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드라마 제호의 부정경쟁방지법상 보호에 관한 소고

        張貞愛(Jung Ae Chang) 한국비교사법학회 2009 比較私法 Vol.16 No.1

        Today we frequently find the trademark on the street, which had been used in the drama title in the broadcasting station. Although the broadcasting station would like to claim the trademark right of drama title to those parties, the Copyright Law cannot protect its right since the drama title is not a literary works and also Trademark Law cannot help either if it isnt' registered. However, the economic significance of drama title is increasing these days, and people make every effort to create and determine the title since it stimulates the curiosity and brings enormous advertising impact. Thus people intend to take a free ride in the fame of drama title, resulting in the requirement of the legal protection system. On the hand, everyone has the right to create, decide and use the title. So it's not a simple problem as to how far the title should be protected. After all, only when the consumer might misconceive or confuse because of misuse of drama title,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Law("UCPL") could be applied. That is when the title is famous mark in the country and the party uses that title without permission, the protection of UCPL should be examined throughly. In case the title used in the broadcasting is well-known as worth of protection, or is work as indication of source or discrimination functionally, the consumer might misconceive or confuse, UCPL §2 ① (ga) (na) should be applied.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drama title, it is frequently more the trademark dilution, by blurring and tarnishment, than misconception and confusion. Thus, the anti-dilution provision should be considered and applied strictly to the point of requisite and evidence.

      • KCI등재

        주식매수청구권 행사 주체에 관한 고찰

        張貞愛(Jung-Ae Chang) 한국기업법학회 2016 企業法硏究 Vol.30 No.2

        주식매수청구권은 소수주주의 권익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회사의 조직변경을 원활히 하기 위한 기능으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주식매수청구권이 일종의 풋옵션(put option)으로 작용하여 남용적 행사와 투기적인 행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소수주주가 주식매수청구권을 다량으로 행사할 경우, 기업은 주식매수청구 대금의 부담으로 조직변경을 무산시킬 수도 있고, 조직변경 후 찬성주주들이 오히려 손실을 보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남용의 문제는 결국 어느 단계에서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주의 자격을 부여할 것이냐의 문제로 귀결된다. 주식매수청구권 행사를 위한 반대주주의 시간적 범위는 기준일 이후의 주주, 사후취득주주, 주주총회결의 후의 주주로 구분할 수 있다. 기준일 이후의 주주와 사후취득주주의 경우, 소수주주의 권익 보호와 경영자에 대한 견제 역할이라는 주식매수청구권의 기능적 측면에서 보았을 때 주식매수청구권을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주주총회결의 후의 주주는 우리 법문상으로도 맞지 않고 보호할 필요도 없으므로 주식매수청구권을 인정하여서는 아니될 것이다. 사후취득주주에게 주식매수청구권을 인정함에 따라 야기되는 투기 악용은 결국 주식매수청구의 절차 제한과 공정한 가격 결정의 문제로 접근하여야 한다. 즉 주식매수청구권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공정한 가격이 담보되는 신속한 결정 및 절차의 진행이 보장되어야 한다. 먼저 주식매수청구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하기 위하여 청구기간을 일정 기간으로 제한하고, 그 기간의 경과에 주주 자격의 이전이라는 효과를 부여하여 매수절차를 종료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단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하였다면 회사의 동의를 요건으로 그 철회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철회제한은 투기적 목적으로 주식매수청구권제도를 이용하려는 유인을 억제할 것이다. 아울러 매수가격이 공정성을 갖춘다면 투기적인 주식매수청구권 행사가 방지될 것이다. 따라서 자본시장법도 상법과 균형을 맞춘다는 차원에서 ‘공정한 가격’을 매수가격의 기준으로 설정하여야 한다. 특히 사후취득주주에게 주식매수청구권의 행사를 인정하되, 그 매수청구가격은 당해주주의 매수가격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필요가 있다. The function of appraisal right is to protect the rights of minority shareholders as well as promote the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Recently, however, appraisal right is used as some kind of ‘put option’ leading to abusive acts and speculative behavior. If the minority shareholders can exercise appraisal right in large quantities, the company could thwart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since stock purchase payment would be huge and Pros-shareholders losses can be significant. This abusive act of appraisal right question as to at which stage to certify shareholders’s qualification. Temporal scope of the dissident shareholders for appraisal right differentiate after-fixed-date shareholder, after-acquired shareholder, and after-general assembly resolution-shareholders. For afterfixed-date shareholder and after-acquired shareholder, appraisal right should be granted at the point of protecting the rights of the minority shareholders and checking with the resposibilities of the management. However, appraisal right should not be allowed for after-general assembly resolution-shareholders since it isn’t aligned with our Code and no need to protect them. The problem of abuse as after-acquired shareholder accept the appraisal right, should be solved with fair value and effective procedures of appraisal right. For abuse prevention, ① limiting the period of exercising appraisal right ② admitting the qualifications for shareholders, assigned after the transitional period ③ allowing the withdrawal of appraisal right only with the company’s approval are required. In addition, if the purchase price is in ‘fair value’, speculative appraisal right will be prevented. Especially, after-acquired shareholder should not exceed the purchase price, since the purchase prices need to be limited.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이사회 제도에 관한 고찰

