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모바일 GIS를 이용한 지리정보 서비스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전철민(Jun Chulmin) 한국지적학회 2004 한국지적학회지 Vol.20 No.1

        정보기술이 빠르게 발달하면서 정보의 제공수단으로서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주로 데스크탑이나 웹을 대상으로 개발되어 왔던 GIS의 응용프로그램들이 최근에는 무선기기에서도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무선환경에서 GIS를 서비스하기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 중에 하나는 GIS데이터가 일반 bitmap이나 vector포맷의 전송보다는 복잡하거나 파일크기가 크다는 것이다. 또 하나의 문제는 GIS 응용프로그램들이 특정 플랫폼을 대상으로 개발되고 있어 상호간 데이터 호환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 플랫폼에 상관없이 인터넷상에서 데이터 전송이 가능딴 XML기술이며, 지리정보분야에서는 XML에 근거한 문서규약으로서 GML이 개발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GML은 SVG와 같은 plug-in을 다운로드 받아서 간단히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번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의 전송수단들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GML의 유용성을 분석하고, GML을 이용한 모바일 GIS 서비스의 구축전략을 논의한다. Due to the fast development of information Lechnology, mobile devices such as cellular phone and PDA are increasingly being used in linformation transmission GIS applications, which have primarily been developed for Desk-tops or Webs, are beginning to be adopted in mobile devices. However, communicating geographic information in mobile environment has some limitations. One of the problems is that GIS data are generally complex of big in size compared to bitmap and vector format. The other found in current applications is that each of them is developed for a specific platform. A solution to this problem has been sought using the XML, which is designed to transfer structured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regardless of platform types. In GIS area, GML is receiving attention as the document specification for geographic feature based on XML technology GML can be visualized simply using client plug-ins such as SVG. This study compares different data formals for transmitting geographic features and then suggests the framework for developing a mobile-GIS service using GML.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도로 네트워크를 따른 교통사고 핫스팟의 시각화

        조나혜,전철민,강영옥,Cho, Nahye,Jun, Chulmin,Kang, Youngok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18 지적과 국토정보 Vol.48 No.1

        최근 우리나라의 경우 교통사고 예방활동으로 자동차 보유에 따른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서울의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자동차 1만대 대비 사고 건수는 전국에서 광주와 함께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인적 재난인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특히 교통사고에 대한 공간적 분석을 연구한 초기 연구들은 교통사고 클러스터 지역을 확인하기 위해 행정구역 별 교통사고 건수를 집계하거나, 커널밀도 방법을 통해 밀도를 추정하여 분석하는 경우가 다수를 이루었다. 그러나 교통사고는 도로를 따라 발생하는 사건이기 때문에 도로상에서 교통사고 다발구간을 찾는 것이 더 의미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로 네트워크를 따라 교통사고 집중 지역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가지 방법으로 교통사고를 가장 가까운 도로 네트워크에 할당한 뒤, Getis-Ord $Gi^*$에 의한 핫스팟 분석을 통해 교통사고 다발구간을 분석하였다. 하나는 10m 단위의 일정한 도로 링크를 중심으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다른 하나는 도로구간별 단위 길이 당 평균 교통사고를 계산하여 교통사고 밀집구간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 방법에 의한 분석 결과 교통사고가 집중되는 특정 도로 구간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반면, 두 번째 방법에 의한 분석 결과 도로링크의 특성에 따라 교통사고 집중지역이 길게 나타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방법에 의한 교통사고 다발구간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향후 해당 지역의 교통환경을 분석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보다 명확한 구간을 파악하는 것이 유의미할 수 있다.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car accidents has been decreasing steadily due to traffic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in Korea. However, the number of accidents in Seoul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regions.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which are human disasters. In particular, previous studies have performed the spatial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by counting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by administrative districts or by estimating the density through kernel density method in order to identify the traffic accident cluster areas. However, since traffic accidents take place along the road, it would be more meaningful to investigate them concentrated on the road network. In this study, traffic accidents were assigned to the nearest road network in two ways and analyzed by hotspot analysis using Getis-Ord Gi* statistics. One of them was investigated with a fixed road link of 10m unit, and the other by computing the average traffic accidents per unit length per road section. As a result by the first method,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specific road sections where traffic accidents are concentrated.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by the second method showed that the traffic accident concentrated areas are extensibl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road links. The methods proposed here provide different approaches for visualizing the traffic accidents and thus, make it possible to identify those sections clearly that need improvement as for the traffic environment.

