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새터민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정립을 위한 한국어교육 방안

        장한님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새터민 청소년의 남한 사회 적응과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의 자리매김에 있어서 중요한 자아정체성 정립을 위한 한국어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새터민의 국내 유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 새터민 청소년의 수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앞으로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제 역할을 해 나갈 수 있도록 새터민 청소년에 대한 교육적 지원과 연구가 필요하다. 2장에서는 자아정체성과 언어의 관계를 이론적 고찰을 통해 밝히고 3장에서는 새터민 청소년의 현황을 알아보았다. 새터민 청소년의 인구학적 현황과 자아정체성 형성 관점에서의 특징을 파악하고 언어 사용 실태와의 연관성을 분석해 보았다. 새터민 청소년이 남한 사회에서 적응해 나가는 데 있어 자아정체성 정립의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는 학교 적응, 사회 적응에도 깊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자아정체성 정립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 중 하나인 언어에 대한 중요성을 살펴본 후 한국어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4장에서는 새터민 청소년이 교육 받고 있는 기관을 입국 초기 적응 교육기관과 정착지 교육기관으로 나누어 한국어교육과 자아정체성 교육의 실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새터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은 새터민 청소년이라는 집단의 특수성을 고려하는 한편, 앞으로 이들이 한국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성장할 것을 고려하여 보편적인 교육이념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새터민 청소년의 특수성은 교육목표에서 구체적으로 반영하여 이를 토대로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새터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의 교육목표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세웠다. 학교와 사회생활에서 필요한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과 자아정체성 정립을 위한 것을 교육목표로 세웠다. 한국어교육을 통해 사회문화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고 자신이 속한 사회 안에서 존재 의미를 깨달아 긍정적인 자아정체성을 정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앞으로 새터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에서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실행되어 남한 사회에서 새터민 청소년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a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al measures that 'Sae tomin' ­ new settlers or North Korean defectors­ adolescents to form its self identity important in adapting to South Korean society and placing themselves as a member of a society. The inflow of Sae tomin to South Korea is continuously increasing, which increments the number of Sae tomin adolescents. Educational support and study is needed for them so that they can play their role as a member of Korean society. Chapter II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dentity and language through theological contemplation and Chapter III sought out the current status of Sae tomin adolescents. The demographic current status of them and characteristics in the view of self-identity formation was apprehended and its relativity with the actual language usage condition was analyzed. They are having a difficultly in formation of self-identity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South Korean society, which deeply affects their adaptation to school and society, also. After the importance of language, one of the various factors which influences formation of self-identity, was reviewed, the nee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emphasized once again. Chapter IV divided the institutions where the youth are educated into those for adjustment at the early stage of entry into South Korea and those for education in the settlement, in order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elf-identity educati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aims for Sae tomin adolescents considered the speciality of the group, the new settlers from North Korea, while a universal educational ideology was intended to apply, considering that they will, for the future, grow into members of Korean society. The specialty of Sae tomin adolescents was reflected specifically on the educational purpose and on the basis of that,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was intented to be suggested.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which objects are Sae tomin adolescents was set up largely in two directions such as to improve Korean language skills needed for school and society life and to form self-identity, so that through Korean education, they can grasp sociocultural knowledge and realize the meaning of their existence in the society where they belong, thus form a positive self-identity. It is hoped that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Sae tomin adolescents will continuously be performed so that they can healthily grow up in South Korean society.

      • 한국어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형성 과정 연구

        장한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1959년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에서 최초로 근대적이며 체계적인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이 시작되었고, 1969년에는 한국어교육에 관한 최초의 전문 연구인 노대규의 석사 학위 논문이 나왔다. 이를 시작으로 한국어교육이 급속도로 성장한 1980년대 중반과 1990년대를 거치면서 한국어교육학 연구도 본격화되었다. 또한 2001년 김은주의 논의를 시작으로 2000년대 이후로 한국어교육학이라는 학문과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논의도 끊임없이 계속되었다. 이와 같이 한국어교육 연구가 시작된 지 반 세기 가까이 되었고 한국어교육학이라는 학문의 정체성과 관련된 논의가 시작된 지 10년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어교육학이라는 학문의 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다각적이고 역사적인 시각의 연구가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다. 연구 내용의 축적이나 연구방법론의 측면, 혹은 일반적인 학문 영역의 분류 측면에서 한국어교육학의 학문 영역과 정체성을 논하는 연구들이 대부분이었고 한국어교육학 관련 정책·법 및 학위 과정과 학술 단체와 같은 학문의 외적 기반을 포함하여 종합적·다각적으로 보려는 논의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또 학문적 정체성 형성의 과정을 역사적인 시각에서 분석한 연구도 매우 드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신생 학문으로서의 ‘한국어교육학’이 하나의 독립적인 학문으로서 발전·정착하여 올 수 있도록 해준 다양한 요인들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이 결과를 종합하여 역사적인 시각에서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 형성 과정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이다. 