court lady’s handwriting shown in correspondence has led an innovative individual beauty by completing the real cursive style that maximizes a rhythmical sense of wielding brush and sparseness and denseness of spatial distribution based on the cursive handwriting of Nakseonjaebon.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husband and wife, the cursive style of handwriting pursuing the individuality of the gentry family showed the similarity in the forms such as appearance, connection, and contraction of the characters. However, it had an individual dignity by varying stroke, will and energy of the brush depending on the correlation factors such as curve, strength and size of the strokes and the technique of wielding brush. Because an individual style of calligraphy work is determined by wielding brush, the brush is soon like the Great Ultimate. Therefore, the deceased have seen calligraphy as a great Way or a great beauty and have regarded it as an indicator to make the world equilibrium-harmonized. The life of the intellectuals in Joseon Dynasty that pursued a great Way and a great beauty was also reflected in the calligraphy. Understanding the philosophy which can be timely adapted in the immutability applied to the Hunminjeongeum, the external form had a similarity by the age and the family, but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was expressed as an individual handwriting. Tradition has always been formed in the cultural capacity of the time. Therefore, it is more useful to study traditional calligraphy in terms of the fact that the vast volume of Korean documents such as woodblock- printed documents, transcribed documents, and ancient documents can be a foundation and a standard to create art work.

      • KCI등재

        『신한첩』서의 심미 양식 고찰

        정복동(Jeong, Bok-dong) 한국서예학회 2013 서예학연구 Vol.0 No.23

        본고는 17세기의 왕실언간이 성첩된『숙명신한첩』ㆍ『숙휘신천첩』의 한글편지 서체가 새로운 형식으로서 심미양식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에 관하여 밝히는 데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한글이 창제 된지 600여년이 지났는데, 아직도 한글 서체의 명칭이 통일되지 못하여 서예가나 논자마다 명칭을 달리하고 있는데, 조선시대 왕실의 언간은 그 시대를 대표하는 서체이므로 시대정신이 반영된 것이다. 1446년 훈민정음 반포당시의 서체를 고체 혹은 판본체라 명명한 이후 궁체의 완성시기를 18-19세기로 추정한다면 판본체와 궁체 이외에 궁중과 민간에서 쓰여진 수없이 많은 개성 있는 서체의 명칭은 과연 무엇으로 명명할 것인지가 관건이다. 또한 판본체에 관한 정의와 판본체라는 어휘도 서예공모전과 교과서에서 사용빈도가 늘어나면서 명칭이 일반화되었다고 보면 훈민정음 언해본을 근거로 <상원사중창권선문>과 유사한 서체의 명칭은 무엇으로 명명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여기에서 서체는 하나의 양식 즉 형식으로 규정하여 논하는 것이다. 양식이란‘일정한 모양이나 형식으로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히 정해진 방식이나 시대ㆍ부류에 따라 독특하게 지니는 예술의 형식’과 소통한다. 예컨대 당나라 안진경의 글씨는 ‘옛 것과의 사이에서 변화하여 필선의 양식이나 결구의 체계를 새로이 창안했다.’ 는 측면에서 그만의 ‘심미양식’을 인정하여 천고만대 또 하나의 모범으로 세웠다. 뵐플린(HㆍWolfflin)은 ‘같은 곳, 같은 시대 같은 流波에서도 개인적인 樣式이 있다고 하였다.’ 이런 점에 비추어 보면 왕들의 한글편지는 각각 心理의 희노애락에 따라 서풍을 달리 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 다른 樣式이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보면 17세기 왕후들의 서체가 지닌 심미양식은 예학과 긴밀한 호응관계에서 시대 정신이 반영되어있다. 왜냐하면 17세기의 왕의 친필과 16세기의 사대부 여성의 한글편지 등과는 필선의 양식과 장법의 규칙에서 확연히 다른 변화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17세기 인선왕후ㆍ장렬왕후ㆍ명성왕후ㆍ인현왕후의 친필서체는 분명 새로운 심미양식을 형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요인은 조선 초 성리학이 정치 이념으로 자리 잡은 뒤 유학이 실천적 면모를 갖추게 되면서 왕실의 어른인 왕비들은 예를 실천하였기 때문에 자연 수신의 교화적 미의식이 강하다. 왕비의 正雅한 풍격을 이루고 있는 필획의 直筆化〔가로세로획 중심〕 현상의 공통점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선왕후는 세자빈 시절에 9년 동안이나 심양에서 볼모의 험난한 생활을 하면서도 평상시의 법도를 잃지 않았으며, 왕후가 되어서는 더욱더 예로 몸을 단속하고 정성으로 위를 섬기며 內敎에 힘썼다. 이와같은 개인의 심미 특징 또한 장법의 변화를 가져오는 요인이다. 인선왕후는 손등이 아픈데도 공주들에게 보낸 70여 편의 글씨가 한결같은 서풍이다. 그의 이러한 서풍은 이후 시어머니이지만 7세가 어린 장렬왕후와 며느리인 명성왕후, 손주며느리인 인현왕후에게 전수되어 발전시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17세기 왕후 중 가장 연장자이며 최초로 가로 세로획의 기필이 분명한 역입을 하였고, 중심축이 오른쪽 세로획으로 이동되어 새로운 장법의 형식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인선왕후의 서체를 하나의 새로운 서체의 양식으로 간주하여 ‘인선왕후체’ 혹은 약칭으로 ‘인선체’를 제시한다. 