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서·논술형 평가 도입의 철학적 정당화와 방향 탐색

        장성민 ( Chang¸ Sungmin ) 한국작문학회 2021 작문연구 Vol.- No.51

        이 연구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서·논술형 평가 도입을 정당화하고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해외의 대입 서·논술형 평가현황을 개관하고, 수능 서·논술형 평가 도입을 정당화하기 위한 몇 가지 질문을 던졌으며, 학습을 위한 쓰기를 바라보는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그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쓰기는 사유와 판단을 통해 인간을 자유롭게 한다는 점에서 내재적 가치가 확보되며, 수능 서·논술형 평가에서는 학습자가 명제 망조직을 어떻게 표상하고 서로 다른 노드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는지 측정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형식도야, 생활적응 교육, 지식의 구조, 역량의 관점에서 쓰기의 가치를 규정하고, 수능 서·논술형 평가 도입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justify the inclusion of essay evaluation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To achieve this aim, we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the international essay evaluation in college entrance, posed some questions to justify the CSAT essay test, and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 of the test according to the paradigm shift in academic writing. Since writing has an intrinsic value in that it liberates a human mind through thinking and judgment, the CSAT essay should utilize this potential and measure how learners represent propositional networks and establish links between different nodes. Thus, in this study, we define the value of writing in terms of a formal discipline, a life-adjustment education, the structure of knowledge, and as a competency skill, and suggest the prospective trajectory of the CSAT essay test.

      • KCI등재

        훌륭한 독자에 대한 국어교사의 인식 유형 탐색 : Q 방법론의 적용

        장성민 ( Chang¸ Sungmin ) 한국독서학회 2021 독서연구 Vol.- No.60

        이 연구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훌륭한 독자에 대한 국어교사의 인식 유형을 탐색하였다. 76개의 진술문을 투입하여 참여자 47명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훌륭한 독자에 대한 인식 유형은 여섯 가지로 분류되었다. 이들은 독서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 가운데 어디에 초점을 두는지, 지향하는 독해력의 수준이 어떠한지, 주목하는 커뮤니케이션 요소가 무엇인지에 따라 나누어 볼 수 있었으며, 어휘력의 중요성이나 매체 환경의 변화에 대한 인식은 두드러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독서(읽기)의 개념과 훌륭한 독자의 상에 대한 인식이 다층적으로 존재할 수 있음을 보임으로써 독서 교육의 목표를 다양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공동체 구성원의 다양한 목소리에 귀 기울임으로써 이 연구의 문제의식을 더욱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cognition type of Korean language arts teachers for good readers using Q methodology. The analysis of the recognition of 47 participants for 76 statements extracted six types of recognition for good readers according to whether they focused on the cognitive or affective domain of reading, which levels of comprehension they targeted, and which communicative factors they focused on. Conversely,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or the consideration of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were not prominen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diversifying the goals of reading education by showing that the concepts of reading and recognition of good readers are multi-layered. Listening to the diverse voices of community members will enabl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o be extended.

      • KCI등재

        범교과 학습 문식성 활동 성향 측정을 위한 표준화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장성민 ( Chang¸ Sungmin ) 한국어교육학회 2021 국어교육 Vol.- No.174

        This study developed a standardized scale to measure the activity tendency in interdisciplinary learning literacy and validated it through factor analysis. According to Britt and Rouet's (2012) multiple-document task-based relevance assessment and content extraction (MD-TRACE) model, nine factors were theoretically assumed and 19 items were developed in advance. By applying repetitiv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the responses of 224 undergraduates, 16 items of 5 factors were finally selected. The model fit an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investigated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mean of the five factors (i.e. perception of task-based needs, intertext model, mental model, considering counterarguments, and monitoring learning outcomes) was 3.50~4.50,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distributed within the range of .64~1.01. The sub-processes of interdisciplinary learning literacy can be practically measured using a standardized scale. It is expected that this scale will be used to effectively diagnose learners' factors in the context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conduct follow-up studies.

