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성인남녀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 양가성과 사회적 지지 지각의 매개효과

        박정은(Park Jeong Eun),정남운(Chung Nam W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사회적 지지 지각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8월 약 1주일 동안 18세 이상의 성인남녀 350명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 사회적 지지 지각 척도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리서치 전문회사를 통해 배포한 후, 결과를 데이터 형식으로 전달 받아서 자료를 수집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최종 341부를 Mplus 7.4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은 정서표현 양가성,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는 정적, 사회적 지지 지각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정서표현 양가성 중 관계관여적 양가성은 사회적 지지 지각 및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정적, 자기방어적 양가성은 사회적 지지 지각과는 부적,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지각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은 서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정서표현 양가성(관계관여적, 자기방어적)과 사회적 지지 지각은 각각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관여적 정서표현 양가성과 사회적 지지 지각이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이중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경우에 있어 이중매개 효과는 유의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이를 토대로 시사점, 한계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Participants are 341 adults over 18 were asked to complete self-report qustionnaire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were used by using Mplus 7.4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ed as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internalized shame, relation-involve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elf-defensiv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perception of support sense,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Second, each of relation-involve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they support dually mediated in order variables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On the other hand, each of self-defensive emotional conflict and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that they dually mediated in order variables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rch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분리 개별화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 정서인식명확성을 통한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신유진(Eugene Shin),정남운(Nam-Woon Ch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8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분리 개별화가 대학생활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전문적 도움추구태도가 매개하고 이 과정을 정서인식명확성이 조절하는지를 조절된 매개효과를 통해 검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분리 개별화,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정서인식명확성, 대학생활적응을 측정하는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고, 응답자료 최종 300개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와 Macro PROCESS를 사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그리고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분리개별화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하위요인 중 정서주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셋째, 분리 개별화가 전문적 도움추구태도를 매개하여 대학생활적응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하위요인인 정서주의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는 요인으로 분리 개별화,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그리고 정서인식명확성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의의, 그리고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th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s well as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through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th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Methods For this purpose, university students responded to the self-report survey including Korean late Adolescent Individuation Questionnaire,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Scale-Shorten Version, Trait Meta-Mood Scale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via online and the final 300 valid data were analyzed. Both a casual steps approach and bootstrapping were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and SPSS Macro Process(Hayes, 2013) was used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th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was demonstrated. Second, emotional clarity had partial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and th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Third, emotional clarity’s moderated mediating effect on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th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was verified.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separation-individuation,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and emotional clarity to improv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t the conclus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based on these findings.

      • KCI등재

        내현적 자기애와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

        유보라 ( Bo Ra Yoo ),정남운 ( Nam Woon Chung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지역과 세계 Vol.45 No.2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와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분노억제가 나타내는 매개효과와 그 경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9세 이상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 40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분노억제, 전위공격성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가 전위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분노억제가 연속적으로 매개하는 경로와 분노억제의 단순 매개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가 분노억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매개하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내현적 자기애와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분노억제가 전위공격성을 예언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할 뿐 아니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내현적 자기애의 분노억제 행동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가 전위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의 구체적인 경로를 검증함으로써 기저에 작용하는 심리적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anger-i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isplaced aggression. Participants, consisting of 408 adults who attend a university in Gyeonggi province, complet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covert narcissism,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ger-in, and displaced aggression were identified. Seco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anger-in showed a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isplaced aggression, while anger-in had a significant simpl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isplaced aggression. Thir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had indirect effects on the process of covert narcissism affecting anger-i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nger-in is an important factor in predicting displaced aggression and that fear of negative evaluation can explain the effect of anger-in on covert narcissism.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on the underlying psychological processes by which covert narcissism affects displaced aggression. Finally, we discus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 KCI등재후보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성장적 반추를 매개 변인으로

        신선영 ( Sun Young Shin ),정남운 ( Nam Woon Chung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2 人間理解 Vol.33 No.2

