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IS 격자체계 기반의 도시쇠퇴진단 정밀도 향상 연구

        장문현,최형관,김화환 한국지역지리학회 201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3 No.4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precision of diagnosis of decline through introducing a GIS grid system in selecting a specific level of urban decline. Recently, the development-oriented urban expansion and reconstruction methods have reached the limit, and urban regeneration policies change in the direction of attaching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the area. In this context, this study accepted at a community-led small-scale support method aimed by the government and at the same time, which reflects functional requirements in the stage of selecting the target site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is study focused on improving the method in which the existing diagnosis of decline was basically made in a wide range of area at the unit of administrative district. This study is fundamentally differentiated in that it overcame the limitation of the divided boundary and segmented it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purpose. In addition, the precision of analysis of the decline could improve, applying the grid size considering the size of the target area. It is judg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securing the priority of the areas requiring the promotion of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the objectivity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특정 도시의 쇠퇴수준을 산정함에 있어서 GIS 격자체계의 도입을 통해 쇠퇴진단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데목적을 두고 있다. 최근 개발위주의 도시 확장 및 재건축 방식은 한계를 인식하였고, 도시재생 정책도 지역의 특성과 가치를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정부가 지향하는 지역주도의 소규모 지원 방식을 수용하였고, 동시에도시재생사업 대상지를 선정하는 단계에서의 기능적 요구도 반영한 것이다. 기존의 쇠퇴진단이 행정구역 단위로 광범위한 영역에 획일적으로 이루어진 방식을 개선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행정상의 목적에 따라 구획된 경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세분화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차별성을 지닌다. 또한 대상지의 규모를 고려한 격자 크기의 적용으로 쇠퇴분석의 정밀도를 향상시킬수 있었다. 본 연구의 성과는 향후 도시재생사업 추진이 요구되는 지역의 우선순위 및 의사결정 과정의 객관성을 확보하는데상당한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수계권 역사문화자원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비교 연구 - 영산강과 섬진강을 중심으로 -

        장문현 국토지리학회 2013 국토지리학회지 Vol.47 No.2

        This study aims to complementarily compile historical and cultural data distributed along Youngsan River, which corresponds to the lifeline of southern provinces, and Seomjin River, where Yeongnam and Honam cultures are overlapped, and to comparatively analyze them by space, period and subject. Especially, to clarify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s in the two water system areas adjacent to each other, which has been neglected quite much, this study applied a GIS-used spatial analysis technique. Through this technique, this study placed its importance on systematically comparing and analyzing spatial distribution aspects. In this way, this study attempted to strengthen the mutual link of various historical and cultural aspects and characteristics in these areas, while drawing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se water system areas. At the same time, by visualizing and comparatively analyzing the distribution aspects of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s in the basin areas of Youngsan River and Seomjin River, which are closely associated with people’s life zones in southern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geographic, historic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expects to expand the horizon of related academic fields. Furthermore, this study would be significant even in the aspect of establishing basic data used to locally specialize and activate thes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s in these areas as well as for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policies. 본 연구는 남도의 대표적 수계에 해당하는 영산강과 영호남의 문화가 중첩된 섬진강 유역에 분포하는 역사문화 자료를 보완·집성하고, 이를 공간별·시대별·주제별로 각각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지금까지 소홀히 다루어왔던 인접한 수계권의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분포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GIS를 활용한 공간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공간적 분포 양상을 체계적으로 비교, 분석하는데 연구의 역점을 두었다. 그럼으로써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관한 다양한 모습과 특징을 상호 연계시키고, 수계권의 역사·문화적 특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반도 남부지역의 생활권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영산강과 섬진강 유역권의 역사문화자원 분포양상과 지리적, 시대적, 공간적 특징을 시각화하고 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관련 학문분야의 지평 확대를 꾀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국가균형발전 시책은 물론, 지역특화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한다는 측면에서도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 KCI등재

