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NOAA AVHRR데이터를 이용한 한반도의 순별 NDVI와 LAI 특성

        박종화 ( Park Jong-hwa ),전택기 ( Jun Taek-ki ),나상일 ( Na Sang-il ),박민서 ( Park Min-seo ) 한국농공학회 200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5 No.-

        This study proposes a particular approach to assess information about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nd LAI(Leaf Area Index) from the spectroradiometer and NOAA/AVHRR satellite data. AVHRR data were collected in twelves months over a one year period in 2004. We calculated 10-day composite NDVI using daily composite AVHRR surface reflectance products(1km spatial resolution). The 10-day composite NDVI have a great effect on the plant growth conditions. Considerably, NDVI was increased by developing muscle fiber tissue from April to May. Then the NDVI increased until the August and then decreased until February. The highest month was at August and the lower month was at December. The difference NDVI analysis using December and another months data was conducted, the results were provided information on the variation of vegetation coverage. The result suggest that a relationship established between the LAI and NDVI in 2004.

      • 위험성평가를 통한 농업토목공사 안전관리 매뉴얼 개발

        양영진 ( Young-jin Yang ),전택기 ( Taek-ki Jun ),오수훈 ( Soo-hun Oh ),노재경 ( Jae-kyoung Noh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정부정책, 법, 사업주체의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회 고도화와 시공여건 변화 등 복합적인 요인에 따라 국가 건설 산업재해의 빈도와 강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농업토목건설은 일반건설에 비해 상대적인 시설규모가 작으며, 규모의 영세성에 의한 위험성이 내재되어 있다. 건설공사 재해예방과 안전관리를 위해서는 현장의 실제적 위험요인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과 요인별 구체적인 대책의 제시가 필요하다. 일반건설업에 대해서는 공종별 위험성평가와 안전관리 매뉴얼 관련 다각적인 선행연구가 수행되었으나, 농업토목공사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객관적인 기법이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토목공사의 실제적 여건에 부합하는 분류체계를 기준으로 실제 발생했던 “2012∼2016년 한국농어촌공사 발주공사 재해사례” 827건의 정량적인 위험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위험성평가 결과를 공사현장 안전재해 면담조사 결과 및 관련지침·법령과 연계 분석하여 세부공종별 안전관리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안전관리 매뉴얼은 작업개요, 작업절차, 공종별 재해발생현황, 세부공종별 재해발생 빈도 및 강도,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작업위험요인, 주요재해사례/위험요인 및 대책, 위험요소 체크리스트 및 단계별 저감대책의 순으로 구성하였다. 농업토목공사 현장 특성에 부합하는 위험성평가와 매뉴얼 작성을 위해 사업, 시설물, 공종을 분류하고 코드화하였다. 안전관리 관련 법규와 한국농어촌공사 분류체계 현황조사를 통해 대분류 5개, 중분류 17개, 소분류 67개의 사업을 도출하였다. 농업토목공사 준공도면 227건을 분석하여 18개 주시설과 111개 부시설로 농업토목시설물을 구분하였다. 농업토목공사 계획설계기준과 안전보건공단 공종분류를 이용하여 대공종 38개와 세부공종 113개를 도출하였다. 재해요인을 분석하고, 위험성을 계산하였다. 재해사례별로 유형화하고, 요인을 구분하였다. 발생위험성은 발생빈도와 발생강도의 곱으로 계산하였다. 발생빈도와 발생강도를 크기에 따라 각각 3점 척도로 구분하여 빈도지수와 강도지수로 나타냈다. 두 지수를 곱하여 최종 9점 척도의 위험지수를 제시함으로써 집중관리 대상 공종을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삽화를 제작하고, 대책을 제시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해 대공종과 하부 세부공종에 대한 관련사진을 수집하였다. 추가필요 사진은 전국 현장의 협조를 받아 수집하였다. 수집된 사진을 개념화하여 현장에서 이해하기 쉽게 하고, 각 세부공종을 대표할 수 있도록 삽화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공종별 삽화에 작업위험요인을 말풍선으로 지적하여 위험요인을 도출하였다. 위험요인을 인적, 물적, 작업방법, 기계장비의 4M 방법으로 구분하여 대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농업토목공사 안전관리 매뉴얼은 안전보건공단 및 한국농어촌공사의 안전관리 담당자와 협업을 통해 완성되었으며, 농어업 건설현장에서 위험성평가 교육 및 현장 위험요인 도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제주도 밭작물 용수사용량 분석

