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식O2O서비스 환경에서 기술수용모델이 서비스가치, 신뢰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진정성 조절효과 중심으로

        장보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O2O란 온라인과 오프라인이라는 말이 결합된 단어이며, 주로 전자상거래에서 사용이 되지만 요즘은 마케팅쪽에 자주 사용되는 용어이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할 때 쓰인다. 90년대 집마다 컴퓨터 PC가 생기고 온라인 쇼핑을 사용되면서 나타나기 시작한 현상이 하나 있다. 이것은 쇼루밍(Showrooming)이라는 현상이다. 쇼루밍이란 백화점이나 쇼핑몰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상품을 구경 후, 같은 제품을 온라인에 접속하여 더 저렴하게 사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O2O서비스의 대표는 배달의 민족, 카카오택시를 떠올릴 것이다. O2O서비스로인해 외식산업은 크게 성장을 하고 있는 추세인대 특히 배달앱의 발전이 그동안 배달로 만날 수 없었던 외식문화를 접할 기회가 더욱 많아진 요인으로 꼽힌다. 이러한 외식분야는 그동안 무조껀 오프라인에서 해결할 수 있었지만 이젠 트렌드가 변화하여 O2O서비스로 만나볼 수 있다. 가장큰 예가 커피와 제과 그리고 고기류음식들이 이에 해당된다. 특히 2020년은 코로나로인해 많은 사람들이 서로의 접촉을 피하고 주말에도 집에 있는 시간 등 이러한 이유로 인해 외식O2O서비스는 더욱 많이 찾게 된다. 이를 토대로 서비스 및 고객의신뢰에 따라 충성도가 영향을 받게 된다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외식O2O서비스 분야에서 기술수용모델에 대한 서비스가치, 신뢰 및 고객충성도를 성과변수로, 외식O2O서비스 환경에서 진정성이 기술수용모델(용이성/위험성/유용성)과 서비스가치 및 신뢰 간에 조절역할을 할 것인가에대해 검증하고 이런 연구결과를 통해서 외식O2O서비스 환경에서 서비스가치와 신뢰 그리고 고객충성도에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제시한 문헌고찰을 통해 본 연구의 주요 변수들의 이론적 개념을 정립하고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한 후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총 210명의 응답하였다. 설문조사결과에 대해 SPSS 25.0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O2O is a word that combines online and offline, which is mainly used in e-commerce, but is often used in marketing these days and is used to connect online and offline. There is one phenomenon that began to emerge in the '90s when computer PCs were created and online shopping was used. This is a phenomenon called showrooming. Showrooming refers to the phenomenon of shopping at department stores or shopping malls, where people go online and buy the same product cheaper. The representative of these O2O services will think of Kakao Taxi, the nation of delivery. The restaurant industry is growing greatly due to O2O services, and the development of delivery apps is seen as a factor that has led to mor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dining culture, which has not been available through delivery. In this field of dining out, we have been able to solve the problem offline, but now the trend has changed and we can meet it through O2O service. The biggest examples are coffee, confectionery, and meat dishes. In particular, in 2020, many people avoid contact with each other and spend time at home on weekends, so more and more O2O services will be available to eat out. Based on this,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hat loyalty is affected by service and customer trust. In the field of dining out O2O service, we are going to verify the value, trust, and customer loyalty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s performance variables, and whether authenticity plays a role of adjustment betwee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vailability/risk/availability) and service value and trust in the dining out O2O service environment.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we are going to suggest the service value, trust, and customer loyalty in the dining out O2O service environment. Thus, this study established the theoretical concepts of the major variables of this study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presented in the preceding studies, established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and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for empirical analysis, with a total of 210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verified by conducting empirical analysis using SPSS 25.0.