        공간정보 기반의 감성문화지도 시각화 연구 - 섬진강유역 역사문화유적을 대상으로 -

        장문현 국토지리학회 2015 국토지리학회지 Vol.49 No.1

        In the future society, the creation, exchange, consumption, and enjoyment of culture are expected to skyrocket at an unexpected speed. In preparation for this, the informatization of history and culture and the reprocessing of these are required. For instance, a study on the emotional structure of an area and the establishment of an emotional system of Korea are warranted. Moreover, we should prepare for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to utilize historical and cultural information and to share to society the benefits of knowledge, information, and an elevated culture by the reflux to the field of education. Thus, this study attempts to collect and analyze cultural heritage with emotional elements which remains an understudied field at present. Emotional factors are extracted and rearranged on the axes of time, space, and subject to draw emotional codes.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produce and visualize an emotional map that can figure out the emotions unique to an area. This can be done through analyzing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s spread throughout the areas along the Seomjin River where the cultures of Youngnam and Honam coexist. As a result, this study will transcend the quantitative expression of cultural phenomenon and therefore, contribute to the exploration of the qualitative method. Furthermore, it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would expand the academic field of study on emotions. 미래사회에서는 상상하지 못했던 속도로 빠른 문화의 창조 및 교류, 소비, 그리고 향유가 이루어지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역사 및 문화의 정보화를 비롯한 재가공이 요구된다. 이를테면 지역 감성구조의 탐구와 한국 감성체계의 정립 등을 추진하여 활용 편의를 도모해야 한다. 또한 역사문화정보에 대한 활용 기회를 확충하고, 교육 현장으로의 환류를 통해 지식정보사회의 혜택과 한 차원 높은 문화를 공유할 수 있도록 준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사례가 미흡했던 감성적 요소를 지닌 문화유산에 대한 수집과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감성코드 작성을 위해 감성인자를 추출하고, 시간·공간·주제를 축으로 재배열하였다는 것도 주목할 점이다. 궁극적으로 영호남의 문화가 공존하는 섬진강 유역에 분포하는 역사문화유적의 분석을 통해, 지역 특유의 감성을 밝혀낼 수 있는 감성지도 제작 및 시각화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결과적으로 문화현상의 정량적 표현을 극복하고, 정성적 표현방식의 탐구에 기여할 것이다. 나아가 감성연구에 대한 학문적 지평을 확대한다는 측면에서도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공간정보 기반의 무형문화유산 분포양상 시각화 연구 - 전남 서남권 마을공동체 제의를 중심으로 -

        장문현 국토지리학회 2016 국토지리학회지 Vol.50 No.1

        Recently the potential values of global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re being magnified. Each country is making a constant effort to make its cultural heritages become World Heritage Sites, and is actively supporting the research on the new cognitive system and its use.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macroscopic discussions about Korean unique intangible cultures, there are few studies considering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Especially, it is being required to deal with values and transmissions of village community cultures greatly damaged by the logic of economic feasibility and development. Thus, this study conducted a spatial analysis targeting the village community ritual of the southwest area of Jeonnam focusing on change and re-creation. Eventually, visualization of the distribution aspec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as focused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This visualization is expected to be variously used as a sort of cultural map in related studies. In addition, this study will not stop at simply recording or collecting folklore materials but systematically determine symbolic meanings, social roles, origins, and changes of the components of village community rituals. In the future, the use of long-term cultural policies and the comparison between zones will be studied. 최근 세계적으로 유무형의 문화유산에 대한 잠재적 가치가 크게 부각되고 있다. 각 나라마다 세계유산 등록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새로운 인식체계와 활용성에 대한 연구의 지원도 아끼지 않고 있다. 국내에서도 한국의 고유한 무형문화에 대한 거시적인 논의는 많았으나, 공간정보기술을 연계시킨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그동안 경제성과 개발의 논리로 인해 크게 훼손된 마을공동체 문화에 대한 가치와 전승에 대한 논의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변화와 재창조성에 주목하며, 전남 서남권 지역의 마을공동체 제의를 대상으로 공간분석을 수행하였다. 궁극적으로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무형문화유산의 분포양상 시각화에 중점을 두었다. 이것은 일종의 문화지형도로써 인접 학문분야의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순한 민속자료의 기록이나 수집에 머무르지 않고, 마을공동체 제의의 구성요소들이 지니고 있는 상징적 의미, 사회적 역할, 유래, 변화상 등을 체계적으로 밝혀낼 단초가 될 것이다. 향후에는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 안목의 문화정책에 대한 활용성과 권역별 비교 연구도 수행할 예정이다.

