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종에 따른 소유역의 오염부하 영향평가

        장승우 ( Seungwoo Chang ),강문성 ( Moonseong Kang ),송인홍 ( Inhong Song ),박승우 ( Seungwoo Park ),이은정 ( Eunjeong Lee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기존의 수질오염 관리는 주로 점오염원 위주로 관리되어 왔으며, 2006년 기준 하수도 보급률이 85.5%에 이르러 점오염원 관리에 의한 수질 개선 효과가 한계에 도달하고 있고, 따라서 추가적인 하천, 호소 등의 수질 향상을 위해서는 비점오염원의 배출 저감이 요구되고 있다 (MOE, 2008). 이에 효과적인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해서는 비점오염원 배출의 과학적인 정량화가 시급하고, 그 배출 특성에 따른 적절한 비점오염 관리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유역에서 비료시비 방법이 강우에 의한 영양물질의 거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평가하기 위해, AGNPS 모형을 이용하여 소유역 내의 논에서 일반 비료를 시비할 때와 완효성 비료를 시비할 때의 오염부하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시험유역은 발안저수지 유역으로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에 위치하고 있으며, 1996년부터 서울대학교 지역시스템공학과에서 수문/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2000년 강우-유출 자료 및 수질 자료를 이용하여 AGNPS 모형을 보정 및 평가하였으며, 유출, 유사량, 총 질소, 총 인의 결정계수 (R2)는 각각 0.93, 0.87, 0.92, 0.89로 나타났다. 1999년 강우-유출 자료 및 수질 자료를 이용하여 AGNPS 모형을 검정 및 평가한 결과 유출, 유사량, 총 질소, 총 인의 결정계수 (R2)는 각각 0.92, 0.96, 0.86, 0.84로 나타났다. 시험유역 내의 논 (21.2%)에 일반 비료와 완효성 비료를 시비하였을 때의 오염부하를 모의하였으며, 완효성 비료를 시비하였을 때 오염부하가 총 질소의 경우 약 1.0%, 총 인의 경우 약 5.0%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 AnnAGNPS를 이용한 대전천유역의 유출량 추정

        장승우 ( Seungwoo Chang ),강문성 ( Moonseong Kang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Increased impervious surfaces alter stream hydrology resulting in lower flows during droughts and higher peak flows during flood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AnnAGNPS (Annualized Non-Point Source Pollution Model) on the surface runoff characteristics of the Daejeon-Stream watershed, 89.38km<sup>2</sup> in size, located in Geum river basin. The model parameters were obtained from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databases, and additional parameters calibrated with field data. The model was calibrated and validated by using three years from 2002 to 2004 of the runoff data obtained from WAMIS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to compare the simulated results for the study watershed. R2 values and efficiency index (EI) between observed and simulated runoff were 0.58 and 0.58, respectively. The statistical parameters indicated that the model provided a reasonable estimation of the runoff at the study watershed.

      • 서부 사하라 분쟁에 관한 연구 -모로코 對 폴리사리오 분쟁 및 현황을 중심으로-

        장승우 ( Chang Seungwoo ) 국방대학교 PKO센터 2023 PKO저널 Vol.27 No.-

        서부 사하라(Western Sahara)지역은 아프리카 대륙 서북단 대서양 연안에 위치하여 모로코(Morocco), 알제리(Algeria) 및 모리타니(Mauritania)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광대한 지역으로 오랫동안 스페인의 영토에 속해 있었으며, 지정학적 중요성과 천연자원인 인광석이 풍부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지역의 5분의 4를 현재 차지하고 있는 모로코는 역사적으로 서부 사하라가 본인들의 영토임을 주장하며, 이 지역에 독립국가를 수립하려는 서부 사하라인들의 대표기관인 폴리사리오(Polisario)전선과 분쟁중에 있는데 이것을 서부 사하라 문제 또는 서부 사하라 분쟁으로 부르고 있다. 이러한 서부 사하라 분쟁에 알제리, 모리타니를 비롯한 주변국들이 개입하면서 국제적인 문제로 변하였고, 국제기구인 아프리카단결기구(OAU: Organisation of African Unity)와 유엔이 분쟁에 개입하게 되었다. 특히 유엔은 서부 사하라 분쟁을 해결하기 위하여 1991년 4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제690호에 의거 유엔 서부 사하라 UN 선거지원 임무단(MINURSO: Mission de l’ONU pour l’organisation d’un refe′re′ndum au Sahara Occidental)을 파견하였으나 모로코와 폴리사리오 간 이견 차이로 서로의 분쟁이 끊이지 않았다. 결국 유엔은 이후 평화유지군을 파견하면서 유엔의 힘으로 서부 사하라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려 했으나 현재까지도 모로코와 폴리사리오 간의 분쟁은 해결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서부 사하라 분쟁의 원인은 무엇이고, 이러한 분쟁에 국제기구는 어떻게 개입하고 있으며, 분쟁은 어떻게 전개되었고, 그 영향은 무엇인지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중심으로 연구함으로써 서부 사하라 분쟁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The Western Sahara is a vast region located on the Atlantic coast of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African continent and bordering Morocco, Algeria, and Mauritania, which has long belonged to Spanish territory, and has geopolitical importance and rich characteristics of phosphorite, a natural resource. Morocco, which now occupies four-fifths of these regions, historically claims that Western Sahara is its territory and is in dispute with the Polisario Front, the representative body of Western Sahara people trying to establish an independent state in the region, which it calls the Western Sahara issue or the Western Sahara conflict. The involvement of Algeria, Mauritania and other neighboring countries in the Western Sahara conflict turned into an international problem,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Organization of African Unity (OAU), and the United Nations, became involved in the conflict. In particular, the United Nations dispatched the Mission de l’ONU pour l’organization d’unre’ndum au Sahara Occidental (MINURSO) to resolve the Western Sahara conflict in April 1991 under Security Council Resolution 690, but disputes between Morocco and Polisario continued. In the end, the United Nations later sent peacekeepers and tried to resolve the Western Sahara conflict peacefully with the power of the United Nations, but the dispute between Morocco and Polisario has not been resolved to this day.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Western Sahara conflict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what caused the Western Sahara conflict, how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re intervening in these disputes, how the conflict unfolded, and what its impact is.