이는 추사 김정희의 서체를 ‘추사체’ 혹은 ‘김정희체’라 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그러므로 상원사 중창 권선문 등은 ‘상원사 중창 권선문체’ 혹은 약칭으로 ‘권선문체’ 등으로 명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This study seeks its significance to clarify whether font types of letters written in Korean(hereafter Hangul letters) on Sukmyeong-sinhancheop and Sukhwy-sincheoncheop in 17th century when royal letters were affixed with a government seal are with original forms and with characteristics of an aesthetic style. Even though it has already been over six hundred years since creation of Korean alphabet (hereafter Hangul), a name for Hangul chirography has not been standardized yet but royal letters of Joseon Dynasty are reflection of the spirit of that time with font types representing that era. Assuming that Gung Font (the court style of writing the Korean alphabet) reached its maturity in 18-19th century after naming the font type at the time of Hunminjeongeum proclamation in 1446 as Go Font (the old style) or Panbon Font (the woodblock-printed style), the question is how to name those numerous, individual font types used in court and among people other than Panbon Font and Gung Font. In addition, the definition and the term of Panbon Font itself have been generalized by using it on competitions and on textbooks so it is considered that there should be discussions on naming the font type similar to that of Temple Sangwon Jungchang Kwonson Writing transcribed on the basis of Hunminjeongeum Eonhaebon. The font type mentioned here is discussed through defining as one form or, in other words, one style. The style communicates with 'means with certain shapes or forms naturally determin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or art form with uniqueness in accordance with times and classification.' For example, in the aspect that calligraphy of Yan Zhenqing in Tang 'newly created styles of drawing lines or systems of concluding parts through changes from old ones,' his own 'aesthetic style' has been well acknowledged and it has served as another model of all generations. HㆍWolfflin said 'There are individual styles even with the same place, the same time and the same school.' In this context, Hangul letters written by kings are of different writing styles depending on their emotions such as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so there are separate forms each. In this context, the aesthetic style in 17th century queens' font types reflects the spirit of that time within close relationship of response with propriety study (禮學). It is because they present clear difference in styles of drawing lines and rules of writing norms from those of kings' own handwritings in 17th century and Hangul letters by gentry women in the 16th. In this respect, handwriting font types of Queen Inseon, Jangyeol, Myeongseong and Inhyeon in 17th century can be definitely evaluated to have obviously formed a new aesthetic style. As Confucianism was equipped with practical qualities after Neo-Confucianism was settled as a political ideology in early Joseon Dynasty, these factors are of strong edifying aesthetic consciousness through natural moral training since queens, the seniors of the royal family practiced propriety. It is demonstrated in the common linear stroke (cross, vertical stroke-oriented) phenomenon which composes queens' straight and elegant air. In addition, Queen Inseon did not lose her regular customs even with her 9-year-long hardship in Shenyang when she was the Crown Princess and she armed herself with more propriety, pursued spiritual culture while being attentive to elders after becoming the queen. These personal aesthetic features are also the elements to bring changes in writing norms. Queen Inseon displayed an unvarying font type in over seventy letters sent to princesses even with her pain on the back of the hand. It is shown that her font type was handed down to and developed afterward by Queen Jangyeol who was her mother-in-law even though she was seven years younger, her daughter-in-law Queen Myeongseong and her granddaughter-in-law Queen Inhyeon.