        본 연구는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장적 반추의 매개효과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성장적 반추는 외상 사건 당시와 최근으로 나누어서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20세 이상 성인 363명 대상으로 삶의 의미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외상 후 성장 척도, 성장적 반추 척도와 외상 경험 질문지를 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지지, 삶의 의미, 성장적 반추, 외상 후 성장의 연구 변인들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외상 당시의 사회적 지지와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외상 당시 성장적 반추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또한 삶의 의미와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최근의 성장적 반추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그 동안 국내에서 이루어진 외상 경험에 관한 선행연구의 대부분이 부정적인 결과에만 초점을 맞춘 것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외상 경험으로 긍정적인 변화와 성장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혔다는 것에 있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eaning in life and social support on posttraumatic growth with considering rumination as a mediating variable. Rumination were measured in two time frames: soon after the traumatic event, within the last two weeks. For this purpose, a sample of 363 adult were asked to complete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Social Support Scale, Posttraumatic Growth, Rumination Scale, and Trumatic Experience Schedu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Rumination soon after the traumatic even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ocial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2) Rumination within the last two week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meaning of life and posttraumatic growth.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애착 유형의 비연속성에 관한 연구: 획득된 안정애착과 현재의 불안정애착 간의 내적작동모델 비교

        서미경 ( Mi-kyung Seo ),정남운 ( Nam-woon Chung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6 人間理解 Vol.37 No.1

        본 연구는 애착의 비연속성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 25세 이상의 성인 남녀 470명을 대상으로 지속된 안정애착, 획득된 안정애착, 지속된 불안정애착, 현재의 불안정애착을 분류하고 내적 작동 모델과 연관이 있는 자아탄력성, 대인 관계 유능성, 상위-정서 인식 변인의 차이를 측정했다. 첫째, 지속된 안정애착 43.6%(205명), 획득된 안정애착 8.9%(42명), 현재의 불안정애착 28.1%(132명), 지속된 불안정애착 19.4%(91명)의 분포를 나타냈으며, 애착 유형의 연속성은 63%(296명), 비연속성은 37.0%(174명)로 나타났다. 둘째, 내적 작동 모델과 관련된 변인들의 수치는 지속된 안정애착형이 가장 높고, 지속된 두려움 불안정애착형이 가장 낮았으며, 획득된 안정애착형과 현재의 불안정애착형은 중간 수치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내적 작동 모델이 생애에 걸쳐 안정적이면서도 동시에 능동적이고 변화하는 대상이라는 개념에 접근하며, 향후 대학 상담이나 치료적 중재 작업, 대학 생활 지도를 통한 불안정애착에서 안정애착으로의 변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scontinuity of attachment types: continuous security, earned security, continuous insecurity, and current insecurity in attachment. This study used data gathered from questionnaires completed by 470 nation-wide subjects ages 25 years and older.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attachment types were distributed as follows: continuous security 43.6%, earned security 8.9%, current insecurity 28.1%, and continuous insecurity 19.4%. Continuous security also demonstrated the significantly highest numerical values among all the related variables of the internal working model overall, whereas continuous fearful insecurity showed the significantly lowest numerical values. The present research findings can inform college coaching and be used as basic data for changing attachment insecurity into attachment security in college counseling and therapeutic mediation interventions.

      • KCI등재후보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박영주 ( Young Joo Park ),정남운 ( Nam Woon Chung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3 人間理解 Vol.34 No.1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영향을 미칠 때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인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43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내현적 자기애 척도,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 평가염려 완벽주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평가염려 완벽주의 척도는 실수에 대한 염려 및 수행에 대한 의심 척도,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척도, 불일치 척도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평가염려 완벽주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서 하위요인을 포함하여 모든 변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가 평가 염려 완벽주의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각각 유의미하게 예측하였고,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가 평가염려 완벽주의를 통하여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내현적 자기애자의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상담자의 치료적 개입에 있어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e participants were 437 salaried men/women and graduate students. The measurement tools such as Covert Narcissism Scal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and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Scale were utili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vert narcissism,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relation of social interaction anxiet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Second, it proved significance that covert narcissism predicted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that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lso predicted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ir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on social interaction ha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s o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Finally,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정서인식명확성, 정서표현, 정서적 지지가 심리적 수용에 미치는 영향

