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월악산 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장창석,양선규,장현도,이로영,박민수,김기홍,오병운 한국자원식물학회 2015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8 No.1

        A floristic,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rch 2005 to October 2012 the Woraksan National Park (N36°46´~36°59´, E 128°02´~128°19´) to characterize the flora of the region. Especially, we divided the surveyed regioninto nine representative collection areas based on floristic componen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is field studydiscovered significant plants in various categories. The 41 surveys revealed that the vascular plants in this region comprised815 taxa: 116 families, 429 genera, 717 species, 4 subspecies, 78 varieties and 16 forms. In this study, 80 taxa were firstlyrecorded from this region. Korean endemic plants numbered 22 taxa, and the fifteen taxa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nForest Service as were found in this region. The taxa in the category II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and the taxa with thehigher rank than the third degree among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designated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were one and 56, respectively. From a geographical perspective, limited distributions of Matteuccia struthiopteris, Spiraeatrichocarpa, and Aster tataricus at a latitudes higher than that of Woraksan National Park. Moreover, this study hasconfirmed that the Woraksan National Park is the species diversity center for Asarum koreanum, Elsholtzia angustifolia,and Allium linearifolium in the central province of the Korean peninsula. Inaddition, the naturalized plants of 54 taxa wererecorded. 적 요월악산 국립공원 지역(북위 36°46´~36°59´, 동경 128°02´~128°19´)에 자생하는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05년 3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총 41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은 116과 429속 717종 4아종 78변종 16품종의 총 815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이 중기존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에서 최초로 밝혀진 분류군은 80분류군이었으며, 조사지역을 9개 대표 채집지로 구분하여 채집지별 주요 식물들을 비교·분석하였다. 월악산 국립공원에 자생하는 식물들 중에는 한국 특산식물 22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15분류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 II급 1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III등급 이상에 해당하는 56분류군 등이 생육하고 있었다. 또한 월악산 국립공원지역이 한반도 분포의 남한계인 식물로 청나래고사리, 갈기조팝나무, 개미취 등이, 중심지인 식물로 자주족도리풀, 가는잎향유, 선부추 등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5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 KCI등재

        한반도 미기록 식물: 애기개올미(사초과)

        장창석,김종환,조양훈,이유미,박수현 한국식물분류학회 2010 식물 분류학회지 Vol.40 No.3

        We report S. caricina (R. Br) Benth. (Cyperaceae) as an unrecorded species from Sinan-gun, Jeollanam Province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taxon was known to be distributed mainly in southeast Asia, China, Japan, and the northern part of Australia. S. caricina is distinguished from other species of the genus Scleria in Korea by having congested inflorescences, 3-toothed pistillate scales at the apex, and enclosed achenes in 2 scales. The new Korean common name, ‘Ae-gi-gae-ol-mi’, is given considering the small-size of the plants. A description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the illustrations of this species are provided with a taxonomic key to the species of Scleria in Korea. 전남 신안군에서 발견된 너도고랭이속(사초과)의 1분류군을 한반도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본 종은 동남아시아 및 중국, 일본, 호주 북부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기존에 보고된 한국산 너도고랭이속의 다른 분류군과는 화서가 밀집되고, 암꽃 인편은 끝이 3갈래로 갈라지며, 수과는 항상 2개의 인편과 함께 탈락되므로 뚜렷이 구분된다. 국명은 식물체가 소형인 특징을 감안하여 ‘애기개올미’로 부여하였으며, 형태학적 형질을 근거로 분류군에 대한 기재를 하였고, 주요 형질에 대한 도해도와 한국산 너도고랭이속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미역취 및 근연분류군(국화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장창석,오병운,양선규 한국식물분류학회 2012 식물 분류학회지 Vol.42 No.1

        동북아산 미역취 복합체(S. virgaurea complex)에는 미역취(S. virgaurea subsp. asiatica), 잔미역취(S. virgaurea var. taquetii), 나래미역취(S. virgaurea var. coreana), 산미역취(S. virgaurea subsp. leiocarpa), 울릉미역취(S. virgaurea subsp. gigantea) 등 5가지의 종하분류군이 보고되고 있으나, 분류군의 실체 및 한계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기재문과 기준표본을 바탕으로 국내의 9개 자생지 집단을 조사하여 미역취의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였고, 동북아산 미역취 복합체의 실체 확인 및 분류학적 처리를 수행하였다. 또한 문헌 및 표본 관찰을 통해 동아시아산 미역취속의 분포역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미역취는 유럽산 미역취(S. virgaurea L.)와 명확히 구분되는 독립된 종(S. japonica Kitam.)으로 인정되었으며, 울릉도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과 일본에만 한정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잔미역취와 나래미역취의 검색형질들은 미역취의 해당 형질 변이 폭 내에 포함되므로 모두 미역취의 이명으로 처리하였으며, 산미역취는 국내에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울릉미역취는 충분한 실험재료가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에 분류학적 처리를 보류하였으며, 두메미역취가 한반도 북부에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NE Asiatic Solidago virgaurea complex in Korea has been reported on 5 taxa (S. virgaurea subsp. asiatica, S. virgaurea var. taquetii, S. virgaurea var. coreana, S. virgaurea subsp. leiocarpa, and S. virgaurea subsp. gigantea). However, the broad morphological variations and a lack of diagnostic characteristics have made it difficult to distinguish these taxa and have thus resulted in a complicated taxonomy in the complex. Therefore, to clarify the classification and delimitation of each tax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 virgaurea complex were investigated by examining the original descriptions and type specimens. Field work was also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and geographic features. In conclusion, S. japonica Kitam., as a legitimate name, was distributed all over the country except for the Is. Ulleung-do in Korea, as distinguished from S. virgaurea L. Both S. virgaurea var. taquetii and S. virgaurea var. coreana were considered as synonyms of S. japonica, as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within the variation range of those of S. japonica. Furthermore, S. virgaurea subsp. leiocarpa does not occur in Korea. Additional investigations are required to clarify the classification of S. virgaurea subsp. gigantea, whose populations were not found during the investigation in this study. S. dahurica, meanwhile, was distributed in the northern part of North Korea.