      • KCI등재

        조선시대 한글 편지 서체에 나타난 "운(韻)"의 미학적 토대 연구 -계층별.시기별로 나타난 흘림체 이어쓰기를 중심으로-

        정복동 ( Bok Dong Jeong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4 동양예술 Vol.26 No.-

        본고는 한글 서예 미학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韻’을 주제로, 한글 편지 서체의 미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 대상으로 삼은 미적 요소는 흘림체에서 도출하였는데, 특히 흘림체 이어쓰기에서 여운이 남기는 미감을 특징적으로 파악함에 있어서 직선형은 절제미로 규정하였고, 곡선형은 자연미로 규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자료는 조선시대 한글 편지 가운데 발신자와 발신일이 추정 가능한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고, 이를 시기별.계층별.성별로 구분하여 대표성을 지닌 85건을 선정하였다. ‘운’에 관한 서예 미학 범주는 ‘기운’에 근거하고 있으며, 한글서체에 대한 ‘운’의분석방법은 ‘應物致知’에 기인하여 탁월한 理想美를 밝히는 것으로, 개인별 연결 글자를 분석한 결과 크게 두 가지로 규정할 수 있다. 첫째, 한글 서체의 장법이 세로획〔ㅣ〕중심인 것은 세로획이 다음 글자와 연결될 때에 직선의 형세에 의해 운필이 절제되었는데, 이는 문법 단위인 어절별로 띄어 쓰는 형식이 많아 절제미로 규정하였다. 둘째, 자형의 중앙에 중심이 있는 장법은 자소와 자소 혹은 단일문자와 단일문자가 연결되는 획이 자유롭게 運腕되었다. 세로획도 길이.굵기.기울기.공간 등이 변화를 주어 다양한 곡선의 형세로 운필하였을 뿐만 아니라 어절별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비어절인 경우에도 강한 필세로 이어서 운필하고 있다. 이는 문법의 장애를 받지 않고 마음을 따라 마치 하늘이 쉬지 않고 운행하듯이 사람의 기식이 쉬지 않고 이어지는 ‘기운’에 의해 기세의 변화가 일어난 것이라는 점에서 자연미로 규정하였다. 조선시대 한글 편지 흘림체의 ‘운’에 대한 曲直형세를 분석한 결과 개별적인 차이는 있으나 남성인 왕과 사대부가 남성은 정조대(1790년)를 기점으로 정조대 이전은 曲勢의 자연미가 유행하였고, 정조대 이후는 直勢인 절제미가 유행하였다. 여성인 왕비와 궁녀, 사대부가 여성은 남성보다 이른 시기인 효종대의 인선왕후(1659년)부터 절제미를 보이기 시작하는데, 18세기부터는 사대부가 여성의 한글 사용이 활발하면서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자신의 감성을 표출한 것이 늘어났다. 하지만 19세기에는 일부 왕후와 사대부가 궁녀 모두 최고조의 절제미를 이룬 궁체가 정착되면서, 남성 또한 18세기 이후 절제된 神韻을 보인다. 한글 서예에서 ‘韻’의 미학적 특징은 1550년 이후부터 발굴되기 시작한 한글 편지의 흘림체에서 그 특징이 두드러진다. 현존하는 조선시대 한글 편지의 자료는 상당수 발견되고 있다. 그러나 본고는 궁중과 사대부가의 한글편지 중에서 시기와 발수신자를 알 수 있는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자료는 대부분 한자 서예의 경험과 학행이 뛰어난 계층들이 필사한 것으로, 그들이 지향한 知行合一과 修己治人의 세계관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고 본다. 따라서 비록 편지글의 서체이지만 장법이나 용필 등에 한글 서예의 미학적 특징과 서체의 변천을 논하기에 손색없는 자료이다. 이에 실제의 작품을 분석하되 수치를 이용한 비율로써 객관성을 확보하였다는데 연구의 가치가 있으며, 한글서예의 미학적 기초 자료가 되리라 본다. This paper analyzed chirography of letters in Korean, emphasizing rhyme in order to establish foundation of Korean calligraphy. Artistic factors, which were subjects of analysis, were derived from cursive handwriting. In particular, I analyzed beauty of lingering imagery, and defined straight lines as art of moderation, and curves as art of nature. Research subject were derived from letters written in Korean from the Joseon dynasty. There were several criteria of selecting letters. When and where the letters were written must be trackable, and 85 among them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in three categories; time, social class, and gender. Art of calligraphy on ‘Rhyme’ is based on ``Vigor``, fundamental frameworkof analysis on ``Rhyme`` of Korean calligraphy is to figure out ideal of beauty, there are mainly two types of ``Rhyme``, based on analysis of connecting characters of each individual. First, vertical strokes are widely used. When they are followed by the next letter, shape of the stroke determined style of writing. From these letters, there were many uses of spacing separate words, making this an art of moderation. Second, core of the letter wa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letter to freely express connection between consonant and vowels, and a letter and another letter. Vertical stroke displayed changes in length, thickness, tilt, and space to express various curves. Even when not writing a full word, strong strokes were displayed. This is an art of nature as a writer’s intent was not leashed by grammar, like no one can hold the sky, it is an art of natural vigor without restriction of grammar. Based on analysis of curves and straight lines of ‘Rhyme’ displayed in letters of Joseon dynasty, Many kings and nobleman in the era before the King Jungjo (1790) were attracted by the art of nature (curves) in calligraphy despite slightest personal differences. After the King Jungjo’s reign, art of moderation (straight lines) was more popular. Queen Insun and maids of honor started to use art of moderation since the era of King Hyojong (1659). Beginning 18th century, ladies of noble family became active users of Hangul (Korean characters), enabling them to freely express their emotion without restriction to formats. However, from 19th century, as queens and maids of honor from noble family were attracted to the art of moderation, men’s writings showed the art of moderation as well. Aesthetic traits of ‘Rhyme’ in the Korean calligraphy became distinctive from correspondences excavated after 1550. Significant portion of correspondences from the Joseon dynasty was discovered. However, my research focused on correspondences of the royal and noble families that let us know when and who wrote them. The majority of these letters were hand-copied by skilled people in Chinese calligraphy, reflecting their beliefs; synchronization of knowledge and action, and becoming life examples and enlightening the others. Therefore, those letters are useful enough in estimating aesthetic traits (use of strokes and sentences), and changing trends of Korean calligraphy. Value of the research is derived from objective and measurable analysis on works of the Joseon dynasty. I believe that this research would be aesthetic foundation of study on the Korean calligraphy.

