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지속의 시간 그리고 고통의 연대 - 임철우의 『백년여관』론 -

        정명중 ( Jeong Myung-jung ) 한국작문학회 2011 작문연구 Vol.0 No.12

        임철우는 1980년대 작가이자 광주 오월의 작가이다. 작가 임철우에게 광주 오월은 여전히 그리고 앞으로도 그의 문학적(실존적) 삶을 지배할 내용이자 형식이다. 단편 「동행」, 「봄날」, 「직선과 독가스」, 「불임기」 등과 중편 「사산하는 여름」 그리고 장편 『봄날』(전5권)에 이르는 과정은 광주 오월의 문제를 껴안고 벌인 사투의 기록이다. 물론 1998년 『봄날』의 출간 이후 더 이상 오월에 대해 말하는 것은 견강부회가 돼버린 감이 없지 않았다. 게다가 임철우에게 『봄날』은 애도의 종결이 아니냐는 시각도 있었다. 물론 그 이후 임철우는 상당히 오랜 공백기를 거친다. 그러나 그것이 애도의 종결이 아님을, 더군다나 여전히 오월에 대해 말하는 것이 견강부회가 아님을 역설한 작품이 바로 장편 『백년여관』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역사적 사건’과 ‘기억’ 그리고 ‘글쓰기(소설쓰기)’라는 세 개의 격자를 놓고 임철우의 소설 『백년여관』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질문들에 대한 답을 찾는 방식으로 논의를 전개한 바 있다. 즉 역사란 특히 근대의 역사란 무엇인가? 혹은 우리가 생각하는 역사나 역사의식이란 것은 어떤 불합리함이나 심지어 일정한 폭력성을 내장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역사를 기억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며 그리고 어떤 것을 기억한다는 것인가? 기억을 통한 글쓰기란 무슨 의미인가? 그러한 글쓰기를 통해 우리는 이른바 고통 받는 타자에 대한 윤리적 맥락을 어디에서 끌어올 수 있는가? 이러한 물음들의 해답을 찾는 과정에서 임철우의 소설 『백년여관」이 지닌 의미를 파악할 수 있었다. 곧 임철우는 이 소설에서 우리에게 모성성을 통한 치유나 구원, 굿과 같은 제의적이고 상징적인(또는 상상적인) 형식을 통해서는 지속의 시간을 저주처럼 살아가는 자들의 상처와 고통을 온전히 치유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말해주고 있다. 즉 이 소설의 에토스는 우리가 지속의 시간을 가까스로 살아내면서도 타인의 고통에 눈감지 말고, 그것을 응시하라는 것, 그리고 고통의 연대를 형성하라는 것, 그것이 지금 당장 무엇을 해결할 수 있을 지는 가늠할 수 없지만 지금으로서는 그것이 최선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Lim Cheol-Woo is an author in 1980's and also the one of May of Gwangju. For him as an author, May of Gwanju has been and will be the main substance and form to govern his literary and ontological life. He has shown his desperate struggle with the painful remembrance of Gwangju in May in various ways of writing such as short story, 「동행(Accompanying)」, 「봄날」, 「직선과 독가스」 and 「불임기」, novella, 「사산하는 여름」, and long story, 『봄날』 (A set of 5 vol). It's been considered as a far-fetched view to mention his May of Gwangju since 1998 when he published 『봄날』and there has been a view that 『봄날』 means the closing of his condolences to May of Gwangju. Of course, he had a long blank duration after the work. But, it's not the closing of his condolences and never is it far-fetched to mention May of Gwangju related to him, which is well shown in his work, 『백년여관』 (meaning a Hundred-Years-Old Inn in Korean) still mentioning May of Gwangju.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Lim Cheol-Woo's novel, 『백년여관』 based on three frames latticed with "Historical event’, ‘Remembrance’ and ‘Writing (writing a novel)". To do so, this paper started trying to find answers to a few questions; "What is history, especially modern history?", "Doesn't the history or the sense of history that we think of include certain irrationality or even any violence?", "What does it mean that we remember history, and what do we remember as history?", And "What's the meaning of writing through remembrance? and through such writing, where can we draw our ethical context to others suffering from pain?" In the process of finding the answers, we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Lim Cheol-woo's novel 『백년여관』. In the work, he says that healing and salvation through maternity or ritual or symbolic (or imaginary) forms such as Korean Gut can not cure or heal the hurt and pain of those who are leading their lasting time as cursed. The ethos of the novel, therefore, can be found in what he says in the story; that is, not to neglect others' pain, managing to lead our lasting time and stare at it instead, and to form a sense of solidarity of the pain. It's not sure if doing that can solve the problem right now, but it's the best way now.

