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rack 5 스마트러닝 및 컴퓨터 과학 : 팀 기반 학습에서 SNS의 활용이 공유정신모형에 미치는 영향

        정미현 ( Mihyun Chung ),김재현 ( Jaehyoun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5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9 No.2

        최근 많은 연구자들이 효과적인 협력학습을 위해 웹 2.0 또는 SNS를 기반으로 하는 팀 기반 학습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반면 여러 연구에서 학습자들은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다른 조원들과의 역할 분담, 조원들의 참여 정도와 능력에 따라 공통적으로 감당해야 하는 조별 결과가 달라진다는 점에서 부담감을 느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분업화 또는 직무배정은 팀 프로젝트 학습이 추가하는 바람직한 팀 활동을 기대하기란 쉽지 않음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NS의 적극적인 활용이 팀 과제 수행과정에서 의사소통이나 역할 분담, 각자의 역할 수행 등에 영향을 주어 좀 더 높은 팀 공유정신모형을 형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실험 집단에 SNS의 교육적 활용 방법을 학습시킨 후 팀의 모든 구성원들이 SNS를 적극 활용하여 팀별 과제를 수행하도록 팀 기반 학습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실험집단과 SNS를 활용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팀 공유정신모형의 결과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는 실험집단의 오픈형 응답에서 다수의 학생들이 평소 SNS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고, 잘 사용하지 않아 활용 자체가 번거로웠음을 밝힌 바와 같이 SNS의 교육적 활용에 신중해야 함을 시사한다.

      • e-러닝: m-러닝 2 ; 보조 학습도구로서의 SNS 활용방안 연구

        정미현 ( Mihyun Chung ),김재현 ( Jaehyoun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1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5 No.2

        최근 m-러닝과 s-러닝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보조 학습도구로서의 SNS의 활용방안을 찾기 위해 SNS 중 학습 활용이 용이한 트위터와 프레지 두 가지를 보조 학습도구로 선택하여 학습을 진행한후 학습자 만족도와 다른 교과에서 적용 시 학습효과에 대한 기대치를 분석하고, SNS를 이용한 보조 학습을 통헤 SNS의 활용 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높은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주관식 응답지를 이용한 질적자료 분석 결과 학습자는 트위터에서 SNS의 특징으로 볼 수 있는 즉시성을 교수자의 피드백에도 기대하고 있었으며, 프레지에서는 작성이 용이하고 전달력이 높은 새로운 도구의 사용에 매우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SNS의 교육적 활용 방법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분석

        정미현 ( Mihyun Chung ),김영록 ( Yeongrok Gim ),김재현 ( Jaehyoun Kim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4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5 No.5

        본 연구는 효과적인 SNS의 교육적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SNS의 사용률이 높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SNS의 교육적 활용 방법에 대한 의견과 그 이유에 대해 조사하였다. NVivo S/W를 이용하여 개방형 응답을 분석하였으며, 교육 주체별 SNS의 교육적 활용 방법을 가시화 하고자 교수자 영역과 학습자 영역, 공통 영역으로 범주화 하였다. 그 결과 공통 영역에는 의견 교류 및 토론, 정보 공유, 학습내용에 대한 질의응답, 설문조사, 친밀감 형성, 상담 등이 포함되었으며, 교수자 영역에는 공지사항 전달, 수업자료제공, 실시간 평가(퀴즈), 출석 체크, 과제평가 및 피드백 등이 포함되었고, 학습자 영역에는 과제활동(그룹별/개인별), 공유자료를 이용한 예습 및 복습, 동영상을 이용한 자율학습, 과제에 대한 동료평가 및 피드백, 강의 평가 등이 포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tatistical analysis based suggestions on effective methods to take advantage of social network service (SNS) for educational purposes based on investigations of undergraduate students with high utilization of SNS. To achieve this, we conducted an open questionnaire survey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 data using NVivo 10 program. Additionally, to visualize the analysis by education subject of the SNS educational methods, we have divided the data into 3 categories of teacher, student and common area. As a result, our analysis showed that the exchange opinions and discussions, information sharing and learning of contents of questions and answers, surveys, intimacy formation, counseling etc. were of the common area. Furthermore, teacher area included the notice announcement, teaching materials sharing, real-time assessment (quiz), attendance check, assignment grading and feedback, etc. Finally the student area was of project activities (group/individual), prepare and review the shared data, video self learning, peer review and feedback of projects, lecture evaluation, etc.

