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산ㆍ학ㆍ연 논단] 과즙을 첨가한 Kefir 음료의 발효 특성

        정규호(Kyou-Ho Jeong),최주희(Joo-Hee Choi),이지민(Jee-Min Lee),이정훈(Jeong-Hun Lee),장세영(Se-Young Jang),정용진(Yong-Jin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식품산업과 영양 Vol.7 No.3

        본 연구에서는 과실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기 우해 여러 가지 과즙을 이용하여 kefir 음료를 제조해 보았다. pH는 발효동안 감소하여 pH 4.0~4.2를 나타내었으며, 숙성 후 pH 3.8~4.2로 나타났다. 총산은 발효와 숙성과정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였고 시유와 전지유에 starter를 5% 접종했을 때 총산은 0.8, 1.1로 나타났으며, 6% 접종구간은 1.5, 1.3으로 각각 나타났다. 발효초기 당도는 11.7~11.2 Brix에서 발효 12시간 후에 6~7 Brix를 떨어졌으나 숙성 동안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알콜함량은 0.10~0.14%로 미량이 생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점도는 숙성 후 점도는 2395~2488cP로 시판요구르트 보다 낮은 점도를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젖산발효에 관여하는 균주 차이로 생각된다. 관능검사 결과 사과농축액 35% 첨가구간은 향, 입안 촉감,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선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kefir 발효액은 시판 요구르트와 품질이 비슷하여 음료제조에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며, 과실을 이용하여 kefir 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정보기술과 자원·환경의 관리

        정규호(Jeong, Gyu-Ho),허남혁(Heo, Nam-Hyeok) 한국공간환경학회 2005 공간과 사회 Vol.24 No.-

        본 논문은 생태위기의 지구화와 경제의 세계화가 만들어내는 급속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지속가능한 자원관리의 중요성에 주목하면서, 특히 정보기술이 자원 이용 및 관리 측면에 가져다 줄 새로운 가능성과 기회요인을 포착하여 지속가능 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방향과 정책적 과제들을 거시적으로 살펴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리나라의 자원·환경관리 정책은 사후처방적 수준에서 사전예방적 수준의 초기 단계로 접어들었다. 국가경제규모와 국민의 소비수준에 비추어 생태학적 자립기반이 매우 취약한 상황에서 앞으로 보다 적극적인 자원·환경관리 노력이 필요 하다. 지난 10여 년 동안 국민들의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지속가능한 발전이 국가 정책과 기업의 생산 활동에 중요한 가치로 자리 잡아 왔지만 인식과 실천 간의 괴리 현상이 여전히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가 지속가능한 사회로 가기 위해서는 보다 강한 지속가능성을 정착시키기 위한 기술 혁신과 함께 사회제도 영역의 생태적 재구조화(ecological restructuring)를 통한 질적 전환 노력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에 있어 인터넷, GIS, RS 등 정보기술의 발달은 학습과 성찰을 통한 사전예방적 관리, 자율과 참여를 통한 민주적 관리, 소통과 협력을 통한 통합적 관리의 가능성을 높여 줌으로써, 지속가능한 자원·환경관리 체계를 구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정보기술의 사용에 있어 그 경로에 대한 무분별한 수용보다는 사회적인 논의와 합의를 통해 정보기술을 활용할 때에만 정보기술이 가져올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resource management, especially new possibilities and opportunities of resource use and management brought by IT, considering policy implications and the direction for sustainable society on macro-scale. The resource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policy of Korea has stepped into the early stage of precaution. We need more positive efforts for resource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considering our fragile ecological self-sufficiency comparing with our economic scale and consumption level. Although the growth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the positioning of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national policy and corporate production activities in Korea during the last decade, the gap between the consciousness and practices is still wide. For Korea to be more sustainable society, we need ecological restructuring of social institution sphere for qualitative transformation as well as technological innovations for stronger sustainability. the development of IT such as internet, GIS, RS is expected to play the significant role for constructing sustainable resource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by promoting the possibility of precautional management through learning and reflection, democratic management through autonomy and participation, integrative management through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However, the negative side-effects of IT could be minimized only through social discussion and consensus rather than undiscriminated acceptanc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풀뿌리 거버넌스와 주민 참여적 지역 만들기

        정규호(Jeong Gyu-Ho) 한국환경사회학회 2007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1 No.1