        김현수,이영일,강봉균,송창길,전택기,Kim Hyeon Soo,Lee Yong Il,Kang Bong Kyoon,Song Chang Khil,Jun Taek Ki 한국관개배수위원회 2005 한국관개배수논문집 Vol.12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basic data for the agricultural water development project in Jeju-do. In this study, Jeju-do was divided into four regions considering the precipit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Water used for irrigation of the major

      • 새만금 외해역의 지형변화 모니터링 연구

        양영진 ( Young-jin Yang ),전택기 ( Taek-ki Jun ),오수훈 ( Soo-hun Oh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새만금 간척종합개발사업은 1991년 11월 방조제 공사 착공을 시작으로, 2006년 4월 방조제 최종 물막이 공사를 완료한 이후, 2010년 4월 새만금 방조제 준공을 하였다. 북으로는 만경강, 남으로는 동진강 하구를 포함하며, 4개의 방조제와 2개의 배수갑문(신시, 가력)이 건설되었다. 방조제는 3호 -> 1호 -> 4호 -> 2호 순으로 시공 되었다. 비응도에서 대항리까지 방조제의 총 길이는 33.9km이다. 새만금 사업 전체 면적은 401㎢이며, 간척지 개발이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다. 새만금 방조제 축조 완료 이후 해양환경변화는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국부적으로 지형의 침식과 매몰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새만금 방조제 축조 영향이 직·간접적으로 작용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새만금 2호 방조제 외측에 건설되고 있는 새만금신항(건설기간 2009∼2030)은 인근해역의 해양환경조건에 또 다른 중요한 변화 요인으로 평가된다. 일차적으로 해류의 방향이 변화할 것이다. 신항 축조를 위한 해사채취는 해저지형 변동을 야기할 것이고, 장기적으로 생태계전반의 변화가 불가피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지형의 변화는 사회·경제적인 변화를 야기하며, 인근 거주민들의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새만금 외해역에서 일어나는 지형변화의 원인을 파악하여 미래를 추정하고, 향후 발생 가능한 악영향 대비를 위한 선제적 대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06년∼2018년까지의 수심측량 결과를 이용하여 새만금 외해역의 시간적, 공간적인 변화를 분석하였다. 시간적 요인을 통해 과거 각 건설 단계별 지형변화 양상을 파악하였다. 1호 방조제 외해역은 2010년을 기준으로 시간적인 지형변화를 보였다. 1호 방조제 최종체절 이후 2010년까지 연간 약 11.2cm의 누적적인 집적이 이루어졌으며, 신항만 방파제 건설기간 동안 연간 약 13.5cm 씩 지속적인 침식이 진행되었다. 2호 방조제도 2010년을 기점으로 시간적인 지형변화를 나타내었다. 2호 방조제 건설 이후 2010년까지 연간 약 15.8cm의 지속적인 집적이 발생하였다. 2006년∼2008년에는 침식되었으며, 2구역 준설에 의한 결과로 판단된다. 신항만방파제 건설을 시작한 2011년부터 방파제가 수면위로 노출된 2014년까지 연간 약 17.1cm의 침식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3호 방조제 외해역의 시공간적인 지형변동 또한 신항만 방파제 건설을 기점으로 뚜렷한 지형변화를 나타내었다. 방파제 건설을 시작하면서 현재까지 연간 약 14.3cm 씩 지속적인 침식이 진행되고 있다. 4호 방조제 외해역은 해측 준설구역에서 세굴지형이 유지되고 있다. 끝막이 개방구간 전면에 생긴 해저 웅덩이는 내부 매몰이 진행되고 있다. 새만금 신항의 건설로 인해 1호∼4호 방조제 전 구간 외해역의 시·공간적 지형변화가 발생하였다. 특히, 2호 방조제 북쪽지역(고군산군도 남쪽), 남쪽지역(비안도 남쪽)과 신항만 방파제 주변 해역에서 대규모 집적이 이루어졌다. 집적현상은 2014년부터 2017년까지의 지형변화에서 뚜렷이 나타난다. 현재 새만금 2호 방조제 외해역은 신항만 방파제 건설에 따른 지형변동이 큰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지형변화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 재해분석을 통한 농업토목공사 공종별 위험지수 평가