      • KCI등재

        커뮤니케이션 이론 기반의 국어과 교사교육 목표 탐색

        장성민 ( Chang Sungmin ) 국어교육학회 2021 國語敎育學硏究 Vol.56 No.4

        이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기반하여 국어과 교사교육의 목표를 탐색하였다. 교사교육 목표로서 예비교사의 태도 변용은 새로운 태도의 형성, 기존 태도의 강화, 기존 태도의 변화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Ajzen(1991)의 계획된 행동 이론에 따라 교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행동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 통제감)에 주목하면 국어과 교사교육의 목표는 ‘① 국어교육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신념과 가치관을 형성한다., ② 국어교육 공동체의 규범과 관습을 이해하고 수용한다., ③ 국어교육 활동의 직·간접적 경험을 통해 자기조절학습을 실천하고 성찰한다.’와 같이 구체화해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세 가지 목표는 첫째, 객관적 사실로서의 지식을 넘어선 신념(기대)과 평가(가치)로까지 교육 내용의 확장을 주장한다는 점, 둘째, 교사 개인의 역량을 개발하는 데 머물지 않고 교사 행동을 사회적 상호작용 활동으로 (재)개념화한다는 점, 셋째, 주로 수업을 중심으로 한 의식적, 통제적 상황과 직접 시연(실천)에 국한되지 않고 직관적, 반사적 상황과 간접 경험(성찰)을 고려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국어교육 및 교사교육 담론과 변별성을 지닌다. This study explores the objectives of teacher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arts based on communication theories. The attitude changes, which are the goals of communication, are divided into: formation of new attitude, reinforcement of previous attitude, and change of previous attitude. On paying attention to the factors affecting behavior (attitude toward the behavior,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ccording to Ajzen’s (1991)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the objectives of teacher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arts were derived from the following. First, acquiring knowledge and forming beliefs and values. Second, identifying and accepting the norms and conventions of the community. Third, practicing and reflecting on self-regulated learning (SRL). These three objectives differ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that they extend to the beliefs and values (beyond factual knowledge), (re)conceptualize teachers’ behavior as social interaction activity (beyond individual capabilities), and take into account intuitive, automatic situations (rather than conscious, controlled situations), and reflections on indirect experiences (rather than the practice of direct instruction).

      • KCI등재

        학습 목적 글쓰기 상황에서 필자의 사전지식이 다문서 문식 경로에 미치는 조절효과 :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용

        장성민 ( Sungmin Chang ) 한국독서학회 2017 독서연구 Vol.0 No.45

        이 연구는 화제에 대한 개인의 사전지식 수준에 따라 학습 목적 글쓰기를 수행하는 필자의 다문서 문식 경로가 어떻게 상이하게 나타나는지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인문사회계열에 재학중인 참여자 49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사전지식 수준에 따른 세부 집단별로 변환적 설계와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집단별 예측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화제에 대한 사전지식은 예측변인 “학습 결과물의 점검”을 경유하는 경로에서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집단의 글쓰기 총점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아 그러한 조절효과가 결과물의 수준차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일정 수준 이상의 사전지식을 갖춘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 사전지식 점수와의 상관은 다문서 문식 행위를 통해 가시적으로 확인되지 않는 “학습 과제의 요구 인식”, “학습 결과물의 점검”을 뒷받침하는 측정변인과의 관계에서 대체로 유의한 반면 “학습 자료의 선택”을 뒷받침하는 측정변인과의 관계에서는 대부분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사전지식 수준에 따른 다문서 문식 경로의 주요한 차이는 ‘계획하기’와 ‘수정하기’의 주도 여부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how the writer’s multiple documents literacy(MDL) path appear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ndivisual’s prior knowledge level. By using transformative design and multiple-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 approach with a sample of 490 highschool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ior knowledge about topics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path through the predictive variable “Monitoring the Product”,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otal score of the two groups. Second, correlation with prior knowledge level is significant in relation to the predictive variable “Perceiving Information Needs” & “Monitoring the Product”; wheras it is not significant in relation to the predictive variable “Selecting Relevant Materials”. Third, the major difference of the MDL paths according to prior knowledge level can be interpreted in terms of distinction betweent plan-oriented and revision-oriented processes.

