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가중방법으로 선거여론조사의 편향을 얼마나 줄일 수 있나: 컴퓨터 시뮬레이션 사례

        장덕현 ( Deok Hyun Jang ),홍영택 ( Young Taek Hong ),조성겸 ( Sung Kyum Cho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4 조사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선거여론조사의 조사결과가 가진 편향을 가중치를 적용하여 감소시키려 할 때, 그 감소폭이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그 감소폭과 가중변인의 설명력 간의 관계는 어떤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가중변인의 설명력을 여러 수준으로 변화시킨 데이터를 컴퓨터로 생성해서 이를 모집단으로 하였다. 그런 다음 관심변인이 10% 포인트의 편향을 갖도록 표본을 반복해서 추출한 다음, 가중치를 적용했을 때 그 편향이 어느 정도 감소하는지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비록 가중치를 적용하는 것이 편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기는 하지만 그 효과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현실적으로 가중치를 적용해서 편향을 제거하는 것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xplanatory power of weighting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 in the context of election poll. We created a population data using previous survey data in which we created the various weighting variables with different level of explanatory power. From this population data, we selected samples repeatedly which have a 10% point bias. When we applied various weighting variables to this sample, we could get the results which have smaller bias. But the reduction is not so big enough for us to get accurate predictions in actual election.

      • KCI등재

        연구논문 : 무선 RDD 전화조사의 타당성 검토 연구: 18대 대통령선거 사례 연구

        장덕현 ( Deok Hyun Jang ),조성겸 ( Sung Kyum Cho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3 조사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선거조사에서 무선 RDD 전화조사의 정밀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한국갤럽에서 시행한 다섯 차례의 무선 RDD 전화조사의 조사결과가 그 평균값을 기준으로 어느 정도 변동성을 보이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비록 확률표집을 가정했을 경우의 표집오차보다 변동 정도가 컸지만 관심 변수의 차이를 유발할 정도는 아니었다. 따라서 무선전화 번호를 무작위 추출해서 실시하는 무선 RDD 전화조사의 정밀성 정도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에서 사용된 할당 및 통제 변수들과 관심 변수 간의 상관성을 보면 거주지역, 성/연령대, 원적, 총선투표정당과 지지정당, 지지후보 간의 상관 정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1위와 2위 후보 간의 득표율 차이가 불과 1~2% 포인트도 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정확성 정도를 보다 높일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조사결과와 투표결과와의 차이를 직접 비교하지 않고, 정밀성 정도와 모델의 설명력을 구함으로써 조사의 오류가 어느 부분에서 발생하는가를 파악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recision of mobile RDD phone survey methodology in election poll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data gathered by Gallup Korea before last year`s presidential election. The level of precision measured by the Chi-square revealed that actual precision was less than ideal, but the variability did not affect the variables of our interest. We also tri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ota and control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If this relationship is strongly positive, then the survey results will be accurate even though some of the random sampling procedures were not kept.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ut it was not big enough to guarantee the accuracy of the results. This is because the gap between the 1st and 2nd candidates was so small. More research is needed to enh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endent and control variables.

      • KCI등재

        연구논문 : 2014 지방선거에서의 여론조사의 정확성 연구:조사방법별 정밀성과 편향 비교

        장덕현 ( Deok Hyun Jang ),조성겸 ( Sung Kyum Cho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5 조사연구 Vol.16 No.1