하나의 학문이 그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연구 내용의 축적 및 타당한 연구방법론의 적용이라는 학문 내적인 발전과 함께 이를 지탱해주는 학문 외적 기반의 형성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어교육학이나 국어국문학과는 별개의 하나의 독립 학문으로서의 한국어교육학이 그 고유한 정체성을 어떻게 형성해왔는지를 학문 내적인 발전 양상뿐만 아니라 외적 발전 과정까지 고려하여 살펴본다.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끼친 학문 내적 요인으로서 연구 내용의 축적과 연구방법론의 발전이 있다. 1969년 노대규의 석사 학위 논문을 시작으로 한국어교육과 관련된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특히 1980년대 이후로는 주제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1990년대에는 연구의 폭발적 양적 성장까지 이루어져서 비로소 연구의 내용이 축적되었다는 표현이 가능해질 정도에까지 이르렀다. 또 2000년대 이후로는 문화교육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여 한국어문화교육 관련 연구가 현재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연구의 방법론적인 측면에 있어서 아직까지 한국어교육학의 연구 주제에 적합한 타당한 연구방법론의 적용이 미진한 실정이라는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한국어교육학의 학문 발전의 토대가 되는 첫 번째 외적 요인으로서 관련 정책 및 법을 살펴보았다. 해외 교포를 위한 한국어교육 정책으로부터 시작된 정부의 한국어교육 관련 정책은 1990년대 후반부터 추진된 한국어세계화 프로젝트로 집약되었으며, 이를 통해 한국어교육 각 분야에 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다. 또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한국어교육학은 마침내 2002년 학술연구분야 분류표에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서 독립 학문 영역으로 분류되는 등 그 학문적 위상을 정식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되었다. 한국어교육 관련 법도 1970년대 재외 교포 한국어교육을 위한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1990년대 문화예술진흥법을 거쳐 마침내 2005년 『국어기본법』의 시행으로 한국어교육 및 한국어교육학의 법적 기반을 탄탄히 다지게 되었다. 한국어교육학의 학문적 발전의 두 번째 중요한 외적 요인으로서 학위 과정과 학술 단체의 발전상을 살펴보았다. 학위 과정의 교육과정을 통해 교육이 실시되고 교육의 최종 결과로서 학위 논문이 배출되며 학술 단체의 학술대회나 정기 학술지 연구 논문 발표를 통해서도 연구물이 축적되고 방법론이 발전되어 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2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독립 전공이 신설된 이래 1990년대 후반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한 한국어교육학 학위 과정은 한국어교육학 정체성 형성에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교육대학원뿐만 아니라 학부 과정에도 한국어교육 관련 학과가 신설되었고, 2000년대 중반 이후로는 일반대학원에도 한국어교육학과가 거의 해마다 신설되고 있다. 1980년대에 한국어교육 관련 학술 단체인 이중언어학회(1981)와 국제한국어교육학회(1985)가 창립되어 한국어교육학 관련 연구가 상당히 축적된 점도 한국어교육학 발전의 역사에 상당히 중요성을 갖는 부분이다. 또한 2000년대에 들어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2001)와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2003) 두 개의 학술 단체가 창립하면서 한국어교육학 연구 주제가 더욱 다양화되었다. 학회의 이름 그대로 언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며 현재까지도 한국어문화교육 관련 연구를 상당히 진척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끼친 학문 내·외적 요인을 다각적으로 살펴본 결과 한국어교육학 발전의 흐름은 총 세 시기로 구분될 수 있었다. 태동기(1959년-1980년대 초반)는 아직 학문적 정체성이 성립되기 전이기는 하나 한국어교육학이 존재할 수 있는 토대로서 한국어교육이 최초로 실시되고 미약하나마 한국어교육 관련 연구가 시작되는 단계였다. 다음으로 성립기(1980년대 중반-1990년대)는 대학 학위 과정과 한국어교육 전문 학술 단체가 신설되었음은 물론 정부가 정책적으로 한국어교육 연구를 지원하면서 한국어교육 연구가 크게 증가하여 본격적으로 학문적 정체성이 성립되기 시작한 시기이다. 마지막으로 발전기(2000년대-현재)는 학문적(학술연구분야 분류표)·법적(국어기본법)으로 한국어교육학이 독립적 학문 영역으로서 그 위상을 정식 인정받게 되고 학위 과정의 폭발적 증가와 관련 학술 단체의 창립으로 학문적 심화가 더욱 깊어지고 있는 현재까지의 시기이다. 이와 같이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정리하고,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끼친 학문 내·외적 요인을 다각적으로 살펴보며, 한국어교육학이 그 정체성을 형성시켜 온 발자취를 더듬어봄으로써 현재의 한국어교육학이 국어와 구분되는 ‘한국어’, 국어학이나 국어교육학과 구분되는 ‘한국어교육학’의 특수한 개념과 영역을 어떻게 확보해 나갔는지를 알 수 있었다. 다만 여전히 한국어라는 포괄적 개념보다 국어라는 배타적 개념이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한국어교육학 학위 과정이 일관성 있는 체계 하에 구성되어 있기 않아서 여전히 한국어교육학이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modern and systematic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KFL) education began at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t Yonsei University in 1959. The first academic study on KFL education was published in 1969 by De-Kyu Noh. As the demands for KFL education skyrocketed from the mid-1980s and throughout the 1990s, scholars vigorously delved into research in this disciplinary field as well. Moreover, kindled by Eun-ju Kim’s discussion in 2001, heated discussions of Korean Language pedagogy as a discipline and its academic identity have never subsided. Despite the facts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began nearly a half century ago and discussions of the disciplinary identity of Korean Language pedagogy has been ongoing for more than ten years, there are hardly any studies that examine the formation of the academic identity of Korean Language pedagogy from multilateral and historical perspectives. Most studies surveyed the discipline with focuses on the accumulation of research contents, research methodology or the general categorization of the discipline. Researchers have not attempted to discuss the identity of the discipline from a more comprehensive and multilateral view with reference to the discipline’s external foundations, such as related policies, laws, course curriculum and academic societies. Furthermore, as previously mentioned, hardly any studies approached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disciplinary identity of Korean Language pedagogy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Hence, in an effort to hurdl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literature, the present study performs a multilateral analysis of various factor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n independent academic discipline. Moreover, this study reviews its study results to identify ― from a historical view ―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disciplinary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constructed. In order for a discipline to develop its identity, an internal growth, referring to the accumulation of research data and the application of valid research methods, and an external foundation must be well established. Therefore,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unique disciplinary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distinguished from Korean as a Native Language Education), with reference to not only the discipline’s internal growth, but also its external development. The internal disciplinary factor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Korean Language pedagogy’s identity include the