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 아카이브즈 설립 활성화을 위한 방향 모색

        전상숙,Jeon, Sang-Sook 한국기록학회 2000 기록학연구 Vol.0 No.2

        This paper seeks to activate the discussion on the 'University and College Archives', which are to be established under the provision of 'the Law on the management of the records of public institutions' which are going to be enforced from 2000. For this purpose, we need to know about the university archives: what is university archives, how that was developed, and what's the meaning of university archives in academic society. Because we can find out exactly the flaw of the discussion on university archives, having been discussed nowadays, get to know the problems, and can seek the desirable directions to establish university archive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archives. The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public on the preservation of public records has rapidly improved so that there should be no objection to the premise that we need to preserve, manage, and utilize public records in order to let democracy take root in our society. In the same vein, to preserve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university which had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democratization of our society will serve as a foundation to fix the identity of the university by recognizing the socio-political functions of the university and culture of it in this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the records to be preserved in the archives, especially university archives, which include various aspects of the university and students, will promote the democratization of the university itself which has been questioned in several universities recently.

      • KCI등재

        우가키 총독의 내선융화 이데올로기와 농공병진 정책 : 우가키 조선 총독정치의 지배정책사적 의미에 대한 재고찰

        전상숙(Sang Sook Jeon)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0 현상과 인식 Vol.34 No.4

        우가키의 농공병진정책은 조선산업개발정책이었다. 그것은 조선총독부의 시책을 농업중심으로부터 공업화정책으로 전환한 것이었다. 그것은 우가키의 조선을 중심으로 한 블록개발론에 기초한 것이었다. 이는 당시 일본 정부가 추진하던 만주개발 중심의 일만블록노선과는 차이가 있었다. 우가키의 블록경제권 구상은, 일본의 체제위기를 조선개발정책을 통해서 타개하고자한 것이었다. 이는 우가키가 자신의 정치노선의 정당성을 입증해 정치적 재기의 기반으로 삼고자 한 독자적인 실천구상이었다. 이의 성공을 위해 우가키는 강력한 사상통제와 이데올로기 동원을 동반하였다. 그것이 곧 ‘내선융화’였다. 사상통제를 동반한 우가키의 조선산업개발정책은 이후 조선총독부가 일본보다 앞서, 일본에서보다 더욱 강력한 관치통제체제를 구축하는 기본 토대가 되었다. Ugaki’s policy for the uniform advancement of agriculture and industry was Chosun industrial development policy. It was to convert the agricultural policy of Chosun Government General to the industrialization policy. It was based on Ugaki’s economic bloc development plan centered on Chosun. It was different from the Japan-Manchurian bloc which had been carried by government of Japan. Ugaki’s economic bloc plan was to resolve the Japanese systematic crises by Chosun development policy. It was Ugaki’s independent practical policy to prove his political legitimacy to be steppingstone of his political resurge. Ugaki accompanied thought control policy and ideological mobilization for his political success. It was ‘reconciliation between Japan and Chosun. Chosun industrical development policy accompanied thought control became the bases which Chosun Government General enforced earlier and stronger bureaucratic control system than Japan.

      • KCI등재

        1920년대 사이토오(齋藤實)총독의 조선통치관과 "내지연장주의"

        전상숙 ( Sang Sook Jeon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8 담론 201 Vol.11 No.2