      • KCI등재

        인터넷 중독에 관한 국내 예술치료 연구동향: 2000년부터 2015년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박윤미 ( Yun Mi Park ),정미현 ( Mihyun Chung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5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8 No.6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중독에 관한 예술치료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인터넷 중독 관련 예술치료 분야의 발전적 연구방향을 모색하고 인터넷 중독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2000년부터 2015년까지 15년 동안의 인터넷 중독의 예술치료와 관련된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들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선행연구들의 분류기준을 수정·보완하여, 연구대상(연령, 성별, 실험 집단의 인원 수), 연구내용(예술치료 기법 수. 예술치료 기법 종류, 연구영역, 연구주제), 연구방법(연구유형, 연구설계, 측정방식, 치료회기)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국내의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인터넷 중독에 관한 예술치료의 발전 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evolutions of art therapy as a mean to apply it for treatment of internet addiction disorder and additionally provides insights to prevent this disorder through art therapy. For this purpose, we have investigated the art therapy based internet addiction treatment researches published in South Korea from 2000 to 2015. The analyzing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modification of previously published domestic researches covering the following 3 criteria: research objects (age, gender,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search subjects (single technique numbers, single technique types, study areas, research topics), research methods (research type, research design, measurement method, treatment period). Based on the results of current study, we have proposed variou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art therapy to treat internet addiction with higher efficiency.

      • KCI등재

        고교-대학 연계 심화과정의 기회 확대 제공을 위한 온라인 교육 도입 방안 연구

        한옥영 ( Oakyoung Han ),정미현 ( Mihyun Chung ),김재현 ( Jaehyoun Kim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4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5 No.3

        본 논문은 특정 학문 영역에서 적성과 능력이 뛰어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대학 수준의 심화학습을 제공하여 학생의 학습욕구를 충족하고, 잠재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수월성 교육의 가치를 제공하는 고교-대학 연계 심화과정 온라인 교육의 도입을 위한 고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학생 및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 분석 결과 고등학생은 고교-대학 연계 심화과정의 온라인 교육 운영에서 효율성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 있으며, 다음으로 진학도움, 교육방식, 만족도, 주위추천 순으로 긍정적 관점이 나타났다. 교사 역시 효율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 진학도움, 교육방식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고교-대학 연계 심화과정을 활성화하고, 지역 간 교육기회 격차를 해소하여 학생의 학습권을 보장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 도입 및 운영 방안과 운영 시 학생들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studies on introduction of online education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spreading university-level program by analyzing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The university-level program can be defined as the fulfillment of learning needs and the value offer of excellence education for outstanding high school students who want to improve their potential capabilities.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at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As the result of the survey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efficiency of educa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university-level program. The order of next important factors was the aid to entering university, the method of education, the satisfaction, and the recommendation of others. The result of high school teacher indicated that the efficiency of educa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s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order of next important factors by high school teachers was the satisfaction, the aid to entering university, and the method of education. An activation of the university-level programs can be spread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With the introduction of online education for the university-level program can conclude the guarantee of the right of studying and the reduction of education gap. This paper proposed an online education for the university-level program to guarantee the right of studying and to reduce the education gap.

      • KCI등재

        스마트기기의 교육적 이용 실태 및 활용 방안 연구

        김영록 ( Yeongrok Gim ),정미현 ( Mihyun Chung ),김재현 ( Jaehyoun Kim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3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4 No.3

        최근 다양한 스마트기기가 등장하고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가 대두되면서 이에 맞는 교육환경과 교육방법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교육의 도구적 활용 측면에서 스마트기기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 개개인의 일반적인 활용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통한 교육적 활용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강원지역 초등교사 2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교사의 87.7%가 스마트기기를 이용하고 있으며, 교사들은 일상생활에서 교사라는 특성변인과 관계없이 일반사용자와 유사한 이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기기를 수업에 이용하게 된 동기에는 혁신성, 유용성, 용이성 등이 작용하였고, 수업에 이용하고자 하는 의도는 교과목별, 학습형태별, 교수-학습 전개별로 기기의 기능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기 사용에 대한 효능감이 높다고 해서 수업에의 활용도가 함께 높지는 않았다. 이를 개선하여 교육현장에서 스마트기기를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스마트기기에 대한 사용자 연수와 함께 교사들이 수업방법을 변화시키기 위한 의지와 태도의 변화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교사 대상 스마트기기의 교육적 활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추가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In recent years, smart devices have changed the paradigm of education. Howeve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eaching methods could not catch up with this fast improvement and an utmost need for development of educational methods has been realized. In this paper, the general usage of smart devices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analyzed and the methods through which smart devices are utilizing smart learning is discussed in the result. A survey of 221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angwon Province showed that 87.7% of them are currently using smart devices. In addition, teachers were using smart devices with not much difference from ordinary people. The three main motives of teachers who were already using smart devices and those who were planning to take advantage of smart devices were innovativeness, usability and easiness. The reason of need to apply smart devices in education is because of its functionality in various learning types, courses and teaching-learning process methods. Although smart devices have a high efficacy in education but they are not widely utilized yet.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nd be able to take more advantage of smart devices in education, teachers should learn how to use smart devices and a strong sense of willingness is required to make changes in the educational method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n be further developed for a greater smart device based smart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