        양영진 ( Young-jin Yang ),전택기 ( Taek-ki Jun ),오수훈 ( Soo-hun Oh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의 유지·증진 및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정부와 각 산업주체들은 다양한 법과 정책들을 시행하고 있으나, 경제·사회의 급격한 발전에 따른 공사의 대형화, 복합화, 공사제약조건 증가 등의 이유로 건설업의 재해율은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으며, 특히 농업토목공사의 2016년 기준 재해율은 1.33%로 건설업 평균재해율 0.41% 대비 3.2배의 재해가 다발하고 있다. 농업토목건설업은 저수지, 양배수장, 간척지 등 종합적이고 복합적인 시설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설재해 위험성 평가시 일반 건설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모는 작지만 다양한 종류로 구성된 시설특성의 고려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토목공사 실태조사와 재해발생현황 및 재해사례 분석을 통해 유해위험공종과 공종별 유해·위험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재해 발생빈도와 발생강도를 산출하여 정량화된 위험지수를 제시하였다. 정량화된 위험지수는 농업토목공사 공종별 위험성평가모델 및 안전관리매뉴얼의 작성에 요구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현행 농업토목공사 위험성 평가절차의 정성적인 한계극복과 평가제도의 실효성 확보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농업토목공사 재해현장의 사업별, 시설별, 공종별 조건의 복합적인 관계에 따른 위험지수를 평가하기 위해서 각 조건별 체계를 분류하였다. 한국농어촌공사의 표준분류체계인 단위사업분류체계와 WBS 및 농어촌정비법을 매핑하여 농업토목공사 사업을 대분류 5개, 중분류 17개, 소분류 67개로 분류하였다. 또한, 기존 준공도면 227건과 KPMS를 분석하여 18개의 주시설과 111개의 부시설로 농업토목시설물을 구분하였으며, 한국농어촌공사 공사감독핸드북과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 및 안전보건공단의 건설공사 공종분류를 통해 대공종 38개와 세부공종113개를 도출하였다. 안전보건공단의 과거 5년간(2012∼2016년) 농업토목공사 재해사례 828건을 재해유형 및 재해원인별로 분석하여 농업토목공사의 위험공종을 제시하였다. 공종별 위험지수는 재해 발생빈도와 발생강도의 곱으로 산정하였으며, 분류별 각 해당 항목의 위험도 백분위로 정량화하였다. 공사규모별 재해발생 위험지수는 총공사비 50억 이하가 71.8%로서 대부분 소규모 공사에서 발생하였다. 월별 재해발생 첨두 위험지수는 11월에 13.8%로 나타났으며, 시간별 재해는 오전 10시에 최대 위험지수인 13.1%로 분석되었다. 지역별 재해는 전라남도가 16.2%로 제일 높았다. 대분류 사업별 재해는 생산기반정비사업에서 37.4%로 제일 높았으나, 소분류에서는 농촌지역종합개발지원사업이 21.4%로 가장 위험지수가 높았다. 시설물은 용배수로에서 25.2%로 가장 위험지수가 높게 산정되었다. 대공종분류에서는 거푸집작업이 24.57%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세부공종은 관부설 작업의 위험지수가 9.1%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 연안통합관리방안 제정에 따른 자연환경형 해안정비 기술수법에 관한 연구