      • KCI등재

        EgresSIM을 이용한 대형건축물의 미시적 대피시뮬레이션

        곽수영,남현우,전철민,Kwak, Suyeong,Nam, Hyunwoo,Jun, Chulmin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16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25 No.1

        본 논문은 미시적 대피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인 'EgresSIM'을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EgresSIM은 미시적 보행모델인 Floor Field Model과 이를 발전시킨 개선된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3차원 보행자 대피시뮬레이터이다. 이 소프트웨어는 많은 층과 계단, 방, 출입구 등이 있는 대형건축물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또한, 수백, 수천 명의 보행자를 실내 공간에 배치하고 이들의 움직임을 3차원 뷰어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개별 보행자들이 어떤 경로로 이동하는지, 대피시간은 얼마나 소요되는지, 각각의 출구에 얼마나 많은 대피자들이 몰렸는지 등 대피 상황에 대한 상세한 결과를 산출한다.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건물 데이터는 사전에 정의된 실내 데이터 모델에 따라 XML 파일로 구축되며, 시뮬레이션 결과 정보도 XML 로그파일로 생성된다. EgresSIM에서 지원하는 두 가지 보행모델의 민감도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보행자들의 이동 패턴을 여러 가지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통해 최단 거리 출구로 이동하는 상황, 정전이 일어난 암흑 상황 등 여러 상황을 가정한 대피시뮬레이션 수행이 가능하다. This paper introduces 'EgresSIM', which is microscopic evacuation simulation software. EgresSIM developed in this paper is a three-dimensional (3D) pedestrian evacuation simulator based on the improved model advanced from the floor field model(FFM), a microscopic pedestrian model. This software can simulate large size buildings that consist of a number of floors, stairs, rooms, and exit doors. Moreover, this software can arrange several hundreds or thousands of pedestrians in indoor space and check their movements through the 3D viewer in real time, as well as produce detailed results about evacuation situations such as which paths are employed by individual pedestrians, how long does it takes to evacuate, and how many evacuees are gathered at each of the exit doors. Building data needed in the simulation are constructed as XML files according to pre-defined indoor data models and information of simulation results is also created as XML log files. A moving pattern of pedestrians can be represented in many ways by adjusting the sensitivity parameters of two walk models supported by EgresSIM. Thus, evacuation simulation can be done based on many assumptions of situations such as movement to the nearest exit door or blackout after outage.

      • 보행자의 물리적 특성을 반영한 CA기반 보행모델

        남현우,곽수영,전철민,Nam, Hyunwoo,Kwak, Suyeong,Jun, Chulmi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2

        The floor field model is the micro pedestrian model based on a cellular automata for modeling pedestrian movement in the interior space using the static and dynamic floor field. It regards a form of pedestrian as square but the actual pedestrian's shape and size are similar to ellipsoid or rectangle. Because of this, we are difficult to give a rotation effect to pedestrians and there is a limit to reflect an impact of clogging and jamming. Also, this model is not able to reflect an impact of a posture and visibility effectively in the pedestrian movement. In this study, we suggest the improved pedestrian model incorporating the actual shape and size of pedestrian. The pedestrian's shape is defined not square but rectangle which is close to the actual body size of Korean. Also, we define the model which is able to represent the impact of clogging and jamming between pedestrians by adding the pedestrian's posture. We develop the simulator for testing the suggested model and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two models by comparing a number of effects. As a result, we could confirm solving the problem with dynamic value in the existed model and reflecting the panic effect in evacuation situation. Floor Field Model(FFM)은 실내에서 보행자의 움직임을 모델링하기 위한 CA기반 미시적 보행모델이며, static과 dynamic floor field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움직임을 표현해낸다. 다만, 실제 보행자의 크기와 모양은 타원체나 직사각형과 유사한데, FFM에서는 정사각형 형태의 보행자를 설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보행자들의 회전효과 부여에 어려움이 있으며, 보행자들끼리 발생하는 충돌, 끼임 등의 영향을 반영하기에 한계가 있다. 또한, 보행자의 자세 시야의 변경에 따른 영향들도 효과적으로 반영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FFM이 가진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해 보행자의 크기, 모양 등의 물리적 특성을 반영한 보행모델을 제시한다. 본 모델에서는 정사각형이 아닌 직사각형 형태로 보행자를 정의하며, 한국인의 실제 신체크기에 가깝도록 하였다. 또한, 보행자의 자세정보를 추가하였으며, 보행자들 간에 발생하는 충돌, 끼임 등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도록 정의하였다. 제안된 모델을 이용한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으며, 개선된 모델과 기존 모델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모델에서 발생하던 dynamic value 적용문제의 해결과 대피상황에서 발생하는 패닉현상의 반영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교통카드 데이터를 이용한 버스 승객 대기시간 최소화 알고리즘 개발