      • KCI등재

        『전선문학』에 투영된 "종교적 열정"에 관한 고찰

        정명중 ( Myung Jung Jeo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9

        필자는 이미 1950년대 한국전쟁 기간에 발행된 잡지 『전선문학(戰線文學)』에 수록된 텍스트들을 분석함으로써 “타자의 구체적인 실존을 무심하게 지워버리려 했던 당시 종군 작가들의 윤리적 맹점”을 문제 삼는 한편, “국민의 전쟁동원을 독려하기 위해작가들이 끈질기게 의지했던 집단적인(무의식에 가까운) 이념의 구조”로서 전체주의 또는 국가주의 이데올로기를 감성정치의 측면에서 재구성한 바 있다. 이 글은 그 후속 논의이다. 특히 이 글은 『전선문학』이 생산한 애국담론 또는 애국주의가 스피노자의 표현대로 인간의 보편적 자유에 전적으로 배치되는 “사이비 종교적 선동 수단”임을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테면 『전선문학』의 텍스트 속에서 대중들을 ‘자유로부터의 도피’(에리히 프롬)로 귀결 짓는 음험한 사이비 종교적 열정의 징후들을 읽고, 그것들을 고발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 글은 『전선문학』의 애국주의 프로파간다를 자기 자신 또는 현세의 삶에 대한 끈질긴 원한과 증오라는 종교적 열정의 차원에서 읽어내고자 했다. By analyzing the texts contained in 『Jeonsun Munhak (Warfront Literature)』 issued during the Korean War in 1950, I already questioned “the blind point of ethics of war writers that times who tried removing the specific existence of the otherness carelessly”. And also in the study, I reconstructed totalism or nationalism ideology as “a collective (close to unconsciousness) ideology structure that writers continuously depended on to support war mobilization” from the view of emotional politics. This is a follow-up discussion of the study. Especially,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prove that patriotic discourse or patriotism produced by 『Jeonsun Munhak』 is “a propagandist of pseudo-religion” which is totally against the universal freedom of human beings as Spinoza expressed.

      • KCI등재

        감성연구 성과와 전망 - 호남학연구원 인문한국(HK)사업단을 중심으로

        정명중 ( Jeong Myung-jung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8 감성연구 Vol.0 No.16

        이 글은 지난 10년간 호남학연구원 인문한국(HK)사업단이 수행한 감성인문학 연구 성과의 대체적인 경향성을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파악한 것이다. 이를 위해 약 300여 편의 논문들을 네 개의 범주, 곧 ‘감성의 발현(표현·재현) 양상에 대한 연구’, ‘사건 및 행위의 기원으로서 감성에 대한 연구’, ‘감성인문학의 외연 확장을 위한 연구’, ‘감성인문학의 개념화와 이론화를 위한 연구’로 나누어 개략적인 흐름을 살폈다. 그 결과 세 가지의 향후 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공감장(sympathetic field)’ 이론의 연관 개념들인 ‘감성적 주체’나 ‘감성적 근대(성)’ 등을 더욱 정밀하게 세공함으로써 공감장 이론의 비판적 요소 및 구성적 요소 모두를 현실 정합적으로 활성화시켜야 한다. 둘째, 이러한 과정은 감성인문학의 학적 정체성을 정립하는 실질적인 계기로 작용해야 한다. 셋째, 반영론 및 인과론의 오류를 효과적으로 비껴가면서 감성인문학의 외연 확장을 모색해야 한다. This article focuses on research papers on the tendency of the research results of Emotion-Humanities research carried out by the Humanities Korea (HK) Project of Institute of Honam Studies(IHS) the past decade. To do this, I study about 300 papers in four categories: ‘Study on Expression of Emotion (Expression·Representation)’, ‘Study on Emotion as Origin of Events and Actions’, ‘Study on Expansion of Emotion-Humanities’ And ‘Research for the conceptualization and theorization of Emotion-humanities’. As a result, three future tasks could be derived. First, by finely painting the ‘Emotional Subject’ or ‘Emotional Modernity’, which are related concepts of the ‘Sympathetic Field’ theory, it is possible to make all the critical elements and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Sympathetic Field theory realistic It should be activated. Second, this process should serve as a practical opportunity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Emotion-Humanities. Third,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the extension of Emotion-Humanities, while effectively rejecting errors of Reflection theory and Causal theory.