accumulation of research data and development of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began in 1969 with the publication of Dae-Kyu Noh’s master’s thesis. Owing to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topics in the 1980s and a tremendous quantitative increase of studies, we now have a sufficient amount of accumulated research contents. Moreover, heightened interests in cultural education from the 2000s have also prompted research related to Korean culture education. However, many point out that researchers have yet to develop and apply a valid research methodology appropriate for the research topics pertaining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related policies and laws are one of the external factors that lay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discipline. The first step the Korean government undertook regar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to implement a policy for Korean residents abroad. The Korean Language Globalization Project launched by the government in the late 1990s, which marked the pinnacl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related policies, facilitated and supported systematic research on each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constructive supports and effor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officially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field of social sciences in the Categorization of Academic Research Fields in 2002. Korean Language education-related laws also began with those for Korean residents abroad in the 1970s, after which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was enacted in the 1990s. With the enforcement of “The Fundamental Law of Korean Language” in 2005, a sturdy legal foundation was establish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next examined the development of course curricula and academic societies. These are also some of the external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growth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discipline because students are taught based on the course curriculum, which in turn lead to degree theses; research data are accumulated and appropriate research methodology are developed via publications of studies in academic conferences or journal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major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Yonsei University in 1982, there was an upsur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degree programs in the late 1990s.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s were established also in undergraduate schools from the late 1990s, and is being launched in general graduate schools annually since the mid-2000s. Academic societi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lso began to form in the 1980s. The Korean Society of Bilingualism was established in 1981, and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established in 1985, producing a considerable amou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related research. Moreover,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stablished in 2001 and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Society launched in 2003 contributed to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topic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se societies, as their names suggest,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culture education in language education and have remarkably advanced Korean language and culture research. Boosted by the multiplication of degree programs and establishment of significant academic societies, the discipline of Korean Language have come a long way since its inception. After examin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s disciplinary identity, this study discovered three significant periods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fant stage (1959 ∼ early-1980s), adolescent stage (mid-1980s ∼ 1990s), and development stage (2000s ∼ present). The infant stage was a period in which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first begun and a foundation was laid for future developments. However, a disciplinary identity had not been formed during this period. During the adolescent period, Korean Language education had seen significant growth with professional academic societies and college degree programs established and government support provid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The discipline was inundated with research data, which led to the formation of an identity. Finally, during the development stage,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legally (The Fundamental Law for Korean Language) and academically (Categorization of Academic Research Fields)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disciplinary field. Degree programs escalated and new academic societies were established, leading to more in-depth research and growth of the discipline. As shown here, this study traced the process through which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med its disciplinary identity by reviewing existing literature on the subject and examin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identify formation. Through this examination, we have seen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constructed and secured its unique field, distinguished from “Korean as a Native Language” and “Korean as a Native Language Education.” However, Korean Language education still faces several challenges because the term “Korean language” prevalent today holds an exclusive meaning, only referring to Korean as a Native Language while excluding the concept of Korean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and the course curricul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not structured under an organized and standardized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