        장정애(Jung-Ae Chang) 한국비교사법학회 2010 비교사법 Vol.17 No.3

        The corporate governance has been the focus of controlling functions in organizations of a company such as board of directors, supervisory board, general meetings, etc. during the last decades. The prevalent method of rebuilding the corporate governance in many countries has been to enhance the ability of supervising the business in the company. Similarly, it has been needed to rebuild the system of the board of director, which held both the positions of decision-making and supervising in our country. The Sabanes-Oxley Act approved by the US Congress as a result of corporate governance and accounting scandals, and all three major exchanges-NYSE, NASDAQ, AMEX- in US amended their corporate governance listing requirements. Moreover, SEC's involvement in corporate governance has long been largely reactive and incremental. Since we have enhanced the corporate governance and transparency of capitalmarket as modeling the corporate governance system in US, this study suggests the board of directors system should be changed to enhance corporate governance, comparable to that of the US system after the Sabanes-Oxley Act and amended regulations of the stock exchange. Both the boards and outsiders including shareholders and regulatory agencies have not been receiving full and accurate information about corporate finances. Board members' access to informa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board is more likely to be effective if the board's chair and CEO are separate entities, and the board ultimately is responsible for reviewing the performance of CEO. However, it is difficult to do this if the CEO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oard. Therefore, a majority or supermajority of the board should be composed of independent or nonmanagement directors, and the meaning of “independent” should be tightened.

      • KCI등재

        공정한 기업지배구조를 위한 기관투자자의 역할과 한계

        장정애 ( Chang Jung Ae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法學硏究 Vol.31 No.1