        2014년 지방선거의 선거여론조사는 얼마나 정확했는가? 2014년에는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이하 중앙여심위)가 출범했다. 중앙여심위 홈페이지에는 선거일 7일 이전까지 언론에 공표된 모든 여론조사결과들이 공개되어 있다. 그 내용에는 조사의 설계와 지지도 결과, 특히 연령대별 지지도가 포함된다. 언론에 공표되는 여론조사의 목표할당은 유권자의 성/연령대별 분포에 기준하며, 지지후보를 밝히지 않은 유보층을 포함하고 있다. 선거일과의 차이를 제외하고도 실제 선거결과와의 비교를 위해 응답자의 투표 여부(투표율)을 반영해야 하며, 지지후보 유보층을 배분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여심위 자료 중 D-11일 이후 등록된 광역단체장 선거여론조사 결과 133건을 분석했으며, 각 조사결과의 전체 지지도, 연령대별 지지도, 연령대별 목표할당을 추출했다. 투표 여부의 경우 중앙선거관리위원회투표자 조사의 시/도별 연령대별 투표율을 반영했으며, 지지후보 유보층은 균등 배분하거나 제외하고 재환산했다. 즉 투표율 반영 여부와 유보층 배분방식에 따라 다음 4가지 방법 중의 하나를 적용했다: 1) 투표율 미반영 &균등 배분, 2) 투표율 미반영 & 제외, 3) 투표율 반영 & 균등 배분, 4) 투표율반영 & 제외. 각 방법별로 실제결과와의 차이를 분석하며, 정밀성 기준으로 표준편차, 편향 기준으로 오차평균을 산출했다. 분석 결과, 조사원 면접과ARS 간 정밀성에서는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편향은 차이가 있었다. ARS의 경우 투표율 반영 후 편향이 커지는 반면 조사원 면접은 투표율 반영 후 편향이 감소했다. ARS 방식은 여당 편향이 존재했고 이러한 경향은 특히 야당 후보의 당선 지역에서 두드러졌다. 그러나 정밀성 수준에서 ARS와 조사원면접 모두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며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How accurate were local election polls in 2014 The National Fair Election Survey Deliberation Commission (NESDC) was launched in 2014. All published survey results, which by law were published a minimum of seven days prior to the election, were posted on the NESDC website. Those results included the survey design and the detailed survey results, including the results of a question indicating which candidate the respondent supported. These results were cross-tabulated in several ways, including by age. The quota of published polls was based on the gender/age distribution of the electorate and included the respondents who had not yet decided how to vote. We accounted for two factors: the turnout of respondents and how undecided respondents would likely vote. Some people may change their minds between the day of the poll and election Day; these differences were not accounted for in our analysi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sults of 133 mayoral or gubernatorial surveys conducted between 11 and 7 days prior to the election and extracted each candidate`s total support rating and support ratings by age group. Age quota was taken into account. The turnout of voters by city/province and age group in the survey of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was reflected, and undecided respondents were allocated equally between candidates or dropped. Accordingly, we applied the four options reflecting the turnout and allocation of undecided respondents: 1) Turnout is not reflected and equally allocated, 2) Turnout is not reflected and dropped, 3) Turnout is reflected and equally allocated and 4) Turnout is reflected and dropped. Surveys used one of three modes: telephone interviewer-administered surveys, ARS, and mobile ap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cision level but the bias was different between interviewer-administered surveys and ARS. In particular, the results differed by survey mode after turnout by age group was reflected. When turnout by age group was reflected, the bias increased in ARS but was reduced in interviewer-administered surveys. The results of ANOVA analysis, which controlled for differences between the different cities and provinc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urvey modes. The ruling party bias existed in ARS and more significantly in areas where the opposition party was elected. The precision levels of both ARS and interviewer-administered surveys were not satisfactory, and improvement is required.

      • KCI등재

        리커트형 척도의 중간점은 필요한가?: 중간점 있는 척도와 없는 척도 간 측정 결과 비교

        장덕현 ( Deok-hyun Jang ),조성겸 ( Sung-kyum Cho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7 조사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리커트형 척도의 중간점(보통, 이도 저도 아님) 여부가 응답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중간점 있는 척도와 없는 척도의 측정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정치, 사회, 문화, 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의 가치 문제에 대한 40개의 문항으로 설문을 구성했으며, 중간점 있는 5점 척도와 중간점 없는 4점 척도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별 50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조사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두 집단의 응답 분포를 비교하여, 중간점이 제시된 집단에서 중간점을 택한 응답자들이 그것이 주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긍정과 부정으로 균등하게 분산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문항의 난이도와 사회적 규범과의 관련성 등 문항의 특성에 따라 응답분포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척도의 중간점이 응답자의 인지적 자원을 최소화하기 위한 도구로서 그리고 민감한 문항에 대한 응답을 회피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the midpoint in Likert type scale, by comparing the results of a scale with a mid-point and a scale without it.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40 items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media.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on two groups, each consisting of 500 people; 5-point scale group with a mid-point and 4-point scale group without it. When there was no mid-point, among the various hypothesis on how those possible mid-point selectors would have dispersed, we found that more cases were matched with the even distribution hypothesis. These results were influenced by the degree of positive or negative response bias, difficulty or necessity of knowledge, and justification. It is crucial to give careful attention to use of the mid-point as respondents can choose this to reduce cognitive resources and to avoid sensitive questions.

