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내막 증식증 및 선암에서의 간세포 성장인자와 c-Met의 발현과 혈관신생에 관한 연구

        강기주(Gi Joo Kang),신병섭(Byoung Sup Sin),장성규(Seoung Kyu Jang),윤만수(Man Soo Yoon),이창훈(Chang Hoon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2

        목적 : 자궁내막 증식증 및 자궁내막 선암에서 HGF, c-met의 발현 및 혈관신생과 임상 경과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자궁내막 증식증 19예, 자궁내막 선암 30예 등 총 49예의 환자에서 면역 조직화학적 염색을 이용하여 HGF, c-met의 발현 및 혈관신생을 조사하였다. HGF 및 c-met의 면역 조직화학적 염색은 각각의 특이항체를 이용하였으며, 혈관신생은 anti-CD31을 이용한 면역 조직화학적 염색으로 나타나는 혈관내피세포를 미세혈관으로 간주하여 현미경 하에서 그 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 정상 자궁내막, 자궁내막 증식증 및 자궁내막 선암에서 HGF의 미만성 발현은 각각 45.5, 52.6 및 63.3 %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c-met의 미만성 발현은 각각 9.1, 36.8 및 60.0 %로 나타나 자궁내막 선암에서 미만성 발현의 빈도가 높았으며, 또 c-met의 미만성 발현은 진행된 병기 및 세포 분화도가 낮은 경우에서도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미세혈관의 수의 중앙값은 정상 자궁내막이나 자궁내막 증식증에서 보다 자궁내막 선암에서 현저히 증가됨을 보였으며 (5, 7 vs 22), 단순 자궁내막 증식증보다는 복합 자궁내막 증식증에서 증가됨을 보였다 (6 vs 9). 또 미세혈관 수는 자궁내막 선암에서 진행된 병기나 림프선의 전이와 관련하여 그 수가 증가됨을 보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c-met의 과발현이나 미세혈관 수의 측정을 이용한 혈관신생의 조사는 자궁내막 선암에서 예후를 평가할 수 있는 주요한 인자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 significance of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and c-met expression as well as tumor angiogenesis in endometrial hyperplasia and adenocarcinoma. Method : By means of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HGF, c-met expression, and angiogenesis were investigated in total of 49 patients (19 endometrial hyperplasia, 30 endometrial adenocarcinoma). HGF and c-met were identified with specific corresponding antibodies. To evaluate angiogenesis, the microvessels were highlighted by staining their endothelial cells immunohistochemically for anti-CD31. Areas close to the deepest myometrial invasion or those with the highest grade of endometrial hyperplasia and the highest angiogenic intensity were selected. Three fields of 400 magnification were selected for each slide, and the mean microvessel count was obtained. Results : Diffuse staining for HGF was demonstrated in normal, endometrial hyperplasia and endometrial adenocarcinoma tissue in 45.5, 52.6 and 63.3 percent, respectively, while that for c-met was demonstrated in 9.1, 36.8 and 60.0 percent, respectively. c-Met overexpres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igh surgical stage as well as poor cellular differenti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crovessel count among normal, complex endometrial hyperplasia and adenocarcinoma (median 5, 9 vs. 22) and was between simple and complex endometrial hyperplasia (median 6 vs. 9). The microvessel counts were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igh surgical stage, poor cellular differentiation, lymph node involvement and deep myometrial invasion. Conclusion : This results suggested that both c-met overexpression and angiogenesis measured by microvessel count could be significantly important prognostic indicators for the prognosis of endometrial adenocarcino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