        모두가 행복하고 잘 살 수 있는 투명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실현하는 공정한 기업지배구조를 위해서, 기업은 경영진의 활동을 견제할 내부통제장치, 재무제표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위한 외부통제장치 등 회사의 상당한 자원을 투자하여야 한다. 그러나 추가적으로 상당한 자원을 투자하지 않고도 공정한 지배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장기 주주이면서 의결권 행사시 최상의 경영판단을 할 수 있는 기관투자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하지만 기관투자자들도 경영감독을 위한 경제적 이익이 크지 않고, 수탁자와 위탁자간 또는 기관투자자와 투자대상기업간의 이해상충문제로 인하여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첫째, 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 활성화 방안으로 수탁자 책임의 이행에 관한 Best Practice 제시하고, 이행상충방지 정책을 수립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공모펀드가 최적의 기업 경영 감독 역할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공모펀드의 수수료 규제를 해제하고 규제 완화를 통해 펀드매니저에게 적절한 인센티브가 보상될 수 있도록 한다. 뮤추얼펀드와 공적연금 운용자들이 현재 사모펀드 운용자들이 지급받는 것과 유사한 인센티브 기반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법적 체계가 정비된다면, 적극적인 경영감독을 시도하여 직접적인 인센티브를 창출할 것이다. 셋째, 규범의 재정비를 제안한다. 먼저 공모펀드 감시에 대한 규제 해제로 공정한 기업지배구조를 위한 시장을 활성화 하고, 경영진과의 이해상충의 문제에 대한 감시와 견제·통제의 역할이 온전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의결권 행사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도록 한다. 또한 기관투자자들에게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개시의무 및 설명의무 등을 부과하는 방안도 고려해 봄직하다. To ensure fair corporate governance that enables transparent and sustainable growth where everyone is happy and well-off, an entity must invest considerable resources in the company, such as internal controls to check management activities and external controls to ensure financial statements are accurate. But in order to create a fair governance structure without investing significant additional resources, the role of the institutional investor who is a long-term shareholder and can make the best management judgment when exercising voting rights is important. However, institutional investors are also passive due to conflicts of interest between the trustee and the consignee, or between institutional investors and the companies subject to investment. Therefore, as an improvement measure, the entity first proposes to present best practices for the performance of trustee responsibilities as a way to promote voting rights of institutional investors and to establish policies for preventing conflicts. Second, to help the public offering fund provide the optimal role of corporate management supervision, the public offering fund's fee regulation will be lifted, and proper incentives will be compensated to the fund manager through deregulation. If the legal system is reorganized to allow mutual funds and public pension operators to receive incentive-based compensation similar to that currently paid by private equity fund operators, active management supervision will be attempted to create direct incentives. Lastly, I propose to reorganize the statutes. First of all, the market for fair corporate governance is revitalized by deregulation of public fund monitoring, and the legal basis for exercise of voting rights is established so that the role of monitoring, checking and control of conflicts of interest with management can be intact. It is also helpful to consider imposing an obligation to initiate and impose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on institutional investors.

      • KCI등재

        내부통제제도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소고

        장정애(Chang Jung Ae) 한국재산법학회 2014 재산법연구 Vol.31 No.2

        기업윤리와 도덕을 바탕으로 하지 않은 기업경영은 전세계적으로 환영받지 못하고 결국 엔론사나 월드콤사 사태와 같은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이 자명해지자, 기업 경영진들은 이러한 사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강력한 수단으로 내부통제제도를 중시하고 있다.우리나라도 내부통제제도를 통하여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경영을 투명화하고, 법적 분쟁을 최소화함으로써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이미지 제고에 노력하여야 할 시점이다. 내부통제제도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먼저 내부통제기관의 책임성을 명확히 규정하여 업무 독립성을 확보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전문적 지식과 이해를 겸비한 담당자를 배치하고 공식적 지위를 확보하게 한 후, 이해상충되는 책임 부여를 금지하고 다른 부서로부터 부적절한 영향을 받지 않고 주도적으로 업무를 추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해임과 관련한 규정을 상법에 명시적으로 두어 법적 보호장치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또한 내부통제 모범규준을 미국 FSGO상 가이드라인과 같이 실무적인 방향성을 더 구체적이고 세부적으로 기술하여, 합리적 이유 없이 이를 위반할 경우 징계조치를 강화하고 준수할 경우 적절한 인센티브를 반영하는 등 감독당국의 일관적인 계도ㆍ시정조치를 취함으로써, 기업에게 직ㆍ간접적으로 환경과 조건에 부응하는 효과적인 내부통제체제를 구축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내부통제가 진정으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내부통제제도가 경영진이 주체적으로 준법통제시스템을 구축운용하면 준법경영의 실현을 보장받고 위법경영으로 발생하는 책임을 경감 받을 수 있는 유익한 제도라는 인식이 보편화되어 있는 문화의 조성이 필요하다. The management of the company without corporate ethics and morals are not welcomed globally, as these kinds of company become insolvent such as Enron and WorldCom eventually. As such CEOs are putting more emphasis on Corporate Internal Control System as one of the strong preventive methods. It's time to improve the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and be transparent in the management of the company throughout the Internal Control System in Korea. To stimulate the Internal Control System, the independence through enacting a provision of responsibility must be guaranteed. To be independent, ① compliance function staff should have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② compliance function should have a formal status within the company ③ compliance function staff should not be placed in a position where there is a possible conflict of interest ④ there should be legal protections for compliance function staff's status. The internal control guideline in Korea should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such as the Federal Sentencing Guidelines for Organizations, to apply the rule effectively. Also, supervisors should require the company they supervise to have strong control cultures and should takes a risk-focused approach in their supervisory activities.