      • KCI등재

        16~17세기 의학서적에 관한 한글자형의 조형미 고찰

        정복동 ( Jeong Bok Dong ) 한국동양예술학회 2021 동양예술 Vol.53 No.-

        본 논문은 16~17세기에 간행된 의학서적의 자료를 집대성하고, 서체가 우수한 자료 15종을 선정, 이에 대한 판형의 배행 및 배자, 행별 장법, 자음과 모음의 용필, 단일문자의 결구에 관한 조형미를 시기별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한글서예변천사의 기초 토대자료를 보완하는데 목적이 있는 연구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먼저 총 15종(16세기 3종, 17세기 9종, 17세기~18세기 초 3종)의 의학서적에 작성된 서지목록을 토대로 서체의 필법요소를 표로 제시하여 연구하였다. 첫째, 판면 구성 및 행별 장법미. 판면 구성은 16세기부터 한자 원문보다 한글 언해문을 한 글자 내려서 배자 하였고, 한자원문과 한글 언해문을 구별하여 일정한 선안에 썼기 때문에 판형의 배열이 지극히 규칙적이다. 글자와 글자 사이의 공간은 변화를 주었으나 행간이 정연하여 단정한 심미감이 느껴진다. 한글 자형은 약 90%가 정자체이며, 한자 서체는 100% 한글과 어울리는 다양한 서풍의 해서체가 사용되었다. 행별 장법의 경우, 단일문자의 겉모양을 중심으로 중심축을 파악한 결과, 16세기에는 약 90%, 17세기에는 73%, 18세기에는 38%가 정방형 혹은 가로가 큰 자형인 것으로 밝혀졌다. 17세기 중반에 간행한 『구황촬요』부터 중심축이 우측 세로획〔ㅣ〕으로 일부 이동되는 장방형의 특징이 나타나기 시작하지만 대부분은 한자와 같이 중심축이 중앙인 정방형의 형태를 보인다. 17세기의 『벽온신방언해』ㆍ『구황보유방』ㆍ『언해납약증치방』 등 3종과 18세기 『치종비방부언해』는 각각 미려함과 장엄한을 지닌 서풍이며, 『언해납약증치방』은 특히 자간이 긴밀ㆍ정연한 우수한 서체이다. 둘째, 자ㆍ모음자의 용필미, 자음자는 16세기부터 가로ㆍ세로획과 자음의 위치에 따라 붓을 일으키는 부분과 붓을 거두어들일 때의 운필방법과 굵기ㆍ크기의 변화가 있다. 가로ㆍ세로획의 시작부분은 모두 방필형이 많고, 마치는 부분은 원필형이 많다. 운필 방향은 17세기중반 『벽온신방언해』부터 가로획이 왼쪽보다 오른쪽을 올려 생동감이 있고, ‘マ’에서 ‘ㄱ’의 세로획을 안쪽으로 기울이는데 이후 보편화된다. 18세기 이후 정형화된 궁체의 특징은 ‘ㅅ’자 외에는 적게 나타난다. 셋째, 단일문자의 결구미, 의학서적 15종에 사용된 초·중성 합자, 초ㆍ중ㆍ종성합자, ‘ㅂ·ㅅ’ 병서자 512글자를 선정하여 문자의 ‘균제ㆍ균형ㆍ변형원리’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자음자와 모음자의 크기는 모음자를 크게 하여 좌우 크기 대비를 변화 있게 나타냈고, 자음자의 위치는 모음자의 중앙에 위치시켜 균형을 이루었다. 병서자는 자음자의 가로ㆍ세로ㆍ사획이 만날 때에 공간안배를 시각적으로 동일해 보이도록 균형을 이루었으나, 간접문자 ‘ㅅㆍㅂ’은 17세기부터 왼쪽을 크게 독립적으로 나타내므로 문자의 실용적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 종성자는 ‘ㅅ’자를 제외한 7종〔ㄱㆍㄴㆍㄷㆍㄹㆍㅁㆍㅂㆍㅇ〕의 획이 17세기부터 모음의 폭보다 작아진 것이 일반화되었다. 종성 가로획이 2개 이상인 ‘ㄷㆍㄹ’등은 가로폭의 길이를 각각 다르게 하여 공간변화를 주었다. 이상 16~17세기 의학서적의 간본문헌은 훈민정음 창제 초기의 도형에 가까운 자형에서 벗어나 새로운 조형체계를 갖추어 보편화 되었고, 18세기 이후 형성된 궁체필사본과 판본문헌의 조형적 근원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있다. 실용에 의한 의학서적의 간본문헌은 국내외에 다양하게 소장되어 있다. 앞으로 수진본이나 지방판, 해외본 등을 발굴하여 실용성 외에 예술적 측면에서 다양한 연구가 논의되길 기대한다. This thesis is a compilation of materials from medical books published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and after selecting 15 types of materials with excellent typef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ement the basic material for the changing history of Hangeul chirography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layout and letter arrangement of the plate type, the arrangement of lines by line, the brushing of consonants and vowels, the beauty of a single character conclusion.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Based on the bibliographic list of 15 medical books (3 books in the 16th century, 9 books in the 17th century, and 3 books in the 17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18th century), the calligraphic elements of the typeface were presented in a table and studied. First, Plate composition and the beauty of line-by-line arrangement. Since the 16th century, the Hangul-Unhaemun has been placed one character lower than the original Chinese text, and the original Chinese text and the Hangul-Unhaemun have been written in a certain line, so the board layout is extremely regular. Although the space between the letters was changed, the lines between the lines were orderly, giving a neat aesthetic feeling. About 90% of Hangeul characters are Jeongjache, and 100% of Chinese fonts are HaeseoChe that matches Hangul. In the case of line-by-line