        박정미(Jung Mi Park),정남운(Nam Woon Chung) 한국심리치료학회 2018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는 정서인식 명확성과 심리적 수용의 관계에서 정서표현과 정서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만 20 세에서 65 세 연령의 성인 남녀 400 명을 대상으로 정서인식 명확성 척도(TMMS), 정서표현 척도(EES), 정서적지지 척도(Social Support Scale Ⅱ), 수용-행동 질문 지(AAQ-Ⅱ)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정서인식명확성, 정서표현, 정서적지지, 심리 적 수용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수용의 관계에서 정서표현과 정서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부스트랩(bootstrap) 기 법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미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 식명확성은 정서표현, 정서적지지, 심리적 수용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정서표현은 정서적 지지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정서적 지지는 심리적 수용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정서인식명확성이 심리적 수용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정 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수용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의 부적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넷째, 정서인 식명확성과 심리적 수용의 관계에서 정서적 지지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 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check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al support on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For this research, samples of 400 adult males and females aged 20 years to 65 years in all parts of Korea were asked to complete the Trait Meta-Mood Scale (TMMS), Emotional Expressiveness Scale (EES), Social Support Scale Ⅱ, 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Ⅱ (AAQ-Ⅱ).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for emotional clarity, emotional expressiveness, emotional support,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al support on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 was tested by using bootstrap.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clarity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expressiveness, emotional support,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acceptance. Second, it was verified that emotional clarity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acceptance. Third, it was verified that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negative partial mediation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Fourth. it was verified that emotional support had partial mediation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of stud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대인간 외상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체계손상의 매개효과

        한수경 ( Su Gyeong Han ),정남운 ( Nam Woon Chung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4 人間理解 Vol.35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대인간 외상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체계손상이 매개하는지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Y시 소재 인문계, 전문계, 남녀고등학교 재학생 69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아동기 외상 질문지, 외상화된 자기체계 척도, 대인관계문제검사, 단축형 MC-13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를 도구로 사용하였고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인간 외상경험은 자기체계손상과 대인 관계문제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대인간 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를 자기체계손상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청소년의 대인간 외상경험과 그로 인한 자기체계손상과 대인관계문제에 대한 이해를 돕고 더 나아가 상담장면에서 상담적 개입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했다는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와 기존 연구들과의 관련성과 함께 연구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system traumat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interpersonal trauma events and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adolescents. The data for this study consist of 694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nts completed the Childhood Traumatic Questionnaire, School Violence Scale, Traumatic Self-System Scale, Korea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 and the 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Mediational effects were evaluated via correlation analys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revealed that exposure to interpersonal trauma events was positively related to self-system traumatiz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traumas and interpersonal problems was fully mediated by self-system traumatization. These results contribute to increased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regarding interpersonal trauma, traumatized self-systems, and interpersonal problems. Finally,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시험 불안의 관계에서 수행 회피목표 지향성과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최현정(Hyun-Jeong Choi),정남운(Nam-Woon Ch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시험 불안의 관계에서 수행 회피목표 지향성과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이 나타내는 매개효과와 그 경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 재학생 456명을 대상으로 2019년 9월 한 달 간 설문을 시행하였다. 주요 변인 간의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매개효과분석, 그리고 팬텀 변수를 사용한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이 시행되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평가염려 완벽주의, 수행 회피목표 지향성,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시험 불안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시험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수행 회피목표 지향성과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이 연속적으로 매개하는 경로와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의 단순 매개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그로 인한 수행 회피목표 지향성과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이 차례로 시험 불안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한 것이며, 특히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이 시험 불안을 예언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and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test anxiet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56 undergraduate participants for a month in September 2019.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mong the primary variables in this study, and then the mediation models were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lastly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Phantom variables. In correlation analysis, the four primary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And in the SEM analysis,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and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test anxiety was significant. Also, the simple mediating effect of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was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finding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