      • KCI등재

        광역단체장의 직무수행평가의 추세 및 영향 요인

        하동현 ( Dong Hyun Ha ),장덕현 ( Deok Hyun Jang ) 한국조사연구학회 2021 조사연구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광역단체장의 직무수행평가(지지율)가 어떠한 추세를 지니고 있고 대통령, 정당 등의 요인들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그 경향과 특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2012년부터 2021년까지 5, 6, 7기 광역단체장의 직무수행평가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의 결과, 첫째, 광역단체장은 임기 동안 대체로 50%를 전후로 큰 등락 폭 없이 직무수행평가의 변동이 나타났다. 둘째, 광역단체장의 소속정당, 선출차수, 권역에 따라 직무수행평가가 변화하였다. 소속정당 간 추세에는 차이가 일부 있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발견할 수 없었다. 선출차수가 많아질수록 지지율이 높아졌고. 권역별로 광역단체장 평가가 상이하였다. 셋째, 광역단체장은 소속정당의 지지율과는 정의 상관관계, 경쟁 정당의 지지율과는 부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는데, 그 연계의 강도는 달랐다. 소속정당이 여야로 위상이 달라지면 단체장과의 강도와 연계 방향도 변화되었다. 넷째, 대통령은 임기 동안 지지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선형적인 패턴을 보인 반면, 광역단체장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도 가변적 양상으로 선형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or's approval rating and its relationship to factors such as the president and political parties. From 2012 to 2021, the evaluation of job performance of governors for the 5th, 6th, and 7th local elections was targeted. First, the governor's approval rate fluctuated around 50% during the term of office without a large fluctuation. Second, the approval rate changed according to the governor's political party, the number of elections, and the region.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trends between the affiliated parties, but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The more the number of elections, the higher the approval rating. The evaluation of the governor was different for each region. Third, the governor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pproval rating of the affiliated party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pproval rating of the rival parties, but the strength of the connection was different. When the affiliated party changed its status to the opposition parties,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connection with the head of the group also changed.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or's political party affiliation and the presidential approval rating was different. The president showed a linear pattern as the approval rating continued to fall during his tenure, while the governor remained constant, but the linearity did not appear in a variable pattern.

      • KCI등재

        연구논문 : 인터넷 선거조사에서 성향가중모형 적용사례

        이계오 ( Kay O Lee ),장덕현 ( Deok Hyun Jang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9 조사연구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선거여론조사에서 좀더 많은 젊은 유권자를 접촉하기 위해서 인터넷조사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2007년 대선여론조사에서 수집한 인구통계학 변수와 공변량 변수를 이용하여 성향점수모형을 추정하였다. 인터넷조사에서 투표성향을 전화조사의 것과 같이 보정하기 위해서 추정한 성향점수모형을 사용하였다. 실제로 인터넷조사 데이터에 성향점수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전화조사의 추정치에 근접하게 됨을 보였다. 성향가중모형을 인터넷조사의 데이터에 적용하여 인터넷조사데이터만으로 전화조사와 유사한 추정치를 얻을 수 있음을 예시함으로써 선거여론조사에서 전화조사의 대안적인 조사방법으로 인터넷조사의 활용가능성을 실제 조사데이터로 입증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uggests the applicability of web surveys regarding elections in order to contact a great number of young people. The propensity weighting model was estimated using the 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covariate variables collected during the 2007 presidential election surveys. In order to adjust the internet survey to the telephone survey, we used the propensity score method. Propensity score weighting made the internet survey results closer to the telephone survey results. This shows that an internet survey with propensity weighting model is a potential alternative survey method in the prediction of elections.

