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희생제의와 희생양의 철학적 기능

        장영란 ( Young Ran Chang ) 한국동서철학회 2013 동서철학연구 Vol.68 No.-

        희생제의와 희생양에 대해 철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먼저 다양한 기준에 의해 세분화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희생 제의는 첫째 희생 제물을 통해 성스러움에 참여하는 ‘목적’과 관련되었으며, 둘째 희생 제물을 성스럽게 만든 일련의 행위들로 이루어진 ‘과정’과 관련되었으며, 셋째 희생 제의에 의해 치유되거나 구원받는 ‘결과’와 관련되어 있다. 첫째, 희생제의의 목적과 관련하여 인간이 신에게 희생제의를 바치게 되는 원인을 실존적 원인, 종교적 원인, 도덕적 원인 등으로 나누어 분석해보았다. 둘째, 희생제물의 신성화의 과정과 관련하여 희생양의 변천과 종류 및 기능 등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셋째, 희생제의와 관련된 다양한 현상들과 관련하여 철학적 비판을 통해 희생제의의 본질에 대한 성찰과 윤리적 사유의 발전에 대해 살펴볼 수 있다. 희생 제의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고대인들이 인간의 다양한 고통을 이해하고 해결하려는 방식 때문이다. 그리스 철학은 특히 희생제의의 방식과 관련하여 기존의 동물 희생제의와 희생양 제도에 대해 비판적 태도를 가진다. 희생제의를 바치는 행위로 죄가 용서되거나 또는 희생양의 피를 바르는 것을 통해 죄가 정화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만약 악한 사람이 죄를 저지르고 희생제물을 바침으로써 용서를 받을 수 있다면 아무도 선하게 살려고 하거나 올바르게 살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신들이 선한 존재이기 때문에 악한 사람의 희생제물도 받지 않는다. 인간은 신들 앞에서 끊임없이 자기 자신을 되돌아보며 탁월성을 훈련해할 필요가 있다. 그것을 통해 좋은 사람이 된다면 신들은 희생제의를 즐겁게 받아들이게 된다. 그리스 종교의 희생제의에 대한 비본래적인 태도에 대해 철학은 희생제의의 근본적인 목적이나 방법에 대해 반성적 성찰을 통해 희생제의의 본질에 대해 윤리적 성찰의 단초를 제시하고 있다. It`s to be need to examine the various criterions of philosophical analysis on sacrifice and scapegoat. First, the sacrifice is related to the purpose participating in the sacred. The reason to perform the sacrifice is divided into the existential cause, the religious cause, and moral cause. Second, It`s related to the process consisting in a series of activities to make offerings sacred, and the kinds, func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scapegoat. Third, it`s related to the result to be saved or cured us by sacrifice. There are so many phenomenons of sacrifice that make consider the fundamental reflection on it`s essence and the development of ethical thinking by philosophical critics. Greek philosophy has been to be criticized to animal sacrifice or scapegoat. It`s unjust to forgive our guilt by animal sacrifice without metanoia(conversion) or transformation of the soul. If a bad man would commit to sin but would be forgiven, nobody would be wanted to live a good life or a just life. But Gods are good, and don`t receive bad men`s offerings. Man always takes care of self, and have to practice arete. If we would be a good man, Gods would be received our offerings. Greek philosophers have presented a clue of ethical thinking through critical reflection on the fundamental purpose and method of the sacrifice.