      • KCI등재

        디지털 다문서 환경에서의 읽기 · 쓰기 : 개인차 요인, 다문서 선택과 사용, 쓰기 결과물 사이의 영향 관계

        장성민 ( Chang Sungmin ) 한국독서학회 2022 독서연구 Vol.- No.65

        이 연구는 독자 또는 필자의 개인차 요인(사전지식, 상호문화적 감수성, 다양성 존중 성향, 인식론적 신념), 다문서 선택과 사용, 쓰기 결과물 사이의 영향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환경에서의 읽기·쓰기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78명을 대상으로 삼아 데이터를 수집하고, 중다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환경에서의 다문서 기반 읽기-쓰기 과제 수행에서 중간 과정으로서 ‘다문서 선택 및 사용’과 최종 산출물로서 ‘쓰기 결과물’ 사이에 상관관계가 높지 않았다. 둘째, ‘다문서 선택 및 사용’의 값을 절대적 횟수로 분석하였을 때와 상대적 비율로 변환하여 처리하였을 때 그 영향 관계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특히 (다)문서에 기원을 둔 정보 단위의 비중이 높을수록 쓰기 결과물의 질적 수준이 저하되고 있었다. 셋째, 개인차 요인으로 ‘다양성 존중 성향’은 인식론적 신념과 일정한 간극을 보이며 다문서 선택과 사용, 쓰기 결과물의 질적 수준을 설명하고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such as readers or writers' prior knowledge, intercultural sensitivity, tendency to respect diversity, and epistemic beliefs), multiple-document selection and use, and writing outcomes in a digital context. Data were collected from 78 undergraduat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he main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multiple-document selection, use, and writing outcomes was not high. Furthermore, the effects of multiple-document selection and use were different when calculated as absolute values and converted into relative ratios. In particular,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information units from external sources, the lower the quality of writing outcomes. Finally, diversity as an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 explained multiple-document selection, use, and writing outcomes in a way different from epistemic beliefs.

      • KCI등재

        학습 목적 글쓰기를 수행하는 필자의 자료 통합 예측모형 탐색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용

        장성민 ( Chang Sungmin ) 국어교육학회 2017 國語敎育學硏究 Vol.52 No.2

        이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학습 목적 글쓰기를 수행하는 필자의 자료 통합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글쓰기의 성패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예측 경로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중인 참여자 490명을 대상으로 ① 학습 과제의 요구 인식(최초 과제 인식, 독자 인식), ② 학습 자료의 선택(출처와 내용 식별, 상호텍스트적 관련, 응집적 표상 구축), ③ 학습 결과물의 점검(새로운 표상에 대한 반응, 분량 제약의 처리), ④ 글쓰기 결과물 수준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 과제의 요구 인식”과 “학습 자료의 선택”은 글쓰기 결과물 수준에 직접효과를 미치고 있었으며, “학습 결과물의 점검”은 “학습 자료의 선택”을 매개하여 글쓰기 결과물 수준에 간접효과를 미쳤다. “학습 과제의 요구 인식”은 글쓰기 결과물 수준에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모두 미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검증된 연구 모형을 바탕으로 이론적,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a hypothesized model that specified direct and indirect linkages between (1) the information needs-perceiving variables of initial task representation and audience aware-ness; (2) the relevant materials-selecting variables of identifying sources and contents, representing intertextual relationships, and constructing a coherent representation; (3) the products-monitoring variables of re-sponding new representations and processing across the writing amount restriction; and (4) the writing qualit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pproach with a sample of 490 highschool students,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perception of information needs and selection of relevant materials predicted their writing quality, with the product-monitoring indirectly affecting the writing quality through its influence on the selection of relevant materials. In addition, students` perception of information needs affect their writing quality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Both theoret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 KCI등재

        고등학생의 자료 통합적 글쓰기에서 분량에 따른 능숙한 필자와 미숙한 필자의 논증 양상 비교

        장성민 ( Sungmin Chang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3

        이 연구는 고등학생의 자료 통합적 글쓰기 수행에서 분량에 따른 능숙한 필자와 미숙한 필자의 논증 양상을 분석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 통합적 글쓰기를 둘러싼 배경 이론으로서 다문서 읽기 이론과 담화 종합 이론, 신수사학 논증 이론에서 분량 제약과 관련해 자료통합적 글쓰기를 어떻게 규정하는지 살펴보고, 동류집단 분리설계 방식에 따라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의 글쓰기 136편(400자 68편, 800자 32편, 1,200자 36편)을 수집한 다음, 질적 내용분석과 통계적 처리를 통해 글쓰기 분량에 따른 글의 응집성, 글의 논증 구조, 논증 도식 활용을 분석하였으며, 궁극적으로 글쓰기의 분량에 따라 자료 통합적 글쓰기의 평가 요소는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지 고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based on comparison of the text structure according to writing amount restriction during highschool students’ writing from sources. In this study, three research problems are organized as follows. First, the perspective on analyzing the students’ writing texts are constructed based on the Multiple text comprehension, Discourse synthesis and New rherotic’s argument theory. Second, the students’ writing texts according to three types of writing amount restriction are analyzed by means of methodology based on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Third, desirable directions on the evaluative design of the writing from sources according to writing amount restriction are suggested by reinterpreting conclusion of the second research problem.

