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초등 영어교육 학술지 분석

        정누리(Jeong Nuri),김정렬(Kim Jeong-r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8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초등영어교육 관련 연구를 텍스트 마이닝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텍스트를 분석하고 대표할 수 있는 주제들을 선정하여 연구의 동향을 살피고 그 함의점을 찾는 것이다. 방법 2018년부터 2021년 6월까지 발표된 관련 논문 447편을 선정하여 영문 초록과 제목으로 R을 활용하여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하였다. 먼저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처리 과정을 통하여 데이터를 정제하였다. 이후 빈도분석을 통해 핵심어를 추출하여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 LDA를 활용해 토픽 모델링을 실시하여 텍스트를 대표할 수 있는 주제들을 선정하고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주제의 적절성을 살펴보았다. 결과 먼저 빈도분석을 통해 핵심어를 선정하였다. 이후 LDA 모델을 활용한 토픽 모델링과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해서 연구를 대표하는 13개의 주제를 선정하였다. ‘영어 학습의 정의적 요인학습’, ‘교사 및 예비교사 역량 강화’, ‘스토리텔링 기반 교육’, ‘쓰기 지도 전략’, ‘어휘학습 전략’, ‘문화 지도’, ‘교사 및 예비교사의 인식’, ‘교육과정 및 성취 기준 관련 연구’, ‘학생과 교사의 상호작용’, ‘문학 활용 교육’, ‘읽기 지도’, ‘학습자 중심 교수’가 이에 해당한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초등영어교육 학술지의 핵심어와 연구 주제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 진행된 연구의 흐름을 살피고 교육과정이 적절하게 반영되었는지 분석하여 앞으로 진행될 연구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of the study and find implications by applying text mining analysis methods to research related to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to whic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applied. Methods 447 related papers published from 2018 to June 2021 were selected and text mining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 as the English abstract and title. First, data was collected and data was purified through a preprocessing process. After that, key words were extrac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In addition, topics that can represent text were selected by performing topic modeling using LDA,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subject was examined through language network analysis. Results First, key words were selec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fter that, 13 topics representing the study were selected through topic modeling and language network analysis using the LDA model. These include ‘Affective Factor of English Learning’, ‘Teacher and Pre-Teacher Competency Enhancement’, ‘Storytelling-based Education’, ‘Writing Learning Strategy’,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Teaching Culture’, ‘Teachers and Pre-Teachers Perception’, ‘Curriculum and Achievement Standards’, ‘Literature-based Learning’, ‘Reading Learning Strategy’, ‘Learner-centered Instrcution’.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the keywords and research topic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pplied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journal were examined. Through this, the flow of research conducted so far was examined and the curriculum was properly refl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 KCI등재

        초등학교 영어학습자의 영어 독후활동 수행을 위한 목적형 챗봇 개발 및 개발 방향 탐색

        정누리(Jeong Nuri),김정렬(Kim Jeong-r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는 의사소통 전략과 독서 전략을 활용하여 영어학습자의 영어 독후활동 수행을 위한 목적형 챗봇을 개발하여 보고 그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영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의사소통 기능과 예시문, 교육과정 수준 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영어 동화책 2권을 활용하여 챗봇을 개발하고 챗봇의 개발 방향을 제안하였다. 챗봇은 개발 플랫폼인 다이얼로그플로우를 활용하여 구현하였다. 챗봇은 Yes or No 질의응답 형식과 단답형 질의응답 두 가지의 형식으로 구현하였다. 질의응답 과정에서 의미협상이라는 의사소통 전략을 활용하기 위해 Follow-up Intent 기능을 활용하여 원질문을 Paraphrasing을 하거나 피드백을 주어 대화의 흐름을 이어나갈 수 있게 하였다. 간단한 대화 시에는 Turn-taking을 위한 Intent를 추가 하여 추가적인 발화 기회를 제공하였다. 독서 전략을 활용하여 질의응답 질문을 구성하였고 동시에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의사소통 기능 예시문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챗봇을 기획⋅개발하여 발생 가능한 오류를 파악하였고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챗봇을 영어 독후활동에 활용하여 보고 텍스트의 수가 적은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도서로 챗봇을 만들고 질문 형식을 개발하며 이를 교육에 활용하기를 제안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hatbots that help English language learners carry out English reading activities by utilizing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reading strategies and suggest direction of development of chatbo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chatbot was developed using two level appropriate English fairy tale books that can used within the English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English Education curriculum itself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chatbot was proposed. Chatbots were implemented by utilizing a development platform called Dialogflow. Chatbot was implemented in two formats; yes or no question format and short-answer question format. In order to utilize the communicative strategy of negotiation in the Q&A process, a follow-up intent function was used to paraphrase the original question or give feedback to continue the flow of conversation. In simple conversations, an intent function for turn-taking was added to provide additional speaking opportunities. Questions and answers were constructed using the reading strategy while communication function examples presented in the English Education curriculum were utilized. This study identified possible errors by planning and developing chatbots and presented development direction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number of texts for English reading activities, we propose creating chatbots using various books, developing question formats, and utilizing it for education.

      • KCI등재

        초등 3·4학년군 영어과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영어 동화책의 분석 및 활용방안 고찰

        정누리(Jeong Nuri),김정렬(Kim Jeong-r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1

        본 연구는 초등 3∼4학년군 영어교육에서 영어 동화책을 활용한 영어과 창의·인성 교육을 하고자 할 때 활용 가능한 동화책을 분석하여보고 창의·인성 동화의 핵심 요소를 파악하여 활용방안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창의성 동화, 인성 동화를 검색하여 독자의 창의성을 자극할 수 있는 등의 요소로 아동문학계에 기여한 바가 커 수상을 하게 된 작품이나 작가의 책 16권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선정의 분석 기준으로 Nutall(1996)의 SAVE, 내용 평가 기준으로는 도덕과 내용 체계, 교수·학습 활동에 관한 평가 기준은 박예슬, 김정렬(2016)의 창의·인성 학습활동의 평가지표를 원용하여 16권의 영어 동화책을 분석하였다. 자료선정의 객관적인 평가 준거는 학생들의 영어 수준과 영어 동화책의 수준을 맞추는 용이성(easiness)이었고 창의·인성 동화책에 가장 자주 등장하는 인성 요소는 책임감임을 알 수 있었다. 영어 동화책 속에 가장 많이 포함된 창의·인성 요소는 ‘호기심’과 ‘심미성’이고 동화책을 활용한 창의·인성 수업에서 자료 선정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인성 요소의 유무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nglish fairy tale books that have stories about creativity and personality for Elementary students in 3rd and 4th grade, identify key elements of creative and personality fairy tales, and consider ways to utilize the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6 works or authors books that received awards for their contributions to the children s literature community by searching for creative fairy tales and personal characteristic fairy tales on the Internet. Sixteen English fairy tale books were analyzed using the Save Theory of Nutall (1996), as the basis for analysis of data selection; the content system of moral education as the basis for content evaluation; and evaluation indexes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learning activities of Park Yeseul and Kim Jeong-ryeol (2016), a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When selecting data, the objective evaluation criteria were based on the students’ English comprehension level. The most frequent personality factor in the books was responsibility. However, the most frequently included creativity and personality elements in English fairy tales were curiosity and aesthetic apprecia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ality factors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electing data in creativity and personality classes using fairy tale 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