        박종화 ( Park Jong Hwa ),전택기 ( Jun Taek Ki ) 한국농공학회 199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1999 No.-

        The revision of domestic laws is in progress according to the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Coastal Zone Management. Along with it, the governmental policies related to maritime environmental preservation, especially around coastal zones and public works have been promoted based on environment, swiftly changed from the old function-based style. Therefore, this report will point out the important aspects which should be considered whenever there is any project on the coastal zones, suggest and classify projects of reviving the nationwide coastal zones, and show how to planning, check and evaluate the necessary technologies for reviving the coastal zones. This research will track down the coastal zone management method based on the natural environment as one of the necessary process to check the coastal zone environment for effective operating of the costal zone management equipment method, starting on August 9, 1999, and report the technologies related with it.

      • KCI등재

        우리나라 농어촌 환경색채 현황분석 및 의식조사

        이진숙(Lee Jin-Sook),진은미(Jin Eun-Mi),전택기(Jun Taek-Ki),홍룡일(Hong Long-Yi) 대한건축학회 201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6 No.8

        Recently, consciousness of the urban landscape have been improved. So, various institutional and financial system were provided by local government. In fact, our country is surrounded rural landscape. But, we don't have interest in rural landscape. It is very important thing that frame for rural landscape and establish the direction for the color design. In this study, environmental color of rural landscape was measured and that was assorted into two types; natural(soil, trees) and artificial(architecture, facilities). And then, we surveyed about status of environment color in rural village. The survey came out three parts; dweller in rural village, public officials of local government(they are in charge of landscape), expert. So, it will be supplied as a basic reference for color design of rural landscape in our country.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Natural environment color(trees and soil) was differently distributed by latitude and altitude. Artificial environment color had various and complicated composition without loc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survey, most of all subjects(dweller in rural village, public officials of local government, expert) realized the problem of the rural color that wasn't harmonious with surroundings environment. Also, dwellers want to be harmonized with surroundings environment. So, those facts will be reflected in the color design in rural village.

      • 농업용 저수지의 개보수 주기 분석

        김현수 ( Kim Hyeon Soo ),이영일 ( Lee Yong Ii ),전택기 ( Jun Taek Ki ) 한국농공학회 200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4 No.-

        수리시설물의 적정 개보수 주기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각 시설물의 설치 후 관리상태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그러나 농업기반공사와 시 · 군에서 관리하는 시설물의 설치 후 개량 및 보수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관리가 미흡하였다. 현재 또는 앞으로 몇 년 동안의 수리시설개보수사업을 위해서가 아니라 향후 지속적인 수리시설물의 안전과 정상적인 기능 유지 및 향상, 그리고 효을적 관리를 위해서는 각 시설물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구축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는 여러 가지 여건으로 신규로 수리시설물을 건설하는 것이 어려운 현실에서 기존의 수리시설의 합리적 활용을 위해서는 앞으로의 수리시설물 개보수 추진계획 및 투자계획 수립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농업용 저수지의 적정 개보수 경과연수를 도출하기 위하여 2003년도 수리시설개보수사업 225개소 저수지를 대상으로 지역별 · 공종별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농업용 저수지의 준공연도로부터의 2004년까지의 평균 개보수 경과연수는 41.7년이었다. 2. 지역별로는 충북지역 27.3년으로 가장 짧게 나타났고, 전남지역이 51년으로 가장 길었으며, 이들 지역의 개보수 경과연수 차는 20년 이상으로 크게 나타났다. 3. 공종별로는 제체의 개보수 경과연수가 44.6년으로 물넘이 40.1년, 취수공 41.6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나타났다. 각 시설물에 대한 준공 후 관리정보의 D/B화는 각 공종별 경과연수에 따른 시설물 상태 등을 고려한 개보수 필요시점 예측을 가능케 하며 장기적인 투자계획 수립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habilitation and upgrading cycle for the agricultural reservoir. The data used in this analysis are 225 reservoirs from the rehabilitation and upgrading project report in 2003. 1. It took 41.7 years to rehabilitate the agricultural reservoirs from the completion. 2. It took 27.3 and 51 years in Chungbuk and Jeonnam province respectively to rehabilitate the agricultural reservoirs. 3. The average cycles of the rehabilitation were 40.1, 41.6, and 44.6 year for the spillways, intakes and dam embankments respectively.