      • KCI등재

        인문(人文)과 치유(治癒), 그 접합을 위한 제언

        정명중(Jeong Myung-jung)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0 인간연구 Vol.0 No.18

        이 글은 오늘날 인문학을 포함한 다양한 영역에서 치유(치료)의 문제를 화두로 삼고 있는 유행적 현상에 주목했다. 특히 근대적(서구적) 의학 또는 정신의학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된 다양한 치유담론들에는 ‘사회’가 결여되어 있다는 일정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이 글은 촉발되었다. 그러나 이 글에서 인문학 내에서 논의되었고 현재 진행형인 다양한 치유 담론의 이념적 맥락이나 이론적 문제틀 혹은 방법론 등을 분석적으로 검토하지는 않았다. 인문학 차원에서 치유(치료) 문제와 관련하여 그간 제시되었던 이론적 또는 실천적 성과가 상당하다. 그런 마당에 인문학 영역에서 의욕적으로 실천되고 있는 다양한 치유 프로그램들을 각론 차원에서 분석하는 것은 섣부르다는 판단을 했다. 그래서 이 글은 치유의 문제가 근본적으로 어디에서 출발해야 하고, 궁극적으로 어디로 향해야 하는가에 대한 인문학적 제언의 형식을 띠고 있다. 인문학은 인간과 세계에 대한 구경적(究竟的) 이해이자 동시에 인간의 인간다움과 참다운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실천이다. 요컨대 인문학의 본령은 ‘전체에 대한 통찰’, 더 정확히는 헤게모니적 지배 욕구와 동일화의 욕망에 대해 끊임없이 거리두기를 하면서도 전체를 끌어안아 보려는 자세에서 나오는 통찰이다. 인문학의 위기가 운위되고 있는 시점에서 그것을 타개하기 위해 인문학 영역에서 외연의 확장이 지속적으로 검토되어 왔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위기의 타개나 외연의 확장 차원에서 인문학이 치유의 문제를 사유하게 되었다는 것은 비단 근대적 의학 또는 정신의학에 대한 대안적 기능에 자신의 소임을 한정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필자는 우선 오늘날의 치유 담론들이 병(病)에 대한 신학적(형이상학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접어둔 채, 인간과 사회의 병리 현상을 치유하겠다는 포부는 실현불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했다. 동시에 치유의 문제를 사유하기 위해서는 환자 개인이 아니라 개인을 떠받치고 있는 ‘환경 전체’ 또는 ‘시스템’에 대한 발본적인 문제제기가 전제되어야 함을 주장했다. 아울러 그러한 ‘시스템’에 대한 발본적인 문제 제기 차원에서 한국 사회를 ‘사회’ 없는 사회로 규정하고, 아도르노의 ‘이 디오진크라지’(Idiosynkrasie) 개념에 의탁해서 IMF 이후 한국 사회의 풍경을 ‘업적주의’와 ‘보신주의’ ‘웰빙’(well-being)과 ‘처세술’ 혹은 ‘자기 계발’에 대한 편집증적 강박이라는 맥락에서 분석해 보았다. 이어 ‘사회’가 부재하는 한 우리는 은둔형 외톨이로 살거나 아니면 유사 가족주의적 집단에 자기를 해소해 버리는 식과 같은 무력한 개인들로 남게 될 것이기 때문에 인문학은 ‘사회’의 다양한 형태들을 그리고 그것들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를 끊임없이 고민해야 함을 역설했다.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recent phenomenon in which the term ‘healing’ has been explored in various fields of study including the Humanities. In particular, this paper problematizes that discourses of ‘healing’ provided as alternatives to modern(Western) medicine and psychiatry do not take ‘society’ into consideration. However, it does not examine the theoretical context or methodologies of the healing discourses that have been discussed in the Humanities. Since a substantial amount of study on ‘healing’ has been performed both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in the Humanities, it does not seem to be useful or effective to analyze a variety of healing programs individually. Thus, this paper instead focuses on fundamental questions of where the discourses of healing began and (should) move toward. The Humanities are an ultimate understanding of humans and the world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insights on practices of humanism and human ideals. They are an insight of the whole, the insight that is gained by the attempts to embrace the whole while keeping distance from hegemonic control of the whole and desire for identification with the whole. The Humanities have been trying to extend their disciplinary boundary in facing their crisis. This does not merely mean that the Humanities began to consider ‘healing’ only to resolve the crisis. What matters is that the Humanities in terms of ‘healing’ should not limit their role to providing alternatives to modern medicine or psychiatry. In this sense, this paper contends that it is impossible to cure the pathological phenomenon of society without considering the metaphysical ideology of disease. To take account of ‘healing’, we should examine not only an individual patient but an entire condition or a (social) system that affects the patient. Calling the system into question, this paper defines Korean society as a society devoid of ‘society’ and examines why Koreans have obsessed about achievement, self-preservation, wellbeing, the ways of the world, and self-development after the 1997~1998 financial crisis in terms of Adorno’s ‘Idiosynkrasie’. This paper argues that individuals will live as hikikomoris(shut-ins) or remain inert by yielding themselves to pseudo-family groups as long as a sense of ‘society’ is not restored. To achieve this end, this paper finally claims the Humanities should continuously consider various types of society and how to build such societies.29