      • KCI등재

        고대 그리스 신화와 철학의 "하늘"의 상징과 이미지의 변용

        장영란 ( Young Ran Chang ) 한국기호학회 2014 기호학연구 Vol.39 No.-

        본 논문은 고대 그리스신화를 중심으로 서구 문화에 나타나는 ‘하늘’의 상징과 이미지의 원형적 구조와 생산 및 변용을 검토하는 데 목표가 있다. 서구 상징체계를 설명하기 위해 독자적인 이론적 구조를 확립해야 할 필요가 있다. 우선 인간의 정신이 구조화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상징과 이미지의 ‘근원’적 관점, ‘현상’적 관점, ‘기능’적 관점, ‘문화’적 관점 등 네 가지 관점을 도출하고, 다음으로 인간의 정신 속에서 작동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상징과 이미지의 ‘원리’, ‘표상’, ‘생산’, ‘변용’이라는 네 가지 과정을 추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네 가지 관점과 과정을 적용하여 그리스 신화에 나타난 하늘의 상징과 이미지에 대해 논의한다. 첫째, 근원적 관점에서 하늘은 초월, 무한, 영원을 상징하고 형이상학적 이미지를 가진다. 그것은 구체적이고 물리적 하늘에서 추상적이고 형이상학적인 하늘 개념으로 발전되어 가면서 인간에게 점차 망각되는 경향을 보이며 숨은 신의 특징을 보인다. 둘째, 현상적 관점에서 하늘은 전쟁을 상징하며 파괴적이고 전투적 이미지를 표상한다. 하늘에 나타나는 비, 바람, 천둥, 번개, 벼락 등의 현상들은 인간들에게 공포와 두려움을 불러일으키며 신의 분노와 징벌의 특징을 보인다. 셋째, 기능적 관점에서 하늘은 질서와 법칙을 상징하고 정의와 조화의 이미지를 산출한다. 그것은 우주 자연의 질서와 법칙을 관장하며 인간사회의 법과 도덕의 지배하는 기능을 산출한다. 넷째, 문화적 관점에서 하늘은 생식이나 창조 및 권력을 상징하며 정치적 위계질서와 계층구조 및 가부장제의 아버지의 이미지로 변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treatise is aimed to consider the archetypal structure, reproduction and transformation relating to symbol and image of the sky in Greek mythology as the origin of the Western spirit. Above all for explaining Western symbol system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its own theoretical structure. I have derived the point of “fundamental”, the point of “phenomenon”, the point of “function”, and the point of “culture” in order to explain how the human spirit is structured. And then I have extracted four processes of “principle”, “representation”, “reproduction” and “transformation” from material symbol and image for explaining how to operate within the human spirit. In this paper, I have argued about the symbol and image of sky in Greek myth and culture. First, the sky is a symbol of transcendence, infinity, eternity, and has the metaphysical image and principle. The more it is developed from concrete and physical sky to metaphysical sky, the more it is forgotten from human and called it ‘the hidden god’(Deus absconditus). Second, the sky is a symbol of the war from the phenomenal point of view, and represents the destructive and aggressive image. Third, the sky is a symbol of the law and order from the functional point of view, and produces an image of justice and harmony. It also is derived from function that takes charge of cosmic law and rules over the law and custom in human society. Fourth, the sky is a symbol of the procreation or the creation, and the power from the cultural point of view, and transforms into an image of the hierarchy and the image of the patriarchal‘father.’