grammar,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central axis based on the outer shape of a single character, it was found that about 90% of the characters in the 16th century, 73% in the 17th century, and 38% in the 18th century were square or wide horizontal letter. From 『Guhwangchwalyo』 published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the characteristic of a rectangle in which the central axis is partially shifted to the right vertical stroke [ㅣ] begins to appear, but most of them show a square shape like Chinese characters. Three kinds of 17th century 『ByukOnSinBangUnHae』 『GuHwangBoYuBang』 『UnHaeNapYakJungChiBang』 and 18th century 『ChiJongBiBangBuUnHae』 is a calligraphy style with beauty&elegance and majesty, among these 『UnHaeNapYakJungChiBang』 is an excellent typeface with tight and regular letter spacing. Second, The beauty of brush strokes of consonants and vowels. In the case of consonants, since the 16th century there are changes in the thickness and size of the part that raises the brush and the brush stroke method when the brush is plac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images and consonants. The beginning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trokes is a square brush type, but the ending is a circle brush type, so it has a soft and strong aesthetic sense. The change in the direction of brush began in the mid-17th century in 『ByukOnSinBangUnHae』, where the horizontal strokes were raised to the right rather than the left, and the vertical strokes from ‘マ’ to ‘ㄱ’ were tilted inward, and it became common thereafter. Since the 18th century, the standardized characteristics of Gung(court) font are few except for the letter ‘ㅅ’. Third, the beauty of a single character conclusion. 512 letters consisting of innitial·middle consonants, initialㆍmiddleㆍfinal consonants, and Byeongseo ‘ㅅ’ used in 15 types of medical book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symmetry, balance, and transformation principle' of the letters. As for the size of consonants and vowels, the contrast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zes was changed by making the vowels larger. The position of the consonants was balanced by placing them in the center of the vowels. Byeongseo letters balanced the horizontal, vertical, and event of the consonants so that they would look visually the same, but the indirect letters ‘ㅅㆍㅂ’ became largely independent from the 17th century on the left. It became common that the final consonants width of the seven strokes ‘ㄱㄴㄷㄹㅁㅂㅇ’ excluding the ‘ㅅ’ character less than the width of the vowel since the 17th century. For ‘ㄷㆍㄹ’ with two or more horizontal strokes of the the final consonants, By varying the width and length, the blank space is displayed in a variable way.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the manuscripts of medical books were universalized with a new formative system, away from the shape close to the figure in the early days of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and the value of research in that they be came the formative source of the GungChe manuscripts and Panbon library formed after the 18th century. The simplified literature of medical books for practical use are stored in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collections. It is expected that various studies will be discussed in terms of artistic aspects in addition to practicality by excavating portable editions, local editions, and overseas editions.