      • KCI등재후보

        특집논문 : “반근대적(反近代的) 근대성”과 인격주의(人格主義) -의재(毅齋)의 근대체험과 연진회(鍊眞會)-

        정명중 ( Jeong Myung Jung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9 호남학 Vol.0 No.44

        “연진회(鍊眞會)”는 1938년 광주에서 의재(毅齋) 허백련(許百鍊)이중심이 되어 지역 서화가와 의재의 문화생들이 전통 남종화(南宗畵)의 부흥이라는 이념을 내세워 결성한 미술단체이다. 이 글의 목적은 일제하 광주(光州) 지역 최초의 미술인(혹은 미술동호인) 단체였던 연진회의 근대적(近代的) 성격과 위상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진회가 부흥을 꾀했던 남종화는 중앙보다는 지방화단을 중심으로 전개되는데, 평양의 기성서화회(箕城書畵會, 1914), 대구의 교남서 화연구회(嶠南書畵硏究會, 1922), 광주의 연진회(鍊眞會, 1938)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평양이나 대구와는 달리 광주의 연진회는 남종화의 명맥을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었다. 이는 근대화가 급속하게 진행되었던 평양이나 대구에 비해 지주문화의 전통(봉건성)이 강했던 광주 지역의 특색을 반영한 것이다. 곧 풍부한 농업생산력을 기반으로 형성된 지주계급 중심의 소비문화 덕분에 전통회화에 대한 수요가 어느 정도 지속되었기 때문이다. 연진회의 목적과 활동방향을 밝힌 발기인 서문 등을 보면 현상적으로는 연진회의 지향점이 봉건사회 양반지주들의 은일자적한 삶의 자세(낭만주의)임이 드러난다. 곧 연진회의 활동이 조선후기에서 구한말까지 소치 허련에 의해 뿌리내린 운림산방의 남종문인화풍을 부활시키는 복고적인 부흥운동이자, 동시에 중세의 보수적인 문예사상에 예술적 좌표를 설정했음을 의미한다. 결국 의재 중심의 연진회는 자신들의 이념적 지향을 “반근대(反近代)”로 설정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필자의 기본 입장은 연진회의 보수성이 봉건적 이념의 단순한 계승이나 복원일 수는 없다는 것이다. 아울러 연진회의 예술적 지향성을 과연 “반근대(反近代)”로 규정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해 근본적으로 의문을 제기하고자 했다. 그래서 필자는 연진회의 성격과 위상을 한국 근대성 논의와 맞물려 복합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하나의 단초로서 일제하 연진회가 결성되기 위한 사회문화적 조건들을 다각도로 검토 했다. 특히 이 글에서는 연진회의 실질적인 결성자인 의재의 일본(근대) 체험(유학생활)을 징후적으로 독해함으로써 연진회가 결성되기 위한 당대의 문화적ㆍ이념적 조건들을 도출해내고자 했다. “Yeonjin Association(練眞會)” was an artistic organization established in Kwangju for revival of the traditional namjong painting(南宗畵) by regional artists and disciples of Euijae around Euijae Heo Baekryeon in 1938.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modern nature and status of the organization, as the first regional artists`(or artist-interested people`s) organization in Gwanju during the Japan`s Colony. The namjongwha`s revival, which was the purpose of the organization, took place in the provinces rather than in Seoul, for example, by Giseong Artist Association(箕城書畵會, 1914) in Pyeonyang, Kyonamseowha Studies (嶠南書畵硏究會, 1922) in Daegu, and the very Yeonjin Association in Gwangju. Among those organizations, the last one could continue to exist longer than the former two, which was attributed to the strong old-fashioned traditional trend in the region unlike the other regions where modernization was rapidly progressed. That is, it could be continued due to the consumption culture of land owners based on the rich agricultural production of the region, where the demands for the traditional paintings remained. The orientation of Yeonjin Association, at least superficially, seemed to be the hermit`s life style of the traditional upper class, considering the purpose and activity-direction of the Association shown in the founders` foreword. That is, the activity of the organization was for revival of namjong painting of Unrimsanbang settled by Sochi Heo Rin from the late Joseon to the late Empire of Korea. At the same time, it respected middle-age`s conservative cultural and artistic trend. We can conclude that the organization set its ideological orientation as “anti-modernity”. My basic view, however, is that the conservatism of the organization should not be identified with simple succession or restoration of the old-fashioned ideology. In addition, I raise a fundamental question about the validity of the identity, “anti-modernity” given to the organization. To re-define the nature and status of the organization with the discussion about Korean modernity, I examine the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under which the organization was established in various points of view. Especially, the life in modern Japan of Euijae, the substantial founder of the organization, is scrutinized to understand the then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 KCI등재
      • KCI등재