      •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인식정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보석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사회인으로서의 개인은 조직에서도 필요한 인격으로 기능하고 가족구성원으로서의 의무도 다해야 하는 다중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하지만 직장과 가정의 갈등 문제, 출산률 저하 문제 등이 사회적으로 제기되어 오고 있으며, 이는 가족 돌봄이나 자녀양육과 같은 가정의 중요성을 고려하지 않은 조직환경으로부터 유발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일과 가정은 환경이나 타의로 인해 포기해야 하거나 희생될 수 있을 만큼 가치 없는 것이 아니다. 원한다면 가정에서의 역할과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로서의 일이 포기되는 일이 없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두 가지 모두 선택하고 잘 수행할 수 있는 사회분위기, 조직문화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즉 직장과 가정에서의 역할수행은 상호대립이 아닌 조화와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최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인식정도가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함으로서, 사회복지조직이 바람직한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구성원의 효과적인 조직몰입을 이끌어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는 서울지역에 있는 사회복지기관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인식 정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고, 종사자 전체 및 기혼 종사자로 각각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에게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인식정도는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며,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조직몰입 중 ‘감정적 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 그리고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의 하위변수 중 ‘조직의 관리적 지원’만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기혼종자사의 경우, 여성이 조직몰입(전체) 및 감정적, 유지적, 규범적 조직몰입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냄으로서 가족친화적 조직몰입에 성에 따른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언하고자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은 종사자가 인지하는 가족친화적 문화에 대해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는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인식정도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여성의 사회참여 및 가족친화제도 활용을 권장하고 동시에 남성이 직장과 가정을 함께 중시하는 방향으로 가도록 하기 위해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둘째, 조직은 종사자 개인과 가정, 그리고 조직 자체를 위해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를 형성하고자 하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조직원의 감정적 몰입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가정과 직장의 조화를 중시하는 문화일수록 조직원으로 하여금 진정성 있는 애착으로 조직에 의무를 다하는 태도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조직원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의 관리적 지원’이 필수적이라는 사실이다. ‘조직의 관리적 지원’이라는 것은 조직원에 대한 조직의 배려과 이해, 관심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직몰입 향상을 위해 가장 중요한 부분은 조직 자체의 역할임을 인식하여야 하겠다. 넷째, 사회복지 조직의 대다수를 차지하며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에 대해 민감한 입장을 보이는 여성에 대한 조직의 지원이 향상되어야 한다. 끝으로, 바람직한 조직문화 형성과 조직몰입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국가적 차원에서는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확산을 위한 정책 마련과 더불어 이에 대한 홍보와 교육을 시행해야 할 것이다. 각 분야에서 제도 활용이 실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정적인 지원 또한 아끼지 않아야 하겠다. 둘째, 기관 차원에서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사회복지기관의 운영자는 가족친화적인 조직문화 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의미와 효과를 분명히 인식하고, 새로운 가치관 정립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협회 등의 조직에서는 운영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과 더불어 단계적인 변화를 위한 캠페인을 실시하고, 주기적으로 기관이나 지역별 현황 및 변화에 대해 조사하고 알리는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 각 기관들은 관련 제도의 활용도를 높임과 동시에 가정과 직장을 양립할 수 있도록 권장하는 규정 및 지침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조직문화를 실질적으로 변화시키는 토대가 될 것이다. 셋째, 개인 차원에서 해야 할 역할은 다음과 같다. 종사자 스스로가 가정과 직장 모두를 지켜내야 하며 지켜낼 수 있다는 확고한 신념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법적으로 제도화된 부분에 대해서는 자신의 권리로 인식하고 당당하게 권리를 찾는 자세가 필요하다. 또한 직장과 가정의 양립을 거스르는 조직의 분위기나 요소들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조직문화를 이끌어가는 것이 필요하며, 더불어 자신의 일을 탁월히 해내고 기관과 사회에 기여하는 인물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조직원이 되어야 하겠다. 결과적으로, 조직의 종사자가 가정과 직장을 양립할 수 있는 바람직한 조직문화를 형성해 나가기 위해서는, 국가나 사회, 조 As social beings, individuals should play multiple roles as a member of an organization and a member of family. However, social problems such as work-family conflicts and the decreasing birth rate are being raised, and these problems seem to have been caused by an organizational environment that doesn't put emphasis on family matters such as family care or child upbringing. Nonetheless, both work and family cannot be sacrificed for environment or other reasons. Neither a role as a family member nor a role as a social welfare center worker should be stopped as long as one wants to do. To make this possible, social atmosphere and organizational culture encouraging people to do both roles need to be created. That is, the best role achievement between work and home is to maintain harmony and balance, instead of confro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easures to form desirable organization culture and induce e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from the member by examining the effect of family friendly organization culture recognized by social welfare center