      • KCI등재

        대지의 신화의 상징과 이미지의 표상과 생산 원리

        장영란(Young-Ran Chang) 비교민속학회 2015 비교민속학 Vol.0 No.57

        본 논문은 대지의 현상적 특징과 기능적 특징으로 통해 상징과 이미지가 어떻게 표상되고 생산되는지를 살펴보는데 주요 목표가 있다. 첫째, 대지의 현상적 특징과 이미지의 표상을 분석하기 위해 인간의 관점에서 ‘드러난 공간’과 ‘숨겨진 공간’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우선 우리에게 ‘드러난 공간’으로서 대지는 일차적으로 수직으로 올라가는 형태를 가진 것들과 수평적으로 펼쳐진 형태를 가진 것들로 구별할 수 있다. 한편으로 수직적 측면에서 평편한 대지 위로 ‘산’이나 ‘언덕’은 하늘을 향해 올라가는 형상을 가졌기 때문에 숭고와 관련된 신성한 이미지를 가졌다. 다른 편으로 ‘수평’적 측면에서 대지는 형태에 따라 논이나 밭으로 사용되거나 거주지로 사용된다. 대지로부터 자라나는 것들을 통해 인간이 양육되기 때문에 대지는 인간을 양육하는 어머니의 이미지를 갖는다. 다음으로 우리에게 ‘숨겨진 공간’으로서 대지는 지하세계나 무덤이나 동굴 등이라 할 수 있다. 대지 안으로 파여 있는 동굴의 이미지는 어머니의 자궁은 연상시킨다. 그렇기 때문에 동굴 안으로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오는 행위자체는 탄생, 죽음, 재탄생을 반복한다. 둘째, 대지의 기능적 특징과 이미지의 생산과 관련 해서는 ‘우주의 생산’, ‘인류의 탄생’, ‘우주 질서와 법칙’, ‘정화와 치유’ 등 네 가지 측면에서 다룬다. 우선 대지는 ‘우주의 생성’과 ‘인류 탄생’의 기능을 한다. 서구 신화에서 대지는 어머니로 모든 것을 낳는 여신이다. 그러므로 우주의 기원을 대지나 여성성에 두고 설명하려는 신화는 분명하게 우주‘생성’신화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지는 인류를 낳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초기에 인류는 자연적으로 대지에서 탄생한 것으로 설명되지만 점차 흙으로 창조된 것으로 설명된다. 다음으로 대지는 ‘우주의 질서와 법칙’을 구현한다. 하늘에 나타나는 일정한 질서와 법칙에 따라 대지는 다채롭게 변화한다. 마지막으로 대지는‘정화와 치유’의 힘을 가진다. 대지의 강력한 생명력은 대지에게 재생력과 치유력도 가진다고 생각하게 만든다. This paper is aimed to explain how to represent and produce the symbol and image of the earth through it’s phenomenolog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First, to analyze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ymbol and images of the earth, it has been described by classifying the “open space” in the “hidden space”. The earth as a “open space” to us can be distinguished those of a vertically raised form and those of a horizontally expanded form. In the vertical aspects, it has the form of the ‘mountain’ or ‘hill’ and has sacred image associated with the sublime because of rising towards the sky. Temple or palace or a city also often play a central role in the universe, such as mountains. In the ‘horizontal’ aspects, it is used as paddy or field or used as a residence in accordance with it" form. Earth has an image of a mother raising a human being. Next, earth as a “hidden space” to us has the form of the underground world or the grave or cave. The form of the cave carved in the ground reminds us of the image of the mother’s womb to us. The ritual act that go down into and up from the cave is understood as symbolizing the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Secondly, the earth is the source of every thing, with regard to it’s functional features and the production of it’s image. So it is associated closely with cosmogony. In the western myth, the earth is the great ‘mother’ who gives birth to universe. It needs primarily to be separated from the sky in order to produce all. All sorts of stories to explain the separation of earth and sky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The one is the type isolated by way of natural phenomena and the other is the type artificially divided by setting the independent person.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와 공자의 명과 덕 개념

        장영란 ( Young Ran Chang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3 동방학 Vol.28 No.-

        본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에 대한 기본적인 논의를 중심으로 공자의 명과 덕 개념을 이해하는 데 있다. 그러나 엄밀한 비교철학의 관점과 기준을 가지고 분석해보기 보다는 동서양 철학 상호간의 이해 가능한 개념적 기반을 마련하고 인간 사유의 보편적 원형을 찾아볼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의 개념이 기본적으로 ‘좋음’이란 주요 개념과 연관이 되어 있으며, 이것은 동양 철학의 천과 도의 개념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좋음’은 공자 시대의 ‘도(道)’와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한 사람은 인생의 갖가지 운들을 가장 훌륭하고 가장 적절하게 견디어낼 수 있다고 한다. 그리스의 운(tyche)과 운명(moira)는 동아시아 사상에서 명 또는 천명 개념과 비교하여 설명될 수 있다. 셋째,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은 덕에 따른 영혼의 활동이라고 하며 덕은 영혼의 ‘기능’을 올바로 발휘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공자는 덕이 선천적 자질일 뿐만 아니라 후천적 수양을 통해서 습득되는 측면을 보여주려 했다. 아리스토텔레스나 공자의 덕은 기능이나 본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개념은 우주론적인 측면이 결여되어 있다. 넷째, 아리스토텔레스는 덕에 따른 행동을 하는 데에는 즐거움이 따른다고 한다. 물론 덕에 따른 행동들은 실천하기에 힘들 수 있지만 본성적으로 즐거운 것들이며 덕을 실천하는데 즐거움을 느낄 수밖에 없다고 한다. 공자도 진정한 군자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상황에서도 덕 자체를 즐길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 KCI등재