        국가 차원의 경제중심적 계획과 지방 차원의 물리적 공간계획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계획 패러다임이 지역주민들의 실질적인 삶이 이루어지는 생활권역을 단위로 한 종합적인 사회계획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이점에서 지역의 다양한 풀뿌리 조직들 간의 네트워크 형성과 행정과의 파트너십을 유기적으로 매개하고 소통시킬 수 있는 풀뿌리 거버넌스의 역할은 중요하다. 지역에 기반을 둔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와 상향식 문제해결 전략을 강조하는 풀뿌리 거버넌스는 ‘지역사회의 공동의 비전 만들기’, ‘상향식 접근에 기반을 둔 문제 해결 지원’, ‘신뢰와 협력에 기반을 둔 집합적 문제해결 능력 강화’를 핵심적인 역할로 설정하고 있다. 이점에서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정책은 주민 자율적인 참여와 기획, 거버넌스에 기반을 둔 실천을 강조하고 있지만 현실의 모습을 보면 정책의 비전과 목표, 대상 영역, 그리고 추진 주체와 방식, 체계 측면에서 많은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공간의 질과 삶의 질을 동시에 높이기 위해서는 풀뿌리 거버넌스의 활성화를 통해 주민 참여적 지역 만들기를 위한 리더십 개발과 사회-제도적 역량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는 지역사회가 주도하는 지속가능한 발전모델을 정립하는 데도 의미 있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To overcome the limits of national level's economic planning and local level's physical planning, comprehensive social planning of community level needed on the side of paradigm shift of planning. This means that the means of grassroots governance that mediate and communicate of grassroots initiatives and partnership are very important. The roles of grassroots governance which emphasizes the community-based voluntary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bottom-up problem solving strategy are as follows: making of community's common vision, support of bottom-up problem solving, and enhancement of collective problem solving capacity based on the trust and cooperation. Present government policy toward livable community making, therefore, exposes many lacks in vision, target area, promoting actor, process and system of policy implement. Activating of grassroots governance and participatory community development are very important for leadership development of residents and socio-institutional capacity building through grassroots initiatives, and these also suggest us relevant model of community-driven sustainable development.

      • KCI등재

        생태적 (지역)공동체운동의 의미와 역할 및 과제

        정규호(Jeong Gyu-ho) 비판사회학회 2008 경제와 사회 Vol.- No.78

        이 글은 생태 위기 문제가 심화되면서 새롭게 주목받는 ‘생태적 공동체운동’에 초점을 맞추어 의미와 역할 및 과제를 이론 및 사례 연구를 통해 살펴본다. 생태 위기 문제는 국가와 시장은 물론 시민사회 영역까지 포함한 현대사회의 총체적 실패를 보여주는 것으로, “경쟁을 통한 공멸이냐 협력을 통한 공존이냐’라는 중요한 선택의 물음을 던져주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등장한 생태적 공동체운동은 기존 공동체운동과 달리 다양성과 지역성의 결합을 통해 좀 더 능동적으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특히 생태적 공동체운동은 경제적 획일화와 생태적 다양성의 서로 다른 논리가 치열하게 경합하고 충돌하는 ‘지역’ 현장을 실천 기반으로 하여, 추상화된 ‘경제적 공간’을 구체적인 ‘삶의 장소’로 전환시키기 위한 노력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생태적 공동체운동으로서 ‘순환형 지역사회 만들기’는 지역발전의 새로운 대안으로서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이 점에서 지난 30여 년의 시간 과정을 통해 유기농 생산자 공동체가 중심이 되어 아래에서부터 단계적으로 생태적 공동체의 지역적 토대를 만들어오고 있는 아산, 괴산, 홍성의 사례는 시사해주는 바가 크다. 이 지역들은 풀뿌리 차원에서부터 새로운 주체와의 협력 확대와 활동 영역의 확장을 통해 순환형 지역 사회에 대한 전망을 구체화해왔다. 이처럼 경계를 넘어서 다양한 주체와 영역간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협력의 시너지 효과를 높이는 것이야말로 생태적 공동체운동을 통한 순환형 지역사회 만들기의 핵심 과제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ecological community movement(ECM)’ which attracts public attention for ecological crisis and discusses its role and implications through theoretical and empirical approaches. The problems of ecological crisis which represent the total failure of the modern society give us important choice of path, ruin through competition or coexistence through cooperation. ECM that appears in this situation tries to solve social problems more actively through linkage of diversity to locality and that is different from former community movement. On the local spot two opposite tendencies, economical standardization and ecological variety, collide and conflict. So ECM stresses the need of local transformation from the abstract level of economic space to concrete level of life place. Therefore, ‘making circular community’ based ECM needs to be considered as new alternative to locality development. And the three case areas, ‘Asan’, ‘Goesan’, ‘Hongsung’, show important implication that organic farmers community act as leading role and construct the ECM’s local bases through bottom-up, phased, comprehensive and collaborative approaches in the last 30 years. These case areas have realized the vision of cyclic local community through the cooperation of diverse subjects and extension of working areas from grassroots levels. So the key point of ECM-driven circular community is that heighten synergy effects of cooperation trough close communication and community empowerment.