      • KCI등재

        연구논문 : 사전 태도 및 투표 의향과 실제 투표행동간 상관성 연구

        이계오 ( Kay O Lee ),장덕현 ( Deok Hyun Jang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1 조사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선거여론조사에서 유권자의 사전 태도 및 투표 의향과 실제 투표 행동 간의 상관성을 분석함으로써 투표결과에 대한 선거여론조사의 예측력을 높이는 방법을 탐색하는 것이다. 지지 후보, 정치적 자기 신뢰와 효능감 및 현재의 이슈에 대한 입장을 통해 사전 태도를 측정하고 투표 참여와 관련하여 투표 의향, 과거 선거에서 투표 참여 및 선거에 대한 관심 정도를 측정했다. 실제 투표행동은 개표 후 사후조사에서 투표 참여 여부와 투표 후보를 질문했고 사전조사와 투표 행동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동일인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조사를 실시했다. 사전조사의 투표 의향, 선거 관심도와 과거 투표 참여 등이 실제 투표 참여와 상관성이 컸으며 사전조사의 지지 후보와 실제 투표후보 간에는 변동이 거의 없었다. 또한 인구 특성과 현안에 대한 태도를 통해 지지 후보 무응답자의 투표행동을 예측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analyze correlation of vote behavior and attitude and vote intention in the pre-survey, and to investigate the efficient method of predicting the voting result from the pre-surveys. The previous attitude is measured by the support for the candidate, political self-confidence, self-efficacy and opinion on present issues. The vote intention is surveyed by the past election participation and degree of election interest. Real voting behavior is surveyed by the post enumeration, and the pre-survey and both post-survey are conducted to the same person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voting behavior and pre-survey. The real election participation is highly correlated with vote intention, election interest and past election participation. Almost respondents did not change the supporting candidate from the poll survey to the election vote. It is shown that the voting behavior at election of the nonrespondent of pre-survey can be predicted with the demographic charater and attitude of present issues.

      • KCI등재

        지난 선거 투표 및 후보자 선택 회상

        김지범 ( Jibum Kim ),김솔이 ( Sori Kim ),장덕현 ( Deok Hyun Jang ) 한국조사연구학회 2021 조사연구 Vol.22 No.2

        사후 선거조사 회상 응답 투표율과 당선자 투표율은 실제 투표율 및 후보 득표율과 비교하여 과대보고되고 있다. 과대보고 현상의 원인으로 주로 표본의 대표성 문제가 논의되고 있다. 우리는 다양한 조사를 이용해서 먼저 지난 선거 투표 참여 및 당선자 투표의 과대보고 정도를 파악한 후, 특정 지지층의 과대표집에 따른 표본의 대표성 문제가 과대보고와 결부되었는지 탐구하였다. 실제 투표율과 비교하여 조사에서 투표 참여 비율이 최소 10%p에서 25%p 과대보고되고 있다. 또한, 21대 총선 출구조사와 지역구 사전 조사와 같이 실제 투표 결과와 유사한 조사에서도 지난 선거에 대한 참여 및 투표 응답이 과대보고된다는 점에서 과대보고가 표본의 대표성 문제로 설명될 수는 없는 것 같다. 우리의 연구결과는 과대보고는 대표성의 문제를 떠나 측정오류와 연관된 다른 요인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향후, 개인의 투표 참여 여부 기록과 조사에서 개인의 투표 참여 여부 응답을 비교·검증할 수 있는 자료가 시급히 요구된다. Reporters and researchers are increasingly concerned about the accuracy of reported survey results because people’s memories of vote and voter choice is different from actual election results. The main culprit of over-reporting of voting and voter choice for the winner has been attributed to the sample unrepresentativeness. Using various data sources, we first investigated the extent to which people over-reported in various elections and then tried to find out if sample unrepresentativeness is the cause of the discrepancy between reported and actual election results. Our analysis demonstrates that the voting rate people reported is about 10%p to 25%p higher than that of election results. We also found that exit-polls and pre-election polls that have similar results to that of the actual election showed the over-reporting of voting and voter choice. Given that over-reporting cannot be explained by sample representativeness, we recommend a further investigation into factors related to measurement error that are associated with over-reporting. Moreover, data that can validate individuals' voting participation and voter registration records is urgently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