        그리스 종교 축제의 영혼의 치유와 소통

        장영란 ( Young Ran Chang ) 한국동서철학회 2013 동서철학연구 Vol.69 No.-

        본 논문은 고대 그리스의 종교 축제에 대한 플라톤의 정의를 단초로 하여 현대 사회의 축제의 주요 기능과 목표와 연관되는 요소들을 추출하고 분석하여 축제의 본래적 목적을 반성적으로 고찰하는데 주요 목표가 있다. 첫째, 그리스의 종교 축제는 어원적으로‘만남’을 통해 ‘소통’을 하는 특성을 포함한다. 그리스 축제에서는 신들과 인간들 간의 수직적 소통과 인간들과 인간들 간의 수평적 소통이 이루어진다. 그것은 인간들 간의 갈등과 전쟁을 종식시키고 소통을 통해 평화를 가져온다. 둘째, 그리스의 종교 축제는 인간의 삶의 실존적 상황에 대한 인식을 통해 궁극적으로 고통의 해방을 목표로 한다. 그것은 본래 신들을 즐겁게 하는 목적에서 출발하지만 인간들도 즐겁게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플라톤은 신들이 축제를 통해 인간이 고통에서 벗어나 휴식을 할 수 있도록 정해주었다고 한다. 인간은 경쟁을 통해 고유한 능력을 탁월하게 발휘하는 가운데 진정한 즐거움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셋째, 그리스의 종교 축제의 기능과 관련하여 플라톤이 축제를 주관하는 신들로 무사여신과 아폴론 신, 그리고 디오뉘소스 신을 말하는 이유는 영혼을 치유하는 기능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그리스인들은 무사여신들과 아폴론이 주관하는 시나 노래 및 춤 등 다양한 예술 분야를 통해 즐거움을 얻고 디오뉘소스 신이 주관하는 비극을 통해 정화를 할 수 있다고 말한다. 넷째, 그리스의 종교 축제는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입문과 정화를 통해 기존의 낡은 삶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으로 재탄생하고 싶은 갈망과 연관되어 있으며, 사회적인 측면에서는 기존의 낡은 질서를 해체시켜 새로운 질서를 정립하려는 갈망과 연관되어 있으며, 우주적인 측면에서는 순환적 체계 속에서 기존의 낡은 생명을 사라지게 하고 새로운 강력한 생명력으로 부활시키려는 갈망과 연관되어 있다. 그리하여 축제를 통해 인간은 우주의 원초적 생명력을 회복하고 새로운 삶을 정립하여 살아갈 수 있는 힘을 얻게 된다. 다섯째, 그리스 종교 축제는 가족, 집단, 국가 공동체의 유대감을 강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각 공동체에 중요한 정치적 기능을 가진다. 축제를 통해 신들과 인간들이 서로 모여 갈등과 대립을 극복하고 소통을 하며 모든 것을 하나로 만드는 상호 유대감과 연대의식을 형성하였다. This paper is aimed to analyze the role and feature of Greek religious festivals on the basis of Plato`s philosophy. It would be given us some suggestions for modern festival. First, Greek religious festivals include a feature by the ``communication`` through the encounter etymologically. It is achieved communication between the gods and humans, and between humans and humans. It put an end to conflict and war between humans and bring peace through communication. Second, Greek religious festivals are aimed to the liberation of pain in the end. It had the purpose of pleasing the gods from the original, but also brought the results to pleasing humans. Plato claimed gods take care of human to be out of suffering and gave a relaxation through the festival. Humans can have real pleasure in a certain sort of activity expressing virtue by competition. Third, Greek religious festivals are related to Mousai, Apollo and Dionysos who managed to festivals. They have ability to heal the soul. The Greeks said that Mousai and Apollo are responsible to obtain the pleasure in various fields of art such as singing and dancing, and that we can make a purification through pity and fear in the tragedy belong to Dionysos ritual. Fourth, Greek religious festivals are related to longing to create the way of a new life away from the old life in personal aspects, and the desire to establish a new order away from the old order in social aspects, and to recover the new vitality of life and to organize new life in universal aspects. Fifth, the Greek religious festivals play a role to strengthen the bonds of community such as families, groups, and countries, and have an important political function to each community. They make to gather together Gods and humans, to overcome conflict and confrontation, and to form solidarity and mutual bond.