        전상우,이정우,전철민,Jeon, Sangwoo,Lee, Jeongwoo,Jun, Chulmi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5

        Bus headway plays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determining the passenger waiting time and bus service quality, but also in influencing the bus operation cost and passenger demand. Previous research on headway control has considered only an hourly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ridership between peak and non-peak hours. However, this approach is too simple to help manage ridership demand fluctuations in a short time scale; thus passengers' waiting cost will be generated when ridership demand exceeds the supply of bus services. Moreover, bus ridership demand varies by station location and traffic situation. To address this concern, we propose a headway control algorithm for minimizing the waiting time cost by using Smart Card data. We also provide proof of the convergence of the algorithm to the desired headway allocation using a set of preconditions of political waiting time guarantees and available fleet constraints. For model verification, the data from the No. 143 bus line in Seoul were used. The results show that the total savings in cost totaled approximately 600,000 won per day when we apply the time-value cost of waiting time. Thus, we can expect that cost savings will be more pronounced when the algorithm is applied to larger systems. 버스 배차간격은 승객의 대기시간 및 차내 혼잡도 등 서비스 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간접적으로는 버스 운행비용 및 이용자의 교통수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버스 배차간격은 첨두시와 비첨두시 구간 통행량을 기반으로 시간대별 수요의 차이만을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의 배차계획하에서는 세분화된 시간적 수요의 차이까지 고려하지 못하므로 승객들의 대기시간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승객의 승차패턴은 노선, 도로, 정류장의 공간적 배치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버스 승객들의 시공간적 수요분포 특성과 변화를 고려한 배차간격 조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카드 데이터에서 획득한 승객 탑승정보를 바탕으로 정책적 대기시간 제약과 운행 대수 제약조건 및 노선 특성을 반영하여 승객들의 대기시간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배차간격을 조절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개발 알고리즘의 활용성 검증을 위해 서울시 간선노선 중 143번 노선에 적용한 결과, 승객 대기시간 감축비용을 계산하였을 때 비용절감 효과는 일일 기준 약 600,000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발 알고리즘의 적용 노선을 확장할 경우 버스 승객의 편익 증진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 자전거 이용 시설물의 균형적인 관리를 위한 평가 - 송파구 역세권을 대상으로

        김지연,김혜영,전철민,Kim, JiYeon,Kim, HyeYoung,Jun, ChulMi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3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1 No.3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따라 지속적인 자전거 이용 시설물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용자 또는 전문가들의 설문을 중심으로 자전거 이용 환경 평가를 하여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는 자전거 이용 시설물들을 균형적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정량적인 평가지표를 설정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자전거 이용 환경 평가지표를 토대로 자전거 이용자들이 이용 가능하며 정량화할 수 있는 이용 시설물 변수를 도출하였으며 시설물의 단위를 설정하였다. 평가를 위해 대상지를 송파구 역세권으로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은 첫째, 사분면을 변형한 '자전거도로-시설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개별적인 시설물 현황 및 역세권을 상대적으로 파악하였다. 둘째,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여 자전거 이용 시설물들을 전체적으로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시설물 변수들 중 공통적인 성질을 갖고 있는 변수들로 그룹화하여 비슷한 유형의 역세권을 파악하였으며 그룹별로 순위를 선정하였다. Continuous management of bicycle facilities is needed, as uses of bicycles are increased. In the previous studies, evaluation of bicycle facilities were performed mainly from the surveys to bicycle users and expert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facilities for bicycle uses by setting up the quantitative assessing measures for the purpose of contributing to balanced management of the facilities for bicycle uses. Based on the existing measures provided in the previous studies about conditions for bicycles users, the variables of the facilities that are available and quantifiable were derived, and the scales of the facilities were set up. For evaluation, the station influence areas in Songpa District were selected as test areas. The methods for analysis were, first, to carry out the 'bicycle roads-facilities' analysis, which was modified from quadrant method. Consequently, individual facilities and station areas were relatively examined. Secon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icycle facilities were analyzed in a general and integrated way. From that, the variables sharing common characteristics were grouped, similar types of stations influence areas were found out, and then the groups were rank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