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잡지의 근대주체 형상화에 관한 연구

        전용숙(Jeon, Yong-sook)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69 No.-

        이 논문은 잡지『어린이』의 소녀상을 고찰하고 1920년대에 근대적 주체로 호명된 ‘소녀’의 변별적 주체성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연구의 효율을 위해 신문관 잡지에 드러난 근대적 주체에 대한 논의도 병행하였다. 1900년대부터 1920년대 전후는 근대화라는 미명 아래 근대 주체의 개념이 형성되던 시기이고 근대주체를 형상화하는 형식과 내용들이 매체를 통해 등장, 확장된 시기이다. 계몽주의, 민족주의 등의 사상이 각축을 벌이는 복잡한 ‘문학장(場)’에서 출판업의 활성화와 유통의 원활함은 근대주체의 정립에 지대한 역할을 한다. 1910년대 아동잡지는 새로운 주체호명의 선두에 선 셈인데, 이 때 호명된 ‘아동’의 개념이 처음부터 확고하게 정립되어 있었던 것은 아니다. 1910년대 최남선의 잡지를 살펴보면 ‘아동’의 개념은 곧 ‘소년’이었고 이 용어에는 성별에 따른 개념분화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1920년대『어린이』에서 ‘아동’이라는 용어는 ‘소년’과 ‘소녀’로 분화되게 되었고 실제로 잡지에서도 각각 구별하여 표기하고 있다. 『어린이』의 ‘소녀’ 라는 기표는 당대의 계몽담론의 영역 내에서 작동하면서도 ‘소년’ 기표만으로는 성취할 수 없는 더욱 다층적인 계몽담론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즉 신문관 잡지에서는 꿋꿋하고 진취적인 아동상을 구현하며 칭찬받아 마땅한 덕목을 실천한 경우를 제시하고 동기 유발하기에 힘썼던 반면에 『어린이』는 비극적 정서를 극대화하는 이야기 구조를 활용하여 근대적 주체화를 추동하는데 총명하고 재능 있는 소녀뿐만 아니라 굳센 소원을 가지고 있으나 병약한 소녀들까지 다양한 이미지의 주체들을 동원하고 있다. 이 때 나타나는 감성적 비애와 포용력이라는 여성적 이미지들은 현실의 문제를 더욱 절실하고 체화된 방식으로 경험하게 만든다. Establishing ‘modern’ society stems from modern ‘subject,’ without which pre-modern society cannot be transformed towards whole-new modern one. As a modern nationalist writer and thinker, Choi Nam Sun emphasizes establishing modern society as a means of a strong nation through educating and enlightening its people all his life. Naturally his focus turns towards children and adolescents, for they are the real future of the nation. His modern subject, however, has not gender-distinction, while Bang Jeong Hwan pays close attention to female children, which expresses his unique literary style as a result. Bang shows his emphasis modern values such as courage, wisdom, devotion just like Choi, whereas he depicts his females characters with gendered emotions like melancholy, grief and compassion. Bang’s delicate reflection and distinction of gendered subject has great meanings in that it imagines modern subject more concretely and abundantly.

      • KCI등재

        D대학 설득적 글쓰기 첨삭지도와 ZOOM 활용 방안 모색

        박호관(Park, Ho-gwan),전용숙(Jeon, Yong-sook) 우리말글학회 2020 우리말 글 Vol.85 No.-

        이 논문은 대학 글쓰기의 교과목과 연계한 비교과 프로그램 “설득적 글쓰기 클리닉”의 한계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ZOOM을 활용한 담당교수의 온라인 첨삭지도를 제안한 것이다. 2장에서는 대학 글쓰기 첨삭지도와 관련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3장에서는 D대학 〈글쓰기기초〉 교과목과 연계하여 비교과프로그램으로 진행하고 있는 D대학의 글쓰기 클리닉의 한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4장에서는 이를 어느 정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온라인 프로그램인 ZOOM을 활용한 1:1 대면적 영상회의 첨삭지도 방안을 제안하였다. 즉 담당교수의 글쓰기 과정별 모둠 토론 결과를 ZOOM을 활용한 온라인 첨삭지도와 병행한다면 3장에서 제시한 이러한 문제들이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보이며, 학습자들의 글쓰기 절차와 과정별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This thesis presents the limitations of the ‘Persuasive Writing Clinic’, which is a non-subject program that is linked to the subject of the University writing, and, as an alternative to this, the online correction guidance by the professor-in-charge utilizing the ZOOM was proposed. In Chapter 2, the precedent researches that were related to the writing correction guidance at the university had been examined. And, in Chapter 3, the limitations of the Writing Clinic at the D university, which had been proceeded with as a non-subject program by linking to the subject "The Foundations of Writing" at the D university had been taken a look into. And, in Chapter 4, as a plan for overcoming this to a certain extent, the 1:1, face-to-face videoconferencing correction guidance method utilizing the ZOOM, which is an online program, had been proposed. Or, in other words, if the results of the group discussions by the writing program of the professor-in-charge are carried out with the online correction guidance utilizing the ZOOM, it looks like such problems that had been presented in Chapter 3 will be solved to a certain extent. And it is highly expected that the writing procedure of the learners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by program will become possible.

      • KCI등재

        시대 전환기에 제기하는 국립교양대학

        안현효(Hyeon Hyo Ahn),김영우(Young Woo Kim),전용숙(Yong Sook Jeon)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5

        본 논문은 대학체제 개편 논의의 맥락에서 한국형 리버럴아츠칼리지의 설립방안을 탐구하여 이 방안이 교육과정 개혁을 위한 학사구조의 쟁점을 해결하기 위한 역사적 경로상 최적의 대안인지를 확인하고, 그러한 학사구조 대안을 실천하는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교육의 본질을 지키고, 대학이 변화하는 시대상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초학문을 키워야 하는데 기초학문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교양교육과정을 활성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 개혁은 학사구조 개혁으로 뒷받침되어야 하며 이는 한국형 리버럴아 츠칼리지를 요구한다. 셋째, 한국형 리버럴아츠칼리지에 관한 여러 논의 중에서 대학체제 개편을 기반으 로 한 국립교양대학의 설립이 가장 현실적이다. 그런데 국립교양대학 논의가 대학체제 개편의 전제로서 제안되는 경우 대학체제개편을 하지 못하면 실행할 수 없는 안이라는 문제가 있다. 이 글에서 우리는 대학체제 개편 이전에 가능한 국립교양대학의 구체적 설립 모델을 제안하였다. 국립교양대학 설립의 로드맵은 기존 대학체제 내에서 교양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단과대학으로 국립교양대학을 신설하여 점진적으로 전국의 교양교육과정을 수렴하게 하는 표준 커리큘럼을 만들고 표준화에 합의하여 장기적으로 전국적 교양교육을 맡는 국립교양대학으로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이는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설립에 이어서 우리나라에서 교양교육을 확고하게 자리잡게 할 개혁의 시작이 될 수 있다. This essay investigates how to establish a Korean Liberal Arts College in the context of the University System Innovation debate, which is regarded as the best practical way to solve the problem found in the higher education academic structure in Korea. The problem with Korean universities is that basic science becomes weaker in the restructuring process. To solve this problem, we should understand that basic science is closely related to general education in undergraduate education. The way to solve this issue is to establish an independent academic structure to be responsible for general and liberal education, so called “Korean Liberal Arts College”. Among a few versions of the “Korean Liberal Arts College”, the National General (Liberal) Education College in the context of University System Innovation debate is proposed as a college that will provide undergraduate courses in the university system. This college will be evolved to be responsible for the general (liberal) education in undergraduate courses at the national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