      • KCI등재

        원인채무의 이행기과 어음의 지급기일에 관한 고찰

        장정애(Chang Jung Ae) 한국재산법학회 2014 재산법연구 Vol.31 No.3

        원칙적으로 어음관계는 실질관계와 분리된 추상적인 법률관계로 존재하지만, 어차피 어음관계는 원인관계의 수단에 불과하므로 양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당사자간 어음수수시에 원인관계의 처리를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의사가 항상 명백한 것은 아니다. 그 결과 분쟁이 발생하면 당사자의 의사해석을 통하여 어음수수의 의사가 무엇인가를 구체화하여야 한다. 당사자의 의사내용에 따라 어음관계가 원인관계 즉 기존채무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되기 때문이다.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기존채무의 이행에 관하여 어음을 교부할 때 당사자의 의사는 ① 기존의 원인채무를 소멸시키고 새로운 어음채무만을 존속시키고자 할 경우로서 '지급에 갈음하여' 또는 '변제에 갈음하여' 하는 경우 ② 어음을 기존원인채무에 대한 지급수단 그 자체로서 주고받고자 하는 경우로서 '지급을 위하여' 또는 '지급의 방법으로' 하는 경우 ③ 기존원인채무의 지급을 담보하기 위하여 그에 덧붙여 어음상의 권리를 부여하고자 할 경우로서 '지급확보를 위하여' 또는 '담보를 위하여' 하는 경우의 세 가지 형태가 있다. 일반적으로 수수된 증권의 종류가 무엇이냐에 따라 증권의 수수가 원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구분하고 있다. 즉 당좌수표는 지급을 위하여, 약속어음은 지급을 담보하기 위하여, 자기앞수표는 지급에 갈음하여 식으로 정리하고 있다. 하지만 '지급을 위하여'와 '지급을 담보하기 위하여'는 그 구별이 명확하지 않고 판례도 '지급을 위하여 또는 지급을 담보하기 위하여 어음을 교부한 때'라는 식으로 혼용하고 있는바, 당사자의 의사가 분명하지 않을 때는 어떤 의도로 교부하였냐는 의사해석의 문제로 해결하여야 한다. 대상판결은 당사자의 의도를 간과한 체, 만연히 기존 판례 즉 어음이 지급을 위하여 교부된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 채권자는 어음채권과 원인채권 중 어음채권을 먼저 행사하여 만족을 얻을 것을 당사자가 예정하였다고 할 것이어서 채권자로서는 어음채권을 우선 행사하고 그에 의하여 만족을 얻을 수 없는 때 비로소 채무자에 대하여 기존의 원인채권을 행사할 수 있는 것이므로, 채권자가 기존채무의 변제기보다 후의 일자가 만기로 된 어음을 교부받은 때에는 특단의 사정이 없는 한 기존채무의 지급을 유예하는 의사가 있다고 보고, 지급기일이 이 사건 보증보험기간에 속하지 않는다고 보아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였다. 하지만 합리적인 이유가 있고 양 당사자에게 보편타당한 결론이 내려진다면 어음을 기존채무의 담보를 위하여 교부한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경우도 있다. 즉 교부되는 어음의 형태에 따라 일도양단으로 이 경우는 '지급을 위하여'고 다른 경우는 '담보를 위하여'라고 규칙을 만들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유상계약에서 거래 당사자들이 얻는 것과 치른 대가가 동일할 수 있도록 손익형량론에 따라 양당사자에게 합리적이고 구체적 타당성을 갖는 해석을 하여야 한다. In principle, a note transaction is actually an abstract, separate from underlying transaction, however, they have an intimate relationship since a note transaction is a means of underlying transaction. It is not always obvious how Parties want to effect the underlying transaction when the Party receives a note. As a result, when the dispute occurs, the court should try to clarify what Parties really mean. The effect of delivering the note to underlying transaction is different dependent upon the intention of the Parties When the debtor delivers a note in relation to the payment of underlying transaction, there are three types. (1) If a note is delivered, it is presumed as a conditional payment.(2) If a check is delivered, it is presumed as a guaranty or security. (3) If a cashiers check is delivered, it's regarded as a payment in complete satisfaction. When a note is delivered as a conditional payment or as a security, the liability and the underlying debts exist together. If a cashiers check is delivered in complete satisfaction, the underlying debts becomes extinct according to the theory of payment in substitutes. The Case just overlooked the intention of Parties, and followed the view of the former cases to no purpose. However, the fact relevance of this Case is quite different from the fact relevance of former cases. I suggest the theory of balance of profit and loss between the persons concerned in note. The theory is based upon the hypothesis that the profit and loss should be kept in substantial balance or equilibrium with no exception among the persons concerned in life of a note. Issuers, drawers, holders in due or not, endorsers, even forgers can not be exceptional. Therefore, this Case should be reconsidered with analyzing the fact relevance on the theory of balance of profit and loss.