      • KCI등재

        소백산 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장창석,오병운,양선규,박민수,김기홍,서상원 한국식물분류학회 2011 식물 분류학회지 Vol.41 No.4

        The flora in the region of Mt. Sobaeksan National Park (N36°50´−37°50´, E128°20´−128°43´) was surveyed from April of 2005 to October of 2011. The vascular plants from 27 field surveys were revealed to total 869 taxa, comprising 112 families, 429 genera, 756 species, four subspecies, 91 varieties and 18 forms. Sixty-eight taxa were the first records from this region. This field study discovered significant plants in various categories. Korean endemic plants numbered 25 taxa, and 18 taxa designated by the Korean Forest Service as rare plants were investigated in this region. The taxa in category II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and higher than the third degree among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were three taxa and 75 taxa, respectively. From a geographical perspective, limited distribution of Saxifraga octopetala,Corydalis grandicalyx, Aegopodium alpestre, and Polygonatum acuminatifolium at a latitude higher than that of Sobaeksan National Park suggest that Sobaeksan National Park might be the limit line of the distribution of the taxa. Stewartia koreana demonstrate a reversed pattern from the taxa above, occurring at a latitude lower than that of Sobaeksan National Park. In addition, naturalized plants of 53 taxa were recorded. 소백산 국립공원 지역(북위 36°50´−37°50´, 동경 128°20´−128°43´)에 자생하는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05년 4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총 27회에 걸친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소백산 국립공원의 관속식물은 112과 429속 756종 4아종 91변종 18품종의 총 869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이 중 기존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에서 최초로 밝혀진 분류군은 68분류군이었다. 소백산 국립공원에서 자생하는 식물들 중에는 한국 특산식물 25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18분류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 II급 3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III등급 이상에 해당하는 75분류군 등이 생육하고 있었다. 또한 소백산 국립공원 지역이 한반도 분포의 남한계인 식물로 구실바위취, 갈퀴현호색, 왜방풍, 종둥굴레 등이, 북한계인 식물로 노각나무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53분류군이 조사되었다.

      • KCI등재

        한국산 골풀속의 해부학적 형질에 의한 분류학적 연구

        장창석,오병운 한국식물분류학회 2016 식물 분류학회지 Vol.46 No.4

        The anatomical characters of the 19 taxa of Korean Juncus were reviewed in order to examine their significance in taxonomy. Cross-section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stem, leaf, and capsule. Descriptions, line drawings, tables, and a species key of Korean Juncus are provided for species identification based on anatomical charac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arrangements of the vascular bundle, fiber, and air-space structure in the stems as well as the arrangements of the vascular bundle and parenchyma in the leaves and the development of placenta in capsules are the key characters to be used when classifying each species of Juncus. It was revealed that the studied anatomical features were more useful for identification at the subgenera and section levels than at the species level. Therefore, these anatomical characters used in conjunction with external morphological features will make a valuable contribution to establishing a natural classification system for Juncus. 한국산 골풀속 19 분류군에 대하여 해부학적 형질의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줄기, 잎, 삭과 등을 횡단하여 관찰하였으며, 주요 형질을 도해하고, 기재하였다. 또한 해부학적 형질에 근거한 검색표를 작성하였고, 분류군간 차이점을 표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줄기의 유관속, 섬유, 기도의 배열양상과 잎의 형태, 유관속 및 유조직의 배열양상, 삭과에서 태좌의 발달정도 등의 형질들이 골풀속 식물의 분류에 매우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일부 분류군에서는 근연 분류군과의 분류형질로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지만, 종 수준보다는 절 또는 아속 수준의 분류에 더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해부학적 형질은 다른 외부형태학적 형질과 더불어 보다 자연적인 분류체계 설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 KCI등재

        대흑산도의 관속식물상

        장창석,양선규,장현도,이로영,박민수,김기홍,오병운 한국자원식물학회 2014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7 No.5