      • KCI등재

        그리스 종교 축제의 원형적 특성과 탁월성 훈련

        장영란(Chang, Young-Ran)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3 No.3

        고대 그리스에서 축제의 기원은 정확하게 이야기하기는 어렵지만 대부분 종교 제의에서 출발한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오늘날 일상적으로 벌어지는 다양한 축제들의 궁극적인 목표와 방향을 반성적으로 성찰해 보기위해 고대 그리스 종교축제의 기원과 목적 및 기능 등을 검토하는데 목표가 있다. 우선 그리스 종교 축제가 가진 주요 요소들과 원형적 특징을 살펴 볼 수 있다. 그리스 종교 축제의 목적은 일차적으로 신들을 즐겁게 해드리는 것이었다. 그것은 신들의 호의를 얻기 위한 것이다. 그리스 종교 축제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흥미롭게도 다양한 종류의‘경쟁’(agon)이라 할 수 있다. 그리스인들은 종교적 제의를 바친후에 다양한 분야에서 경쟁을 한다. 그리스 종교 축제는 희생 제의로부터 아주 독특한 종교적 축제를 발전시켰고, 오늘날 현대인들이 축제라고 부를 때 말하는 중요한 요소들의 원형적 특징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스의 종교 축제는 인간의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여 신에 대해 경외심을 보여주는 중요한 표현양식이었다. 그리스 철학 이전에 인간의 탁월성과 관련된 주요 논의는 운동경기를 통해 나타난 신체의 탁월성이나 춤이나 노래 및 드라마 경연대회를 통해 나타난 영혼의 탁월성 등에 주안점이 있었다. 그러나 그리스 철학 이후부터는 본격적으로 영혼과 신체의 탁월성을 훈련시키기 위한 훈련이나 교육은 진리를 인식하기 위한 목적과 직접적인 연관을 가진다. 현대의 축제도 고대로부터 시작된 축제의 주요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비록 종교적인 목적에서 출발했던 축제가 본래의 목적과 상관이 없어진다 할지라도, 여전히 인간들이 ‘경쟁’을 통해 ‘탁월성’을 드러내려는 목적과 기능은 축제의 중요한 원형적 특징이 될 수 있다. It is difficult to explain explicitly the origin of the festival in the ancient Greek, but it seems to start from religious ritual. In this paper, I try to examine the purpose and function of ancient Greek religious festivals so as to reflect modern various festivals and to present to its new direc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find and analyze the archetypal characteristics of major elements in Greek religious festivals. The primary purpose of Greek religious festivals is to make the gods pleased. It is to get the favor of the gods.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Greek religious festivals is interestingly a various kind of ‘competition’ (agon). After the Greeks perform religious ritual to gods, they have competed in a variety of fields. Greek religious festivals have very uniquely developed festivals from the religious rituals, and they are included the archetypal characteristics of important factors of festivals. Greek religious festival performed human excellence to show reverence for gods. Before Greek philosophy, human excellence was divided into the excellence of the body by athletics and the excellence of the soul through sing and dance and drama competition. After Greek philosophy, training the excellence of the soul and the body are related directly to recognition of the truth. Contemporary festivals include key elements originated from the ancient festivals. Although the festivals beginning from religious purposes is lost a part of the original purpose, training and practice of human excellence through competition is to be the archetypal characteristics of the festivals.