        입장의 초월과 규범으로서의 전체성 - 서인식 비평의 논리구조 -

        정명중 ( Jeong Myung-ju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6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7

        본고는 1930년대 후반 제국 일본의 `동아협동체론`과 `세계사의 철학`에 자극받아 비평을 시작했던 역사철학자 서인식에 대한 고찰이다. 그가 일제의 침략주의에 이념적(혹은 철학적)으로 동조했다는 기존의 평가와 달리, 이즈음 그의 비평적 실천에 대한 복권이 이뤄지면서 제국의 담론에 대한 `공명/균열`의 변증법을 실현한 것으로 재평가된 바있다. 반면 식민지 공간에서 서인식이 요청했던 `세계성`, `보편성`, `전체성` 등이 경험적 현실과 동떨어진 공허한 것이었다는 점은 여전히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그러나 본고는 반드시 그렇게만 볼 수 없다는 전제 아래 서인식의 비평담론을 교토학파(京都學派)와의 영향사적 맥락에서 벗어나 내재적 관점에서 읽고자 했다. 이를 위해 그가 제기한 `입장적(立場的)` 지성의 의미를 탐구하는 한편, 그가 강조한 전체성의 원리가 `규범`으로서의 그것일 수밖에 없음을 논증했다. 궁극적으로 일제의 동아협동체론이나 세계사의 철학이 세계성(또는 세계정신)을 대표/재현(representation)할 수 없는 체계임을 증명하기 위한 이론적 실천이 그의 역사론 및 문화론의 주요 골자임을 밝히고자 했다. This Essay reviewed Seo In-sik, a `historian philosopher` who became a critic inspired by `East Asian Cooperativism` and `the Philosophy of World History` of the Japanese imperialism during the late 1930s. While he used to be seen as theoretically (or philosophically) agreeing to an aggressive policy of Japan, recently, his critical practice has been reevaluated as realizing dialectic of `resonance/crack` regarding imperial discourse. By contrast, his ideas of `worldness,`, `universality,` and `totality` in colonial space are still criticized for being far-fetched and void. However, this essay attempted to read the critical discourse of Seo In-sik from the internal viewpoint, apart from the context of influence of the Kyoto School. To do so, it reviewed the meaning of `standpoint-intelligence` and reasoned how the principle of totality he emphasized inevitably acted as a norm. Ultimately, the article aimed to show that the gist of his theory of history and culture was a theoretical practice to prove that East Asian Cooperativism and the Philosophy of World-History was a system that cannot represent worldness (or world-spirit).