      • KCI등재

        고소설 <왕랑반혼전>판본 字形의 조형미와 한글서예사적 의의 고찰

        정복동(Jeong, Bokdong) 한국서예학회 2017 서예학연구 Vol.31 No.-

        This study analyzed the formative beauty of Korean classical novel Wangnangbanhonjeon published in local temples between 1637 and 1776 in Joseon dynasty and inquired the significance in calligraphic history of Korean alphabet. Wangnangbanhonjeon was a Buddhist classical novel, and the character shapes woodblock-printed in ten kinds of books published in local temples had been prevailed among people and differed from that of national treasure woodblock-printed books published in the national organization. Therefore, it built a bibliographic database by selecting the representative versions such as version of Hwaeom temple(1637: Gurye-gun, Jeollanam-do), version of Donghwa temple(1753: Dong-gu, Daegu-si), version of Heungnyul temple(1765: Guwol-gun, Hwanghae-do) and version of Hae-in temple(1776: Hapcheon-gun, Gyeongsangnam-do). A page composition of different versions of Wangnangbanhonjeon was as below. The version of Hwaeom temple was the earliest version, and its title wa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n the body, classical Chinese phrases and Korean endings were disposed on the right, and Korean translation was placed on the left like the format of books in 15th century. However, Korean endings had been excluded in the version of Donghwa temple and the version of Haein temple published in 18th century. In addition, the number of lines and letters in three versions mentioned above were different, and that in a bound version of comparative book was also different. Regarding this, it could be said that these four versions were published at different times, so that the character shapes shown in them were diverse styles of characters of Korean annotation version of Hunminjeongeum. Especially, the version of Heungnyul temple which was a manuscript with pure Korean alphabet had the same page composition as the bound version of comparative book, and its style of characters was similar and harmonious. Therefore, we could find that it was a representative style of characters of local temples in Hwanghae-do in 18th century. This study analyzed the formative beauty of four versions of Wangnangbanhonjeon in terms of arrangement beauty of each line, structure beauty of each character, and wielding brush beauty of consonants and vowel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axes of four versions of Wangnangbanhonjeon were adjusted to the center and the right side. It was very significant that the axes of the woodblock-printed book published in local temples had started to move from the center to the right side in the early 17th century, on the other hand, the axes of queens correspondence in the court moved to the right side in the mid-17th century. Because it proved that Korean was often used in local area and there were many people who could read Korean all over the country. I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e beauty and the wielding brush beauty of four different versions of Wangnangbanhonjeon, the versions of local temples and the manuscript version had similarities in the character shape, and they used both the sharp brush and the round brush. The version of Donghwa temple was close to the round brush, so it had a bold beauty. The version of Hae-in temple used many sharp brushes, so it had a strength of metal and stone. The version of Hwa-eom temple had a character of transition period, so it had a clumsy beauty. Especially, the version of Heungnyul temple was a manuscript, so its character shape converged on the center, and its stroke stretched out. Therefore, its character shape was outstanding. Wangnangbanhonjeon has succeeded the style of literati calligraphy since the early 17th century in the calligraphic history of Korean alphabet, and its axes have placed in both the center and the right side. It proved that Korean calligraphy was propagated and there were many people who wrote Korean calligraphy. 본고는 조선시대 1637(인조)년부터 1776년(영조 52년)에 이르는 지방 사찰에서 간행된 한글고소설류 <왕랑반혼전>에 대한 조형미를 분석하여 한글서예사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지방사찰에서 간행한 10여종의 <왕랑반혼전>은 불교계 고소설로서 이본들의 字 形이 국가기관에서 간행한 국보(보물)급 판본문헌과 다르게 그 시대에 민간에서 유행되었던 한글 자형으로 판각하였다. 이에 대표문헌 화엄사본(1637년:전남 구례), 동화사본(1753년:대구 동구), 흥률사본(1765년:황해도 구월), 해인사본(1776년:경남 합천)을 선정하여 서지 사항을 DB화하였다. <왕랑반혼전> 이본 4종의 판면 구성 형식은 가장 이른 시기에 간행된 화엄사본은 제목이 한자이며, 본문은 오른쪽에 한자와 현토를 배자하였고, 왼쪽에 이에 대한 해석을 한글로 배자하여 15세기의 형식을 따랐다. 18세기에 간행된 동화사본과 해인사본은 현토가 없어졌다. 또한 3종의 판본문헌은 한자와 한글 모두 배행․배자수가 다르며, 합본된 비교 문헌과도 배행․배자수가 다른 것으로 보아 각각 다른 시기에 간행된 문헌을 합본한 것으로서 각각 다른 시기의 다양한 훈민정음 언해본류의 서체이다. 특히 순 한글 서체로 필사한 흥률사본은 합본한 비교문헌과 판면구성형식이 같고 조화로우며 서체가 유사하여 18세기에 황해도 지방 사찰의 대표적 서풍임을알 수 있다. <왕랑반혼전> 4종의 조형미는 행별 장법미, 단일문자의 결구미, 자모음의 용필 미를 분석하였다. 행별 장법미는 15~18세기 말의 자료 18종을 선정하여 중심축선을 분석한 결과 왕랑반혼전 4종 모두 중앙과 우측에 중심축을 맞추었다. 지방 사찰 에서 간행된 목판본의 중심축이 17세기 초부터 우측으로 이동되기 시작하였다는 것은 한글서예사적으로 큰 의의가 있다. 왜냐하면 지방사찰본의 중심축이 17세기 초부터 우측으로 이동되기 시작하였다는 것은 각 지방에서 한글을 많이 사용하였다는 것을 증명하며, 많은 사람에게 포교하기 위해 간행된 불교소설이라는 점이 이미 한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사람이 전국 각지에 많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전거이기 때문 이다. 한편 궁중 왕후들의 한글편지 등에서는 17세기 중기부터 우측으로 중심축이 이동되었는데, 18세기에 궁중의 정자체가 정형화되는 배경이 되고 있다. <왕랑반혼전> 이본 4종의 결구미와 용필미를 비교 분석한 결과 지방 사찰판본과필사본은 가로 장방형의 유사점이 있으나, 방필과 원필을 겸용하여 동화사본은 원필 형에 가까워 웅혼한 미가 있고, 해인사본은 방필형이 많아 수경한 금석기가 있으며, 화엄사본은 초기 판본의 자형에서 과도기의 성격을 띄어 졸박함이 보인다. 특히, 흥률사본은 필사본으로 中宮收斂과 外畫伸展으로 긴밀함과 광박함을 겸한 우수한 서체이다. 한글서예사적으로 17세기초부터 사대부가의 서풍을 이었다는 점과 중심축선이 우측과 중앙을 겸하였다는 것은 한글서예보급이 확산되었고, 한글서예 인구도 많았 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 KCI등재