      • 철학 상담과 철학적 대화법 -플라톤의 대화편을 중심으로-

        장영란 ( Chang Young-ran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1 존재론 연구 Vol.25 No.-

        현대에 이르러 철학의 실천적 활동들 중 하나로서 철학 상담은 기존의 심리치료나 정신분석학적 치료 등과 같은 요법으로 접근하기 힘들거나 해결하기 어려웠던 수많은 인간의 정신적 문제들을 다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철학 상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소크라테스 대화법을 분석하고, 철학 상담의 몇 가지 기본 요소들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우선 철학 상담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선 몇 가지 기본적인 조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첫째는 ‘솔직히 말하기’이다. 철학 상담은 상담자가 일방적으로 진단하고 처방하는 의학적인 치료 방식이 아니다. 파레시아, 즉 솔직히 말하기 또는 진실하게 말하기는 상담자와 내담자가 상호소통을 하는 중요한 단초가 된다. 둘째는 ‘공감적 듣기’이다. 철학 상담자는 내담자의 감정이나 서사에 공감적인 태도를 가질 필요가 있지만 객관적 거리를 잃고 지나치게 빠져들게 되면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 다음으로 소크라테스의 방법으로부터 철학 상담의 몇 가지 방법들을 도출하고 활용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소크라테스의 보편적 정의를 통한 일반적인 상식과 통념을 깨트리는 방법으로 내담자가 일상적 삶 속에서 무심코 획득한 사회적 편견이나 가치로 인해 발생한 갈등이나 고통을 해소시킬 수 있다. 둘째, 논박술을 통해 스스로 자신의 무지를 인식하고 비판적으로 사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이다. 그러나 철학 상담자가 소크라테스의 논박술을 사용할 경우에 매우 조심스럽게 다룰 필요가 있다. 셋째, 철학 상담자는 산파술을 통해 내담자가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스스로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조력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 따라서 내담자에게 지나치게 개입하여 내담자가 자율적으로 사유하는 것을 방해하거나, 상담자가 자신의 입장을 직접 제시하여 내담자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일을 삼가야 한다. Philosophical Counseling can b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aling with human mental problems which haven’t be solved by psychotherapy and psychoanalysis. This treatise aims to analyze Socratic conversation as methodolog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to find out it’s fundamental elements. First of all we have to examine two basic conditions for philosophical counseling. The one is ‘telling frankly or freely’. Philosophical counseling is different from medical therapy. Philosophical counselor can’t diagnose and prescribe uni-laterally. Plato’s parrhesia is the clue of mutual communication or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counselor and client. The other is ‘hearing compassionately’. Philosophical counselor has to have compassionate attitude toward client’s emotion or narratives, but to preserve at a certain distance from client. If not so, he or she can’t play a role as helper. Next we can find out some methods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they are applicable to each case. First, it is the universal definition as method to reflect common sense and general belief. It can be cured mental pain and grief caused by social prejudices and virtues that has received or agreed unconsciously. Second, it is Socratic elenchos as method that makes his ignorance recognize by himself and helps him think critically. But philosophical counselor has to deal with it very carefully when he uses elenchos. Third, it is Socratic midwife-method that philosophical counselor help client find and analyze his problem and consider how does client to solve it for himself. So he have to take precautions against intervening client’s considering positively, and influencing to client’ decision too much.

      • 스토아학파의 영혼의 인식론적 훈련과 철학적 치유

        장영란 ( Young Ran Chang ) 한국해석학회 2012 해석학연구 Vol.30 No.-

        This treatise is purposed to examine spiritual exercises and principles of philosophical healing which is extracted from the principal arguments of epistemology by analyzing stoic texts in Hellenistic period. First, it has to research how to be explained phantasia in Greek philosophy, and received it`s variation in stoic epistemology. Second, it is analyzed the important role and function of kataleptike phantasia in stoicism, and inquired how to be established it`s status confronting with critics of ancient pyrrhonism.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stoicism and pyrrhonism on kataleptike phantasia. Pyrrhonist sceptics is abolished it`s role in epistemology. But stoicism make to work phantasia by introducing ``assesment``(synkatathesis) relative to reasonal judgement. Kataleptike phantasia is utilized as the proper principle of action by assesment. Third, stoicism prescribed some principles as philosophical training and therapy. They are the cognition of ``thing itself`` and ``the exercise of discernment``, the point of view of the cosmos, and ``the exercise of self-expanding``, the view from above and ``the exercise of transcendental or unworldly attitude``.

