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혼여성의 대학원 학업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일반대학원 교육학과를 중심으로

        지미영(Miyoung, Ji),장카이(Kai, Zhang),SONG CHAOJING,ZHAI LIXIA,서영주(Youngjoo S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

        목적 이 연구는 다양한 환경을 가진 한국, 중국 기혼여성의 연구중심 대학원 학업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가정과 학업 사이의 고민, 어려움, 극복 내용 등을 탐구함으로써 그들이 직면한 어려움을 이해하고 실질적인 개선안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B시 소재 일반대학원 학업을 경험한 5명의 기혼여성(중국인 2인, 한국인 3인)을 대상으로, Clandinin & Connelly (2000)의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여 그들이 대학원 학습경험과 기혼여성으로서의 학업병행 생활을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은 3번에 걸친 반구조화 면담을 통해 개별적으로 이루어졌으며, 기초 코딩작업을 거쳐 최종 결과, 제시한 연구문제에 따라 최종적으로 세 개의 주제(themes)가 도출되었다. 결과 첫째, 기혼여성은 대학원 재학 과정에서 학업 단절을 극복하기 위한 학업 적응과 더불어 일, 가사와 병행하는 데 생기는 시간적 부족을 겪고 있었다. 또한, 자녀 양육에 대한 부담감과 미안함을 겪고 있었다. 둘째, 기혼여성은 대학원 생활의 어려움을 일상으로 받아들이며 ‘익숙해짐’으로 순응함과 동시에 본인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겪으며 오히려 생활의 원동력을 얻고 있었다. 셋째, 기혼여성의 대학원 생활에 있어 온라인 수업 등의 이들에게 적합한 교육과정 개선과 동료들의 이해와 배려, 국가적 차원의 기혼여성대학원생에 대한 복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이 연구 결과는 교육학과 미래후속 연구 인력으로서 기혼여성대학원생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학교 측면, 국가적 차원의 복지 개선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they face and to consider practical improvement plans by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married female graduate students from various backgrounds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t the general graduate school, such as the anxieties, difficulties, and overcoming content between family and study. Methods For 5 married women (two Chinese and three Koreans) who have experienced general graduate school studies in city B, us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of Clandinin & Connelly (2000), they experienced graduate school learning and their academic lives as married women at the same time. looked at Data collection was individually conducted through three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three themes were finally derived according to the final result and the proposed research problem through basic coding work. Results First, the married female graduate students were experiencing a lack of time for both work and household chores as well as academic adaptation to overcome academic disconnection during the course of attending graduate school. In addition, they were experiencing the burden of raising children and feeling sorry for them. Second, married women graduate students accepted these difficulties as a daily life and adapted to ‘getting used to’, and at the same time went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their own identity, rather getting a driving force for life. Third, married women graduate students said that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curriculum suitable for online classes, etc., to understand and consider colleagues, and to provide welfare for married women graduate students at the national level.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of married female graduate students as future follow-up research personnel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welfare at the school and national level.

      • KCI등재

        중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IPA 분석

        김석우(Kim, Suk-Woo),장카이(Zhang, Kai),서원석(Suh, Won-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가 과정중심평가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중요도와 이를 실행하는 정도인 수행도 간 차이를 평가 이해, 평가 계획, 평가 실행, 협력적 의사소통, 평가 결과활용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중학교 현장에서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할 항목과 장기적 개선이 요구되는 항목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교육청 소속 중학교 교사 4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평균, 표준편차, 대응표본 t-검정,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중학교 교사의 과정중심평가 이해, 과정중심평가 계획, 과정중심평가 실행, 협력적 의사소통, 평가결과활용 모든 영역에서 수행도보다 중요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과정중심평가에서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할 부분은 학생의 ‘다면적 특성을 평가’, ‘결과를 도출해가는 과정 평가’,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위한 피드백 제공’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기적으로 개선이 요구되는 부분은 ‘학생의 성찰을 위한 평가’, ‘지필·수행 평가 모두 활용’, ‘핵심역량을 근거한 평가계획 수립’, ‘과정이 중심이 되는 수업 구성’, ‘인지적 정의적 영역 피드백을 학생에게 제공’, ‘성취기준 미흡 학생 추후 지도’로 도출되었다. 결론 과정중심평가의 활성화는 현장에서 직접적인 교육을 통하여 학생과 상호작용하는 교사로부터 시작되어야 하며, 자유학기제로 인하여 과정중심평가를 수행해야하는 중학교 교사에게 더욱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과정중심평가의 중요성을 중학교 교사는 인지함에도 불구하고 수행이 낮은 부분에 대하여 교육부, 교육청, 단위학교 차원에서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중학교 교사의 과정중심평가의 업무 중 우선순위 직무를 파악하여 중학교 평가 운영방안에 대한 의미 있는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performance perceived by middle school teachers for the process-based assessmen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471 middle school teachers belonging to the Bu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Methods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problem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correspondence sample t-test, and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mportance of middle school teac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performance in all areas of understanding process-based assessment, process-based assessment plan, process-based assessment execution, cooperative communication, and assessment result utilization. Second, in the process-based assessment, the priority areas to be supported were the ‘evaluation of multi-faceted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evaluation of the process for deriving the result’, and ‘providing feedback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student’. Third, the areas that need improvement in the long term are ‘evaluation for student reflection’, ‘use of both paper-based and performance evaluation’, ‘establishment of an evaluation plan based on core competencies’, ‘class composition centered on the process’, and ‘cognition’. It was derived as ‘providing feedback to students in positive and affective areas’ and ‘follow-up guidance for students with insufficient achievement standards’. Conclus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 meaningful basic data for the middle school evaluation management plan by identifying the priority tasks among the tasks of middle school teachers process-based assess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