      • KCI등재
      • KCI등재

        부정경쟁방지법상 보호되는 영업표지로서의 제호에 관한 소고 -뮤지컬 캣츠 사건을 중심으로-

        장정애 ( Jung Ae Chang ) 한국경쟁법학회 2015 競爭法硏究 Vol.32 No.-

        Under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Law(“UCPL”), the term ‘acts of unfair competition’ means an act of causing confusion with another person’s commercial facilities or activities by using marks identical or similar to, another person’s name, trade name, or emblem, or any other mark indicating another person’s business, which is widely known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application of UCPL to the title, a prerequisite to be a business mark referred to in UCPL, was not the case in this situation, since the title lacked such a precondition. The title ‘Cats’ did not display the function of indicating source by specifying the ‘RUG’ company, as well as plaintiff ‘Seol &Company’, and also the defendants did not use the title ‘Children’s Cats’ as a business mark. Even if using the title ‘Children Cats’ is the act of unfair competition under UCPL, ‘Fair Use Theory’ is applied to UCPL since the Government promotes the fair use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shall endeavor to prevent abus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under Framework Act on Intellectual Property.‘Cats’ in the title used by the defendant’s Children Cats is nothing but merely to point to the contents of the musical with ‘Cats’. And it is not showing business mark of the RUG as well as the plaintiff. Since the defendant has used ‘Cats’ in order to explain their musical case to ‘descriptive fair use’, this does not correspond to unfair competition.

      • KCI등재

        지배주주 견제를 위한 기관투자자 의결권행사의 활성화 방안

        장정애 ( Jung Ae Chang ) 한국상사판례학회 2013 상사판례연구 Vol.26 No.4

        Korea has mainly been developing through large conglomerates, and as such, owner-centric management system has been maintained, large conglomerates` finance insurance companies investment ratio to affiliates have been high, and companies with owners have an excessive amount of internal equity - a unique characteristic of corporate governance in Korea. In the discussion of corporate governance, the major focus has been on functions and distribution of power in general meeting of stockholders, board of directors, audit committees. However, in Korea, under the structure of large conglomerates, it was difficult to have management supervision because of the close relationship of board of directors/audit committees and the management. Also, the individual directors and the auditors were not independent from the controlling shareholder and as such, it was difficult to protect minority shareholder. To check the controlling shareholder under the structure of large conglomerates, the preventing system(such as trustees` responsibilities) for the interests conflict and double derivative suit should be adopted. And the vitalization of institutional investors` voting rights must be pursued. As a method to vitalize voting rights (1) the notice period for convocation of meeting of shareholders should be advanced (2) the scope of mandatory prior-disclosure system needs to be expanded (3) electronic vote system should be adopted (4) Shareholder`s general meeting agenda related information to be shared broadly (5) Proxy Advisory Service to be introduced.