      • KCI등재

        디지털 환경에서의 다문서 선택, 사용의 영향 요인 분석 ― 어떤 사람이 가짜 뉴스, 거짓 정보에 넘어가는가?

        장성민 ( Chang Sungmin ) 국어교육학회 2022 國語敎育學硏究 Vol.57 No.2

        이 연구는 디지털 환경에서의 다문서 선택과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내용 관련성과 출처 신뢰성(저자 전문성)을 개체 내 요인으로 삼아 네 개의 범주에 걸친 총 16개의 문서를 디지털 환경에 구현하고, 고등학생 450명을 표집하여 이들이 어떤 속성의 문서를 선택하고 사용하는지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문화 다양성’에 대한 화제 친숙도와 인식론적 신념 수준을 개체 간 요인으로 삼아 재분석함으로써 개인차 요인에 따라 다문서 선택과 사용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전반적으로 저자 전문성보다 내용 관련성에 더 주의를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지식 수준이 낮은 참여자가 더 많은 문서를 선택하되, 문서로부터 정보 단위를 추출하여 자신의 글에 사용할 때에는 사전지식 수준이 높은 참여자가 보다 정교화된 수행을 보이고 있었다. 인식론적 신념 수준에 따라서는 소박한 신념의 참여자가 더 많은 문서를 선택하고 사용하고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multiple-document selection and use in a digital context. With content relevance and source credibility (i.e., author expertise) as within-subject factors, 16 documents of four categories were implemented in a digital context. In total, 450 high school students were sampled, and the documents of whose features were selected and used were examined using repeated-measures ANOVA and treating topic familiarity and epistemic beliefs for “cultural diversity” as between-subject factors allowed us to identify how multiple- document selection and use differed by individual differences. Participants paid more attention to content relevance than to author expertise. Participants with low prior knowledge selected more documents; however, when extracting information units from documents and using them in their own essays, participants with high prior knowledge showed more elaborated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level of epistemic beliefs, more documents were selected and used by participants with naive beliefs.

      • KCI등재

        대학교 신입생의 자료 통합적 글쓰기에서 필자의 공감 성향이 텍스트 선택에 미치는 영향

        장성민 ( Chang Sungmin ) 국어교육학회 2016 國語敎育學硏究 Vol.51 No.3

        이 연구는 대학교 신입생의 자료 통합적 글쓰기 수행에서 자료 텍스트의 선택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고, 데이비스(Davis, 1980)가 개발한 관계반응척도(interpersonal reaction index, IRI)를 활용해 필자 요인의 한 가지로 개인의 공감 성향에 따라 그 수행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반응척도의 하위 범주 가운데 자료의 조직, 자료의 출처, 반박 논증의 활용, 독자 등을 두루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은 인지적 요소에 해당하는 ``관점 취하기``였다. 하지만 이는 필자와 상이한 태도가 아닌 유사한 태도를 공유하는 자료를 선택해 응집적으로 활용하는 데 유의미한 설명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통념과 다른 결과를 보였다. 둘째, 공감의 정서적 요소에 해당하는 ``공감적 관심``과 ``개인적 고통``은 필자와 상이한 태도를 보이는 자료의 정보량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상상하기``, ``개인적 고통``을 둘러싼 선행 연구의 논란은 이 연구에도 유효했다. 넷째, 전체 글에서 자료 텍스트에 기원한 내용과 필자 자신이 생성한 내용의 비중은 공감 성향의 어느 범주와도 유의하지 않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empathic tendency on selection of sources during college freshmen`s writing from source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60 college freshmen. Further, quantitative analysis by sub-areas of Interpersonal Reaction Index(IRI)(Davis, 1980)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riter`s empathic tendency and his own selection of source tex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higher correlation between the "Perspective-taking" score and the relation of selected source texts, the source, the proportion of using rebuttal argumentation and the audience awareness overall. Secon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has been found between the emotional factors of empathic tendency such as "Empathic Concern" & "Personal Distress" and T-units of the information oriented from source texts disagreeing with the writer`s own view on the topic. Third, the controversies over "Fantasy" and "Personal Distress" have been found the same as those from previous papers. Fourth, There wasn`t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mpathic tendency score and the ratio of writer-oriented information to text-oriented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