        사이토총독은 장기적인 전망 속에서 점진적으로 식민지 조선을 일본의 한 부분으로 할 생각을 가지고 부임했다. 그는 하라의 [조선통치사견]에 기초한 이른바 `문화정치`를 실시하면서 직접 체험하게 된 조선사회의 본질과 총독정치의 실상을 통해서 총독취임시 천황의 조서에 입각해 받아들였던 소위 내지연장 주의의 원론에 입각한 조선총독정치의 지배관을 정립했다. 그 핵심은 조선인을 제국의회에 참석시켜 참정권 부여를 실제화하는데 있었다. 그것은 당시 논의되던 자치주의나 하라의 내지연장주의와 구별되는 사이토의 조선지배방침이라고 할 수 있다. 사이토는 정무총감과 연계된 정당내각의 영향력으로부터 안정적인 조선총독 정치체제를 구축하고자했다. 사이토가 조선총독정치의 자율성을 공고히 해 안정적인 총독지배체제를 구축하는 것은 크게 두 측면에서 고려되었다. 하나는 총독정치의 대상인 피지배자 곧 조선·조선인 지배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었다. 다른 하나는 조선총독부 내부적인 것이었다. 총독정치의 중요한 협조자인 `하에누키` 총독부관료들의 지배정책 전환 요구를 이른바 `문화정치`를 실시한 사이토총독 자신의 위신을 손상하지 않으면서 현실적으로 수용하는 것이었다. 양 측면 모두 조선인 정치참여문제와 관련되어 있었다. 그 해결책을 사이토는 조선지배경험을 통해서 구축하게 된 조선지배관 속에서 구축했다. 곧 [조선참정권제도방책]이었다. 그것은 총독 사이토의 입장에서 자신의 이름으로 시행한 `문화정치`의 틀을 견지하면서 그에 대한 조선인의 저항과 참정권요구를 회유해 식민지배를 안정화시키고, 총독부 관료들과 절충해 현실적으로 가능한 조선인 참정권 부여 방안을 시행하고자 한 것이었다. Governor-General Saito began his position with the long term view to regard the Chosun as a part of Japan in a gradual sense. Enforcing `Cultural Politics,` which was based on `Hara`s Ruling Opinion on Korea`, he experienced the realities of the Politics of Chosun Governor-General and formed his view about the essence of the Chosun society. Saito established the direction of the Politics of Chosun Governor-General based on the basics of `the mainland extension policy, derived from the Emperor`s Royal script. Its purpose was to realize Koreans` suffrage by the participation of Koreans at the Empirical Diet. This ruling principle of Saito had a different edge from the, then discussed, self-governing system or the mainland extension policy. The attempt to stabilize the Politics of Governor-General by securing the autonomy of Governor-General was sought out in mainly two ways. One was obviously to settle the rule over Chosun and her people, as it was the object of the Politics of Governor-General. The other problem occurred from within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Saito had to accept the demand from `Haenuki` officials of Chosun Government-General, an important supporter, to divert governmental policies without damaging his own dignity as he had enforced the `Cultural Politics.` Both sides were related with Korean political participation issue. Saito found the solution in his ruling principle derived from the experience of his Chosun`s colonial rule: Chosun Suffrage Plan. This allowed the Governor-General Saito to maintain the framework of `Cultural Politics`, whilst appeasing Korean resistance and the demand for political participation, and thus stabilizing the colonial rule. On the other hand, he sought to compromise the demand of the Japanese government officials as well as to grant Korean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like mind as Japan`s local autonomy system. In the end, it meant solidifying the political autonomy of Chosun Governor-General.

      • KCI등재

        유교 지식인의 "근대" 인식과 서구 "사회과학"의 이해

        전상숙(Sang Sook Jeon) 한국사회이론학회 2012 사회이론 Vol.- No.42

        전통적인 유교지식인들은 서양 근대와 서양 학문을 어떻게 인식했는가. 거기에 그들의 유교 사상은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그리고 그것이 근대적 전환기 한국 사회에서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이런 관점에서 이 글은 개국기 한국 외교를 담당했던 유교 지식인 김 윤식을 통해서 그 일단을 고찰하고자 하였다.운양은 개국의 정세를 시무개화(時務開化)라는 관점에서 조응하였다. 그것은 도(道)로 상징되는 동도(東道)와 한국 문명(文明)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에 입각한 것이었다. 그 위에서 서양국제법 체제를 현실적으로 받아들이고자 하였다. 그것은 동도 서기론적인 입장에서, 서양이나 일본과는 다른, 한국적 근대의전망을 시사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한국이 보호국화 된 이후 운양은 전면적인 서학 수용론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운양은 서양근대의 제국주의적 성격을 정당화하는 서양 사회과학을 전통적인 육예(六藝)의 예(禮)의 범주에 넣었다. 그 결과 운양의 서학수용론은 서양 사회과학을 예적 측면 곧 도의 측면에서 인정하는 것이 되었다. 그것은 현실의 정치 변동을 주도하는 강자의논리와 틀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과 다르지 않은 것이었다.이러한 운양의 사고방식의 변용은 현실 국제정치변동에 즉응하며 이루어졌다. 따라서 사상 변용의 주체성이나 장기적인 주체적 전망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렇게 한국 초기 서양 사회과학수용의 역사적 성격이 조성되고 있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How have the traditional confucian intellectuals recognized Western modernity and its studies? How did their confucian thoughts reflect on their recognition of the western knowledges? And what is the meaning of these in the context of Korea`s modern transitional period? In this sense, this paper studies Kim, Yun-Sik as a representative sample of traditional confucian intellectuals. He was also a diplomat in the transitional times. Kim corresponded to the circumstances of state`s opening on the viewpoint of SiMu-Gaewha(時務開化). It was based on a positive conception about Korean Do(道) culture, and on the acceptance of western international law system. Therefore, it viewed the Korean modern times different from the West and Japan. However, he had changed his viewpoint after Korean was protectorated by Japan to totally accept western studies. Western social sciences, which had legitimized western imperialistic expansion, was considered as traditional courtesy(禮t) in his changed viewpoints. This meant accepting logics and frameworks of strong powers who were initiating international changes. This kind of changing thoughts was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real changes in international politics. Therefore, subjectivity of changing thoughts or long term subjective prospects were hard to be expected. Under these such conditions, primitive Korean characteristics of accepting the western social sciences was formed.