      • KCI등재

        주주대표소송에 의한 채권자취소권 행사에 관한 소고 - 일본 판례 동향을 중심으로 -

        장정애(Chang, Jung-Ae),임소연(Lim, So-Yeon) 한국재산법학회 2018 재산법연구 Vol.35 No.1

        주주대표소송은 원칙적으로 회사가 이사의 책임을 추궁하여야 하지만, 이사들 사이에는 특수한 인간관계가 형성되기 때문에 실제로 회사가 이사의 책임을 추궁하는 것이 어려운 관계로, 이사의 회사에 대한 책임을 추궁하는 것을 주주에게 인정하는 제도이다. 하지만 주주대표소송은 주주가 회사에게 먼저 이사의 책임을 물을 것을 청구한 후 30일 이내에 회사가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비로소 이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제도이다. 따라서 불시에 소송을 당하는 경우와 달리, 이사로서는 사해행위를 하고 싶은 유혹이 생기기 쉽고, 책임재산을 처분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제공되는 것이다. 주주대표소송 이야 말로 이사의 책임재산 확보방안이 그 어느 소송보다도 중요하다. 일반 사법상 채무자의 책임재산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채권자취소권’을 생각해 볼수 있다. 채권자취소권이란 채무자가 채권자를 해할 목적으로 제3자에게 재산 처분 등을한 경우, 채권자가 법원에 그 수익자를 상대로 사해행위를 취소하고 원상회복을 구하는 권리를 말한다. 따라서 주주대표소송에 있어서도 채권자취소제도가 인정된다면 주주대표 소송의 실효성도 확보하고 제도를 활성화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이 경우 주주대표소송의 피고적격과 관련하여서 피고의 범위에 사해행위의 상대방인 수익자 등이 포함될 수 있는지, ‘회사의 이사에 대한 책임추궁’에 ‘채권자취소권’이 포함되는지 여부가 현행제도에서 주주대표소송에 의한 채권자취소권 행사 가부를 결정하는 요인이라 하겠다. 최근 급증하는 대표소송의 실효성 확보와 활성화를 위해서는 피고의 범위에 수익자 등을 포함시키고, ‘회사의 이사에 대한 책임추궁’의 범위에 ‘채권자취소권’을 포함한다고 하여 법문에 반하거나 지나친 확장해석으로 보기는 어려울 것 같다. 실제로 사해행위 취소는 회사가 이사에게 책임을 묻는 수단의 일환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상법규정에도 명시적으로 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바, 대표소송에 의한 채권자취소권 행사가 가능 하다고 생각되고, 이사의 책임재산 보전의 필요성 때문에라도 이러한 해석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할 주주대표소송이 회사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기업경영의 건전성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활발한 기업 감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주주대표소송에 의한 채권자취소가 가능한 방향으로 실무상 운영되었으면 한다. It is not easy for the company to hold the director responsible legally due to inter-relationship of directors. So it is necessary for Shareholders to require directly directors to be responsible for the company by Shareholder s derivative lawsuit. But shareholders can file Shareholder s derivative lawsuit in 30 days only after the company do not accept the claim of shareholders, so there are a lot of possibilities for directors to do fraudulent act. From such fact,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property of directors in Shareholder s derivative lawsuit. Actio Pauliana is one of the common methods to secure the liability property in civil case. Actio Pauliana is the right that creditor can revoke the fraudulent act and restore against the beneficiary in the case of that fraudulent act is done by debtor. If Actio Pauliana is accepted in Shareholder s derivative lawsuit, Actio Pauliana would be helpful to the effectiveness and activation of Shareholder s derivative lawsuit. This pending issue is depending on whether the defendant qualification in Shareholder s derivative lawsuit include the beneficiary in fraudulent act, and the claim of responsibility for the directors by company include Actio Pauliana. Considering the increase, effectiveness and activation of Shareholder s derivative lawsuit, it is desirable to grant the beneficiary in fraudulent act the defendant qualification, and Actio Pauliana the claim of responsibility for the directors by company. Such interpretation conform to commercial law and the intent and purpose of shareholder s derivative lawsuit. Shareholder s derivative lawsuit should be functioned for the improvement of corporate governance, the securement of management soundness and corporate surveillance. Actio Pauliana will contribute to the above function of Shareholder s derivative lawsu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