        조선시대 한글 서체의 微加減法에 관한 고찰

        정복동(Jeong, Bokdong) 한국서예학회 2015 서예학연구 Vol.27 No.-

        본고는 조선시대 한글서체가 생성․변천한 원인을 규명하는 기초적인 토대를 마련하는 연구이다. 한글서체가 생성․발전․변화해온 근저에는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인 ‘倣’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정인지는 ‘훈민정음해례’ 후서에서 “세종대왕께서 창제한 ‘훈민정음’ 28 자는 ‘象形而字倣古篆’이라”고 밝혔다. 이는 문자의 기능과 예술적 감각 그리고 백성 의 편의성을 고려한 과학적이며 독창적인 자형이 상형성과 고전모방설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심층적으로는 철학적인 태극, 음양오행, 사계절이 循環無斷하는 원리 가 제자원리에 적용되었음을 밝힌 것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문자의 제자가 象形性, 古篆模倣性, 자연과 철학적 이치 등이 복합적으로 제시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서체의 조형적 근거를 ‘因文成象圖’에 제시된 ‘한자 의 전서를 만드는 방법 중에서 加와 微加減法이 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다’는 새로운 학설이 발표되었다. 서체의 임모와 창작에서 자형이 만들어진 원리와 변화된 이치는 한글 서예 미학의 중요한 준칙이 된다. 이에 자음의 기본자에 가획을 하여 만든 ‘ㄹ ㅂ ㅍ ㅊ ㅎ’의 자형이 세로획 미가법을 적용한 것을 근거 자료로 선별하여, 조선시대 한글 서체인 판본류와 필사류의 자형에 ‘미가감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였다. 연구방법은 조선시대 한글 문헌인 판본류 28종과 필사류 38종을 시기별로 선별하여 훈민정음 자형과 비교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미가법이 적용된 것은 ‘미’, 미가 법에 가까운 것은 근취의 ‘근’, 미가법에서 먼 것은 원취의 ‘원’으로 규정하여, 초성 의 좌측과 상측, 종성을 각각 분석하였다. 아울러 자형이 변화된 것은 ‘변’으로 규정하여 한글 변천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에 시기별로 구분하고 이를 백분율로 통계한 결과 한글 자형의 변천을 통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15세기 중엽 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형의 모습은 판본 류와 필사류에 따라 변별성이 있으며, 정자, 흘림, 진흘림으로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판본 문헌은 가독성과 시각적 명확성에 충실하여 필사류의 표준 자형의 기능이 있다. 필사류는 필사의 효율성에 따라 실용성에서 점차 예술적 미감이 더해져 하나의 통일된 양식의 궁체가 생성되었다. 따라서 궁체의 생성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진것이 아니라 선인들이 15세기부터 판본 문헌의 정형적 자형을 토대로 삼아, 16세기 이후 필사자의 개인별 미적경험에 따라 점선면의 분간포백에 대한 변화 혹은 통일에 의한 결과이다. 흘림 자형은 각각 독립적으로 나타난 변화의 과정에서 나타난 것이기보다는 음절 구조를 풀어쓰면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한글자 내에서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필 획의 연결성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미적 발전을 도모한 결과이다. 이는 당시 필사자들이 단순히 내용을 기록하기 위한 한글 사용에서 탈피하여 자소․점획의 형태와 크기․위치 등을 다양하게 변형시키면서 새로운 자형과 서체를 개발하기 위해 끊임없 이 노력한 것을 알 수 있다. 만물이 각각 그 마땅한 곳에서 자신만의 색채를 띠는 것과 같이 한글 편지의 자 형은 각각 成於自然을 본받은 듯하다. 특히 궁체 형성의 토대를 훈민정음 창제 당시 의 ‘미가법’에 의한 공간 변화로써 응용한 것은 마치 사계절이 끊임없이 순환하는 [物極必反] 이치와 같은 원리를 담으려는 노력이 배어있다. 본 연구의 활용성은 조선시대 5백여 년간 서예사적으로 변천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것이므로 한글 서체의 조형적 근거와 ‘變’과 ‘化’의 규칙을 파악하여 예술성을 높일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한글 서예 창작의 영감을 얻을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그리고 ‘미가법’의 변화를 파악하여 한글 서예가 취상한 자연의 법칙을 관찰하는 것은 훈민정음 자형이나 한글 서체를 시각․조형적인 면에서 실용화하 는 중요한 방안일 뿐 아니라 한글의 예술화 방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나아가 한글서예의 우수성과 아름다운 조형을 제시함으로써 교과서의 참고 자료와 미술대학, 서예대학의 임모자료 및 대학원생의 미학 연구의 대상 자료로 활 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fundamentally investigated the cause how Hangul chirography in Joseon was created and has been changed. The foundation that Hangul chirography was created, developed and changed is closely related to the creating principle of Hunminjeongeum. Jeong, Inji specified that 28 letters of Hunminjeongeum, King Sejong created, were ‘ 象形而字倣古篆 (It assumed the form, and the letters emulated the old seal script.)’ in the second epistle of ‘Hunminjeongeum Haerye’. It shows that the scientific and creative shape of characters, which considers the function of characters, the artistic sense and the public convenience, is based on the pictogram and the theory of emulation of the old seal script. On the other hand, it was recorded in the creating principle that the constant circulating principle of the Great Ultimate as a philosophical principl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and four seasons was applied in Hunminjeongeum. As above, the creation of letters is based on the pictogram, the theory of emulation of the old seal script, the nature and the philosophical principle. Therefore, a new theory has been released that the creating principle of Hunminjeongeum was related to and based on Ga( 加 , adding) and Miga·gam method(method with slightly adding or subtracting), one of the creating method of the seal script in Chinese characters, which was suggested in ‘Yīnwénchéngxiàngtú( 因文成象圖 , a figure which shows that an image is completed by a pattern)’. The basis that the shape of characters was created and the principle that it has been changed in the process of imitating and creating chirography were very important regulations in Hangul chirography aesthetics. Thus, this study concentrated on ‘ ㄹ ㅂ ㅍ ㅊ ㅎ ’ which have been changed in shape and aimed to understand how the Miga·gam method of vertical stokes concretely applied the handwritings for block-printing and manuscripts, which are Hangul chirography in Joseon. This study compared the shape of characters of ‘ ㄹ ㅂ ㅍ ㅊ ㅎ ’ sorted according to the times from 28 kinds of block-printed book and 38 kinds of manuscripts, Hangul literature in Joseon, with that of characters in Hunminjeongeum. It analyzed each left and upper part of an initial consonant and a final consonant by defining that Miga method was applied as ‘Mi( 微 , slight)’, close to Miga method as ‘Geun( 近 , close)’ and far from Miga method as ‘Won( 遠 , far)’. In addition, it investigated the features that Hangul has been changed by defining that the shape of characters has been changed as ‘Byeon( 變 , change)’. The block-printed literature is substantial in readability and visual clarity, so it could function as a standard shape of characters of handwritings in manuscripts. Handwritings in manuscripts have been developed to Gungche(the court style of Hangul), which had one unified style, by adding an artistic sense of beauty according to the efficiency of handwritings. Therefore, Gungche was not created in a day. The foregoers have achieved it by changing or unifying the structure and the arrangement of dots, lines and faces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aesthetic experiences based on the standardized shape of characters in manuscript literature since 15th century. It could be discovered that the shape of characters in cursive style has not been independently changed, but aesthetically developed by efficiently using the connectivity of strokes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letter because the writing speed was too slow when writing the structure of syllables separately. The writers have broken away from using Hangul for simply recording contents, and they have constantly tried to develop a new shape of characters and a new handwriting style by variously changing the shape, size and position of consonants, dots and strokes.