      • KCI등재

        러일전쟁 전후 일본의 대륙정책과 테라우치(寺內正毅)

        전상숙 ( Sangsook Jeon ) 한국사회사학회 2006 사회와 역사 Vol.0 No.71

        After gaining the victory of the Russo-Japanese War, Japan actively developed continental politics. The Triple Intervention had made Japan``s need for the foundation of continental advance more urgent and so made Korea a protectorate. Even after that, it was threatened again by the Triple Intervention which lead to the resolution of the executing the Korean amalgamation. Geographically speaking Korea was the perfect solution for Japan to overcome the geographical flaw of being an insular country, the lack of resources, and overpopulation. Korea, in this sense, provided Japan a basis for penetrating to the continent in order to ensure long-term industrial growth. It was the Yamagata Group``s Katsura cabinet which was based on the army circles of Joshu(長州閥) that vigorously promoted the continental politics. Army secretary Teraouch took charge of the crucial Korean amalgamation, which would have been the first outcome, and the cornerstone of the aggressive continental politics. He was the one to have lead the Russo-Japanese War into victory by repletion of the armaments after entering the Joshua am circle. After becoming the commander of Korean amalgamation, army secretary and the Korea Resident-General as well, he carried on the active annexation and constructed the structure of the ``politics of Korean Governor-General``. The ``Politics of Korean Governor-General`` of Japan was designated to efficiently control the fierce resistance and to make people accept the colonization under the recognition of the superiority of modern nation Japan. It was also to control the stability of the rule and to reform the Korean society. This was an exclusive colonial rule of Japan for Korea to overcome the geographical inferiority and to become a modern industrialized nation. Under the full support of the Japanese government, the ``politics of Korean Governor-General`` mean that Chosun area is under the sole influence of the Joshu army circle. The Katsura cabinet had preoccupied Korea as the basis of its continental politics. The ``politics of Korean Governor-General`` that represents characteristics of the colonial rule of Japan to Korea was designed in the sense of Japan``s continental politics of the Joshu army circle.

      • KCI등재

        근대적 전환기 일본의 "아시아연대론"에 대한 한국의 인지적 대응: 국권 인식을 중심으로

        전상숙 ( Sang Sook Jeon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14 東亞 硏究 Vol.33 No.2