      • KCI등재

        3차원 지형정보 기반의 섬진강유역권 역사문화정보시스템 구축 - 구글어스 플러그인 및 API 활용을 중심으로 -

        장문현,이정록 국토지리학회 2011 국토지리학회지 Vol.45 No.3

        Recently, the importance and values of spatial information is gaining a significant attention in the academia, thus related discussions on its efficient utilization in various fields is flourishing. In this sense, the research focuses on an establish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information system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geospatial information within the Seomjin river area. By reviewing precedent researches and related technologies, Google Earth plug-in, Open API, KML, and etc are actively applied in this research to support the development procedure. With a completed system, it would now be possible to share useful information such as present distribution of ruins, results of multi-dimensional spatial analysis and etc. In fact, the true objective of this research lies in supporting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as well as to enhance the decision-making ability. Conclusivel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ly, Korean cultural heritages may be synthetically understood through an establish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map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geospatial information. Secondly, this research itself may be utilized as a fundamental data in relation to rivers, coasts, and various other similar areas. Thirdly, established database will contribute to an establishment of regional cultural identity as well as a historical research on corresponding regions. Fourthly, not only as an educational source for history and culture, the research data may be applied in establishing a national-level cultural policy. 최근 공간정보의 가치와 중요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효율적인 활용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지형정보를 기반으로 섬진강유역권에 대한 역사문화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기존연구 및 관련 기술을 검토하여, 구글어스 플러그인과 오픈 API, KML 등을 개발과정에 적극 이용하였다. 완성된 시스템을 통해서 유적의 분포현황, 다차원 공간분석 결과 등 유용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실제로 관련 학제간의 융·복합 연구를 지원하고, 의사결정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의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차원 지형정보 기반의 역사문화지도 구축을 통해 우리 문화유산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고, 둘째, 강 유역 및 연안, 그 외의 유사한 권역에 대한 연구 토대를 제공하며, 셋째,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는 지역의 역사 연구 및 지역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넷째, 역사문화에 대한 교육 자료뿐만 아니라, 국가의 문화정책 수립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공간빅데이터와 격자체계를 활용한 농촌진단 고도화 연구

        장문현 국토지리학회 2021 국토지리학회지 Vol.55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mprove rural diagnosis by using spatial big data and a grid system with the purpose of supporting the developmental regeneration and recovery of rural villages. The study considered the attainability of spatial big data and its convertibility to a grid structure in order to overcome the level of wide-ranging and uniform diagnosis and analysis involved in units of existing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study differentiates itself from existing studies in that it applies a standardized grid system to rural areas and compares and analyzes diagnostic indices per township unit and grid unit by calculating each of them. The diagnostic domain is divided into the fields of demographics, convenience of living, industry and economy, and environmental safety, and the comprehensive diagnostic index of the target area was calculated through the numerical mean of the diagnostic indices of each field. During this process, the study mainly applied public data accumulated in the past five years, specifically, various statistical data and spatial information, and visualized a highly readable diagram through the spatial statistical treatment of the diagnostic indices along with GIS spatial analysis functions. Such a precise method of rural diagnosis per grid unit is expected to, on the one hand, deduct the spatial-temporal characteristics of rural communities, which were previously hidden in diagnoses for units of existing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make contributions toward supporting and revitalizing rural regeneration in terms of policy. 본 연구는 농촌의 발전적 재생과 회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공간빅데이터 및 격자체계를 활용하여 농촌진단을 고도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 행정구역 단위의 광범위하고 획일화된 진단 및 분석 수준을 극복하기 위해 공간빅데이터의 구득성과 격자구조로의 변환 가능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다. 표준화된 격자체계를 농촌지역에 적용하고, 읍・면단위 진단지수와 격자단위 진단지수를 각각 산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된다. 진단영역은 인구사회, 생활편의, 산업경제, 환경안전 부문으로 구분하고, 각 부문별 진단지수를 산술평균하여 대상지의 종합 진단지수를 산출하였다. 그 과정에서 각종 통계자료와 공간정보 등은 최근 5년간 누적된 공공데이터를 주로 이용하였고, 진단지수의 공간통계 처리와 GIS 공간분석 기법을 통해 가독성 높은 도면으로 시각화하였다. 이와 같이 정밀한 격자단위의 농촌진단 방식은 기존 행정구역 단위의 진단에서는 드러나지 않은 농촌사회의 시공간적 특성을 도출하는 한편, 정책적 측면의 농촌재생 지원 및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문화재GIS 구축을 위한 문화유적분포지도 제작 연구 -지자체 문화유적정보를 중심으로-