      • KCI등재

        미래 기상 시나리오에 대한 편의 보정 방법에 따른 지역 기후변화 영향 평가의 불확실성

        황세운,허용구,장승우,Hwang, Syewoon,Her, Young Gu,Chang, Seungwoo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5 No.4

        It is now generally known that dynamical climate modeling outputs include systematic biases in reproducing the properties of atmospheric variables such as, preciptation and temerature. There is thus, general consensus among the researchers about the need of bias-correction process prior to using climate model results especially for hydrologic applications. Among the number of bias-correction methods, distribution (e.g., cumulative distribution fuction, CDF) mapping based approach has been evaluated as one of the skillful techniqu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ncertainty of using various CDF mapping-based methods for bias-correciton in assessing regional climate change Impacts. Two different dynamicailly-downscaled Global Circulation Model results (CCSM and GFDL under ARES4 A2 scenario) using Regional Spectial Model for retrospective peiod (1969-2000) and future period (2039-2069) were collected over the west central Florida. Total 12 possible methods (i.e., 3 for developing distribution by each of 4 for estimating biases in future projections) were examined and the variations among the results using different methods were evaluated in various ways. The results for daily temperature showed that whil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max and Tmin has relatively small variation among the bias-correction methods, monthly maximum values showed as significant variation (~2'C) as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the retrospective simulations and future projections. The accuracy of raw preciptiation predictions was much worse than temerature and bias-corrected results appreared to be mo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methodologies. Furthermore the uncertainty of bias-correction was found to be relevant to the performance of climate model (i.e., CCSM results which showed relatively worse accuracy showed larger variation among the bias-correction methods). Concludingly bias-correction methodology is an important sourse of uncertainty among other processes that may be required for cliamte change impact assessment. This study underscores the need to carefully select a bias-correction method and that the approach for any given analysis should depend on the research question being asked.

      • KCI등재

        Assessing the Utility of Rainfall Forecasts for Weekly Groundwater Level Forecast in Tampa Bay Region, Florida

        황세운,아세파 터루소,장승우,Hwang, Syewoon,Asefa, Tirusew,Chang, Seungwoo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2013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5 No.6

        미래 기후 정보를 이용한 수문 환경의 단기 미래 예측은 안정적 수자원 공급을 위한 필수적 과제이다. 미국 플로리다 주 중서부 템파지역에서는 주요 수자원 중 하나인 지하수의 효과적 활용을 위해 지하수위 인공신경망 모델 (GWANN)을 개발하여 피압 대수층과 비피압 대수층에 대한 주 단위 평균 지하수위를 월별로 예측하고 그 결과를 수자원 공급 의사 결정에 반영하고 있다. 본 논문은 템파지역에 대한 GWANN 모델을 이용한 지하수위 예측 시스템을 소개하고 모델의 기후 입력 자료의 민감도를 분석함으로써 양질의 기후 정보에 대한 현 시스템의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2006년과 2007년에 대한 연구 결과, 관측 자료를 최적 예측 시나리오 (the best forecast)로 가정하여 적용한 결과는 지하수위 관측 지점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지만 일반적으로 현 시스템 (현 시점의 실시간 주 단위 평균 강우량을 향후 4주간 동일하게 적용함) 에 비해 예측 성능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강우 관측 자료의 백분위 (percentile forecast; 20분위, 50분위, 80분위)를 강우 예측 자료로 활용한 경우에도 현 시스템과 비교하여 일부 나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지하수위 예측 모델을 활용하지 않고 현 시점의 지하 수위가 지속된다고 가정하는 경우 (na$\ddot{i}$ve model) 향후 2주간의 예측 결과가 best forecast 경우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등, GWANN 모델의 단기 예측에 대한 양질의 강우 예측 정보의 활용성은 낮으며, 향후 3주 이상에 대한 예측 성능에 있어 best forecast결과가 na$\ddot{i}$ve model 결과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보이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WANN 모델의 예측 성능은 적용 기간과 지역 및 지하대수층의 특성에 따라 큰 다양성을 가지는 단점을 보여 강우 예측 자료 활용에 앞서 모델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단기수자원 공급 계획 수립을 위하여 사용되는 지역 모델링 시스템에 대한 기후 예측정보의 활용성 평가를 위한 방법론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