        아편전쟁 이후 자주적으로 문호를 개방하고 메이지유신을 단행한 일본은 강화도사건을 일으켜 서양과 같은 방식으로 한국을 개국시키고 대륙팽창 의지를 체계적으로 추진하며 중화질서를 전복시키고 일본 중심으로 동아시아 국제관계를 재편해갔다. 이 과정에서 일본이 주창한 ‘아시아연대’론은 서양 열강에 대한 근대 국가 일본의 국권 확립과 팽창을 위한 패권의 정치적 수사였다. 그러나 거기에 중국과 한국의 지식인들이 호응하기도 했다는 사실은 근대적 개혁기국권 인식의 차이를 드러낸다. 일본의 그것은 서양 근대에 대한 대자적 인식 속에서 자주적 주체적으로 근대 동양 국가의 주권을 정립하는 것이었다. 반면 한국의 그것은 서양에 대한 즉자적인 인식 속에서 종래와 같은 국가 주권을 유지하려 한 것으로 근대적 국권 인식이 미숙했다고할 수 있다. 그 결과 한국은 국권이 상실된 가운데 저항적 민족의식과 근대 국권 인식을 체험적으로 각성해가며 국가적 독립을 선취해야 하게 되었다`. After opening the Korean door, Japan began to secure Japanese national interest. It aimed to expand to North continent via Korean peninsula to complement Japan as an island nation. In this process, Japan presented ‘Asian Solidarity’concept. It meant Asia by Asians against imperialist Western penetration. Asian states`solidarity to keep independence and sovereignty was emphasized. Even though it was an international political rhetoric to complement Japanese power against Western powers, Koreans accepted it and believed that Korean independence could be kept by Asian solidarity with Japanese support. Koreans recognized national sovereignty encountered with Western powers and began to distance itself from China. However, Koreans did not recognize national sovereignty and power in relative relationship to other powers as Japan did. The stark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recognition of national sovereignty resulted in the two nations being a colonial state and an imperial state, respectively. Therefore, Koreans had to take first national independence recognizing the very meaning of national sovereignty against imperial annexation.

      • KCI등재
      • KCI등재

        근대 전환기 한국 “사회과학” 수용의 특징과 유산: 근대 국가 지향과 일본을 통한 간접수용

        전상숙(Sang Sook Jeon) 한국아시아학회 2013 아시아연구 Vol.16 No.2

        19세기에서 20세기 초 서양 근대화의 산물로 등장한 ‘사회과학’은 서양 근대 국민국가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었다. 그것은 서양 근대의 동진과 함께 동양에 전해졌다. 19세기 동양에서 그것은 서양과 조우하며 시작한 근대화의 지적 기반으로 여겨졌다. 특히 국제법을 필두로 한 서양의 근대 국가체제는 동양이 근대적 개혁을 하는데 필수적인 서양 근대의 핵심으로 수용되었다. 서양 근대의 기본적인 특성을 대변하는 ‘사회과학’은 서양과의 조우로 근대적인 개혁을 하지 않을 수 없게 된 동양에서 국가 주권의 확립을 위해 긴요해진 근대화의 지적 기반으로 받아 들여졌다. 개국과 함께 본격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한 서양 사회과학은 사회적으로 유통되는 한편으로 개국의 정치적 상황과 맞물린 근대적 개혁의 추진 주체와 개혁의 방향과 맞물린 역사정치적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용되어 이식되었다. ‘Social science`` was the product of Western modernization from 19th to early 20th century. I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Western modern nation state. It was introduced to East Asia when the West marched to the East. East Asian countries accepted Western social sciences as the intellectual bases of modernization when they opened the doors and began to modernize according to the Western concept. The Western modern state system represented by international laws was especially recognized as an inevitable core of Western Modern in order for East Asian countries to modernize. Therefore, when East Asian countries could not but reform, the Western ``social science`` was accepted as the intellectual foundation to make states modern and strengthen national sovereignty. Social science was introduced when the states` opened doors and circulated socially. On the other hand, the many concepts of social science were selectively chosen according to historical and political circumstances in each country; they were chosen in gear with the personnel and directions that led modern transformation in East Asian countries.

      • KCI등재후보

        박열의 무정부주의와 민족의식

        전상숙(Jeon Sang Sook)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8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7 No.1