worke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social welfare center workers in Seoul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mily friendly organization culture recognized by them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n analysis was made by categorizing the workers into two groups - general ones and married on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family friendly organization culture recognized by members affecte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both groups. However, family friendly organization culture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ly on "affective commitment" among organizational commitment factors, and "organizational administrative suppor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sub-factors of family friendly organization culture. Based on results above, several suggestions made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organization should not ignore family friendly culture recognized by workers. This can be confirmed by a result that family friendly organization culture recognized by workers has an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family friendly organization culture should be recognized in order to promote women's social participation and use of family friendship system, and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make men put emphasis on work and home. Second, an organization needs to make an effort to create family friendly organization culture for individual workers, homes and organization itself. This study found that family friendly organization culture was able to induce affective commitment from members. That is, a culture based on harmony between home and work can make members perform their duties from bottoms of their hearts. Third, "organizational administrative support" is essential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embers. "organizational administrative support" means organizational consideration,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its members.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s is the role of organization itself for improv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concrete measures for forming desirable organization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an be proposed as follows: First, policies, promotion and education for family friendly organization culture need to be prepared and implemented from a government level. Sufficient financial support is also required for a wide range of system use in practical areas. Second, the role of social welfare centers is very important. Social welfare center operators need to recognized the effect of family friendly organization cult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need to start with new value establishment. For this, the association needs to offer education and campaign for the phased change of operators and periodically needs to make a survey of the actual state and change of institutions and regions. Each institution needs to prepare regulations or guidelines so that they can raise the use of relevant systems and recommend work-family compatibility. This will become a basis for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substantially. Third, individual roles are as follows: It is important for each worker to have a firm belief that they should and are able to protect both their home and work. In addition, they need to seek their rights in legally systemized parts by recognizing them as their rights. They are also required to lead organization culture by expressing their opinions about organizational atmosphere or elements that prevent work-family compatibility. They should try to become members who can accomplish their duties and contribute to organizations and society. In conclusion, in order for organization members to create desirable organization culture in which home and work coexist, they should take the lead with independent thoughts and actions in a smooth communication system and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society, and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 발달장애 자녀 어머니의 양육 외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장보석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자녀 어머니의 ‘양육 외 경험’에 관해 탐색함으로써 그 경험이 가진 의미의 본질을 밝혀내는 데 있다. 나아가 다양한 경험이 주는 본질적 의미를 통해 향후 양육 외 경험에 대한 사회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지원을 위한 함의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연구방법 중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였고, 자료수집은 2023년 6월부터 10월까지 발달장애 자녀 어머니 6명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총 180개의 주요한 의미진술이 도출되었고, 재진술을 통해 의미단위를 분류하여 19개의 하위구성요소와 8개의 구성요소, 최종 3개의 범주로 구분하였다. 첫 번째 범주는 ‘자녀 장애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장애 부정과 분투의 과정을 거쳐 장애 인정과 관계변화로 나아가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범주는 ‘양육 외 경험의 실체적 성질’로, 갇힌 세계를 깨고 나와 도전을 시작하였고, 공동체 경험 공유 속 위안 얻기 및 잠재역량의 발현과 인정, 사회적 과업으로 확장되는 모습이 발견되었다. 세 번째 범주는 ‘양육 외 경험에 의한 양육에의 기여’로, 한계 속에서도 새로운 도전을 이어가고, 자녀를 추동하는 관계에서 동행하는 관계로 나아가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결국 발달장애자녀 어머니의 양육 외 경험은 “양육을 넘어서서 본래의 나를 찾아가는 과정, 주체적인 존재로서 자녀와 동행하게 함으로써 양육에 기여하는 동력이 되는 과정”이라는 본질로 발견되었다. 