      • 농업여건 변화에 따른 수리시설 개보수 방향

        이영일 ( Lee Young-il ),김현수 ( Kim Hyeon-soo ),전택기 ( Jun Taek-ki ) 한국농공학회 200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5 No.-

        Rehabilitation and upgrading of the irrigation facilities are usually for the reservoirs, pumping stations, and other facilities in the paddy fields. Changes in food consumption patterns have taken place in Korea and there are growing foreign demands that we open our agricultural products market. In accordance with this situation, farmers are turning increasingly to growing vegetables which provide a high income cash crop. It is necessary to irrigate by pressure through pipe lines in farming facilities and mass production farming. Flood damage occurs as a result of heavy rainfall. The design criteria should be followed to minimize the risk of the flood damage in rehabilitation and upgrading.

      • KCI등재

        농어촌 경관이미지 형성을 위한 경관색채 가이드라인 제작

        이진숙(Lee, Jin Sook),진은미(Jin, Eun Mi),전택기(Jun, Taek-Ki),홍룡일(Hong, Long-Yi)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3

        우리나라의 주된 경관을 형성하고 있는 농어촌에 대하여, 아름다운 금수강촌실현과 농어촌 주거환경 이미지형성을 위하여, 자연환경과 조화하면서 동시에 시대적 감성을 반영할 수 있는 농어촌마을의 환경색채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다. 색채가이드라인 작성을 위한 경관권역은 17개 경관권역으로 수목과 토양의 색채분포 특성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농어촌의 입지조건은 기존문헌을 토대로 하여 평야부 농촌마을, 산간부농촌마을, 도시근교농촌마을, 도서어촌마을, 강촌마을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경관권역, 마을의 입지조건 및 자연환경조건, 장소적 특성을 반영하여 색채적용 유형을 11가지로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마을의 입지유형별 특성, 토양·수목 등의 자연환경색채의 분포특성, 장소적 특성을 반영하여 색채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다. 색채계획의 기본 방향은 평야부 농촌마을은 토양색채분포 특성과 연계·반영한 색채를 적용하고, 산간부 농촌마을은 수목색채분포특성과 연계·반영하여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으며, 도시근교형과 도서어촌형, 강촌형에는 장소적 이미지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색채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다. 색채가이드라인은 건축물을 용도별로 구분하고, 시설물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제작하였으며, 재료 에따라 색채가이드라인의 적용방안을 작성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색채가이드라인을 적용하는 방법을 색채적용모델로서 작성하여 제시하였다. For the rural villages which constitute the main landscape in Korea, a guideline for the environmental color of the rural villages were prepared which conform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reflect the emotion of the time at the same time to realize the beautiful country and create image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The landscape zones for the preparation of the color guideline were consisted of 17 zones and classified by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distribution of the trees and soils. The conditions of location was divided into 5 types based on the exiting documents as the farming village in plain, the farming village in the mountain, the farming village in suburban area, the fishing village in islands, and the riverside village. The applied color types were set in 11 colors reflecting the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 type of loca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s. Thereafter, the color guideline was prepare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by the village location,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environment including soils and tre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