        박열이 사회변혁사상으로서 무정부주의를 받아들이게 된 원인과 그를 무정부주의자로 판단하게 되는 변모를 첫째, 무정부주의자를 판단하는 기준인 ‘개인’과 ‘개인의 자유’, 그리고 ‘국가’로 통칭될 수 있는 지배ㆍ권력에 대한 인식을 통해서 고찰하고, 둘째, 박열의 사상ㆍ의식 속에 혼재되어 있거나 또는 의식의 기저를 이루고 있는 그의 항일 ‘민족의식’을 통해서 그의 무정부주의와 민족의식 간의 상호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박열에게 무정부주의는 일제하 한국 민족의 식민지사회현실을 타개할 사회변혁ㆍ민족해방의 이념이자 민족해방 이후 변혁된 한국사회를 전망할 미래지향적 이념이었다. 박열의 무정부주의에 대한 인식은 그의 정치혁명ㆍ정치운동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그에 입각한 ‘국가’의 부당성 및 ‘자유롭고 평등한 개인’에 대한 지향 속에 내재되어 있다. 무정부주의자 박열이 궁극적으로 추구한 것은, 사회구성원 개개인의 ‘자유’의 확보와 그 개개인의 자유가 조화를 이루며 자율적으로 사회질서가 이루어지는 이상적인 무지배ㆍ무권력의 사회였다. 박열은 지향하는 무정부사회의 초석이 될 인간에 대한 신뢰를 상실하게 되어 허무적인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역설적인 허무주의적 사유 속에서 항일민족 의식ㆍ대일증오감을 자신의 희생을 통해서 실천적으로 행하지 않을 수 없었던 무정부주의 이상주의자였다. Anarchism was an ideology not only to liberate and reform the nation under Japanese control but also an future-oriented ideology to present a blueprint for the reformed Korean society after liberation for Park Yeoul. His cognition of anarchism can be found in his critics on political revolution and political movement, insistence on improperness of 'state', and orientation for the liberal and equal individuals. The ultimate purpose of Park Yeoul as an anarchist was to establish an utopian society without governing and power in which the liberty of individuals are secured and harmonious with each other so that autonomically the social order, too. However, he was inclined to nihilism when he lost his credit on the humanities which should be the footstone of his utopian society. Nevertheless, he was an anarchic idealist who would not but put into practice his national consciousness and hatred against Japan via self-sacrifice.

      • KCI등재

        사회주의 수용 양태를 통해본 일제시기 사회주의운동의 재고찰

        전상숙(JEON SANG SOOK)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5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4 No.1

        일제의 강점으로 인한 식민지배의 억압과 이식 자본주의 아래서 민족의 문제로 고민하던 지식인들에게 사회주의는 민족의 문제와 재래의 사회적 모순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민족 해방’의 이념으로 수용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곧 곧 식민지사회의 혁명사상으로서 사회주의 본연의 문제로 고민하게 하였다. 자본주의적 발달이 미숙한 조건에서 어떻게 사회주의혁명을 수행할 것인가 하는 문제, 식민지 민족의 독립이라는 최우선의 과제와 사회혁명의 과제를 어떻게 결합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 그리고 사회주의혁명 모국인 소련공산당의 방침을 어떻게 한국의 상황에 적용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를 둘러싼 것이었다. 기본적으로 일본제국주의 지배체제에 대한 적극적인 대항의 이념으로 수용된 한국의 사회주의는 제국주의에 대한 대체이념의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초기 사회주의운동에서는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일제의 수탈적 억압이 강화되면서 부르조아 민족주의 세력과의 갈등 또한 강화되는 한편으로 심화되어간 사회주의 실천활동에 대한 고민과 연구 속에서 알 수 있다. 한편에서는 맑스주의의 역사발전과정을 숙지하고 그것을 한국사회의 역사발전과정에 도입ㆍ적용하여 이념적 토대를 구축하려는 실천운동이 전개되었다. 또한 다른 한편에서는 한국사에 대한 한국인의 주체성 있는 실증연구를 통해서 맑스주의 세계사의 보편적 역사인식과 그에 기초한 한국적 특수성을 변증법적으로 논증함으로써 민족해방과 해방된 사회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려는 이론적 작업도 진행되었다. 이러한 작업들은 당시 혁명모국인 소련을 중심으로 한 세계 맑스주의진영의 일반적인 역사인식과 정책의 틀로부터 자유롭게 전개된 것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교조적으로 수용한 것이라고도 할 수 없다. 식민지적 조건은 제국주의 외세에 대한 저항과 자위의 이념을 외래 사상을 통해서 모색하게 하는 근본적인 한계를 설정함으로써 한국의 사회주의는 수용단계에서부터 정치적 역학관계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지만, 사회주의는 한국역사의 발전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주체적으로 수용ㆍ발전해갔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