        The flora in the region of Daeheuksando (N34˚37´~34˚42´, E125˚23´~125˚38´) was surveyed from June 2010 to October 2011. The vascular plants from 22 field surveys were revealed to total of 496 taxa: 113 families, 316 genera, 446 species, four subspecies, 43 varieties and three forms. 124 taxa were the first records from this region. This field study discovered significant plants in various categories. Korean endemic plants numbered 7 taxa, and 6 taxa designated by Korean Forest Service as rare plants were investigated in this region. The taxa in the category II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and higher than the third degree among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designated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one taxon and 47 taxa, respectively. Especially, it was proved that Spiraea chartacea, Hosta yingeri, Hemerocallis hongdoensis and Saussurea polylepis were endemic to Heuksan-myeon including Daeheuksando in Korean peninsular. In addition, the naturalized plants of 46 taxa were recorded. 대흑산도 지역(북위 34˚37´~34˚42´, 동경 125˚23´~125˚38´)에자생하는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10년 6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총 22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은 113과 316속 446종 4아종 43변종 3품종의 총 496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이 중 기존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에서 최초로 밝혀진 분류군은 124분류군이었다. 대흑산도에 자생하는 식물들 중에는 한국특산식물 7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6분류군, 환경부 지정멸종위기 야생식물 II급 1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III등급 이상에 해당하는 47분류군 등이 생육하고 있었다. 특히 특산식물 중 떡조팝나무, 흑산도비비추, 홍도원추리, 홍도서덜취등 4분류군은 한반도에서는 대흑산도를 포함하는 흑산면 도서지역에서만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46분류군이 조사되었다.

      • LS-DYNA를 이용한 SB4 등급 방호울타리의 충돌해석

        장창석,홍기남,김주홍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2024 복합신소재구조학회 학술발표회 Vol.2024 No.04

        중앙분리대 콘크리트 방호울타리(Concrete Median Barriers, CMB)는 마주 달리는 차량과의 정면충 돌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탑승자의 상해 및 차량의 파손까지 최소화하는 중요한 안전시설 중 하나이 다. 현재 국내의 CMB는 설계속도에 따라 등급이 정해지고, 이에 맞는 성능 평가를 실시하게 된다. 현 재 국내의 특수구간을 제외한 저속구간 및 일반구간(60~80km/hr)에서는 SB4등급 이하의 CMB가 사 용되고 있으며, 고속구간(100km/h 이상 도로)에서는 SB5등급 이상의 CMB가 사용된다. 그중 고속국 도에 시공되는 SB5등급 이상의 CMB에 대한 연구는 지속해서 수행되는 반면 일반국도에 대한 CMB 연구는 비교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국도에 시공되는 SB4등급의 효율적인 단 면을 찾기 위한 해석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단면 형상은 1, 2차 충돌에 큰 영향을 미치는 단면의 높이 와 최하단부의 곡률 반경이 고려되었다. 유한요소 해석에 사용된 차량은 미국 교통부(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에서 제공한 16톤 트럭을 국내 차량과 비슷한 형태로 개선한 차량이었다. 해석 결과 로, 트럭의 충돌 후 단면 형상에 따라 발생한 트럭의 거동, 콘크리트 비산량, 소성변형이 비교되었다.

      • KCI등재

        Q방법론을 활용한 갈등 인식유형 연구 -금강하구 해수유통사례를 중심으로-

        장창석,이도희,김선경 한국지방자치학회 2015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7 No.2

        어느 국가나 사회도 갈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다. 다원화되고 민주화된 사회에서 갈등이 존재하는 것은 당연하나, 지속적인 갈등은 사회통합과 안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갈등은 곧 행정 낭비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금강하구 해수유통 사례를 중심으로 갈등의 지역주민 인식유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갈등관리를 위해서는 이해관계자의 파악과 분석이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Q방법론에 근거하여 지역주민의 인식유형을 분석하였다. Q분석을 통한 ‘해수유통 지향형’, ‘부분해수유통 재고형’, ‘지역주민관심촉구형’의 3개의 유형으로 정의되었다. 갈등사안은 정체기에 진입하였으며, 문제의 발로가 지역감정이 아니며, 해수유통에서도 모두 공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갈등의 이해관계자들의 인식분석을 질적정보와 양적정보를 모두 반영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갈등관리에 유용성을 더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활용을 기대한다. In any country or society is not free from conflict also. While it is natural that is to present conflict in democratized society., but continuing conflict is acting as a factor inhibiting the social integration and safety. These conflicts are immediately led to a waste of government finance.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type of conflict perception of residents for the Keum river estuary seawater circulation case. For conflict management,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the stakeholders is important. Therefore, we analyzed the perception type of local residents based on the Q-methodology. And through the Q-methodology it has been defined in the three types of “seawater circulation-oriented type”, “reconsideration type of part seawater circulation” and “spurring type to promote interest of local residents“. To conflict cases entering the plateau, starting point of the problem is not in the region emot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y are all sympathy even in seawater circulation. In this study, by utilizing the Q-methodology, the analysis of the conflict perception of the stakeholders were presented the policy implications that reflects all of the qualitative information and quantitative information. So, this study is expected as a new approach that it is can be added utility in conflict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