      • KCI등재
      • KCI등재

        지속가능성을 위한 사회제도혁신의 필요성과 거버넌스의 전략적 함의

        정규호(Jeong Gyu-ho) 한국환경사회학회 2002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 No.-

        오늘날 주요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지속가능성' 문제는 결국 지속불가능성을 야기하는 해당 체제의 사회제도적 특성으로 인해 자연에 대한 인간의 이해와 개입방식이 지배적인 영향을 받는 데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사회체제의 작동논리에 대한 이해에 기반하여 낡은 제도의 변형과 새로운 제도의 창출을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한다. 이는 결국 지속가능성 차원에서 사회체제의 재정향화를 위한 목적 의식적인 노력을 요구하는 것으로, 사회의 생태화와 경제의 사회화를 통한생태계 보존이 그 전략적 방향이라 할 수 있다.<br/> 한편, 지속가능성을 위한 사회제도의 혁신의 필요성은 관주도의 위계적인 관리체계나 시장주도의 무질서한생산체계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하고 있는 거버넌스에 주목하게 한다. 거버넌스는 다양한 행위자들의 참여와 연대, 소통을 중심으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면서 공동의 발전을 모색하는 협력적 관리체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지속가능성을 위한 제도혁신의 기제로서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br/>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거버넌스의 다양한 유형들 중에서 지속가능성을 담보 할 수 있는 가능태로서 거버넌스 모형을 구성해보았다. 이를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를 가진 행위자들의 포괄적 참여와 민주주의적 의사결정과정이 내용 면에서도 지속 가능성을 보장 할 수 있도록 거버넌스 논의를 재구성하여 행위자와 제도, 체제 수준에서 그 전략적 방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도출된 지속가능성을 위한 거버넌스는 다양한 이해관계를 가진 행위자들이 함께 만날 수 있도록 참여의 기회구조를 확장시키고, 이들의 상호작용과 질 높은 소통과정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제도적 협력기반을 조성함으로써 공론의 장을 확장·재창조하며, 공동체의 체제적 맥락과 생태학적 토대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사회적, 생태적 책임성을 제공함으로써 지속가능성을 향한 제도적 역량 형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br/> <br/> Regarding "sustainability," there is increasing consensus that building of a new socio-institutional system is pivotal to achieving the goal of the concept In view of tills, this paper focuses on governance as an effective tool for re-orientating social system towards sustainable future Unlike government-led or market-oriented approaches, the theory of governance pursues a collaborative managerial system based on participation, cooperation and sharing of knowledge and experiences among participants So, it holds strong capability in institutional reform for sustainability<br/>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governance only guarantees democratic decision-making, not sustainability itself, meaning that it guarantees the form of Social process, not content. A gap between the form and content of governance possibly exists as well To bridge this gap, the paper develops an alternative mode of governance that can be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three factors<br/> (1) Widening opportunity structure for participation of diverse actors(actor level),<br/> (2) Rebuilding public sphere with heightened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among participants(institution lever), and<br/> (3) Drawing a common ground for socio-ecological accountability from both the systemic and ecological contexts of community (system level)<br/>

      • KCI등재

        SOP Image SRAM Buffer용 다양한 데이터 패턴 병렬 테스트 회로

        정규호(Kyuho Jeong),유재희(Jaehee You) 大韓電子工學會 2009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46 No.9

        System on panel 프레임 버퍼를 위한 메모리 셀 어레이와 주변회로가 설계되었다. 또한, system on panel 공정의 낮은 yield를 극복하기 위해, 블럭 단위의 parallel test 방안이 제안되었다. 기존의 메모리 테스트 보다 빠르게 fault detection이 가능하며, 다양한 embedded memory나 일반 SRAM 테스트 분야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다양한 test vector pattern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어 fault coverage가 높고, 최근의 추세인 hierarchical bit line과 divided word line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Memory cell array and peripheral circuits are designed for system on panel style frame buffer. Moreover, a parallel test methodology to test multiple blocks of memory cells is proposed to overcome low yield of system on panel processing technologies. It is capable of faster fault detec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memory tests and also applicable to the tests of various embedded memories and conventional SRAMs. The various patterns of conventional test vectors can be used to enhance fault coverage. The proposed testing method is also applicable to hierarchical bit line and divided word line, one of design trends of recent memory architec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