      • KCI등재

        특집논문 : 호남학연구의 성과와 전망: 역사 및 사회 분야

        정명중 ( Myung Jung Jeong ),류시현 ( Si Hyu Ryu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3 호남학 Vol.0 No.54

        역사와 사회 영역에서 지난 50년간의 호남학연구의 성과를 검토하는 작업은 호남이란 공간 속에서 이루어진 공동체 구성원의 다양한 실천 활동에 대한 역사적ㆍ사회적 의미를 검토하는 일이다. 역사학의 영역에서는 시간적 추이와 맥락에 관해 주목하면서, 호남적인 정체성 즉 호남인의 정신과 감성을 규명한 글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사회 분야에서는 호남 문화의 경험적 또는 구조적 특질을 여실히 드러내 주고 있는 중요한 연구 성과들을 검토했다. “향토애”로 표현되는 지역에 대한 정확하고 자세한 이해는 지금 이곳에 살고 있는 공동체 구성원에게 자긍심을 제공하는 방안이 된다. 본고에서는 『호남문화연구』, 『감성연구』그리고 인문한국사업단이 발행한 감성총서를 바탕으로 역사학과 사회과학 분야의 호남학 연구 성과를 검토했다. 특히 개별적인 사례 중심보다는 호남학과 연동된 연구 성과물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 볼 때, 호남문화연구로 대표되는 호남학 연구의 성과는 중앙과 연계된 정치사의 영역을 넘어서 성장하고 삶을 영위하고 있는 공간을 다루기 있기 때문에 생생한 현장감을 부여하는데 기여해 왔다. 향후 이 분야 연구 영역에서는 장기간의 연속성이 강조되면서도 동시에 각기 분리되고 고립된 것처럼 보이는 사건과 인물의 활동을 서로 연결시켜 그 의미를 새롭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방안이 된다. 따라서 단순히 행정적, 지리적 경계로 나누어지는 구역이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문화적 요소의 상호 작용이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생활영역임에 주목해야 한다. 그리고 1960년 이후 축적된 호남문화연구 의성과를 바탕으로 “호남문화론”에 관한 이해의 폭을 본격적으로 확장해야 할 필요가 있다. It can be said that reviewing the achievement of Honam Studies for the last fifty years in history and social field is to examine historical and social significance of various practical activities of the community members in the space called Honam. In the field of history, the study reviewed the writings which look into the sprit and emotion of Honam people as the identification of Honam, paying attention to the temporal trends and context. And in the field of society, the study reviewed the significant results which apparently show empir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onam culture. Exact and detailed understanding of one`s community expressed as “local patriotism” is a way to provide its members with self-esteem. Based on 『Honam Munhwa Yongu』, 『Gamsung Yongu』, and Gamsung Chongseo published by HK Project, the study reviewed the outcome of the researches on Honam Studies in history and social science field. Especially, what is noticed is the research achievement related to Honam Studies rather than any individual case. The review showed that the achievement of Honam Studies represented as 『Honam Munhwa Yongu』has contributed to adding vivid sense of realism as that dealt with the space where we grow and lead a life beyond the area of political history related to the Center. In this field, it would be a key for follow-up researches to connect events emphasizing the long-term continuity and looking divided and isolated at the same time with the activities of a figure to newly understand the significance. Thus, we should note that an area is not the space divided by a simple administrative and geographical boundary, but a daily living area having interaction of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elements. In addition, understanding of “Honam culturism” should be actively expanded based on the achievement of 『Honam Munhwa Yongu』 accumulated for a long time since 1960.