        장문현 대한공간정보학회 2008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6 No.3

        This study is aimed at the surveys of cultural relics and GIS based searching system which have been partially performed in each region.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construct the cultural relics management system of region and to present the plan for a nationwide data integration. Consequently, based on the standard which presents from Cultural Properties Administration constructed a spatial and attribute data. And presented the model which matches national standard for a cultural property GIS integration. Also minimized a damage possibility about the cultural ruins, confirmed an application possibility about cultural ruins inform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본 연구는 문화재지리정보체계 구축사업의 근간이 되며, 문화유적지표조사 결과를 종합 정리한 지역별 분포지도와 GIS기반의 검색시스템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현재 각 지역에서는 개발사업에 따른 지표조사가 부분적・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존의 문화유적에 대한 관리문제 또한 크게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단위의 효율적인 문화유적관리체계 구축과 전국 데이터 통합을 위한 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결과적으로 문화재청에서 제시한 기준에 근거하여 공간 및 속성자료를 구축함으로써 향후 국가차원의 문화재GIS 통합에 있어서 표준안에 부합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문화유적에 대한 훼손 가능성을 최소화 하고, 지자체를 중심으로 제반 유적정보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GIS 기반의 역사문화유적 분포특성 시각화 연구 : 섬진강유역권을 중심으로

        장문현,이정록 국토지리학회 2010 국토지리학회지 Vol.44 No.4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pose a basic framework for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lics with an aim of contributing towards building a historical-cultural information system of the Jeonnam east coast and the Seomjin river area. To achieve this end, primary spatial data including geographic coordinate values, visual materials, and structured interviews were collected through field visits to the study area and other means. In addition, characteristics data prepared using classification codes were recorded as a key component. This study design with emphasis on conformation and visualization is considered appropriate in light of the urgent needs for conserving indigenous cultural heritage in its entirety which is increasingly threatened with extinction and the needs for an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in developing an electronic map encompassing a range of characteristics relevant to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In particular, in that creating a historical and cultural map is critical part of the build-up of a comprehensive historical and cultural information system, the wealth of in-depth relevant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ill serve as a strong motivator for more specific, further research on the features of the study area. Consequently, it is hoped and expected that the product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spatial analysis aid in deepening the study of the historical position and role of Seomjin river area i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history. 본 연구는 전남동부연안권 및 섬진강유역권의 역사문화정보시스템 구축과 관련한 선행연구로써 역사문화유적 분포특성의 시각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해당 분야별 현지조사를 통해 취득한 공간데이터, 즉 경위도 좌표값, 영상자료, 인터뷰 등의 자료를 취합하였다. 또한 분류항목 코드를 바탕으로 작성된 속성데이터를 주요항목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급속히 인멸되어가는 지역의 향토문화자료 수집을 통해 역사문화관련 속성을 집대성한 전자지도를 제작함으로써, 학제간 융·복합 연구를 위한 대상권역의 입체화 및 시각화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역사문화지도 제작은 역사문화정보시스템 구축을 전제로 한다. 특히 역사문화지도 제작에 필요한 다양하고 심층적인 자료의 확보를 통하여 대상지역의 특징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초 도구로써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한국사의 전개 과정에 있어서 섬진강유역권의 역사적 위상과 역할, 나아가 심층적인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분석 자료로써의 활용 가능성에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