      • KCI등재

        寤宿齋 宋益欽 언간 서체의 형성과 조형성 고찰

        정복동(Jeong, Bok-dong) 한국서예학회 2013 서예학연구 Vol.22 No.-

        송익흠의 언간 서체는 17세기까지는 찾아볼 수 없는 진흘림체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그런데 그의 창신적 서체는 18세기 당시에 관직이 높거나 문기 있는 사대부의 서체에 비해 그다지 인정받지 못하였다. 하지만 오늘날 문자의 실용성에서 한자초서의 법을 활용하여 한글 서간체를 진흘림체로 전환시킨 그의 서체는 예술적 측면에서 재평가되어야 한다. 더욱이 현대서예는 다양성과 개성 있는 예술성이 추구되기 때문에 그의 서체는 모본으로서 그 연구 가치가 높다. 송익흠 언간 서체의 형성 배경은 송준길가의 유가 지향적 문예정신과 송시열ㆍ송준길이 왕희지를 재해석한 양송체를 熟觀하는 데에서 시작되었다. 하지만 그의 창작력은 중국의 소식과 황정견ㆍ안진경 등의 한문 서체에 대한 다양한 이해에서 그 실마리를 찾았음을 그가 40대 전후에 쓴 16편의 편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무엇보다 동당지기인 송명흠ㆍ문흠 형제와 임성주, 김창협 선생, 이인상 등과 학론 및 예술적 교류를 가지며 예술에 대한 비평의 안목이 높아졌고, 소식과 황정견의 尙意정신을 본받아 창신적 서체를 완성하였음을 장법과 연결문자와 단일문자의 구조에서 살펴 볼 수 있다. 장법은 기울어진 것 같으면서도 평정을 잃지 않았고, 중앙을 긴밀하게 결구하면서도 사방으로 필획을 멀리 뻗게 하여 소밀관계를 크게 대비시켰다. 어절별 구조는 외접원이 중첩된 형태를 비교해본 결과 16세기보다 17세기부터 중첩 율이 많아졌다. 특히 동일한 시대의 부친 송요화는 중첩 율이 0%인데 비해 송익흠은 100%의 중첩 율을 보이고 있어 18세기 사대부들이 개성 있는 다양한 서풍을 이루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결문자의 역동적 구조는 ‘이’자의 수필 처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16-18세기의 계층별 성별로 분석하여 비교해본 결과 대부분 懸針으로 하였으나 송익흠은 한자의 예ㆍ해ㆍ행ㆍ초서의 필법을 다양하게 응용하여 전체적으로 단조로운 운필을 피하고 변화 있는 필세로 기운생동의 역동미가 풍부하다. 단일문자의 구조는 ‘균칭’과 ‘正變’규칙을 응용하여 정신을 중앙의 글자 혹은 허한 곳에 집중하는 中宮원리를 응용하였다. 얼핏 보면 난해하고 기이하나 虛實 餘白이 中和를 이루어 침착한 미감과 靈活한 변화에 통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송익흠 언간서체의 조형성은 18세기 개성 중심주의적 예술 사조를 적극 발휘하여 미추의 판단 근거를 경전의 ‘無自欺處’에서 구하고자 중궁, 균칭 등의 원칙을 적용하였으나 단순히 외형 형태의 고정성에 치우치지 않고 한자 서체의 다양한 서법의 요체를 心得하고 이를 성실히 연습하여 소식과 황정견과 같이 ‘出新意’로서 한글서체를 창작하였다는데 그의 예술적 역량과 가치가 있다. Chirography on Song Ik-hm’s letters newly introduced cursive writing that had not been found until 17th century. In spite of this, his creative chirography was not that well acknowledged in comparison with those of people on a high office or of noblemen famous for their spirits in sentences back then 18th century. From a perspective that he transformed the epistolary style into an artistic form by utilizing cursive characters for Chinese letters, however, his Korean chirography should be revalued today in terms of practicality in characters. Moreover, his chirography deserves a careful study in this modern calligraphy where diversity and unique artistry are sought. Song’s chirography on letters started to be formed with conversance on Confucianism-oriented literary spirit of Song Jun-gil’s family and Song Si-yeol and Song Jun-gil’s handwriting style named Yangsong which reinterpreted Wang Xizhi. It is shown, however, that his creative power was rooted on understanding of different chirography of Su Shi, Huang Tingjian and Yan Zhenqing of China, which is proved on 16 letters written around his 40s. Above all, he improved his critical eyes on arts through academic and artistic communication with the brother Song Myung-hm and Moon-hm, fellows from the same school, and masters such as Yim Seong-ju, Kim Chang-hyup, Lee In-sang. He also followed Su Shi and Huang Tingjian’s spirits of respecting meanings and completed his creative chirography, which is shown in a structure of the art of writing and connection and single characters. His art of writing seems tilted but well balanced, framed closely with the center but reaching out to all directions to express contrast of sparseness and denseness. For a structure of words, overlap ratio in 17th century seems more significant than that in 16th shown as a result of comparing shapes of circumcircles overlapped. Especially, a contemporary Song Yo-hwa, his father, indicates 0% of overlap ratio while Song Ik-hm shows 100% of it, which demonstrates that the nobility in 18th century formed unique and various types of calligraphy. A dynamic structure of connection characters stands out the most in the last stroke of character ‘Yi.’ As a result of analyses by classes and genders from 16th to 18th century, most used stuff like sharp needles but Song Ik-hm did types of ornamental "seal" style, square one, semicursive and cursive ones for writing Chinese characters to avoid monotonous writing pattern overall and to enrich dynamic beauty of cheerfulness and vividness. A structure of single characters adopts center principle which focuses spirits onto characters on center or on week points by applying rules of ‘balance and symmetry’ and ‘rightness and change.’ It seems difficult and strange to understand but, in fact, the blank makes neutrality so that the structure features a calm aesthetic sense and works on keen changes. For formativeness of Song Ik-hm’s chirography on letters, aforementioned center principle and balance and symmetry are applied to find grounds for beauty or ugliness based on ‘Mujagicheo (無自欺處, no deceiving)’ from scriptures by actively exhibiting uniqueness-centered artistic trend in 18th century. His artistic capability and value is upon that he deeply understood and earnestly practiced various calligraphy of Chinese characters other than fixity of appearance and created a new type of writing Korean alphabets as ‘creation of new meanings’ as Su Shi and Huang Tingjian had done for Chinese charac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