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거쳐 사회복지의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이론적 함의로는 장애자녀 양육자로서가 아닌 어머니 개인의 삶을 들여다보고 주체적으로 정립해 나가는 과정에 초점을 맞춤으로, 관련 연구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양육 외적인 경험들이 어머니 삶에 작용하는 본질을 이해할 수 있었다. 정책적 함의에서는 어머니 자신의 새로운 도약과 성장, 사회에 기여하기까지 잠재력을 발휘하며 자신으로 살아가도록, 장애돌봄와 관련한 사회적인 시스템과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실천적 함의에서는 장애자녀 주양육자의 자기실현을 지원하는 다양한 개발과 연계, 공동체성 확대 필요성, 발달장애 양육자 및 가족 전문가 양성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r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non parental experiences of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uncover the nature of their meanings. Furthermore, through the intrinsic meanings of various experiences, we aimed to obtain implications for future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support for out-of-home care. Giorgi's phenomenological analysis was employed for this research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six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June to October 2023.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180 major semantic statements were derived, and the semantic units were categorized through re-statement and divided into 19 subcomponents, 8 components, and 3 final categories. The first category was 'change in perception of child's disability', which was found to be a process of disability denial and struggle, followed by disability recognition and relationship change. The second category was "the substantive nature of out-of-home experiences," which included breaking out of the confined world and taking on challenges, finding solace in shared community experiences, expressing and recognizing latent capabilities, and expanding into social tasks. The third category was "contribution to parenting by non-parenting experiences," which showed the process of taking on new challenges despite limitations and moving from a relationship of pursuing children to a relationship of accompanying them. In the end,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non-parenting experiences were found to be "a process of finding their original selves beyond parenting, and a process of becoming a driving force to contribute to parenting by accompanying their children as a subjective being."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were discussed and presented. In terms of theoretical implication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lated research by focusing on the process of looking into and defining the lives of mothers as individuals rather than as caregiv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non-parenting experiences in mothers' lives. In terms of policy 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social systems and policies related to disability care should be supportive of mothers' ability to live as themselves, fulfill their potential, and contribute to society. Practical implications include the need for various developments and linkages that support the self-actualization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need to expand community, and the need to train professionals for mothers and famili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인체에 주입된 18F과 131I의 공간선량률 및 피폭선량 연구

        장보석 부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We have measured spatial dose rate distributions from PET/CT scan patients. We constructed an Al support structure for radiation dose meters placed in 5 different heights, 8 different azimuthal angles, and 3 different distances from a patient. We measured the dose rates using 4 survey meters at each measurement point. Total uncertainties in dose rate measurement was found to be within 5 %. In 18F analysis, we have analyse to classify A group ( drinking 1800 ml water) and B group( drinking 900 ml water) in order to measure azimuthal distribution. We have found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patient dose rate is 18.57 ± 2.70 μSv/h in A group and 28.98 ± 6.30 μSv/h in B group. In 131I analysis, we have analyse to classify A group ( drinking 5000 ml water) and B group( drinking 3000 ml water) in order to measure azimuthal distribution. We have found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patient dose rate is 45.0 ± 8.5 μSv/h in A group and 99.8 ± 12.5 μSv/h in B group.

      • 이중 시간 PET/CT 검사에서 피폭 저감을 위한 췌장암과 췌장염 감별의 최적 경계값

        장보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PET/CT 이중시간 영상 검사를 시행의 기준이 되는 경계값을 제안하였다. 1차 실험은 SUVm 인자 1개로 경계값을 분석하였고, 2차 실험은 K-L 변환을 이용한 4차원적 경계값을 분석하였다. 1) SUVm 경계값에 대한 신뢰성 있는 통계적 경계값으로 2.52를 제시하였다 2) 제안된 경계값은 췌장암 구별을 위한 지연시간 검사에서 120분, 180분 모두 적용할 수 있는 통계적 유의수준을 나타내었다. 3) 제안된 경계값 SUVm 2.52 이하의 면적을 적분하면 Delbeke 등이 주장한 SUVm 경계값 2.0보다 피폭선량을 23% 경감 시키는 효과가 있다 4) 본 연구에서 지연검사로 확인된 췌장암 환자 중 SUVm 3.0 이하에서 발견된 췌장암 환자가 5명이다. 이 수치는 Ryu가 제시한 경계값 SUVm 3.0보다 SUVm 2.52를 경계값으로 사용했을 때 정확도에서 12.5% 향상할 수 있다. 5) SUVm 2.52를 경계값으로 설정하고 이중시간 검사를 결정했을 때, 지연 영상에서 췌장암과 염증성 질환을 구분할 수 있는 확률이 95% 수준이다. (p<0.05) 6) K-L 변환을 통해 4차원 췌장암 누적밀도함수 최적의 경계값 를 사용했을 때, 63.48% 피폭 경감 효과가 예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