      • KCI등재

        플라톤의 영혼의 글쓰기와 윤리적 치유

        장영란(Chang, Young-ran) 대한철학회 2009 哲學硏究 Vol.110 No.-

        본 논문에서는 영혼의 돌봄과 관련하여 실천적 양식으로 ‘글쓰기’를 철학적으로 분석하는 데 주요 목표가 있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우리는 세부적으로 플라톤이 『파이드로스』에서 제시한 글에 대한 비판적 입장과 플라톤의 글쓰기의 독특성을 분석하고, 현대사회에서 영혼을 돌보기 위한 방법으로서 글쓰기의 중요성을 새롭게 조명한다. 우선 플라톤은 문자의 기원과 글쓰기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가진다. 그는 테우트 신화와 그림 그리기 비유 및 현명한 농부의 비유를 통해 글보다 말의 우위성을 주장한다. 문자나 글은 영혼이 기억을 제대로 훈련하지 못하게 만들어 쉽게 망각하게 만들기 때문에 우리를 더 지혜롭게 만들지 못하며 기억력도 떨어뜨린다고 비판된다. 또한 마치 그림과 같이 살아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질문을 던지면 항상 침묵하는 것처럼, 글도 질문을 받으면 항상 자신을 대신해서 대답할 저자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말은 글과 달리 살아있으며 영혼을 가졌기 때문에 누군가 공격을 하면 스스로 방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라톤의 글쓰기의 독특성은 바로 뮈토스와 로고스의 사용과, 파토스와 로고스의 조화와 관련되어 있다. 흔히 플라톤의 신화비판은 모든 이야기는 근본적으로 사물의 본성을 올바르게 설명해야 한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플라톤은 올륌포스 신화를 윤리적 문제에 국한하여 비판한다. 플라톤은 자신이 철학적으로 재구성한 신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플라톤의 글쓰기는 영혼의 본성에 대한 철학적 입장과 관련하여 로고스와 파토스의 조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대화편의 형식은 영혼의 이성적인 부분과 비이성적인 부분 모두 적절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영혼이 이성적 부분을 진리로 이끄는데 대화편의 형식이 상당히 많은 기여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플라톤의 글쓰기는 영혼의 돌봄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소크라테스의 ‘너 자신을 돌보라’는 말은 이성이 기개와 욕구를 통제할 수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헬레니즘 시대에 이르러 영혼을 돌보는 구체적인 방법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그것은 침묵, 기억, 글쓰기 등 세 가지로 하나의 과정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글쓰기는 자기 연마의 일종이다. 그것은 자신의 영혼뿐만 아니라 타자의 영혼을 돌보는 데에도 유용하다. 영혼의 병을 진단하여 원인을 알게 되면 스스로 영혼을 치유할 수 있게 된다. This treatise is aimed to analyze 'writing' philosophically as practical mode related to the care of soul. We examine the criticism of written word in Plato's phaedrus, and analyze the originality and characteristics of Plato's writing, and reconsider the importance of writing as the method of caring for ourselves in contemporary society. First, Plato is critic on the origin of letter and the writing. He claims that 'speech' is superior to written word by the myth of Theuth, the analogy of painting, and the analogy of serious farmer. As written word make our souls forget easily, he criticized that it don't make us wiser, and don't give us better memories. Futhermore, as if it seems to be like painting living beings, it is not alive. So if someone were to question it, it always signify one and the same, and it need 'father'. The danger of the written word's creating the illusion of wisdom while remaining external to the soul of the learner is expressed through the image of painted imitation. Second, the uniqueness of Plato's writing is related to the principle of mythos and logos, and the harmony of pathos and logos. Plato's criticism of myth starts it to have to explain the nature of things exactly. So it is limited to ethical issues. Plato used to make and apply philosophical myth. Plato's writing is aimed to the harmony of pathos and logos related to his theory of soul. His dialogues are organized to have influence on both of the rational part and the irrational part of soul. Third, Plato's writing is thought as a sort of the caring for the self. It indicate that reason controls and rules the spirit and the appetites. To be hellenic age, it appeared the concrete methods of caring for ourselves. They are silence, memory, and writing. Expecially, writing is a sort of self-training. It is useful to caring for souls of ourselves as well as caring for souls of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