      • KCI등재

        일반논문 : 5월의 기억과 부끄러움 -공선옥의 「씨앗불」을 중심으로

        정명중 ( Myung Jung Jeo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0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또는 부끄러움이라는 주제는 광주항쟁 이후의 작가들을 사로잡은 절체절명의 화두였다. 그간에 창작된 5월소설 안에서 우리는 죄책감이나 부끄러움에 시달리는 다양한 군상들을 보아 왔다. 아울러 우리는 훼손된 존재들의 비참한 트라우마(trauma)를 통해 부끄러움이나 죄의식이 마치 지독한 바이러스처럼 감염되는 경험에 진저리치기도 했었다. 살아남은 자의 부끄러움이라는 주제는 오히려 거의 모든 5월 소설 텍스트를 관류하는 일종의 기저음이자 무의식이다. 항쟁 이후 `역사적 장벽` 혹은 `윤리적 장벽`보다 `사회적 장벽`이 다른 어떤 장벽들보다 더 강고할 수 있음을 보여준 작품이 있다. 바로 공선옥의 문단 데뷔작인 중편 「씨앗불」이 그것이다. 이 작품은 항쟁의 주역(기동타격대)으로 싸우다 계엄군에 끌려가 온갖 고초를 겪고 살아남은 `오위준`이라는 인물의 비루하고 오욕스러운 삶의 궤적과 그의 내면을 핍진하게 묘사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 작품은 항쟁 이후 `위준`이 맞닥뜨린 사회적 `문턱`(차별과 배제)이 불러온 부끄러움의 내적 드라마를 통해 이른바 `부끄러움의 사회학`을 보여주고 있다. 「씨앗불」의 주인공 `위준`은 선택된 `지식인`도 그렇다고 바야흐로 당당한 역사의 주체로서 호명(혹은 재현)되기 시작하는 `프롤레타리아트`도 아니다. 그는 그야말로 비루한 `룸펜`에 불과하다. 따라서 그는 특히 `사회적` 장벽 앞에 적발 당하듯 맨몸으로 마주서야만 한다. 이 장벽 앞에서 펼쳐지는 부끄러움의 내적 드라마는 `위준`이라는 인물 개인의 실존 차원으로 온전히 회수되지 않고, 그를 둘러싼 환경 곧 사회를 향하게 된다. 결국 이 작품은 `이곳` 사회가 여전히 죄스러운 공간일 수밖에 없다는 점, 즉 항쟁 이전이건 혹은 이후이건 그것과 상관없이 사회가 별반 달라진게 없다(또는 달라질 수도 없다)는 절망적 인식을 독자들에게 각인시켜주고 있다. The sorrow of the remains or their shame was the subject that the most of writers after Gwangju struggling have been possessed by. We can have easily found the various characters who were harassed with a guilty conscience and shame in the novels related with the May of Gwangju. For example, `Yoseph`(Yoon, Jeong-mo`s 「밤길」) who constantly worries himself with the escape from Gwangju; `Sangju`(Lim, Cheol-woo`s 「봄날」) who thought himself of Yudas who betrayed the Jesus Christ or Cain who killed his brother: Abel and did nothing but self-injury, finally was locked up in a mental hospital because of the guilty of letting his friend dead in those day; `Park, Yoseph`(Moon, Sun-tae`s 「일어서는 땅」) who showed the original sin like killing father(Oedipus complex) etc. Also we could confirm that `Kim, Jooho`(Lee, Seung-won`s 「얼굴」) or `Jongnam`(Han, Seung-won`s 「어둠꽃」) who as the soldier of the martial law took part in slaughtering citizens without his intend and by means of it were suffering from a mental illness, exactly all were the same victim of a nation`s force. In addition to it, we once shuddered with the experience of contaminating the guilty conscience and shame like severe virus through the tragic trauma of injured people. Indeed we can witness how the pure being were broken and fallen by being caught up in historical accidents: Like as young `girl`(Choi, Yoon`s 「저기 소리 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 who saw her mother`s corpse at the site of struggling and became a psychosis and an plant-bodied(unresistant) man, `Ji, seongsu`(Jeong, Chan`s 「완전한 영혼」) who let out a scream if a little of condtion allowed after struggling day etc. Like this, the subject of `the shame of the remains` instead is a kind of basal sound or unconsciousness which flowing through the texts(novels) related with May in Gwangju. There is a special work to show that the `fence of social` is more powerful than `fence of history` or `fence of morals` and any other barriers after struggling. Right. It is Gong, Seon-ok`s debut work, 「씨앗불」. This work describes in full `O, Yi-jun``s mean and dishonorable life and his inside. Surely Yijun is not a selected intelligent and not `Proletariat` who will become the fair subject of history. He is just a filthy man. So he must stand against the `fence of social` with a naked body and the shame of inner drama that he felt were not gathered up into his existence being but looked out of environment which surrounded him. Therefore this work makes us realize that `here` we live in is still sorrow place where we must felt guilty: Regardless of fore or after struggling, we could not help knowing that this place(social) will not change(or can not change). After all this work show what is called the `sociology of shame` through the inner drama, which Yijun confronts a social threshold(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fter strugg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